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287B1 - 1차측과 2차측이 서로 맞물린 형태의 전송선 변압기 - Google Patents

1차측과 2차측이 서로 맞물린 형태의 전송선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287B1
KR100659287B1 KR1020050046624A KR20050046624A KR100659287B1 KR 100659287 B1 KR100659287 B1 KR 100659287B1 KR 1020050046624 A KR1020050046624 A KR 1020050046624A KR 20050046624 A KR20050046624 A KR 20050046624A KR 100659287 B1 KR100659287 B1 KR 100659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transformer
line transformer
prima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928A (ko
Inventor
박창근
홍성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50046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287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72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를 구성하고 있는 전송선의 길이가 길지 않더라도 큰 결합 계수를 갖도록 하여 효율을 개선한 전송선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1차측 전송선과 2차측 전송선이 서로 맞물린 형태가 되도록 각각 여러개로 나뉘어지며, 나뉘어진 상기 1차측 전송선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나뉘어진 상기 2차측 전송선도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선 변압기가 높은 결합계수를 갖게 된다. 따라서, 차동신호를 동상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한 무선통신 시스템용 전력 증폭기의 정합회로로서 발명에 따른 변압기를 사용할 경우에 전력 증폭기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전력 증폭기, 변압기, 결합 계수, 정합회로, 전송선

Description

1차측과 2차측이 서로 맞물린 형태의 전송선 변압기{Interdigitated transmission line transformer}
도 1은 일반적인 전송선 변압기(1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전송선 변압기가 적용된 전력 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선 변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전송선 변압기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컴퓨터 모사를 시도한 샘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전송선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압기를 구성하고 있는 전송선의 길이가 길지 않더라도 큰 결합 계수를 갖도록 하여 효율을 개선한 전송선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송선 변압기(1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 조하면, 전송선 변압기의 1차측 전송선(101a)에 교류 전류가 흐르면 1차측 전송선(101a)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2차측 전송선(101b)에서는 이렇게 형성된 자기장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유도된다. 이런 식으로 1차측 전송선(101a)에서 발생된 전력이 2차측 전송선(101b)으로 넘어 가게 하는 것이 전송선 변압기의 기본 원리이다.
이러한 전송선 변압기는 무선통신 시스템용 전력 증폭기에서 차동 신호를 동상 신호로 만들어 주는 역할과 더불어 정합 회로의 일부로 널리 사용되는데, 그 예가 도 2에 도시되었다. 참조번호 111은 전력 증폭기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용 전력 증폭기는 부하저항 값이 수 Ω일 때 최대 전력을 낼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은 입력과 출력단을 50Ω에 정합시키며, 이때 전송선 변압기가 50Ω의 부하저항을 수 Ω의 부하저항으로 변환시켜 전력 증폭기가 최대 출력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전송선 변압기를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용 전력 증폭기는 [AoKi, S. Kee, D. Rutledge, A. Hajimiri, "A fully-integrated 1.8-V, 2.8-W, 1.9-GHz, CMOS power amplifier" IEEE RFIC symp. pp 199-202, June 2003]과 같은 보고서에 이미 공개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도 1과 같은 전송선 변압기는 낮은 결합 계수(k-factor) 값을 갖는다. 결합 계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송선 변압기를 형성하고 있는 전송선의 길이가 길어야 하는데, 전송선의 길이가 길어지면 전송선에서 야기되는 저항성분에 의하여 전력의 손실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변압기를 구성하고 있는 전송선의 길이가 길지 않더라도 큰 결합 계수를 갖도록 하여 효율이 개선된 전송선 변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송선 변압기는, 1차측 전송선과 2차측 전송선이 서로 맞물린 형태가 되도록 각각 여러개로 나뉘어지며, 나뉘어진 상기 1차측 전송선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나뉘어진 상기 2차측 전송선도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 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선 변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1차측 전송선(201a)과 2차측 전송선(201b)이 각각 4개와 3개로 나뉘어지며, 4개의 1차측 전송선(201a)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3개의 2차측 전송선(201b)도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4개의 1차측 전송선(201a) 사이에는 상기 2차측 전송선(201b)이 배치되어, 1차측 전송선(201a)과 2차측 전송선(201b)이 서로 맞물린 형태로 형성한다. 따라서 두 개의 1차측 전송(201a)선 사이에는 하나의 2차측 전송선(201b)이 위치되고, 두 개의 2차측 전송선(201b) 사이에는 하나의 1차측 전송선(201a)이 위치되게 된다. 여기서, 나뉘어지는 숫자는 큰 의미가 없으며 다른 개수로 나뉘어져도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전송선 변압기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에서 주로 사용되는 데, 현재의 반도체 공정 기술을 이용한다면 전송선 변압기의 1차측 전송선(201a)과 2차측 전송선(201b)를 형성하는 메탈 라인은 알루미늄으로 형성 가능하며, 최근 개발된 CMOS 공정 기술을 이용한다면 메탈 라인은 구리로도 형성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전송선들의 제조 공정 및 재료는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서로 맞물린 형태가 되도록 각각 여러 갈래로 분리되며, 이들이 병렬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면 도 1의 전송선 변압기와 비교할 때, 1차측 전송선과 2차측 전송선의 마주보고 있는 부분의 길이가 늘어나 1차측 전송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이 2차측 전송선에 더 많은 영향을 주어 2차측에 유도되는 전류의 양을 늘릴 수 있고, 이에 따라 결합계수도 증가하게 된다.
도 3에서 여러 갈래로 나뉘어진 1차측 전송선 및 2차측 전송선의 각 갈래마다의 길이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길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결합계수를 늘이기 위하여 전송선의 길이를 길게 해야 하는 일반적인 전송선 변압기와 비교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전송선 변압기는 전송선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송선의 저항성분에 의한 손실을 줄임과 동시에 큰 값의 결합계수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개로 나뉘어진 1차측 전송선과 2차측 전송선은 폭이 좁아져 저항성분이 증가할 수도 있지만, 여러개의 전송선이 1차측과 2차측을 형성하기 때문에 저항성분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저항성분이 증가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전송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송선에서는 전류 편중 효과(current crowding effect)와 표면 효과(skin effect)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고주파 전자회로에서 회로 전체의 효율을 저하 시키는 원인이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전송선 변압기는 전송선이 여러개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송선 변압기에 비하여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전류 편중 효과와 표면효과가 감소하게 되어 고주파 특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전송선 변압기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컴퓨터 모사를 시도한 샘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인데, 도 4는 종래의 전송선 변압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선 변압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W_conv는 전송선 변압기에 사용되는 전송선의 폭을 나타내고, L_conv는 길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S_conv는 1차측과 2차측 전송선간의 간격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5에서 W_inter는 본 발명에 의한 전송선 변압기를 형성하고 있는 전송선의 폭을 나타내고, L_inter는 길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S_inter는 1차측과 2차측 전송선간의 간격을 나타낸다. 도 5에서 1차측 전송선(201a)은 4개로 나누었고, 2차측 전송선(201b)은 3개로 나누었다. W_conv는 W_inter의 네배가 되며, L_conv와 L_inter는 동일하며, S_conv와 S_inter는 동일하다.
컴퓨터 모사 결과 도 4의 전송선 변압기의 결합계수는 0.6이고, 도 5의 전송선 변압기의 결합계수는 0.9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전송선 변압 기는 일반적인 전송선 변압기에 비하여 높은 결합계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송선 변압기에 의하면, 전송선 변압기가 높은 결합계수를 갖게 된다. 따라서, 차동신호를 동상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한 무선통신 시스템용 전력 증폭기의 정합회로로서 발명에 따른 변압기를 사용할 경우에 전력 증폭기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차측 전송선과 2차측 전송선이 서로 맞물린 형태가 되도록 각각 여러개로 나뉘어지며, 나뉘어진 상기 1차측 전송선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나뉘어진 상기 2차측 전송선도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선 변압기.
삭제
KR1020050046624A 2005-06-01 2005-06-01 1차측과 2차측이 서로 맞물린 형태의 전송선 변압기 KR100659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624A KR100659287B1 (ko) 2005-06-01 2005-06-01 1차측과 2차측이 서로 맞물린 형태의 전송선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624A KR100659287B1 (ko) 2005-06-01 2005-06-01 1차측과 2차측이 서로 맞물린 형태의 전송선 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928A KR20060124928A (ko) 2006-12-06
KR100659287B1 true KR100659287B1 (ko) 2006-12-20

