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387B1 - 가스절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387B1
KR100665387B1 KR1019990031223A KR19990031223A KR100665387B1 KR 100665387 B1 KR100665387 B1 KR 100665387B1 KR 1019990031223 A KR1019990031223 A KR 1019990031223A KR 19990031223 A KR19990031223 A KR 19990031223A KR 100665387 B1 KR100665387 B1 KR 100665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eaker
main bus
line
b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097A (ko
Inventor
츠즈라게이이치
다카하시가즈히코
기다쥰조
야부키미노루
와타나베야스히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99003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387B1/ko
Publication of KR2000001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6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gas-ins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버스선을 회로 차단기에 접속시키는 선 상에 복수의 단로기가 메인버스 유닛 및 차단기 유닛 또는 제 1 절연 가스실 및 제 2 절연 가스실에 양쪽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 장애가 발생하여 유닛 교체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장애가 있는 유닛을 포함하는 회로유닛을 전력공급 중단으로 전환시키는 것 만으로, 즉 정상회로 유닛을 전력공급 중단으로 전환시키지 않고도 장애가 있는 유닛을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절연 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를 나타내는 배선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스절연 개폐기의 A-A' 선을 따른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가스절연 개폐기의 B-B' 선을 따른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측면도;
도 7은 버스선 유닛이 임시 버스선 유닛으로 교체된 도 1의 가스절연 개폐기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온"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6의 단로기 구성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오프"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 8의 단로기 구성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온"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6의 단로기 구성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오프"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 10의 단로기 구성의 일 실시예의 단면 도;
도 12는 "접지"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 10의 단로기 구성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13은 "오프"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6의 단로기 구성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4는 "온"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 13의 단로기 구성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15는 "접지"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 13의 단로기 구성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16은 도 4의 상세도;
도 17은 도 16의 가스절연 개폐기의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메인버스선 사이에서 접속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가스절연 개폐기는 세 개의 가스절연 개폐기 격납실을 포함한다.
가스절연 개폐기 격납실은 한 쌍의 메인버스 유닛과 차단기 유닛을 마련한 다. 그리고, 이 메인버스 유닛과 차단기 유닛은 스페이서를 통해서 구조적으로 구획되며, 메인버스 유닛과 차단기 유닛은 각각의 유닛내에 고압의 절연가스를 마련한다.
메인버스 유닛 또는 차단기 유닛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메인버스 유닛 또는 차단기 유닛을 교체할 필요가 있다. 교체시에는 스페이서의 위치에서 메인버스 유닛과 차단기 유닛을 구획할 수 있다. 그러나, 메인버스 유닛 또는 차단기 유닛 교체시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일 측면이 대기압에 노출되고, 메인버스 전력선 부분이 노출된다. 따라서, 유닛 교체시에는 차단기 유닛의 차단기를 개방함으로써, 차단기가 전체 메인버스로의 전력공급을 중단시킨다. 그러나, 차단기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차단기가 정상 메인버스로의 전력공급도 중단하여 가스절연 개폐기의 전력 전송율이 떨어졌었다. 이러한 기술 실시예로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공보 5,453,910 호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케이블 헤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장치를 하나의 밀폐된 선로측유닛 용기에 하우징하여 장치 소형화를 의도하고 있다. 차단기 유닛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차단기에 선로측유닛이 부착하도록 구성하여, 선로측유닛 아래에 위치되는 배타적 프레임이 선로측유닛을 높은 위치에 구성하는데 사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배타적 프레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에는 야외에서 설치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술 실시예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 1998-75513 및 1993-60113 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내부에 포함된 회로 차단기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두 개의 상기 메인버스 유닛에 접속되며 상기 메인버스 유닛의 두 개의 전력선에 접속되는 차단기를 구비하는 차단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유닛은 상기 차단기로부터 상기 메인버스 유닛 중 하나에 접속되는 전력선 상에 배치되는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를 구비한다.
위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차단기 유닛 및 선로측유닛을 포함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상기 차단기 유닛 아래에 배치된 조작장치, 상기 조작장치의 콘테이너 상에 고정되어 상기 선로측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조작장치 반대쪽 측면 상에 배치되어 제거될 수 있게 제공된 두 개의 상기 프레임 다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그 상부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가스절연 개폐기를 나타내는 배선도이다. 예를 들어, 도 1은 가스절연 개폐기가 세 개의 가스절연 개폐기 격납실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가스절연 개폐기 격납실은 두 개의 3상 전력선에 대해 사용된다. 제 1의 3상 전력선(192)은 메인버스 유닛(101a, 101b, 101c)의 내부를 통해 지나가고, 제 2의 3상 전력선(194)은 메인버스 유닛(102a, 102b, 102c)의 내부를 통해 지나간다. 3상 전력선(192, 194)의 전력은 마침내 선 버스유닛(104a, 104b, 104c)으로부터 출력된다.
가스절연 개폐기 격납실(182b)은 세 개의 가스절연 개폐기 격납실(182a, 182b, 182c) 중 하나다. 가스절연 개폐기 격납실(182b)은 메인버스 유닛(101b, 102b), 이 메인버스 유닛(101b, 102b)에 접속하는 차단기 유닛(103b) 및 이 차단기 유닛(103b)에 접속하는 선 버스유닛(104b)을 포함한다. 메인버스 유닛(101b)은 스페이서(111b, 111c, 113b)에 의해 분리된다. 메인버스 유닛(102b)은 스페이서(112b, 112c, 114b)에 의해 분리된다. 차단기 유닛(103b)은 스페이서(113b, 114b, 115b)에 의해 분리된다. 차단기 유닛(103b)은 접지 스위치(211b, 212b), 단로기(203b, 204b) 및 선상 차단기용 차단기(221b)를 마련한다.
