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359B1 -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359B1
KR100659359B1 KR1020050124497A KR20050124497A KR100659359B1 KR 100659359 B1 KR100659359 B1 KR 100659359B1 KR 1020050124497 A KR1020050124497 A KR 1020050124497A KR 20050124497 A KR20050124497 A KR 20050124497A KR 100659359 B1 KR100659359 B1 KR 100659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alve
pipe
housing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화연료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화연료펌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화연료펌프
Priority to KR102005012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17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related to fuel pipes or their connections, e.g. joints 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하우징(200)의 내측에 장착되어 인젝터(224)로 연료를 공급하는 고압펌프(210); 상기 고압펌프(210)의 출력부에 소정 압력의 연료가 상기 인젝터(224)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관로(230); 상기 인젝터(224)의 일측과 셔틀밸브(3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인젝터(224)로 공급되었던 일부 연료가 리턴되도록 하는 리턴관로(222); 상기 제1관로(230)와 연결되어 상기 셔틀밸브(300)의 타측에 압력을 가하여 인젝터(224)로부터 리턴되는 연료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연결되는 제2관로(231); 상기 셔틀밸브(30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셔틀밸브(300)의 열림동작 시 상기 리턴관로(222)의 연료가 밸브를 통과하여 펌프하우징(200)으로 흐르도록 하는 연료배출관로(235)를 구비하여, 주행위치에 상관없이 연료 잔량 경고등이 점등된 후에도 훨씬 많은 주행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 도중 연료가 부족하여 운전자가 곤란을 겪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차량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셔틀밸브, 연료펌프, 인젝터, 연료탱크

Description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Fuel Supply System with a Dual Fuel-Tank for a Car}
도 1은 종래의 연료분사 엔진용 펌핑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연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도 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의 체크밸브와 셔틀밸브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밸브를 도시한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1...연료공급관로 222...리턴관로
224...인젝터 200...펌프하우징
210...고압펌프 300...셔틀밸브
337...액튜에이터 355...다이어프램
400...체크밸브
본 발명은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연료의 리턴시 밸브의 이상동작으로 인한 연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고, 연료탱크 내에 잔류하는 연료가 부족한 경우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 사이에 형성되는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된 폭발력을 피스톤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를 통해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열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자동차의 중요부인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엔진은 장거리 운행시 연료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복수의 연료탱크에 의해 연료를 공급받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장치가 설치되는 바, 이와 같은 엔진에 사용되는 연료분사 엔진용 펌핑장치가 공개 특1988-700182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10)(10')의 내측에 연료를 흡입 송출하도록 유입구(42)에 필터(50)가 구비되는 고압펌프(26)가 설치되고, 상기 고압펌프(26)는 고압배출구(46)에 연결되는 복수의 라인(98)(102)(106)을 통하여 체크밸브(22)와 제트펌프(30) 및 셔틀밸브(34)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38)를 통과한 연료는 그 일측의 공급포트(32)에 연결되는 매니폴드(122)를 통하여 인젝터(116)의 흡입구(114)에 각각 공급되고, 상기 인젝터(116)를 통과한 연료는 조절기(120)를 통과한 후 출력부(118)를 통하여 복귀포트(36)로서 매니폴드(122)에 연결되는 셔틀밸브(34)에 각각 공급된다.
