KR100665556B1 -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556B1
KR100665556B1 KR1020000031331A KR20000031331A KR100665556B1 KR 100665556 B1 KR100665556 B1 KR 100665556B1 KR 1020000031331 A KR1020000031331 A KR 1020000031331A KR 20000031331 A KR20000031331 A KR 20000031331A KR 100665556 B1 KR100665556 B1 KR 100665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partition wall
air condition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161A (ko
Inventor
심강수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556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송풍팬(42)을 갖는 송풍 유닛(40)에 연결되며, 증발기의 공기 유동 저항에 상응하는 유동 저항이 발생되도록 내벽면에 증발기를 대체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50)에 있어서,
상기 격벽(54,55)은 상기 케이스(50)의 내벽면 상하부에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되,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풍량을 유지함과 아울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송풍팬, 송풍 유닛, 케이스, 격벽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A CASE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케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주파수별로 소음의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주파수별로 소음의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주파수별로 소음의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송풍 유닛
41 : 송풍팬 케이스
42 : 송풍팬
50 : 케이스
54,55 : 격벽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절한 풍량을 유지함과 아울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송풍유닛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케이스에 설치된 증발기 또는 히터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차량 실내로 공급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케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ㆍ하부 케이스(10,11)의 내부에는 여과되어 흡입된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팬(15)과, 이 송풍팬(15)으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냉기 상태로 바꾸어주는 증발기(20)와, 이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높여 온기 상태로 바꾸어주는 히터 코어(30)와,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 코어(30)를 통과하여 상ㆍ하부 케이스(10,11)의 출구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히터 코어(30)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로 상ㆍ하부 케이스(10,11)의 출구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템프도어(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ㆍ부 케이스(10,11)의 출구측에는 자동차의 플로어와 디프로스터 및 벤트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가 분기 연결되어 있으며, 이 덕트의 입구측에는 선택적으로 공기를 덕트내로 분기 공급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도어(2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장치는 하절기에 증발기를 이용하여 차내 냉방이 가능하게 하며, 동절기에 히터 코어를 이용하여 차내 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공기조화장치를 장착한 차량은 사계절이 뚜렷한 지역에서 대부분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사계절이 항상 추운 지역에서 전술한 공기조화장치를 장착한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를 개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6)의 회전으로 발생되어 송풍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상ㆍ하부 케이스(10,11)중 하부 케이스(11)의 토출측에 소정 높이의 격벽(33)을 설치하여 증발기(미도시) 설치시 발생하는 유동저항에 상응하는 유동 저항의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격벽에 의해 증발기(미도시)를 설치하지 않아도 적정한 유동저항이 발생하여 차실내로 적절한 풍량 유입이 이루어지나 케이스내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적절한 풍량을 유지함과 아울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송풍팬을 갖는 송풍 유닛에 연결되며, 증발기의 공기 유동 저항에 상응하는 유동 저항이 발생되도록 내벽면에 증발기를 대체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 상하부에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되,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주파수별로 소음의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주파수별로 소음의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유닛(40)은 송풍팬 케이스(41)와, 이 송풍팬 케이스(41)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42)과, 이 송풍팬(42)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43)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 케이스(41)의 일측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41a)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유입된 외기가 송풍팬(42)의 회전에 의해 강제 송풍되어 배출되는 외기 배출구(41b)가 형성되며, 상기 외기 유입구(41a)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인렛 덕트(44)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 케이스(41)에는 상기 외기 배출구(41b)와 연통되게 케이스(50)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50)는 어퍼 케이스(51)와 로워 케이스(52)로 구성된다.
상기 어퍼 케이스(51)와 로워 케이스(52)의 내벽면에는 증발기를 대체하기 위하여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갖는 격벽(54,55)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상기 격벽(54,55)중 어느 하나는 송풍 유닛(40)의 송풍팬(42)의 외기 배출구(41b)측으로부터 근거리에 해당되는 케이스(50)의 하측 내벽면, 즉 로워 케이스(52)의 상면에 수직 상방향으로 일정 높이가 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송풍 유닛(40)의 송풍팬(42)의 외기 배출구(41b)측으로부터 원거리에 해당되는 케이스(50)의 상측 내벽면, 즉 어퍼 케이스(51)의 내측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격벽(55)은 케이스(50)를 구성하는 로워 케이스(52)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격벽(54)은 케이스(50)를 구성하는 어퍼 케이스(5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로워 케이스(52)에 설치된 격벽(55)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50)의 내부 높이(h2)의 2/5~2/3이며, 상기 어퍼 케이스(51)에 설치된 격벽(54)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50)의 내부 높이(h1)의 1/3~3/5이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워 케이스(52)에 설치된 격벽(55)의 길이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부 높이(h2)의 2/3이며, 상기 어퍼 케이스(51)에 설치된 격벽(54)의 길이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부 높이(h1)의 1/3이 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로워 케이스(52)에 설치된 격벽(55)의 길이를 상기 케이스(50)의 내부 높이(h2)의 2/5가 되게하고, 상기 어퍼 케이스(51)에 설치된 격벽(54)의 길이를 상기 케이스(50)의 내부 높이(h1)의 3/5이 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 모터(43)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되면, 송풍팬(42)이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 송풍팬(42)의 회전력에 의해 송풍팬 케이스(41)내에는 외기 유입구(41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외기 배출구(41b)를 통해 강제 송풍되어 케이스(50)내로 유입된다.
