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521B1 - 터치패널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521B1
KR100658521B1 KR1019990015942A KR19990015942A KR100658521B1 KR 100658521 B1 KR100658521 B1 KR 100658521B1 KR 1019990015942 A KR1019990015942 A KR 1019990015942A KR 19990015942 A KR19990015942 A KR 19990015942A KR 100658521 B1 KR100658521 B1 KR 100658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ed
electrode
switching means
control signal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2969A (ko
Inventor
정윤철
안영수
오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521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 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기에 적합한 터치패널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X축 방향으로 대향되어진 가장자리들상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제1 저항층과, 상기 제1 저항층과 대향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Y축 방향으로 대향되어진 가장자리들상에 설치되는 제3 및 제4 전극을 가지는 제2 저항층과, 상기 제1 전극을 전원이나 접지에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1 스위칭수단;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전원이나 접지에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2 스위칭수단; 상기 제3 전극을 상기 전원이나 접지에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3 스위칭수단; 및 상기 제4 전극을 상기 전원이나 접지에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4 스위칭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 구동장치{Apparatus for Driving Touch Panel}
도 1 은 종래의 터치패널 구동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2 는 도 1의 등가회로도.
도 3 은 도 1의 구동장치에 공급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의 파형도.
도 4 는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5 은 종래의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를 검출하는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 는 종래의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를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 구동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8 는 도 7의 등가회로도.
도 9 은 도 7의 구동장치에 공급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의 파형도.
도 10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를 검출하는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를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입력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터치패널을 구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항층 타입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를 검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저항층 타입 터치패널은 서로 대향됨과 아울러 일정한 갭만큼 분리되어진 두 개의 저항층들로 구성된다. 일측 저항층은 X축 방향으로 대향된 가장자리들상에 설치되어진 한쌍의 전극들을 가지게 되고, 타측 저항층은 Y축 방향으로 대향된 가장자리들상에 설치되어진 한쌍의 전극들을 가진다. 이들 저항층들은 전류가 자신의 전극들을 통해 교번적으로 흐르게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저항층에 유기되어진 전압을 측정한다. 유기된 전압에 의하여,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 위치(X,Y)가 검출되게 된다. 이렇게 입력 대기 기간에 저항층들에 교번적으로 공급되는 전류는 전력을 낭비한다. 그러므로, 저항층 방식의 터치패널은 입력 대기 기간 전류의 공급이 중지됨과 아울러 압압 동작의 발생을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끔 설계되게 된다. 그러한 터치패널의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패널을 들 수 있다. 도 1의 터치패널에 따르면, 한 쌍의 사각 저항층들(10,12)이 임의의 갭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게 된다. 