더하여 상기 체크밸브(38)는 몸체(94)의 내측에 오링(90)이 장착되는 피스톤(82)이 스프링(86)으로 탄성연결되며, 제트펌프(30)는 필터(18)가 구비되는 개구부(14)에 체크밸브(22)가 구비되면서 벤튜리관(58)과 노즐(54)이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밸브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틀밸브(34)는 밸브몸체가 복귀포트(36) 및 고압펌프(26)에 연결되는 라인(102)과 연결되고, 내측에 다이어프램(62)이 연결되는 피스톤(66)이 스프링(70)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66)에 설치되는 O링(74)이 고정턱(78)에 지지되어 배출구(110)를 개폐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밸브는 엔진이 작동되는 동안에는 라인(102)에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다이어프램(62)이 연결되는 피스톤(66)을 동작시켜 복귀포트(36)를 통하여 유입되는 연료를 배출구(110)를 통하여 배출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펌핑장치 및 밸브는, 셔틀밸브(34)의 구조가 진동과 충격시 열리게 설치되어 고압펌프(26)의 미 동작시에도 그 압력에 의해 셔틀밸브(34) 가 개방될 수 있어, 어느 하나의 탱크에 과충진이 일어나 화재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제트펌프(30)가 수평형상으로 경사지역에 위치할 때 소량의 연료만이 연료탱크에 잔존할 때 연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고압펌프(26)에 의해 제프펌프(30)가 동작되어 부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상태에 상관없이 연료잔량 경고등이 점등된 후에도 일정한 시간동안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다음 주유소까지 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고압펌프의 동작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 하도록 한다.
또한 하부유로에 소정의 압력이 작용할 때만 상부유로가 개방되어 상부유로를 통한 역류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셔틀밸브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료공급의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하며, 다이어프램의 손상 및 작동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셔틀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셔틀밸브가 정확하게 작동하기 위해 진동과 충격시에도 열림이 방지되어 연료탱크의 연료충만에 의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밸브가 고압펌프의 동작시에만 정확하게 동작하도록 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펌프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어 인젝터로 연료를 공급하는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의 출력부에 소정 압력의 연료가 상기 인젝터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관로;
상기 인젝터의 일측과 셔틀밸브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인젝터로 공급되었던 일부 연료가 리턴되도록 하는 리턴관로;
상기 제1관로와 연결되어 상기 셔틀밸브의 타측에 압력을 가하여 인젝터로부터 리턴되는 연료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연결되는 제2관로;
상기 셔틀밸브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셔틀밸브의 열림동작 시 상기 리턴관로의 연료가 밸브를 통과하여 펌프하우징으로 흐르도록 하는 연료배출관로를 구비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 연료배출관로는 단부에 벤츄리작용에 의하여 연료탱크의 연료가 펌프하우징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연료가 상향으로 분출되도록 하는 제트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제트펌프는 외측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저부는 연료탱크와 통하며 상부는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직관로가 구비되며, 상기 연료배출관로와 상기 수직관로 사이의 저면에 설치되는 필터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펌프하우징은 상기 고압펌프에 연료탱크의 연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더 구비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펌프하우징 내의 연료가 고압펌프의 펌핑에 의하여 인젝터에 공급된 후 리턴되는 연료가 일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리턴관로와, 연료가 배출되는 연료배출관로, 그리고 리턴관로 및 연료배출관로를 포함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을 밀폐하도록 하는 고정판;
상기 밸브하우징 내의 상기 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리턴관로에서 유입되는 연료가 상기 연료배출관로로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밸브스텝;