메인버스 유닛(101b)은, 그 내부에 단로기(201b)가 제공되고 스페이서(111b, 111c, 113b)에 의해 절연 지지된 제 1의 3상 전력선(192)이 하우징되며 스페이서(111b, 111c, 113b)에 의해 구획되는 절연 가스실을 갖는다. 메인버스 유닛(101b)은 팽창 벨로우즈(131b)를 통해서 인접한 메인버스 유닛(101b)에 접속된다. 도면부호(121b)는 그것을 통해서 절연가스가 메인버스유닛(101a)으로 충전되거나 또는 메인버스유닛(101a)으로부터 복원되는 가스밸브를 나타낸다.
메인버스 유닛(102b)은, 그 내부에 단로기(202b)가 제공되고 스페이서(112b, 112c, 114b)에 의해 절연 지지된 전력선이 하우징되며 스페이서(112b, 112c, 114b)에 의해 구획되는 절연 가스실을 갖는다. 메인버스 유닛(102b)은 팽창 벨로우즈(132b)를 통해서 인접한 메인버스 유닛(102b)에 접속된다. 도면부호(122b)는 그것을 통해서 절연가스가 메인버스유닛(102b)으로 충전되거나 또는 메인버스유닛(102b)으로부터 복원되는 가스밸브를 나타낸다. 차단기 유닛(103b)은, 메인버스 유닛(101b)과의 접속선 상에는 단로기(203b)를, 메인버스 유닛(102b)과의 접속선 상에는 단로기(204b)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스절연 개폐기 격납실(182a, 182c)은 가스절연 개폐기 격납실(182b)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차단기 유닛(103b)은 스페이서(113b, 114b, 115b)에 의해 구획되는 절연 가스실을 구비한다. 메인버스 유닛(101a, 102c)이 차단기 유닛(103b)의 일 측면에 접속되고, 선 버스유닛(104b)이 차단기 유닛(103b)의 타 측면에 접속된다. 도면부호(123b)는, 그것을 통해서 절연가스가 차단기 유닛(103b)으로 충전되거나 또는 차단기 유닛(103b)으로부터 복원되는 가스밸브를 나타낸다.
선 버스유닛(104b)은, 케이블 헤드(233b) 및 스페이서(115b)에 의해 구획되는 절연 가스실을 구비하고, 이 절연 가스실 내에는 차단기 유닛(221b)에 접속된 선 상에 제공되는 단로기(205b), 선 접지 스위치(213b), 설비용 변류기(231b) 및 피뢰침(232b)이 하우징된다. 케이블 헤드(233b)를 통해서 선 버스유닛(104b)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선 상에 변류기(234b)가 제공된다. 도면부호(124b)는 그것을 통해서 절연가스가 선 버스유닛(104b)으로 충전되거나 또는 선 버스유닛(104b)으로부터 복원되는 가스밸브(124b)를 나타낸다.
차단기 유닛(103b)이 단로기(203b, 204b)를 구비하고 있지않은 종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종래 기술에서 사고 발생시의 동작이 이하 설명된다.
여기서, 장애는 메인버스유닛(101b)에서 발생하였고; 이 장애는 순차적으로 릴레이를 보호 활성화하는 것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회로 차단기에 의해서 제거되었으며; 메인버스 유닛(101a, 101b, 101c, ... , 101n)은 단로기에 의해 분리되어서 전력공급 중단상태가 되었다고 가정하자.
메인버스 유닛(101b)에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는 단로기(201a, 201b, 201c, ... , 201n)가 개방된다. 여기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이중 전력선 형태이기 때문에, 메인버스 유닛(102a, 102b, 102c, ... , 102n), 차단기 유닛(103a, 103b, 103c, ... , 103n) 및 선 버스유닛(104a, 104b, 104c, ... , 104n)을 통해서 전력이 개별 회로에 공급된다.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장애가 있는 메인버스 유닛(101b)을 교체하여 보수할 필요가 있다. 먼저, 팽창 벨로우즈(131c)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메인버스(101b, 101c)의 각각에 충전되는 절연가스가 복원된다. 또한, 이러한 버스선 유닛에 접속된 차단기 유닛(103b, 103c)의 각각에 충전된 절연가스도 복원되거나 또는 절연가스의 압력이 대기압 정도로 감소된다.
버스선 유닛과 차단기 유닛 사이의 스페이서(113a, 113b, 113c, 114a, 114b, 114c) 각각은 버스선 유닛측면과 차단기 유닛측면 양쪽 모두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 유닛 중 하나는 스페이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가스절연 개폐장치가 정상동작 상태인 경우에 절연가스의 압력이 높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차단기 유닛(103b, 103c) 각각에 있는 절연가스가 복원되거나 또는 절연가스의 압력이 대기압 정도로 감소된다.
장애에 대처하기 위해서 절연가스의 압력이 감소되는 차단기 유닛(103b, 103c)에서는 정상 동작상태에서 보다 절연성능이 낮기 때문에, 외부의 서지 과도전압(surge overvoltage) 침투에 기인한 유전성 브레이크다운 또는 대기에서의 스파크 단락 또는 차단기 유닛(103b, 103c) 단부에서의 방전부분 노출에 기인한 전기 쇼크 발생의 염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절연가스를 복원하기 전에 또는 절연가스의 압력을 감소하기 전에, 회로 차단기(221b, 221c)와 단로기(201b, 201c, 205b, 205c)가 개방되고 접지 스위치(211b, 211c, 212b, 212c)가 폐쇄된다. 이것은 특히, 그 중 하나가 정상 인접회로인 두 개의 회로가 전력공급의 중단을 담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력공급 중단작업을 완료한 후에, 절연가스가 복원되거나 또는 가스압력이 대기압 정도로 감소되고, 그 후에 벨로우즈(131b, 131c)가 차단기 유닛(103b) 상에 고정된 스페이서(113b)와 함께 가압되어 도체를 분리시키고, 이에 의해서 장애가 있는 메인버스 유닛(101b)이 제거된다. 그 후, 메인버스 유닛(101b)은 임시 메인버스 유닛(101z)을 사용하여 임시로 복구되거나 또는 보수된 메인버스 유닛(101b)이 다시 조립된다. 장애가 있는 메인버스(101b)의 보수는 이렇게 해서 완료된다.