저항층(10)은 X축 방향으로 대향될 자신의 가장자리들 상에 설치되어진 한 쌍의 전극들(a1,a2)과 함께 마련된다. 다른 저항층(12)도 Y축 방향으로 대향되어진 자신의 가장자리들상에 설치되어진 한 쌍의 전극들(a3,a4)와 함께 마련되게 된다. 전극들(a2,a4) 각각은 트랜지스터(Tr1,Tr2)를 각각 경유하여 고정된 전압을 가지는 전원(Vcc)에 접속되게 된다. 전극들(a1,a3) 각각도 트랜지스터(Tr3,Tr4)를 각각 경유하여 접지되고, 이들 전극들(a3,a1)의 전압 변동은 X축 방향에서의 위치검출신호(Vx) 및 Y축 방향에서의 위치검출신호(Vy)로서 각각 지칭되게 된다. 입력 대기 기간에, 모든 트랜지스터들(Tr1 내지 Tr4)은 턴-오프(Turn-off) 됨과 아울러 전극(a1)은 하이레벨로 세트되게 된다. 두 개의 저항층들(10,12)은 압압됨에 따른 접촉점에서 서로 접촉될 때,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가회로가 구현되게 한다. 도2의 등가회로에서, 전류는 저항층들(10,12) 및 저항(R2)을 거처 그라운드쪽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극(a3)의 전압레벨이 변하게 되어 압압 동작이 일어났음이 검출되게 된다. 이렇게 압압 동작이 일어났을 때,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Tr1,Tr3)의 베이스들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위칭 제어신호(SCS)가 인가되어 전극들(a1,a2) 사이에 전원전압(Vcc)이 주기적으로 인가되게 된다. 두 전극들(a1,a2) 사이에 전원전압(Vcc)이 공급된 때에 전극(a3)에서 접촉점에 대한 X축 방향의 좌표 검출 신호(Vx)가 검출되게 된다. 또한, 두 개의 트랜지스터(Tr2,Tr4)의 베이스들에는 도3에서와 같은 반전된 스위칭 제어신호(/SCS)가 공급되어 두 전극들(a3,a4) 사이에 전원전압(Vcc)이 주기적으로 인가되게 된다. 두 전극들(a3,a4) 사이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된 경우, 접촉점에 대한 Y축 방향에서의 좌표검출신호(Vy)가 전극(a1)상에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두 개의 저항층들(10,12)이 압압되기 전까지 저항층들(10)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터치패널 구동장치에서는 불 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또한, 터치패널 구동장치에는 스타일러스 펜이 사용되기도 한다. 스타일러스 펜은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을 작게 형성할 수 있어 그 접촉점에 대한 좌표위치를 정밀하게 지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은 도4 에서와 같이 플라스틱 보호부재에 의해 촉부(20A)가 드러나게끔 플라스틱 보호부재(22)에 의해 감싸여진 촉심봉(20)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의 스타일러스 펜은 촉심봉(20)의 촉부(20A)가 터치패널상의 한점을 압압할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힘을 그대로 터치패널쪽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터치패널이 쉽게 손상되게 된다.
나아가,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는 도 5에 도시된 검출 시스템에 의하여 검출되게 된다. 도 5의 점촉점의 좌표위치 검출 시스템은 패널 유니트(30)에 접속되어진 패널 구동 유니트(32)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 이하 "A-D 변환기"라 함)(34)를 가지게 된다. 패널 유니트(30)는 액정패널상에 탑재되거나 또는 모니터 표면에 탑재되어진 터치패널을 가지게 된다. 패널 구동 유니트(32)는 액정패널 또는 모니터를 구동함과 아울러 터치패널을 구동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패널 구동 유니트(32)는 터치패널의 압압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신호를 터치패널에 공급함과 아울러 압압 동작이 일어났을 때에 X축 방향에서의 위치검출 및 Y축 방향에서의 위치검출을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SCS,/SCS)를 터치패널에 공급하게 된다. A-D 변환기(34)는 터치패널에 포함되어진 전극들상의 전압들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 데이터를 압압동작검출신호, X축 방향에서의 위치검출신호 및 Y축 방향에서의 위치검출신호로서 제공하게 된다. 이들 패널 유니트(30), 패널 구동 유니트(32) 및 A-D 변환기(34)는 통상의 패널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좌표위치 검출 시스템은 메모리(38) 및 입출력 유니트(40)에 접속되어진 중앙처리장치(Centu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라 함)(36)를 가지게 된다. 