상기 고압펌프로부터 연료를 공급하는 제2관로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텝을 상하 왕복이동되도록 하는 유체공급하우징을 포함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 밸브스텝은 상단 및 하단에 막대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은 내측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왕복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스텝이 뒤틀리지 않고 상하로 이송이 원활하도록 하고, 상기 유체공급하우징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텝을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액튜에이터을 더 구비하며, 상기 액튜에이터는 상부의 다수 곳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부 끝단면이 상기 밸브스텝의 저면을 지지하며, 내측에 가이드돌기가 안정적으로 왕복이동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지지바를 더 구비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공급하우징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힘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 텝을 상향으로 밀도록 하며 연료가 상기 밸브스텝 측으로 흐르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다이어프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체공급하우징은 상기 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압력조절공을 구비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부 상쇄하여 다이어프램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리턴관로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일부 상쇄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는 조절밸브를 더 구비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연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도 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의 체크밸브와 셔틀밸브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밸브를 도시한 분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밸브를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연료탱크에 각각 장착되는 펌프하우징(200)에는 필터(210a)를 갖는 고압펌프(21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압펌프(210)에 의해 공급되는 연료는 연료공급관로(221)에 연결되는 매니폴드(225)를 통하여 인젝터(224)의 입구포트(223)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인젝터(224)에 의해 엔진에 분사된 잔여 연료는 리턴관로(222)를 통하여 각각의 셔틀밸브(300)에 공급되어 각각의 연료탱크에 재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압펌프(210)는 펌프하우징(200)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211)를 통하여 연료가 공급되며, 고압펌프(210)의 배출구(226)에는 제1관로(230)와 제2관로(231)가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제1관로(230)는 그 상단에 체크밸브(400)를 통하여 일방향으로만 유체흐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체크밸브(400)의 출력부에 연료공급관로(221)가 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2관로(231)는 셔틀밸브(300)에 소정의 압력을 공급하여 셔틀밸브(300)를 개방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셔틀밸브(300)는 그 일측에 일정압 이상의 압력이 작용시 그 압력을 상쇄시키는 압력조절관로(233)가 더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셔틀밸브(300)의 개방시 상기 셔틀밸브(300)를 통과한 연료는 그 일측에 연결되는 연료배출관로(235)를 통하여 제트펌프(237)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트펌프(237)는 그 개구부에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노즐은 소정의 수위를 갖는 수직관로(290)의 내측에 설치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하우징(200)에 형성되는 연료배출관로(235) 및 수직관로(290)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관(251)(253)이 설치되고, 연료가 흡입되는 필터부재(255)가 연결된다.
더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하우징(200)의 상부에 연료공급관로(221)와 리턴관로(222)가 구비되는 케이스(310)가 결합되고, 상기 고압펌프(210)를 동작하는 조절유니트(360)가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310)의 하측으로는 고정판(415)에 지지되는 스프링(410)을 통하여 탄성 연결되는 체크밸브(400)와 고정판(336)에 지지되는 스프링(331)을 통하여 탄성연결되는 밸브스텝(333)을 지지하는 밸브하우징(330) 및 상기 밸브스탭(333)에 연결되는 액튜에이터(337)와 다이어프램(355)이 장착되는 유체공급하우징(350)이 결합되는 셔틀밸브(3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하우징(330)의 일측에 압력을 조절하는 밸브판(335)이 스프링(335a)을 개재하여 탄성설치된다.
또한 도6 및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유체가 공급 및 배출되는 입구포트(223)와 배출구(226)가 상ㆍ하방향에 각각 형성되면서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관통 형성되는 밸브하우징(3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하우징(330)에 관통되는 공간의 상ㆍ하부에는 고정판(336)과 유체공급하우징(350)이 각각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유체공급하우징(350)의 상단에 다이어프램(355)이 연결되며, 상기 다이어프램(355)의 상부에 액튜에이터(337)를 개재하여 밸브스텝(333)이 스프링(331)을 개재하여 고정판(336)에 탄성 연결된다.
상기 밸브스텝(333)은 상ㆍ하단에 가이드돌기(302)(303)가 각각 돌출되고 중앙부에 링(304)이 장착된다.
상기 액튜에이터(337)는 상기 밸브스텝(333)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바(305) 와 다이어프램(355)에 밀착되는 밀착면(306)이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다이어프램(355)은 저부 내주연에 지지턱(307)이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부면에 요부(308)가 구비된다.