위의 방법은 인접한 정상회로가 장애가 있는 버스선 유닛을 복원하기 위하여 전력공급 중단을 담당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선과 차단기 사이의 선상에 회로 차단기용 단로기(203a, 203b, 203c, 204a, 204b, 204c)가 관련 차단기 유닛내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도 1의 구성이 제공된다.
위의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 설명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차단기 유닛(103c) 내에서 회로 차단기(221c) 및 단로기(201c, 205c)를 개방하는 대신에 회로 차단기용 단로기(203c)가 개방되어서, 방전부분이 차단기 유닛(103c) 내의 공기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것은 복구작업 중에도 인접회로에 전력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메인버스 유닛(101b)의 제거가 완료된 후에 스페이서(113b)가 고정되고 단부면 보호용 커버가 장착되며, 이 때에 가스압력에 의해서 스페이서(113b)가 폭발할 염려가 사라지면, 단로기(203b) 및 접지 스위치(211b, 212b)를 개방하고 단로기(202b, 204b, 205b) 및 회로 차단기(221b)를 폐쇄함으로써 장애가 있는 회로로의 전력공급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장애가 있는 부분을 복구하는 동안 전력공급 중단부분의 수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임시복구 후 정상회로의 전력공급 능력을 장애가 발생하기 이전의 정도에 필적하는 정도로 회복시킬 수 있다. 전력선 구조의 대칭성으로부터 명확하듯이, 메인버스 유닛(102b)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장애에 대한 조치가 동일한 방법으로 메인버스 유닛(101b)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차단기 유닛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조작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여기서, 장애가 차단기 유닛(103b)에서 발생했고; 이 장애는 순차적으로 릴레이를 보호 활성화하여 동작되는 회로 차단기에 의해 제거되었고; 차단기 유닛(103b)은 단로기(201b, 202b)에 의해 차단되어 전력공급 중단상태가 되었다고 가정한다.
차단기 유닛(103b)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선 버스유닛(104b)도 또한 전력공급이 중단된다. 개별 회로에 대한 전력공급은 메인버스 유닛(101a, 101b, 101c, ... , 101n) 및 메인버스 유닛(102a, 102b, 102c, ... , 102n)으로부터 정상 회로 차단기 유닛(103a, 103c, ... , 103n) 및 정상 선 버스유닛(104a, 104c, ... , 104n)을 통해서 수행된다.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장애가 있는 차단기 유닛(103b)을 교체 및 보수할 필요가 있고, 이 목적을 위해서는 차단기 유닛(103b), 메인버스 유닛(101b, 102b) 및 상기 차단기 유닛(103b)에 접속되어 있는 선 버스유닛(104b)의 각각에 충전된 절연가스를 복원하거나 또는 절연가스 압력을 대기압 정도로 감소시킬 것이 요구된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차단기 유닛(103b)을 제거하기 위해서 선 버스유닛(104b)이 제거될 것이 요구되며, 또한 메인버스 유닛(101a, 101b, 101c, ... , 101n) 또는 메인버스 유닛(102a, 102b, 102c, ... , 102n)은 장애가 있는 유닛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높은 가스압력에서 동작가능한 상태가 되어야만 하므로, 메인버스 유닛(101b) 또는 메인버스 유닛(102b)은 임시 메인버스 유닛(101z)으로 교체될 것이 요구된다.
이하 설명에서는 메인버스 유닛(101b)이 임시 버스선 유닛(101z)으로 교체되었다고 가정한다. 차단기 유닛(103a, 103b, 103c)이 단로기(203a, 203b, 203a, 204c, 204b, 204c)를 구비하지 않는 종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는 메인버스 유닛 내의 단로기(201a, 201b, 201c, ... , 201n)가 메인버스 유닛을 전력공급 중단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개방된다. 그 후, 교체 및 보수될 차단기 유닛(103b)을 포함하는 회로에서는 회로 차단기(221b) 및 단로기(203b, 205b)가 개방되고 접지 스위치(211b, 212b, 213b)가 폐쇄되고 나서, 팽창 벨로우즈(131c)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메인버스 유닛(101b)과 메인버스 유닛(101c) 각각에 충전된 절연가스도 또한 복원된다.
이 때에, 인접한 회로내의 차단기 유닛(103c) 단부는 대기에서의 스파크 단락 또는 대기에 노출된 방전부분을 통한 전기 쇼크 발생의 염려가 있고, 이러한 염려에 대처하기 위해서 회로 차단기(221c) 및 단로기(202c, 205c)가 개방되고 접지 스위치(211c, 212c)가 폐쇄되어서, 인접한 정상회로마저도 전력공급이 중단된다.