이렇게 케이스(50)내로 유입된 공기는 로워 케이스(52)에 설치된 격벽(55)의 단부와 어퍼 케이스(51)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 후, 격벽(54,55) 사이의 공간을 지나 어퍼 케이스(51)에 설치된 격벽(54)의 단부와 로워 케이스(5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케이스(50)를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로를 거쳐 이동하는 공기는 격벽(55)과 어퍼 케이스(51) 사이에 형성된 입구 면적과, 격벽(54)과 로워 케이스(512) 사이에 형성된 출구 면적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하부 내벽면에 소정 높이의 단일의 격벽을 형성한 종래 기술에 비해 차실내로 유입되는 풍량이 균일하게 유지됨과 아울러 소음이 감소된다.
부언하면, 종래 기술에서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이 격벽에 의해 축소되어 이 사이를 지나가는 공기의 속도(유속)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즉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고, 격벽의 끝단부에서 떨림들에 의해 소음이 증가한다.(도 2참조)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공기가 흐르는 케이스내의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격벽(54)과 격벽(55) 사이에 넓은 공간을 형성하여 공기의 속도를 완충적으로 조절하므로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로워 케이스(52)에 설치된 격벽(55)의 길이를 상기 케이스(50)의 내부 높이(h2)의 2/3로, 상기 어퍼 케이스(51)에 설치된 격벽(54)의 길이를 상기 케이스(50)의 내부 높이(h1)의 1/3로 한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이 종래에 비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 케이스(51)에 설치된 격벽(54)의 길이를 상기 케이스(50)의 내부 높이(h1)의 2/5로, 로워 케이스(52)에 설치된 격벽(55)의 길이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부 높이(h2)의 3/5으로 한 경우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이 종래에 비해 감소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에 따르면, 적절한 풍량을 유지함과 아울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내부에 송풍팬(42)을 갖는 송풍 유닛(40)에 연결되며, 증발기의 공기 유동 저항에 상응하는 유동 저항이 발생되도록 내벽면에 증발기를 대체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50)에 있어서,
    상기 격벽(54,55)은 상기 케이스(50)의 내벽면 상하부에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되,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54,55)중 어느 하나는 상기 송풍팬(42)의 공기 토출측으로부터 근거리에 해당되는 상기 케이스(50)의 하측 내벽면에 설치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상기 송풍팬(42)의 공기 토출측으로부터 원거리에 해당되는 상기 케이스(50)의 상측 내벽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내벽면에 설치된 격벽(55)의 길이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부 높이(h2)의 2/5~2/3이며,
    상기 상측 내벽면에 설치된 격벽(54)의 길이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부 높이(h1)의 1/3~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KR1020000031331A 2000-06-08 2000-06-08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KR100665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331A KR100665556B1 (ko) 2000-06-08 2000-06-08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331A KR100665556B1 (ko) 2000-06-08 2000-06-08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161A KR20010111161A (ko) 2001-12-17
KR100665556B1 true KR100665556B1 (ko) 2007-01-10

Family

ID=4155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331A KR100665556B1 (ko) 2000-06-08 2000-06-08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556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600127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161A (ko)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050B1 (ko)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조 유니트
KR101484712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2470409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JP201322700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513114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80067761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461988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EP2628616B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KR2010010478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65480B1 (ko)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KR100665556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KR2007006856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덕트 분지 구조
JP3575119B2 (ja) 自動車の空調システム
KR101492152B1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KR101403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50111251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45063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318634B1 (ko) 공조모드 제어시스템
JPH10109516A (ja) 車両後席用空調装置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22898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00016743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0601833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21002788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99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