상기 유체공급하우징(350)은 내측에 소정의 유체공간(309)이 형성되어 제2관로(231)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이에 투입토록 유체투입공(350a)이 연결되고, 상기 유체공간(309)은 압력조절공(311)이 형성되어 하부의 압력조절관로(233)와 관통연결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다이어프램(355)의 중앙부분인 요부(308)를 승하강시키도록 설치되고, 상단부 가장자리에 다이어프램(355)의 저부를 지지하는 고정턱(356)이 돌출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336)은 상기 밸브스텝(333)의 가이드돌기(302)가 이동하는 가이드홈(338)과 스프링(331)이 지지되는 지지홈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면부호 312 및 313은 유체공급하우징(350)과 고정판(336)을 밸브하우징(330)에 실링시키는 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먼저 조절유니트(360)를 동작시켜 고압펌프(210)를 구동하면 상기 펌프하우징(200)의 저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211)를 통하여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흡입되고, 상기 고압펌프(210)에 연결되는 필터(210a)를 통하여 이물질이 필터링 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펌프(210)의 동작에 의해 소정압력으로 흡입된 연료는 체크 밸브(400)의 동작에 의해 소정압력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관로(230)를 통한 매니폴드(225)를 통하여 인젝터(224)의 입구포트(223)에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인젝터(224)에 연결되는 조정기(227)의 동작으로 연료를 엔진에 분사하고, 인젝터(224)에 의해 분사되지 않는 잔여 연료는 리턴관로(222)를 통하여 다시금 연료탱크로 순환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젝터(224)까지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는 고압의 상태로 상기 인젝터(224)로 향하는 제1관로(230)와 셔틀밸브(300)로 향하는 제2관로(231)로 분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관로(231)를 통하여 전달되는 고압의 유체는 유체투입공(350a)을 통하여 유체공간(309)을 채운 후 다이어프램(355)의 중앙부분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355)에 반력이 작용하면 상기 유체공간(309)에 채워진 유체는 미세홀로 이루어진 압력조절공(311)을 통하여 배출되어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355)은 상승시 그 상부면에 밀착토록 되는 액튜에이터(337)를 상승시켜 고정판(336)에 탄성지지되는 밸브스텝(333)를 상승시키고, 인젝터(224)에서 반송되는 연료가 리턴관로(222)를 통과한 후 열려있는 밸브스텝(333)의 링(304)을 통과하여 연료배출관로(235)로 배출되어 연료탱크에 다시 공급된다.
여기에서 상기 밸브스텝(333)은 가이드돌기(302)가 가이드홈(338)을 따라 상하직선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설치되어있고, 또 다른 가이드돌기(303)도 다수의 지 지바(305)에 의해 상하직선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엔진의 과부하나 이상압력 발생시에도 상기 가이드돌기(302)ㆍ(303)는 상하직선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설치되는 특성상 외부압력에 의해 측방향으로 기울어져 비틀림에 의해 개방되는 현상이 전혀 없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리턴관로(222)를 통하여 반송되는 연료가 규정압력 이상이면 상기 밸브하우징(330)의 일측에 규정압력과 일치토록 압축압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밸브가 탄성연결되는 조절밸브(239)를 통하여 과도한 압력으로 밸브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스텝(333) 및 다이어프램(355)은 밸브하우징(330)의 내측에 소정의 직경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지지턱(307)에 의해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유체가 임의로 동작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다이어프램(355)에 밸브스텝(333)이 직접연결되어도 동작에는 영향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밸브에 의하면, 인젝터(224)에서 전달되어 연료탱크로 향하는 연료가 연료펌프의 동작시에만 항상 공급되도록 하여 연료탱크 내에 위치하는 연료량의 균형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밸브스텝(333)은 액튜에이터(337)를 통하여 다이어프램(355)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다이어프램(355)의 상승압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설치되어 고압펌프(210)의 동작시에만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젝터(224)에서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이 엔진 이상 등에 의해 고압상태가 되면 상기 셔틀밸브(300)에 설치되는 밸브판(335)이 동작하여 연료를 노출시킴으로써 압력을 저하시키게 한다.
또한 상기 제트펌프(237)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상태의 연료에 의해 연료탱크의 연료가 흡입되고, 상기 제트펌프(237)는 수직관로(290)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하여 연료탱크의 경사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연료가 보관되도록 하여 경사지역에서의 일시적인 동작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연료가 인젝터(224)을 지나 리턴되어 리턴관로(222)를 통해 돌아오면 고온의 상태가 되어 동작불량의 원인이 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직관로(290)를 설치하여 리턴되어 온 고온의 연료가 고압펌프(210)와 멀리 떨어져 리턴되어, 고압펌프(210)에서는 식혀 저온의 상태로 유입되므로, 고압펌프(210)의 동작불량을 방지하였다.