이러한 전력공급 중단작업을 완료한 후에, 벨로우즈(131b, 131c)가 가압되어 도체를 분리하고, 메인버스 유닛(101b)이 제거되고 임시 메인버스 유닛(101z)으로 교체된다. 메인버스 유닛(101b)과 비교하여 임시 메인버스 유닛(101z)은 차단기 유닛에 접속되는 분기선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임시 메인버스 유닛(101z)으로 교체를 완료한 후에 절연가스가 각각의 임시 메인버스 유닛(101z) 및 메인버스 유닛(101c) 내에 다시 레이팅(rating) 압력으로 충전되고, 메인버스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복구하기 위해서 단로기(201a, 201c, ... , 201n)가 폐쇄된다. 그 후에, 메인버스 교체작업 중 전력공급 중단을 담당하였던 정상회로를 복구하기 위해서 접지 스위치(211c, 212c)가 개방되고 회로 차단기(221c) 및 단로기(205c)가 폐쇄된다.
다음에, 차단기 유닛(103b)을 메인버스 유닛(102b)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메인버스 유닛 내의 단로기(202a, 202b, 202c, ... , 202n)가 개방되어서 메인버스 유닛을 전력공급 중단상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버스선 유닛과 차단기 유닛 사이의 스페이서(113b, 114b) 각각은 버스선 유닛 및 차단기 유닛 모두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고, 따라서, 버스선 유닛 또는 차단기 유닛이 스페이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정상동작 상태인 가스절연 개폐장치 내의 절연가스의 압력이 높기 때문에,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버스선 B 유닛(102b) 내의 절연가스가 복원되거나 또는 절연가스의 압력이 대기압 정도로 감소된다.
그러나, 장애발생에 대처하기 위해서 절연가스의 압력이 감소되는 메인버스 유닛(102b)에서는 메인버스 유닛(102b)의 절연성능이 정상동작 상태에서 보다 낮기 때문에 외부 서지 과도전압에 의한 유전성 브레이크다운이 발생할 수도 있고, 따라서, 메인버스 유닛은 전력공급 중단상태로 전환된다. 전력공급 중단작업을 완료한 후에, 대기압 정도로 가스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연가스가 복원되고, 메인버스 유닛(102b) 측면상에 유지 고정된 스페이서(114b)와 함께 순서에 따라서 선 버스유닛(104b) 및 차단기 유닛(103b)이 제거된다.
메인버스 유닛(102b)의 복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 즉, 스페이서에서의 폭발 또는 전기 쇼크의 염려를 제거하기 위해서, 메인버스 유닛(101b)과 같은 임시 메인버스 유닛(101z)로 메인버스 유닛(102b)이 교체되거나 또는 보호용 커버가 메인버스 유닛(102b)의, 차단기 유닛(103b)에 접속되는 분기선 단부 상에 장착되고; 절연가스가 메인버스 유닛(102b) 내에 다시 레이팅 압력으로 충전되고; 메인버스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복구하기 위해서 단로기(202a, 202c, ... , 202n)가 폐쇄된다.
위 방법에서는 인접한 정상회로 마저도 전력공급이 중단된다는 문제점이 있 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는 위의 구성을 제공한다. 위의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기 유닛(103c)에서 위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방전부분이 차단기 유닛(103c) 내의 대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로 차단기(221c) 및 단로기(201c, 205c)를 개방하는 대신에 차단기 유닛(103c) 내의 단로기(203c)가 개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복구작업 중에도 전력이 인접회로로 공급될 수 있고, 또한 메인버스 유닛(101b)의 교체를 완료한 후에는 단로기(201a, 201b, 201c, ... , 201n)를 폐쇄함으로써 메인버스 유닛의 동작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
도 2는 제 2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배선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 차단기용 단로기(203b)가 메인버스 유닛(101b)과 회로 차단기(221b) 사이의 선에 제공된다. 이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사고복구 작업 중에 정상회로의 전력공급 중단이, 메인버스 유닛(101a, 101b, 101c, ... , 101n) 및 차단기 유닛(103a, 103b, 103c, ... , 103n) 중 하나에서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만 회피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앞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앞선 실시예는 세 개의 유닛, 즉 메인버스 유닛(101b), 버스선 유닛(102b) 및 회로 차단기 (221b) 중 하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를 각 회로에 대하여 두 개의 단로기를 부가함으로써 극복하고 있으나, 반면에 본 실시예는 두 종류의 유닛, 즉 메인버스 유닛(101b 또는 102b) 및 회로 차단기(221b) 중 하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를 각 회로에 대하여 하나의 단로기를 부가함으로써 극복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선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보다 적은 수의 장치를 부가하여 상대적으로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제 3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를 나타내는 배선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116b)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메인버스 유닛(101b)과 차단기 유닛(103b) 사이에 새로운 절연가스실이 형성되고, 또한 스페이서(117b)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메인버스 유닛(102b)과 차단기 유닛(103b) 사이에도 새로운 절연가스실이 형성되며, 회로 차단기용 단로기(201b, 202b)가 전자의 절연가스실 및 후자의 절연가스실 내에 각각 배열된다. 다른 구성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회로 차단기(221b)는 단락전류 또는 접지전류와 같이 큰 전류를 차단하기 때문에 자주 체크되거나 또는 교체되는 반면에, 각각의 단로기(203b, 204b)는 전류를 거의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소모되는 일이 거의 없다.
