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501B1 - 금형 반전기 - Google Patents

금형 반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501B1
KR100659501B1 KR1020060010972A KR20060010972A KR100659501B1 KR 100659501 B1 KR100659501 B1 KR 100659501B1 KR 1020060010972 A KR1020060010972 A KR 1020060010972A KR 20060010972 A KR20060010972 A KR 20060010972A KR 100659501 B1 KR100659501 B1 KR 100659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haft
motor
reduc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102006001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 제작시에 마무리 작업인 사상 작업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금형 반전기에 관한 것으로; 일정크기의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양측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수직 상방으로 구비되되 그 상단에는 축공이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의 축공에 축설되는 제1회전축이 양측부에 구비되는 바디부재와, 상기 바다부재를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동수단과, 상기 바디부재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회전축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금형을 고정하는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를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를 이용하면 금형의 특정 작업부위를 작업자가 편안한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함으로서 비교적 까다로운 사선 방향의 작업부위도 원활하게 사상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금형, 사상

Description

금형 반전기{mold Tur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제1회동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제2회동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개략적인 회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제1회동수단을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제2회동수단을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 12,13: 지지부재
20: 바디부재 22,23: 제1회전축
30: 제1회동수단 33: 제1감속기
35: 제1모터 40: 제2회동수단
41: 제2감속기 42: 제2회전축
47: 제2모터 50: 장착대
100: 금형
본 발명은 금형 반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 제작시에 마무리 작업인 사상 작업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금형 반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금형의 제작시에 마지막으로 사상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상작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금형을 일정한 위치로 방향을 전환하고 작업자가 허리와 머리를 숙여서 1시간 내지 3시간 정도 수공(手工)으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금형이 가볍거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손쉽게 방향을 전환하여 사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금형이 무겁거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작업자가 그 금형의 방향을 전환하기 어렵워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일정부분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공보 실1992-0001245호 '사출금형의 사상 회전 작업대'가 공개된 바 있다.
이는 사상 작업시 작업자가 위치 이동을 하지 않고도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회전작업대(7)의 상부에 금형제품(1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작업대(7)를 베어링축(4)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금형의 위치를 이동시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회전작업대는 턴테이블과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어 금형의 작업부위가 평면이나 수직방향이 아닌 사선(斜線)방향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작업자가 서서 작업을 하거나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이 또한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작업자의 행동반경이 커지게 되어 장시간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의 효율 저하의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사상작업을 행할 경우 편안한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금형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금형 반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금형 반전기에 관한 것으로; 일정크기의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양측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수직 상방으로 구비되되 그 상단에는 축공이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의 축공에 축설되는 제1회전축이 양측부에 구비되는 바디부재와, 상기 바다부재를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동수단과, 상기 바디부재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회전축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금형을 고정하는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를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제1회동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제2회동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개략적인 회로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제1회동수단을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제2회동수단을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는 일정크기의 베이스(10)와, 그 베이스(10)의 양측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수직 상방으로 구비되되 그 상단부에는 축공(12a,13a)이 형성되는 지지부재(12,13)와, 그 지지부재(12,13)의 축 공(12a,13a)에 축설되는 제1회전축(22,23)이 양측부에 구비되는 바디부재(20)와, 상기 바디부재(20)를 상기 축공(12a,13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동수단(30)과, 상기 바디부재(20)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회전축(42)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되 금형(100)이 놓여질 수 있는 안착면(52)이 형성되는 장착대(50)와, 상기 장착대(50)를 상기 제2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부의 구성요소들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10)의 후단 양측에는 각각 지지부재(12,13)가 수직 상방으로 일체로 구비되는데, 그 지지부재(12,13)의 상단부에는 축공(12a,1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는 일정 크기로 이루어지며 그 하부에는 작업공간 내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캐스터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베이스(10)의 상측에는 일정거리 이격되게 바디부재(2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바디부재(20)는 상측부에 횡방향으로 제1회전축(22,23)이 양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12,13)의 축공(12a,13a)에 체결되어 축공(12a,13a)을 중심으로 바디부재(20)가 회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바디부재(20)는 제1회동수단(30)에 의해 축공(12a,13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회동수단(30)은 상기 바디부재(20)의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제1회전축(22,23)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 형상의 제1종동기어(3)와, 그 제1종동기어(31)의 톱니에 치합되는 제1구동기어(32)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제1감속기(33)와, 그 제1감속기(33)에 일정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3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모터(35) 및 제1감속기(33)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공지(共知)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감속기(33)는 다수의 기어(미도시됨)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모터(35)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원부(66)의 전원을 공급받는 컨트롤판넬(65)은 조작패널(60)의 제1버튼(61) 조작시에 조작신호가 감지되면 제어신호를 제1모터(35)에 출력하여 제1모터(35)의 모터축(35a)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제1모터(35)의 모터축(35a) 단부에 구비된 제1구동풀리(36)에 체결된 제1벨트(37)와 연동되는 제1감속기(33)의 제1입력축(33a)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종동풀리(38)를 회전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회전속도가 감소되어 제1출력축(33b)을 저속(低速)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출력축(33b)의 단부에는 제1구동기어(32)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재(20)의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1종동기어(31)의 톱니와 치합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제1구동기어(3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종동기어(31) 역시 제1회전축(22,2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바디부재(20)가 그 제1회전축(22,23)을 중심으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모터(35) 및 제1감속기(35)는 모두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 되며 상기 바디부재(20)는 수평상태를 기준으로 0~90°의 범위 이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바디부재(20)의 정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가능한 제2회전축(42)이 구비되며, 그 제2회전축(42)의 단부에는 금형(100)을 고정할 수 있는 장착대(50)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재(20)의 