더하여 종래기술의 고압펌프(210)에 연결된 관이 3개인 반면에 본 발명은 고압펌프(210)에 연결된 관이 제1관로(230)와 제2관로(231)의 2개로 구성되어 구성을 단순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봄 발명은, 차량의 주행위치에 상관없이 연료잔량 경고등이 점등된 후에도 일정한 시간동안 연료를 공급하여 운전자의 불안을 해소하고, 고압펌프의 동작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하여 그 수명을 늘인다. 또한 하부유로에 소정의 압력이 동작할 때만 상부유로가 개방되어 상부유로를 통한 역류현상을 방지토록 하고, 셔틀밸브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료공급의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하며, 다이어프램의 손상 및 작동불량을 방지하여 차량의 연료공급계통에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밸브를 사용하여, 진동과 충격시에도 열림이 방지되어 연료탱크의 연료충만에 의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 밸브가 고압펌프의 동작시에만 정확하게 동작하여 신뢰성을 제공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연료는 고압펌프에서 제트펌프까지 도착하는 과정에서 엔진을 지나면서 고온의 상태가 되어 차량 연료공급의 동작불량이 되는 단점이 있어 수직관로를 세워 고온의 연료를 저온의 상태로 만들어 차량 연료공급의 동작불량을 막았다.
더하여 고압펌프에서 나오는 관을 2개로 줄임으로 구조를 단순화하였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9)

  1. 펌프하우징(200)의 내측에 장착되어 인젝터(224)로 연료를 공급하는 고압펌프(210);
    상기 고압펌프(210)의 출력부에 소정 압력의 연료가 상기 인젝터(224)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관로(230);
    상기 인젝터(224)의 일측과 셔틀밸브(3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인젝터(224)로 공급되었던 일부 연료가 리턴되도록 하는 리턴관로(222);
    상기 제1관로(230)와 연결되어 상기 셔틀밸브(300)의 타측에 압력을 가하여 인젝터(224)로부터 리턴되는 연료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연결되는 제2관로(231);
    상기 셔틀밸브(30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셔틀밸브(300)의 열림동작 시 상기 리턴관로(222)의 연료가 밸브를 통과하여 펌프하우징(200)으로 흐르도록 하는 연료배출관로(2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배출관로(235)는 단부에 벤츄리작용에 의하여 연료탱크의 연료가 펌프하우징(200)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연료가 상향으로 분출되도록 하는 제트펌프(237)가 구비되고,
    상기 제트펌프(237)는 외측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저부는 연료탱크와 통하며 상부는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직관로(290)가 구비되며,
    상기 연료배출관로(235)와 상기 수직관로(290) 사이의 저면에 설치되는 필터부재(25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200)은 상기 고압펌프(210)에 연료탱크의 연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체크밸브(21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4. 펌프하우징(200) 내의 연료가 고압펌프(210)의 펌핑에 의하여 인젝터(224)에 공급된 후 리턴되는 연료가 일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리턴관로(222)와, 연료가 배출되는 연료배출관로(235), 그리고 리턴관로(222) 및 연료배출관로(235)를 포함하는 밸브하우징(330);
    상기 밸브하우징(3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을 밀폐하도록 하는 고정판(336);
    상기 밸브하우징(330) 내의 상기 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리턴관로(222)에 서 유입되는 연료가 상기 연료배출관로(235)로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밸브스텝(333);
    상기 고압펌프(210)로부터 연료를 공급하는 제2관로(231)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텝(333)을 상하 왕복이동되도록 하는 유체공급하우징(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텝(333)은 상단 및 하단에 막대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302)(303)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336)은 내측에 상기 가이드돌기(302)가 삽입되어 왕복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홈(338)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스텝(333)이 뒤틀리지 않고 상하로 이송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하우징(350)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텝(333)을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액튜에이터(337)을 더 구비하며,