따라서, 차단기 유닛(103b)의 유지보수 반복회수가 각각의 단로기(203b, 204b)의 유지보수 반복회수보다는 많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기 유닛(103b)에 있어서, 차단기 유닛(103b)과는 별도로 구성된 단로기(203b, 204b)가 가스복원 및 대기로의 가스노출을 담당할 것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가스절연 개폐기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배열구성 및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선 A-A'를 따라서 바라본 것이다. 이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 차단기 유닛(103b)은 제어장치가 하우징되는 조작장치(504b)의 상부에 배열된다. 수직방향으로 쌓여있는 메인버스 유닛(101b, 102b)은 차단기 유닛(103b)의 일 측면에 접속되고, 선 버스유닛(104b)은 차단기 유닛(103b)의 타 측면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기 유닛(103b) 내에는, 회로 차단기용 단로기(203b, 204b)가 회로 차단기(221b)에 대하여 메인버스 유닛 측면에 배열되고 회로 차단기용 접지 스위치(211b, 212b)가 회로 차단기(221b)에 대하여 선 버스유닛 측면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는 차단기 유닛내의 장치배열을 최적화 할 수 있으므로, 즉 차단기 유닛내의 장치들을 효율적으로 하우징할 수 있으므로, 차단기 유닛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배열구성 및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 차단기용 단로기(203b)가 메인버스 유닛(101b)과 차단기(221b) 사이의 선상에 제공되며, 접지 스위치(211b)는 앞의 실시예에서 차단기용 단로기(204b)가 제공된 위치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하여, 차단기용 접지 스위치(211b)를 더욱 자유롭게 배열할 수 있으므로, 차단기 내에서 장치의 배열구성을 더욱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가스절연 개폐기의 변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기용 단로기(203b)가 부가적으로 차단기용 접지 스위치(211b)의 기능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전체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유닛내에 하우징되는 요소의 수를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차단기 유닛을 소형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메인버스 유닛(101b)의 교체작업 중 메인버스 유닛(101b)이 임시 메인버스 유닛(101z)으로 교체된 가스절연 개폐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임시 메인버스 유닛(101z)은 차단기(103b)와는 별개이므로, 임시 메인버스 유닛(101z)을 사용하여 전력선의 활성을 유지하는 동안 전력선에 접속된 차단기 유닛(103b)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변전소의 전력공급 중단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위에서 언급한 차단기용 단로기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8은 "온" 상태를 나타내며 도 9는 "오프"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기용 단로기는 스페이서(405)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측 도체(401), 고정측 도체(402), 가동전극(403), 절연봉(406) 및 조작레버(407)를 포함한다.
가동측 도체(401)의 선단부는 가동전극(403)이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관통구멍을 구비한다. 가동전극(403)은 굽어져서 조작레버(407)에 접속되는 절연봉(406)과 결합된다. 절연봉(406)은 조작레버(407)의 전환운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고정측 도체(402)의 선단부는 가동전극(403)이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조작레버(407)는 외부 조작 메커니즘에 접속된다.
차단기용 단로기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가스절연 개폐장치 내에서 유닛 교체작업이 필요할 때 사용되므로, 단로기는 통상 변전소에서 정상동작시에는 조작되지 않는 인터락(interlock)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차단기용 단로기의 조작력은 작다. 따라서, 차단기용 단로기는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거나, 모터의 회전력을 또는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을 구동력으로서 이용하는 조작 메커니즘을 통해서 조작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차단기용 단로기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서의 차단기용 단로기는 차단기능 및 접지기능을 갖는다. 위 두 가지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 가동전극(403)은 가동측 도체(401)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접지 도체(404)가 탱크부 상에 제공된다.
변전소에서 통상의 동작시에는, 가동전극(403)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 도체(402)와 접속하여 "온" 상태를 이룬다. 유닛의 교체작업이 요구될 때에는, 가동전극(403)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 상태를 이루도록 회전하고, 가동전극(403)이 더욱 회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도체(404)와 접속하여 "접지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차단기용 단로기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연동 메커니즘을 구비하여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차단기용 단로기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의 차단기용 단로기도 또한 차단기능 및 접지기능을 구비하며, 가동전극(403) 및 고정측 도체(402) 모두가 접지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가동측 도체(401)는 가동전극(403)이 피스톤 삽입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삽입될 수 있는 실린더 구멍을 구비한다.
고정측 도체(402)는 가동측 도체(401)의 실린더 구멍과 마주보는 곳에 관통구멍을 구비한다. 가동전극(403)은 고정측 도체(402)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절연봉(406)과 결합된다. 절연봉(406)은 조작레버(407)의 전환운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움직일수 있는 방법으로 조작레버(407)에 접속된다.
변전소에서 통상의 동작시에는, 가동전극(403)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상태를 이루기 위하여 고정측 도체(402)의 관통구멍에 삽입된다. 유닛 교체작업이 요구될 때에는, "오프" 상태를 이루기 위하여 가동전극(403)이 위로 이동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 도체(401)의 실린더 구멍에 삽입된다. 그리고, "접지" 상태를 이루기 위하여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지점보다 낮은 지점으로 이동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도체(404)와 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 때에, 가동전극(403)은 세 지점, 즉 가동측 도체(401), 고정측 도체(402) 및 접지 도체(404)와 접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가동전극(403)의 접지지점에서 가동측 도체(401) 및 고정측 도체(402) 모두가 접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차단기용 단로기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인터락 메커니즘을 구비하여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스절연 개폐기에 따르면, 버스선 유닛과 차단기 유닛 양쪽 내에 또는 제 1 절연 가스실과 제 2 절연 가스실 양쪽 내에 배열되는 방법으로 복수의 단로기가 버스선 유닛을 회로 차단기에 접속시키는 선에 제공된다. 따라서,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장애가 발생하여 유닛 교체작업이 요구될 때에는, 단지 장애유닛을 포함하는 회로를 전력공급 중단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서, 즉 정상회로를 전력공급 중단으로 전환하지 않고도 장애유닛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유닛 부분을 최소화 하면서도 장애가 있는 부분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고, 장애가 있는 부분 이외의 부분을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하기 전 단시간에 전력공급 능력을 회복할 수 있는 가 스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도 16 내지 도 19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6 및 도 17은 도 4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이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나듯이, 본 실시예의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메인버스 유닛(101b, 102b), 차단기 유닛(103b) 및 선 버스유닛(104b)을 포함한다. 두 개의 메인버스 유닛(101b, 102b)이 수직방향으로 차단기 유닛(103b)의 일 측면에 제공되고, 선 버스유닛(104b)이 차단기 유닛(103b)의 타 측면에 접속된다. 조작장치(504)는 차단기 유닛(103b)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어박스(505)가 이 조작장치의 일 측면에 배치된다.