일측에는 제2회동수단(40)이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제2회전축(42)의 후단부와 직결되는 제2감속기(41)와, 그 제2감속기(41)에 일정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4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모터(47) 및 제2감속기(41)는 공지(共知)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조작패널(60)의 제2버튼(62) 조작시에 조작신호를 인가받은 컨트롤판넬(65)에 의해 제어신호가 제2모터(47)에 인가되어 제2모터(47)의 모터축(47a)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제2모터(47)의 모터축(47a) 단부에 구비된 제2구동풀리(43)가 회전하며 이에 체결된 제2벨트(44)와 연동되는 제2감속기(41)의 제2입력축(41a)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종동풀리(45)를 회전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회전속도가 감소되어 제2출력축(41b)을 저속(低速)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출력축(41b)의 단부에는 제2회전축(42)이 직결되어 있어 제2회전축(42)이 회전하면서 그 제2회전축(42)의 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장착대(50)를 수평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0 ~ 360°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장착대(50)는 상기 제2회전축(42)의 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는 수 직부(51)와, 그 수직부(51)와 'ㄴ'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금형이 놓여지는 안착면(53)이 형성되는 수평부(52)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수평부(52)와 수직부(51)에는 하나 이상의 금형지지수단(54)이 구비되어 금형(100)의 상부 및 좌/우측면을 지지하며 금형(100)이 장착대(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모터(35)/제1감속기(33)와 제2모터(47)/제2감속기(41)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개별방식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기어로만 구성하는 경우에 금형의 하중이 대략 500kg이상인 경우에는 기어가 파손되어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와 기어를 함께 구성한 것으로, 주로 다루게 되는 금형이 가벼운 경우에는 모터와 회전속도 감속기어가 서로 일체형으로 제작된 일체형방식의 감속모터(미도시됨)를 이용하여 구성함도 바람직하며, 그와 같은 개별방식과 일체형방식은 모두 동일한 기술적 원리를 채용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회동수단(30) 및 제2회동수단(40)은 모터를 이용하지 않고 유압 또는 공압방식을 이용하여 설계함도 모두 동일한 기술적 범주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의 작동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장착대(50)의 안착면에 금형(100)을 올려놓고 금형지지수단(54)을 이용하여 금형의 상부 및 측면을 지지해 주게 된다.
이와같이 금형(100)을 장착대(50)에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편안한 위치 에서 작업하기 위해 금형의 눈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1버튼(61)을 조작하면 컨트롤판넬(65)의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제1회동수단(30)을 구성하는 제1모터(35)가 구동된다.
이때, 상기 제1회동수단(30)은 제1모터(35)의 정역회전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일단 제1모터(35)를 정회전시키게 되면, 그 제1모터(35)의 모터축(35a)에 구비되는 제1구동풀리(36)가 회전하며 제1벨트(37)로 연동되는 제1종동풀리(38)를 회전시켜 제1감속기(33)의 제1입력축(33a)을 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속도가 감소되어 제1출력축(33b)을 저속(低速)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출력축(33b)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구동기어(32)를 회전시키며 그에 치합된 제1종동기어(31)를 회전시켜 제1회전축(22,23)을 중심으로 바디부재(20)를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회동시켜 바디부재(20)는 상대적으로 낮은위치로 이동되고, 그 맞은편 제2회전축(42) 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장착대(50)는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눈높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사선방향의 작업부위 역시 원활하게 사상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모터(35)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장착대(50)를 하측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적당한 경사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자는 금형(100)의 측면을 작업시에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는 조작패널(60)의 제2버튼(62) 조작을 통해 할 수 있다.
즉, 조작패널(60)의 제2버튼(62)을 조작하면 컨트롤판넬(65)은 제2모터(47)를 구동시켜 제2모터(47)의 모터축(47a)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제2모터(47)의 회 전축(47a) 단부에 구비된 제2구동풀리(43)에 체결된 제2벨트(44)와 연동되는 제2감속기(41)의 제2입력축(41a)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종동풀리(45)를 회전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회전속도가 감소되어 제2출력축(41b)을 저속(低速)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출력축(41b)의 단부에는 정면으로 수평돌출되게 직결되는 제2회전축(42)을 회전시키게 되어 그 제2회전축(42)의 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장착대(50)를 수평상태에서 0 ~ 360°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회전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1버튼(61) 및 제2버튼(62)을 조작함으로서 제1회전축(22,23)과 제2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서 작업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금형의 작업위치를 조정하여 줌으로서 사상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반전기를 이용하면 금형의 특정 작업부위를 작업자가 편안한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함으로서 비교적 까다로운 사선 방향의 작업부위도 원활하게 사상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작업자는 간단한 버튼조작만으로도 작업위치를 바꾸지 않더라도 금 형을 수평상태에서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사선방향으로 회전시켜 줄 수 있어 경사지게 함으로서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1. 일정크기의 베이스(10)와, 그 베이스(10)의 양측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수직 상방으로 구비되되 그 상단에는 축공(12a,13a)이 형성되는 지지부재(12,13)와, 그 지지부재(12,13)의 축공(12a,13a)에 축설되는 제1회전축(22,23)이 양측부에 구비되는 바디부재(20)와, 상기 바다부재(20)를 상기 제1회전축(22,23)을 중심으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동수단(30)과, 상기 바디부재(20)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회전축(42)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금형(100)을 고정하는 장착대(50)와, 상기 장착대(50)를 상기 제2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동수단(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반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수단(30)은;
    상기 바디부재(20)의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제1회전축(23)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 형상의 제1종동기어(31)와,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종동기어(31)의 톱니에 치합되는 제1구동기어(32)가 제1출력축(33b)에 구비되어 저속 회전시키는 제1감속기(33)와,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감속기(33)의 제1입력축(33a)에 일정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반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35)의 모터축 단부에는 제1구동풀리(36)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감속기(33)의 제1입력축(33a)의 단부에는 제1종동풀리(38)가 구비되고, 상기 제1구동풀리(36)와 제1종동풀리(38)에는 연동되도록 제1벨트(37)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반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수단(40)은;
    상기 바디부재(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축(42)의 후단부와 제2출력축(41b)이 직결되는 제2감속기(41)와, 그 제2감속기(41)의 제2입력축(41a)에 일정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4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반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터(47)의 모터축 단부에는 제2구동풀리(43)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감속기(41)의 제2입력축(41a)의 단부에는 제2종동풀리(45)가 구비되고, 상기 제2구동풀리(43)와 제2종동풀리(45)는 연동되도록 제2벨트(44)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반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50)는;
    상기 제2회전축(42)의 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는 수직부(51)와, 그 수직부와 'ㄴ'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금형이 놓여지는 수평부(52)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52)와 수직부(51)에는 상기 금형(100)을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금형지지수단(5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반전기.
KR1020060010972A 2006-02-06 2006-02-06 금형 반전기 KR100659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972A KR100659501B1 (ko) 2006-02-06 2006-02-06 금형 반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972A KR100659501B1 (ko) 2006-02-06 2006-02-06 금형 반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771U Division KR200415811Y1 (ko) 2006-02-10 2006-02-10 금형 반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501B1 true KR100659501B1 (ko) 2006-12-20