    상기 액튜에이터(337)는 상부의 다수 곳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부 끝단면이 상기 밸브스텝(333)의 저면을 지지하며, 내측에 가이드돌기(303)가 안정적으로 왕복이동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지지바(30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하우징(350)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힘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텝(333)을 상향으로 밀도록 하며 연료가 상기 밸브스텝(333) 측으로 흐르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다이어프램(35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하우징(350)은 상기 고압펌프(21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압력조절공(311)을 구비하여, 상기 다이어프램(355)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부 상쇄하여 다이어프램(355)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관로(222)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일부 상쇄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330) 일측에 구비되는 조절밸브(23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KR1020050124497A 2005-12-16 2005-12-16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KR100659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497A KR100659359B1 (ko) 2005-12-16 2005-12-16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497A KR100659359B1 (ko) 2005-12-16 2005-12-16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359B1 true KR100659359B1 (ko) 2006-12-19

Family

ID=3781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497A KR100659359B1 (ko) 2005-12-16 2005-12-16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3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10B1 (ko) 2008-06-04 2010-05-13 주식회사 코아비스 새들형 연료탱크의 연료피드모듈 시스템
KR101202900B1 (ko) 2008-07-22 2012-11-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2행정 디젤엔진용 셔틀밸브
KR101204127B1 (ko) 2008-07-22 2012-11-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2행정 디젤엔진용 셔틀밸브
KR101806570B1 (ko) * 2012-08-23 201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연료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654A (ja) 2000-02-04 2001-09-21 Robert Bosch Corp 自動車の二股燃料タンク用のデュアル燃料送出モジュールシステム
JP2005155513A (ja) 2003-11-27 2005-06-16 Nissan Motor Co Ltd 燃料移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654A (ja) 2000-02-04 2001-09-21 Robert Bosch Corp 自動車の二股燃料タンク用のデュアル燃料送出モジュールシステム
JP2005155513A (ja) 2003-11-27 2005-06-16 Nissan Motor Co Ltd 燃料移送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10B1 (ko) 2008-06-04 2010-05-13 주식회사 코아비스 새들형 연료탱크의 연료피드모듈 시스템
KR101202900B1 (ko) 2008-07-22 2012-11-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2행정 디젤엔진용 셔틀밸브
KR101204127B1 (ko) 2008-07-22 2012-11-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2행정 디젤엔진용 셔틀밸브
KR101806570B1 (ko) * 2012-08-23 201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연료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37979B (zh) 燃料喷射单元、操作这种燃料喷射单元的方法以及内燃机
JP4968037B2 (ja) 背圧制御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低圧燃料システム
KR100659359B1 (ko) 듀얼탱크형 자동차의 연료공급 시스템
KR102082562B1 (ko) 내연 엔진용 연료 분사 시스템
KR20000069205A (ko) 액체 제어 밸브
JP2012193637A (ja) 燃料供給装置
US20180320647A1 (en) Fuel injection device
KR101158631B1 (ko) 2중 연료분사밸브
KR100815155B1 (ko) 가스연료차량용 연료공급장치
KR100799770B1 (ko)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공급장치
KR100746898B1 (ko) 가스연료차량의 연료탱크용 통합밸브
KR100834774B1 (ko) 가스연료차량용 연료공급장치
KR20060117567A (ko) 디젤엔진용 연료분사펌프의 배압기능을 가진 딜리버리밸브
JP2007198208A (ja) 燃料供給装置
CN112805469A (zh) 注水泵
CN108603476B (zh) 注水器
KR101032327B1 (ko) 가스차량용 엘피아이 시스템에 적용되는 레귤레이터
US20240157784A1 (en) Fuel pump module for a vehicle
JP2006083821A (ja) 燃料噴射装置
CN110832187B (zh) 高压燃料泵
KR20180132755A (ko) 연료 펌프
KR100435719B1 (ko) 디젤 엔진의 오버플로우밸브 구조
KR101112586B1 (ko) 솔레노이드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엘피엘아이 연료시스템
KR102406158B1 (ko) 디젤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KR100813116B1 (ko) 가스연료차량용 연료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