메인버스 유닛(101b, 102b)의 구성은 이하 설명된다. 메인버스 유닛(101b) 내에는 버스선 도체(192a, 192b 192c)이 이등변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된다. 메인버스 유닛(101b, 102b)은 버스선 도체(192a, 192b, 192c)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원통형 용기부 및 이 제 1 원통형 용기부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원통형 용기부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측 전력선(192a) 및 하측 전력선(192b)은 메인버스 유닛(101b)의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력선(192c)은 차단기 유닛(103b)측에 배치된다. 메인버스 유닛(101b, 102b)의 원통형 용기부 양단에 플랜지가 제공되고, 팽창 벨로우즈(131, 132)가 이 원통형 용기부의 단부 중 한 쪽에 접속된다.
전력선(192a, 192b, 192c)의 분기 도체(592a, 592b, 592c)가 메인버스 유닛(101b)의 원통형 용기부의 중심선에서 수직방향으로 행으로 배치된다. 단로기(201b)의 가동전극(513)은 각 분기 도체(592a, 592b, 592c)의 중심부에 제공된다. 가동전극(513)은 두 개의 버스선 용기 사이에 배치된 조작장치(509)에 의해 각 분기 도체(592a, 592b, 592c) 내에서 왕복가능하게 구동된다. 고정전극(512)은 도체(511)를 통해서 메인버스 유닛(101b)과 차단기 유닛(103b) 사이에 제공된 절연 스페이서(113b)에 고정된다. 가동전극(513) 및 고정전극(512)은 단로기를 구성한다. 절연 스페이서(113b, 114b)가 기밀성(air-tightness)을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상측 메인버스 유닛(101b) 및 하측 메인버스 유닛(102b)과 차단기 유닛(103) 사이에 제공되고, 도체 접속부(514)가 절연 스페이서(113b)의 중심선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행으로 배치된다. 도체 접속부(514)는 메인버스 유닛(101b) 내의 도체(511)에 접속된다.
차단기 유닛(103b)의 구성이 이하 설명된다. 차단기 유닛(103b)의 용기는 수직방향으로 축선을 구비하는 원통형 용기부(516a)와, 이 원통형 용기부(516a) 상측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양 측면에 형성된 제 1 수평 원통형 용기부 및 이 원통형 용기부(516a) 하측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메인버스 유닛 측면에 형성된 제 2 수평 원통형 용기부(516b)로 구성된다. 3상 회로 차단기(221b)는 버스선 도체(192a, 192b, 192c)의 수직방향으로 원통형 용기부(516a)의 중심선에 배치된다.
상측 절연 스페이서(113b)에 제공된 도체 접속부(514)는 하측 절연 스페이서(114b)에 제공된 도체 접속부(515)에 왕복 도체(518)를 통해서 접속되고, 왕복 도체(518)의 하측면은 도체(524)를 통해서 회로 차단기(221b)의 차단지점 하측면에 접속된다.
왕복 도체(518)의 하측부에 제공된 접지장치의 고정전극(519)은, 차단기 유닛(103b) 용기의 외부에 제공된 조작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가동전극과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접속 도체(523)는 회로 차단기(221b)의 상측 부분에 제공된다. 접속 도체(523)는, 차단기 유닛(103b)과 선 버스유닛(104b) 사이에 제공된 절연 스페이서(115b)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행으로 배치된 도체 접속부(522)에 접속된다. 분기부가 회로 차단기 부분측 접속 도체(523)에 제공되고, 접지장치의 고정전극(600)은 이 분기부의 단부에 제공된다. 차단기 유닛(103b) 용기의 외부에 제공된 조작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왕복되는 가동전극은 이 고정전극(600)과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세 개의 회로 차단기(221b) 중에서, 중심 회로 차단기(221b)는 절연 스페이서(113b)에 제공된 중심 도체 접속부(514)를 절연 스페이서(115b)에 제공된 중심 도체 접속부(522)로 접속시키는 직선상에 배치되고; 중심 회로 차단기(221b) 양 측면상에 위치된 측면 회로 차단기(221b)는 관련 도체 접속부(514, 523)를 서로 접속시키는 직선으로부터 절연거리 확보를 위하여 외부로 각각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측면 회로 차단기(221b) 각각에서 도체(524)의 접속방향은 외부를 향하게 된다. 회로 차단기(221b)는 원통형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배열방향 내의 회로 차단기 평면은 배열방향 내의 회로 차단기 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편평하게 된다. 회로 차단기(221b) 상측 부분은 차단기 유닛(103b)과 선 버스유닛(104b) 사이에 제공된 절연 스페이서(115b)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행으로 배열된 도체 접속부(522)에 접속된다.