Family

ID=3781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972A KR100659501B1 (ko) 2006-02-06 2006-02-06 금형 반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5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86B1 (ko) 2008-09-29 2010-12-21 현대제철 주식회사 몰드 정비용 작업대
KR20230066189A (ko) * 2021-11-05 2023-05-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서모커플형 화재감지센서의 용접전용 작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86B1 (ko) 2008-09-29 2010-12-21 현대제철 주식회사 몰드 정비용 작업대
KR20230066189A (ko) * 2021-11-05 2023-05-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서모커플형 화재감지센서의 용접전용 작업장치
KR102651248B1 (ko) * 2021-11-05 2024-04-01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모커플형 화재감지센서의 용접전용 작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4360B2 (ja) 工作機械のテーブルユニット
CN201124328Y (zh) 一种全自动水晶球磨面机
CN202357139U (zh) 可带动工件翻转和旋转的装配工作台
CN105581562A (zh) 电动摇篮的驱动装置
JP2004291171A (ja) アーム式ロボット
KR100659501B1 (ko) 금형 반전기
CN107120298B (zh) 摇头风扇的驱动总成及摇头风扇
KR20080014228A (ko) 컴퓨터 자동 조각기
WO2021036351A1 (zh) 一种回转式自动焊接机器人及其焊接方法
CN2584346Y (zh) 特种线切割机床
CN100426044C (zh) 具有高度可调粗微动的显微镜
JP2004195592A (ja) アーム式ロボット
KR200415811Y1 (ko) 금형 반전기
CN209600141U (zh) 一种教学雕刻机
CN113133614A (zh) 一种儿童摇椅
JPH08336746A (ja) ガラス板の数値制御研削機械
CN208961681U (zh) 抛光装置
CN209698772U (zh) 双曲面柱面磨抛机
CN210360801U (zh) 一种多角度抛光装置及抛光机
JP4663511B2 (ja) 作業台
KR100983260B1 (ko) 때밀이 장치
CN206536158U (zh) 一种箱体类工件的夹具
CN215730249U (zh) 一种用于软件教学的可调节展示装置
CN214868509U (zh) 一种具有翻转效果的自动组装机
CN210731524U (zh) 一种升降式焊接变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