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382B1 -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382B1
KR100661382B1 KR1020040088549A KR20040088549A KR100661382B1 KR 100661382 B1 KR100661382 B1 KR 100661382B1 KR 1020040088549 A KR1020040088549 A KR 1020040088549A KR 20040088549 A KR20040088549 A KR 20040088549A KR 100661382 B1 KR100661382 B1 KR 100661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joint cap
edge
manufactur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463A (ko
Inventor
임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산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산기
Priority to KR102004008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38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철판을 프레스장치에 넣고 프레싱하여 절단과 동시에 절곡하여 결합판이 제조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판의 가장자리가 20~30°의 각도로 절곡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절곡된 결합판 가장자리의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단계와, 상기 모따기된 결합판의 하부모서리부를 파일결합밴드의 일측단부에 맞대고 용접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조인트 캡의 결합판을 제조함에 있어 종래의 철판보다 얇은 철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료비의 절감 효과는 물론 종래 절삭가공해야 하던 번거로운 작업을 단순한 절곡(프레싱)가공으로 대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저한 가공비용의 절감 및 가공성의 개선, 작업시간 감소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콘크리트파일, 조인트 캡

Description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Joint cap for 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제 1 도 - 종래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단면도.
제 2 도 - 본 발명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일부 분리사시도.
제 3 도 - 도 2의 A-A선 단면도.
제 4 도 - 본 발명의 제조단계를 보이기 위한 결합판의 종단면도.
제 5 도 - 본 발명의 제조단계를 보이기 위한 결합판의 종단면도.
제 6 도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설명
1: 종래의 조인트 캡
10: 용접용 경사면 10a: 절삭부
20: 파일 결합밴드 30: 삽입밴드
100 : 본 발명 조인트 캡
110: 결합판 111: 절곡부
112a: 하부 모서리부 112b: 측면 모서리부
120: 파일 결합밴드
A: 콘크리트 파일 B: 시임용접부
본 발명은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공이 용이하고, 자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약지반 강화나 건축물의 지지를 위해 콘크리트 파일(concrete piles)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구축될 건축물의 규모나 지질의 상태에 따라 파일을 보다 깊게 박아넣을 필요가 발생하게 되고, 이 경우 파일을 상,하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철구조물이 조인트 캡이다.
종래의 조인트 캡(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圓筒)형상의 파일결합밴드(20)와 상기 파일결합밴드(20)의 상단 또는 하단부에 결합되는 원판(圓板)형상의 결합판(1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결합판(10)의 가장자리 일측 상단에는 조인트 캡(1)을 서로 맞붙여 시임용접(seam welding)하기 위한 용접용 경사면(11)이 반드시 형성되어져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의 조인트 캡(1)은 상기한 용접용 경사면(11)을 도 1의 원형안에 도시한 것처럼 단면으로 보아 "
Figure 112004050755606-pat00001
" 형상처럼 결합판(10)에서 4mm정도의 두께를 절삭해내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이미 프레싱 가공이 완료된 상태의 결합판(10)에서 절삭용구로 절삭부(10a)만큼 절삭해내야 하는 작업이어서 가공이 무척 곤란할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시간과 작업량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조인트 캡(1)에 사용되는 결합판(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4mm정도의 두께를 절삭해내야만 하기 때문에 상당한 두께를 갖는 결합판(10), 즉 12mm정도의 두께를 갖는 철판을 사용할 수 밖에 없고, 이로인해 상당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부담해야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인트 캡이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한번의 프레싱 가공으로 용접용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용접용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절삭작업이 필요없도록 하여 가공성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보다 얇은 두께의 철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인트 캡의 제작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철판을 프레스장치에 넣고 프레싱하여 절단과 동시에 절곡하여 결합판 이 제조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판의 가장자리가 20~30°의 각도로 절곡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절곡된 결합판 가장자리의 모서리부, 즉 하부모서리부(112a)와 측면 모서리부(112b)를 모따기하는 단계와, 상기 모따기된 결합판(110)의 하부모서리부(112a)를 파일결합밴드(120)의 일측단부에 맞대고 용접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판(110) 제조를 위한 철판은 제조를 원하는 조인트 캡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직경이 350~450mm의 경우는 8mm 두께의 철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경이 500~600mm의 경우는 12mm 두께의 철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8mm철판의 가장자리가 20~30°의 각도로 절곡되어야만 측면에서 볼때 12mm정도의 두께가 되어 종래 12mm를 사용하는 조인트 캡의 결합판 두께와 동일하게 되기 때문이고, 12mm철판의 가장자리가 20~30°의 각도로 절곡되어야만 측면에서 볼때 16mm정도의 두께가 되어 종래 16mm를 사용하는 조인트 캡의 결합판 두께와 동일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어차피 절삭해 내어야 했던 결합판의 상단 모서리, 즉 용접용 경사면(130)이 본 발명에서는 절곡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것이어서 복잡하고 힘든 절삭가공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획기적인 가공개선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판(110) 가장자리의 경사각(Θ)은 20~30°의 각도로 절곡되어져야 하는데, 이는 오차의 범위를 감안한 것으로, 파일결합밴드(120)에 결합된 결합판의 측면두께가 본래 철판의 두께보다 약 30~50%정도 더 두텁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며, 이때 가장 바람직한 경사각은 22°이다.
상기 절곡된 상태의 결합판(110) 가장자리는 프레싱에 의해 절곡되면서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부분의 측면과 하단부가 돌출된 상태가 되므로 파일결합밴드(120)의 평탄한 일측단부에 맞대기 위해서는 결합판(110)의 가장자리 역시 평탄하여야 하고, 따라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결합판(110)의 하부 모서리부(112a)의 모따기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파일결합밴드(120)와 결합되었을 때 측면으로 돌출되어지는 결합판(110)의 측면 모서리부(112b)도 당연히 모따기작업을 해줘야 한다.
이처럼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결합판(110)의 용접용 경사면(130)은 상부와 하부의 조인트 캡을 연결함에 있어 보다 용접의 견고성을 담보하기 위한 씨임용접부(B)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인트 캡의 결합판을 제조함에 있어 종래의 철판보다 얇은 철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12mm 두께의 철판을 사용하여야 하는 결합판을 8mm 두께의 철판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철판비용의 33%의 감축효과가 있으며, 16mm 두께의 철판을 사용하여야 하는 결합판을 12mm 두께의 철판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철판비용의 25%의 감축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산소가스절단에 의한 절단과 절삭부의 상당량 절삭가공으로 인한 번거롭고 힘든 작업을 단순한 절곡(프레싱)가공만으로 대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자동화 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또 보다 얇은 철판을 사용하여 프레스작업하게 됨으로 인해 용량이 작은 프레스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현저한 가공비용의 절 감 및 가공성의 개선, 작업시간 감소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철판을 프레스장치에 넣고 프레싱하여 절단과 동시에 절곡하여 결합판이 제조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판의 가장자리가 20~30°의 각도로 절곡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절곡된 결합판의 가장자리 하부 모서리부와 측면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단계와,
    상기 모따기된 결합판의 하부모서리부를 파일결합밴드의 일측단부에 맞대고 용접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
KR1020040088549A 2004-11-03 2004-11-03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 KR100661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549A KR100661382B1 (ko) 2004-11-03 2004-11-03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549A KR100661382B1 (ko) 2004-11-03 2004-11-03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463A KR20060039463A (ko) 2006-05-09
KR100661382B1 true KR100661382B1 (ko) 2006-12-27