선 버스유닛(104b)의 구성이 이하 설명된다. 선 버스유닛(104b)의 용기는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용기부(525b) 및 이 원통형 용기부(525b)의 상측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 용기부(562)로 구성된다. 도체(526)는 절연 스페이서(115b)에 제공된 도체 접속부(522)에 접속되고, 선 버스유닛(104b) 용기 외부에 제공된 조작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왕복되는 가동전극(528)은 도체(526)의 중심부에 제공된다. 가동전극(528)은 고정전극(529)과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전극(528) 및 고정전극(529)은 단로기(205b)를 구성한다. 고정전극(529)은 케이블 헤드(530)상의 도체(531)에 직접 고정된다. 케이블 헤드(530)는 원통형 용기부(525b)의 하측 부분에서 차단기 유닛(103b)의 반대쪽 측면상에 배치된다. 피뢰침(232b)이 케이블 헤드(530) 옆에서 차단기 유닛측면 상에 배치되고, 설비용 변압기(533)이 케이블 헤드(530) 위쪽에 배치된다. 케이블 헤드(530) 및 피뢰침(232b)은 공통 도체(531)에 접속된다. 접지장치의 고정전극(534)은 도체(531) 상에 제공되고, 선 버스유닛(104b) 용기 외부에 제공된 조작장치(635)에 의해 구동되는 가동전극은 고정전극(534)과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설비용 변압기(533)는 분리장치(536)를 통해서 도체(531)에 접속 또는 도체(5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선 버스유닛(104b)이 장착되는 프레임(537)은 선 버스유닛(104b)의 아래에 배치된다. 바닥판(538)이 선 버스유닛(104b) 용기의 하측 부분에 제공되고, 케이블(540)에 접속되기 위해서 케이블 헤드(530)의 접속부(233b)가 바닥판(538)로부터 밀봉부를 통하여 뽑아내어 지며, 변류기(234b)가 케이블(540)에 장착된다.
도 17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나듯이, 선 버스유닛(104b) 내의 3상 피뢰침(232b) 및 3상 케이블 헤드(53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용기부(525b)의 동심원을 따라서 배열되고, 여기서 3상 케이블 헤드(530)는 차단기 유닛(103b) 반대쪽에 위치되고 3상 피뢰침(232b)은 차단기 유닛(103b)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배열에 따라서, 장치를 야외에 설치하는 동안 변류기(234b)를 장착하는 작업성이 향상된다. 단로기(205b)는 행으로 배열되어,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배열된 3상 피뢰침(232b) 중 차단기 유닛(103b)로부터 먼 쪽의 2상 피뢰침(232b)과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3상 케이블 헤드(530) 및 3상 피뢰침(232b)이 동심원 내에 배열되어, 선 버스유닛(104b)의 원통형 용기부(525b) 외부 직경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케이블 헤드(530) 및 피뢰침(232b)은 원통형 용기부(525b)의 하측 부분에 배열되고 적어도 2상 케이블 헤드(530)는 관련 2상 피뢰침(232b)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피뢰침(232b)의 인가 전압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피뢰침(232b)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모니터(566)는 선 버스유닛(104b) 아래에서 회로 차단기용 조작장치를 하우징하는 박스의 측면에 장착된다. 피뢰침(232b)의 하측 부분으로부터 뽑아 내어지는 접지선(543)은 모니터(566)에 접속된다. 접지선(543)은 피뢰침(232b)의 하측 부분으로부터 뽑아내어 지기 때문에, 각 접지선(543)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고, 따라서 피뢰침(232b)의 동작전위에 중첩되는 전위를 작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뢰침(232b)을 동작전위에서 정확히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에, 선 버스유닛(104b)을 고정시키는 구성이 설명된다. 선 버스유닛(104b)은 다음과 같이 고정되어 지지된다: 즉, 선 버스유닛(104b)은 기밀성 유지용으로 제공된 절연 스페이서(115b)를 통해서 볼트에 의해 차단기 유닛(103b)에 고정 접속된다. 차단기 유닛(103b)은, 용기(516a)의 하측 단부에 제공된 플랜지가 땅에 고정되어 있는 회로 차단기용 조작장치(504) 박스에 있는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반면, 프레임(537)은 선 버스유닛(104b) 아래에 제공되고, 이 프레임은 선 버스유닛(104b)의 바닥판(538)과 평행한 부분 및 그것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프레임(537)의 상기 부분 중 하나는 L 자 형태로 형성되어 선 버스유닛(104b) 용기(525b)의 바닥판(538) 상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볼트에 의하여 조작장치(504) 박스 상에 고정된다. 바닥판(538)은 정사각형을 갖는 평판으로 형성된다. 바닥판(538)의 네 모서리에는 관통구멍이 제공되고, 프레임(537) 내에서 바닥판(538)의 상기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이 제공된다. 프레임(537)과 바닥판(538)에 형성된 위 구멍들을 관통하는 스터드(stud) 볼트(544)에 의해 바닥판(538)이 프레임(537) 상에 고정된다. 차단기 유닛(103b) 측면 반대쪽 위치에서 두 개의 다리(545)가 프레임(537) 상에 제공된다. 프레임(537)의 형태 및 장착위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즉, 직사각형 또는 L 자형 프레임(537)의 한쪽 단부는 조작장치(504) 박스의 측면 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 버스유닛(104b)은 조작장치(504) 박스에 고정된 차단기 유닛(103b) 및 프레임(537)에 의해서 지지된다. 선 버스유닛(104b)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변류기(234b) 등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두 개 의 다리(545)가 제거될 수 있다.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소형화함으로써,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공장에서 조립이 완료된 후 트레일러에 의해 설치장소로 운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장치를 야외에서 설치할 때, 케이블(540)을 케이블 접속부(233b)에 접속시키고 변류기(234b)를 케이블(540)에 장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설치작업시 다리(545)가 제거될 수 있으므로, 무거운 변류기(234b)를 장착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이 조작장치 박스 상에 고정되므로, 가스절연 개폐장치가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조작장치 박스에 잭업(jack-up)용 구멍을 제공하므로써, 잭업용 구멍을 이용하여 운반용 베이스가 일체로 제거되거나 장착될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 버스유닛의 다리가 제거되어 변류기가 쉽게 장착되기 때문에, 가스절연 개폐장치 설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0)