메모리(38)는 좌표 계산 알고리즘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함과 아울러 CPU(36)에서 연산되어진 연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입출력 유니트(40)는 패널 구동 유니트(32) 및 A-D 변환기(34)와 CPU(36)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입출력 유니트(40)는 CPU(36)로부터의 모니터 또는 액정패널 구동용 신호들을 패널 구동 유니트(32)를 경유하여 패널 유니트(30)에 공급함과 아울러 터치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들(SCS,/SCS) 및 전압신호를 패널 구동 유니트(32)를 경유하여 패널 유니트(30)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입출력 유니트(40)는 A-D 변환기(34)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CPU(36)쪽으로 전달하게 된다. CPU(36)는 모니터 또는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비디오 정보를 입출력 유니트(40)에 공급함과 아울러 터치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신호 및 스위칭 제어신호들(SCS,/SCS)들을 입출력 유니트(40)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CPU(36)는 A-D 변환기(34)로부터 입출력 유니트(40)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압압동작검출신호, X축 방향 위치검출신호 및 Y축 방향 위치검출신호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점의 좌표위치 검출을 위하여, CPU(3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표위치연산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도 6의 좌표위치연산절차에 따르면, CPU(36)는 X축 방향의 위치검출신호 및 Y축 방향 위치검출신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한 다음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 의해 X좌표 및 Y좌표를 산출하게 된다. 이어서, 산출되어진 X 및 Y 좌표들에 의한 명령 또는 정보를 처리한 다음, 다음의 압압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신호을 출력하여 입력 대기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X 좌표 = X,scale*Vx + X,offset
Y 좌표 = Y,scale*Vy + Y,offset
이러한 좌표연산절차에 의해 접촉점의 좌표위치를 검출하는 종래의 좌표위치 검출 시스템에서는 좌표위치가 빠르게 검출되기는 하나, 그 연산되어진 좌표위치가 정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 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기에 적합한 터치패널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기에 적합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구동장치는 X축 방향으로 대향되어진 가장자리들상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제1 저항층; 상기 제1 저항층과 대향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Y축 방향으로 대향되어진 가장자리들상에 설치되는 제3 및 제4 전극을 가지는 제2 저항층; 스위칭 제어신호 및 반전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을 전원이나 접지에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1 스위칭수단;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 및 반전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전원이나 접지에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2 스위칭수단;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 및 반전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3 전극을 상기 전원이나 접지에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3 스위칭수단;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 및 반전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4 전극을 상기 전원이나 접지에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4 스위칭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 검출 시스템은 터치패널로부터 적어도 두쌍 이상의 위치검출신호를 검출하는 패널구동수단과, 패널 구동수단으로부터의 위치검출신호들을 이용하여 Xu 및 Yu를 산출하는 매개값 연산수단과, Xu 및 Yu 에 근거하여 X 및 Y 좌표를 연산하는 좌표 연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구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터치패널 구동장치에는, 한 쌍의 사각 저항층들(50,52)이 임의의 갭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게 된다. 저항층(50)은 X축 방향으로 대향될 자신의 가장자리들 상에 설치되어진 한 쌍의 전극들(a1,a2)과 함께 마련된다. 다른 저항층(52)도 Y축 방향으로 대향되어진 자신의 가장자리들상에 설치되어진 한 쌍의 전극들(a3,a4)와 함께 마련되게 된다. 