Family

ID=3772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624A KR100659287B1 (ko) 2005-06-01 2005-06-01 1차측과 2차측이 서로 맞물린 형태의 전송선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897B1 (ko) * 2007-06-07 2008-10-22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 집적 회로에서 형성되는 전송선 변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0324A (en) 1981-01-17 1982-07-27 Toshiba Corp Single phase transformer
JPH04355904A (ja) * 1991-02-15 1992-1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分岐回路
JP2004119959A (ja) 2002-09-27 2004-04-15 Samsung Electro Mech Co Ltd 3ラインバルントラン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0324A (en) 1981-01-17 1982-07-27 Toshiba Corp Single phase transformer
JPH04355904A (ja) * 1991-02-15 1992-1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分岐回路
JP2004119959A (ja) 2002-09-27 2004-04-15 Samsung Electro Mech Co Ltd 3ラインバルントラン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928A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8162B1 (en) Device for improving amplitude imbalance of on-chip transformer balun
US9082543B2 (en) Inductor
US8552782B1 (en) Quadrature phase network
KR100526239B1 (ko) 3 라인 발룬 트랜스포머
JPH0870207A (ja) インピーダンス整合回路
US8421554B2 (en) Filtering device for filtering RF signals and method for filtering RF signals
KR100659287B1 (ko) 1차측과 2차측이 서로 맞물린 형태의 전송선 변압기
KR20080045890A (ko) 전력 결합기를 이용한 전력 증폭기
US11616012B2 (en) Patterned shielding structure
US10438732B2 (en) Monolithic wideband trifilar transformer
US11843360B2 (en) Power combiner/divider
JP7068516B2 (ja) 平衡不平衡変換器及びそれを備えた半導体集積回路
KR101559721B1 (ko) 높은 격리 특성을 갖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발룬
Sakai et al. A 220–330 GHz Wideband, Low-Loss and Small Marchand Balun with Ground Shields in SiGe BiCMOS Technology
JP4708317B2 (ja) 電力分配合成回路
CN110380689B (zh) 一种侧边耦合蜿蜒结构的硅基片上无源巴伦
CN206180073U (zh) 一种高可靠性的多级分支结构的功分器
US20230111667A1 (en) Ultra-small size broadband coupler
US11444589B2 (en) Bias circuit for a Doherty amplifi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411483B (zh) 一种基于集成无源器件技术的双模正交功率合成器
US20060262573A1 (en) On-die coupled inductor structures for improving quality factor
CN220173212U (zh) 一种片上集成参量放大器和量子计算机
JP2008028903A (ja) 方向性結合器
WO2022215200A1 (ja) ドハティ増幅器
JPH0794917A (ja) 同軸コネクタ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