  1. 전력선을 포함하는 메인버스 유닛과, 차단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버스 유닛에 스페이서를 거쳐 접속되는 차단기 유닛과, 상기 스페이서에 의하여 절연 지지되어 상기 전력선과 상기 차단기를 접속하는 선로와, 상기 메인버스 유닛 내의 상기 선로에 설치된 제1단로기와,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차단기 사이의 선로에 설치된 제2단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버스 유닛은 제1메인버스 유닛과 제2메인버스 유닛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메인버스 유닛과 제2메인버스 유닛 각각이 스페이서를 거쳐 상기 차단기 유닛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로기가 상기 제1메인버스 유닛의 전력선과 상기 차단기를 접속하는 제1선로 및 상기 제2메인버스 유닛의 전력선과 상기 차단기를 접속하는 제2선로의 각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로의 상기 제2단로기와 상기 차단기의 사이 및 상기 제2선로의 상기 제2단로기와 상기 차단기의 사이에 스페이서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차단기 유닛 및 선 버스유닛을 포함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유닛 아래에 배치된 조작장치와, 상기 조작장치의 콘테이너에 고정되어 상기 선 버스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조작장치의 반대측에 제거할 수 있게 설치된 두 개의 다리와, 상기 선 버스유닛의 바닥부의 밀봉부를 거쳐 인출된 케이블에 접속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된 변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조작장치의 콘테이너 상에 고정된 직사각형 다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조작장치의 콘테이너 상에 고정된 L 자형 다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유닛과 상기 선 버스유닛 사이에 위치되는 절연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9. 전력선을 포함하고 스페이서에 의해 구획되는 제1절연가스실과, 차단기를 초함하고 상기 제1절연가스실에 접속된 제2절연가스실과, 상기 스페이서에 의하여 절연 지지되어 상기 전력선과 상기 차단기를 접속하는 선로와, 상기 제1절연가스실 내의 상기 선로에 설치된 제1단로기와,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차단기 사이의 선로에 설치된 제2단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20. 제 1항 내지 제4항 및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로기는, 고정측 도체와, 접지 도체와, 가동전극 측에 접속되어 상기 고정측 도체 및 상기 접지 도체와 접속 및 이탈이 가능한 가동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9990031223A 1998-07-31 1999-07-30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665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223A KR100665387B1 (ko) 1998-07-31 1999-07-30 가스절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16827 1998-07-31
JP10-309840 1998-10-30
KR1019990031223A KR100665387B1 (ko) 1998-07-31 1999-07-30 가스절연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097A KR20000012097A (ko) 2000-02-25
KR100665387B1 true KR100665387B1 (ko) 2007-01-04

Family

ID=1960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223A KR100665387B1 (ko) 1998-07-31 1999-07-30 가스절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842B1 (ko) * 2011-03-15 2014-1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유지 보수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1114A (ja) * 1991-10-09 1993-04-30 Meidensh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6311612A (ja) * 1993-04-23 1994-11-04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7222314A (ja) * 1993-12-08 1995-08-18 Hitachi Ltd 複合形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65830A (ja) * 1994-08-25 1996-03-08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79921A (ja) * 1994-09-07 1996-03-22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205340A (ja) * 1995-01-23 1996-08-09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214426A (ja) * 1995-01-31 1996-08-20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923516A (ja) * 1995-07-06 1997-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H11164427A (ja) * 1997-11-28 1999-06-18 Hitachi Ltd ガス絶縁開閉装置及びその分岐回線ユニットの交換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1114A (ja) * 1991-10-09 1993-04-30 Meidensh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6311612A (ja) * 1993-04-23 1994-11-04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7222314A (ja) * 1993-12-08 1995-08-18 Hitachi Ltd 複合形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65830A (ja) * 1994-08-25 1996-03-08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79921A (ja) * 1994-09-07 1996-03-22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205340A (ja) * 1995-01-23 1996-08-09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214426A (ja) * 1995-01-31 1996-08-20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923516A (ja) * 1995-07-06 1997-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H11164427A (ja) * 1997-11-28 1999-06-18 Hitachi Ltd ガス絶縁開閉装置及びその分岐回線ユニットの交換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11111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097A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051B1 (en) Vacuum switch and a vacuum switchgear using the same
US8710388B2 (en) Switchgear and method for operating switchgear
JP2782474B2 (ja) 三位置開閉器を備えた負荷開閉設備
KR100397393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US6624372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JP4521110B2 (ja) 複合型ガス絶縁開閉装置
JP5026537B2 (ja) スイッチギヤ
RU2345460C2 (ru) Высоковоль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кры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US6399911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US3889076A (en) Combination of a pressurized-gas insulated high-voltage switching installation and a multi-pole grounding switch device
KR10066538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2367112B1 (ko) 진공 절체차단기
CN113168989B (zh) 直流断路器
KR100848123B1 (ko) 다기능 축소형 개폐장치
US4052575A (en) Metal-clad gas-type high-power circuit-breaker constructions involving two arc-extinguishing assemblages
KR20200106677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
EP1124241A1 (en) Vacuum switch gear
JPH07322432A (ja) ガス絶縁開閉装置及びその開閉器ユニット
JP3237225B2 (ja) タンク形ガス遮断器
JP4460801B2 (ja) 複合型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0139008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79533Y2 (ja) 開閉装置
JP2000299905A (ja) ガス絶縁避雷器
SU323810A1 (ru) Коммутационно-измерительный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аппаратный комплекс
JP2745746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