전극들(a1,a2,a3,a4) 각각은 트랜지스터(Tr2,Tr3,Tr6,Tr8)를 각각 경유하여 고정된 전압을 가지는 전원(Vcc)에 접속되게 된다. 또한, 전극들(a1,a2,a3,a4) 각각은 트랜지스터(Tr1,Tr4,T5,Tr7) 및 저항(R1,R2,R3,R4)을 각각 경유하여 접지되게 된다. 전극들(a1,a2,a3,a4)의 전압 변동은 X축 방향에서의 위치검출신호(Vx) 및 Y축 방향에서의 위치검출신호(Vy)로서 각각 지칭되게 된다. 입력 대기 기간에, 트랜지스터들(Tr1,Tr4)은 턴-오프(Turn-off) 되는 반면에 트랜지스터들(Tr2,Tr3)은 턴-온 되어 두 전극(a1,a2)은 트랜지스터(Tr2,Tr3)을 경유하여 전원전압(Vcc)에 접속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트랜지스터들(Tr6,Tr8)은 턴-오프(Turn-off) 되는 반면에 트랜지스터들(Tr5,Tr7)는 턴-온 되어 두 전극(a3,a4)은 트랜지스터(Tr5,Tr8) 및 저항(R3,R4)을 경유하여 접지되게 된다. 이렇게 상부 저항층(50)상의 양전극(a1,a2)이 모두 전원전압(Vcc)에 그리고 하부 저항층(52) 상의 양 전극(a3,a4)이 그라운드에 연결됨으로써 양 저항층(50,52) 상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도 7 의 터치패널 구동장치는 입력 대기 모드 시에 불 필요한 전력을 소모하지 않게 된다. 두 개의 저항층들(50,52)은 압압됨에 따른 접촉점에서 서로 접촉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가회로가 구현되게 한다. 도 8의 등가회로를 참조하면, 트랜지스터들(Tr5,Tr7)은 턴-온 되는 반면에 트랜지스터들(Tr6,Tr8)은 턴-오프 되어, 전극(a3)에서는 X축 방향의 로우어 위치검출신호(Vx,lower)가 그리고 전극(a4)에서는 X축 방향의 어퍼 위치검출신호(Vx,upper)가 검출되게 된다. 이어서, 트랜지스터들(Tr1,Tr4)은 턴-온 되는 반면에 트랜지스터들(Tr2,Tr3)은 턴-오프 되어 두 전극(a1,a2)은 트랜지스터(Tr1,Tr4) 및 저항(R1,R2)을 경유하여 접지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트랜지스터들(Tr6,Tr8)은 턴-온 되는 반면에 트랜지스터들(Tr5,Tr7)는 턴-오프 되어 두 전극(a3,a4)이 트랜지스터(Tr6,Tr8)를 각각경유하여 전원전압(Vcc)에 접속되게 된다. 그러면, 전극(a1)에서는 Y축 방향의 레프트 위치검출신호(Vx,left)가 그리고 전극(a2)에서는 Y축 방향의 라이트 위치검출신호(Vx,right)가 검출되게 된다. 이렇게 4개의 전극들(a1 내지 a4)에서 검출되는 4개의 위치검출신호들에 의하여,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가 정확하게 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4개의 위치검출신호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4개의 트랜지스터들(Tr1,Tr4,Tr6,Tr8)의 베이스들에는 도 9에 도시된 스위칭 제어신호(SCS)가 공급되게 되는 반면에 나머지 4개의 트랜지스터들(Tr2,Tr3,Tr5,Tr7)에는 도9에 도시된 반전된 스위칭 제어신호(/SCS)가 공급되게 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도시한다. 도 10의 스타일러스 펜은 지지봉(60)의 캡부(60A)에 유동 가능하게 내장되어진 촉침(62)을 구비한다. 촉침(62)의 중간에는 이탈 방지 부재(64)가 설치되게 됨과 아울러 이 이탈 방지 부재(64)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66)이 촉침(62)의 하부에 삽입되게 된다. 스프링(66)의 탄성력에 의하여, 촉침(62)의 촉부는 지지봉(60)의 캡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촉침(62)의 촉부가 터치패널상에 접촉될 경우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촉침을 지지봉(60)의 캡부(60A) 내로 밀려들어 가게 된다. 따라서, 터치패널에는 지지봉(60)의 캡부(60)와 촉심(62)의 촉부가 동시에 접촉되게 됨으로써 터치패널이 손상되게 않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 검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1의 시스템은 터치패널 구동부(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72)와, 터치패널 구동부(70) 및 제어기(72) 사이에 접속되어진 A-D 변환기(74)를 구비한다. 터치패널 구동부(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기(72)는 터치패널 구동부(70)내의 8개의 트랜지스터(TR1 내지 Tr8)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SCS) 및 반전된 스위칭 제어신호(/SCS)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제어기(72)는 A-D 변환기(74)로부터의 4개의 위치감지신호(Vx,lower 및 upper, Vy, left 및 right)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도 5에 도시된 CPU(36)에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도 5의 CPU(36)는 4개의 위치감지신호(Vx,lower 및 upper, Vy, left 및 right)를 이용하여 수학식 4 및 5와 같이 Xu 및 Yu 를 산출하게 된다. 이들 Xu 및 Yu의 연산하기 전에 CPU(36)은 4개의 위치검출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각각에 따른 전류신호를 산출하게 된다.