Family

ID=3714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549A KR100661382B1 (ko) 2004-11-03 2004-11-03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3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854B1 (ko) * 2009-09-30 2012-06-13 이엑스티 주식회사 보강판이 일체화된 phc파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499B1 (ko) * 2005-12-13 2007-07-18 이호경 슬라이딩 로킹 조인트를 이용한 파일의 연결 구조
KR100944620B1 (ko) * 2009-02-06 2010-02-26 박선영 피에이치씨 파일 용접용 조인트 캡
KR100917967B1 (ko) * 2009-02-19 2009-09-17 주식회사 제일산기 통공보강구를 구비하는 기초파일용 헤드캡
KR101126278B1 (ko) * 2009-03-23 2012-03-19 송기용 파일 연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지반 기초 공사용 파일
CN105619080B (zh) * 2014-10-29 2018-04-17 江苏汤辰机械装备制造股份有限公司 桩接头自动生产线及其生产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854B1 (ko) * 2009-09-30 2012-06-13 이엑스티 주식회사 보강판이 일체화된 phc파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463A (ko)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382B1 (ko) 콘크리트파일용 조인트 캡의 제조방법
CN105579758A (zh) 管连接用接头组件
CN101333862A (zh) 连接建筑板,特别是地板的装置
WO2004063487A1 (en) Reinforcing bar coupler
JP2001509099A (ja) のこぎり部材、のこぎり部材のリンク及びのこぎり部材を生産する方法
KR20050012160A (ko) 접합 구조체
KR101825426B1 (ko) 연결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
US20110100186A1 (en) Cutting rules for cutting of flat materials
US7051567B2 (en) Method for folding and curving of a metallic plate
JP4457228B2 (ja) 竹集成材の製造方法及び竹集成材
JP4609822B2 (ja) 杭の継手構造
US20190257085A1 (en) Profiled metal fiber
KR200180875Y1 (ko) 콘크리트파일 연결용 캡구조
JPH0416847Y2 (ko)
KR102193390B1 (ko) 콘크리트 파일연결플레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4043307B2 (ja) コンクリート杭の継手形成方法
CN214783356U (zh) 钢桥面铺装凿除装置和沥青胶凿除设备
EP1245169A2 (en) Coil brush for forming rotary roll brush
JP2008106944A (ja) 木材接合部締め付け用かすがい
EP1753107A2 (en) Clamping piece
CN211101892U (zh) 一种高效率切削锯条
JPH11124908A (ja) 建材用溝形鋼の接合構造と接合方法
JP4157429B2 (ja) 溶接用裏当て金
CN207358005U (zh) 圆钢煨弯器
KR200345058Y1 (ko) 건축용 목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