Xu = {Ix,lower - Ix,upper} / {Ix,lower + Ix,upper}
= (Vx,lower/R3 - Vx,upper/R4) / (Vx,lower/R3 + Vx,upper/R4)
Yu = {Iy,left - Iy,right} / {Iy,left + Iy,right}
= (Vy,left/R1 - Vy,right/R2) / (Vy,left/R1 + Vy,right/R2)
그리고 CPU(36)는 상기 Xu 및 Yu를 이용하여 수학식 5 및 6과 같이 X 및 Y 좌표들을 산출하게 된다.
X 좌표 = X,scale*XU + X,offset
Y 좌표 = Y,scale*Yu + Y,offset
이러한 접촉점의 좌표위치를 연산하는 연산절차는 도12 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 검출 시스템은 터치패널로부터 4개의 위치검출신호를 발생시키고 그에 따른 전류량을 산출함과 아울러 Xu 및 Yu를 연산함으로써 X 및 Y 좌표를 정확하게 검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구동장치에서는 입력대기모드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으로써 불 필요한 전력이 소모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 검출 시스템은 터치패널로부터 여러개의 위치감지신호를 검출하고 그들 여러개의 위치검출신호들로부터 전류신호들과 Xu 및 Yu를 연산해 낸 다음 Xu 및 Yu를 X 및 Y 좌표의 산출에 이용함으로써 X 및 Y 좌표가 정확하게 검출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3)

  1. X축 방향으로 대향되어진 가장자리들상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제1 저항층;
    상기 제1 저항층과 대향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Y축 방향으로 대향되어진 가장자리들상에 설치되는 제3 및 제4 전극을 가지는 제2 저항층;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1 전극을 접지에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 1 스위칭수단;
    반전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1 전극에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2 스위칭수단;
    상기 반전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2 전극에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3 스위칭수단;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2 전극을 접지에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 4 스위칭수단;
    상기 반전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3 전극을 접지에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 5 스위칭수단;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3 전극에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6 스위칭수단;
    상기 반전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4 전극을 접지에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 7 스위칭수단;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4 전극에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8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되,
    입력대기모드에서, 상기 제 1 및 제 4 스위칭수단은 턴오프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스위칭수단은 턴온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에 전원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 6 및 제 8 스위칭수단은 턴오프되고 상기 제 5 및 제 7 스위칭수단은 턴온되어 상기 제 3 및 제 4 전극에 접지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층이 접촉점에서 서로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6 및 제 8 스위칭수단이 턴오프됨과 동시에 상기 제 5 및 제 7 스위칭수단이 턴온되어 상기 제 3 전극에서는 X축 방향의 로우어 위치검출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제 4 전극에서는 X축 방향의 어퍼 위치검출신호가 검출된 후, 상기 제 2 및 제 3 스위칭수단이 턴오프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4 스위칭수단이 턴온되어 상기 제 1 전극에서는 Y축 방향의 레프트 위치검출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제 2 전극에서는 Y축 방향의 라이트 위치검출신호가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구동장치.
  2. 삭제
  3. X축 방향으로 대향되어진 가장자리들상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제1 저항층과, 상기 제1 저항층과 대향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Y축 방향으로 대향되어진 가장자리들상에 설치되는 제3 및 제4 전극을 가지는 제2 저항층과,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1 전극을 접지에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 1 스위칭수단과, 반전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1 전극에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2 스위칭수단과, 상기 반전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2 전극에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3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2 전극을 접지에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 4 스위칭수단과, 상기 반전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3 전극을 접지에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 5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3 전극에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6 스위칭수단과, 상기 반전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4 전극을 접지에 접속시켜 주기 위한 제 7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며, 상기 제 4 전극에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8 스위칭수단을 구비한 터치패널의 접촉점의 좌표위치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층이 접촉점에서 서로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6 및 제 8 스위칭수단을 턴오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5 및 제 7 스위칭수단을 턴온시켜 상기 제 3 전극에서는 X축 방향의 로우어 위치검출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4 전극에서는 X축 방향의 어퍼 위치검출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제 2 및 제 3 스위칭수단을 턴오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4 스위칭수단을 턴온시켜 상기 제 1 전극에서는 Y축 방향의 레프트 위치검출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2 전극에서는 Y축 방향의 라이트 위치검출신호를 검출하는 패널구동수단;
    상기 패널 구동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검출신호들을 이용하여 Xu 및 Yu를 산출하는 매개값 연산수단; 및
    상기 Xu 및 Yu 에 근거하여 X 및 Y 좌표를 연산하는 좌표 연산수단을 구비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상의 접촉점의 좌표위치 검출 시스템.
KR1019990015942A 1999-05-03 1999-05-03 터치패널 구동장치 KR100658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942A KR100658521B1 (ko) 1999-05-03 1999-05-03 터치패널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942A KR100658521B1 (ko) 1999-05-03 1999-05-03 터치패널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969A KR20000072969A (ko) 2000-12-05
KR100658521B1 true KR100658521B1 (ko) 2006-12-15

Family

ID=1958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942A KR100658521B1 (ko) 1999-05-03 1999-05-03 터치패널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361B1 (ko) * 2001-12-15 2005-03-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847813B1 (ko) * 2001-12-27 2008-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구동장치 및 방법
WO2019242018A1 (zh) * 2018-06-22 2019-12-2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手写感应装置及其低功耗控制电路、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6131A (ja) * 1984-01-24 1985-08-16 Fujitsu Ltd 電子ペン
JPH03166617A (ja) * 1989-11-27 1991-07-18 Toshiba Corp スタイラスペン
JPH05274080A (ja) * 1992-03-25 1993-10-22 Toshiba Corp 座標検出装置
JPH0883142A (ja) * 1994-09-12 1996-03-26 Sega Enterp Ltd ペン形入力装置
JPH08255050A (ja) * 1995-03-16 1996-10-01 Smk Corp 抵抗感圧型タブレット
KR970028976A (ko) * 1995-11-01 1997-06-26 야에가시 아키라 스타일러스 펜
JPH1040015A (ja) * 1996-07-24 1998-02-13 Pentel Kk タッチパネル制御回路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6131A (ja) * 1984-01-24 1985-08-16 Fujitsu Ltd 電子ペン
JPH03166617A (ja) * 1989-11-27 1991-07-18 Toshiba Corp スタイラスペン
JPH05274080A (ja) * 1992-03-25 1993-10-22 Toshiba Corp 座標検出装置
JPH0883142A (ja) * 1994-09-12 1996-03-26 Sega Enterp Ltd ペン形入力装置
JPH08255050A (ja) * 1995-03-16 1996-10-01 Smk Corp 抵抗感圧型タブレット
KR970028976A (ko) * 1995-11-01 1997-06-26 야에가시 아키라 스타일러스 펜
JPH1040015A (ja) * 1996-07-24 1998-02-13 Pentel Kk タッチパネル制御回路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0015
601561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969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813B1 (ko) 터치패널 구동장치 및 방법
EP0541102B1 (en) Coordinates input device
KR100217794B1 (ko) 터치 패널의 좌표 검출장치
US9804722B2 (en) Fast scanning for mutual capacitance screens
US8780056B2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including display function
JP4961273B2 (ja) 入力装置、入力システム
KR101922158B1 (ko) 압력 검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658521B1 (ko) 터치패널 구동장치
US8599175B2 (en) Input detection circuit, input detection method, input detec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4362126B2 (ja) 指紋データ生成装置、プログラム
JP2005274225A (ja) タッチパネル検査装置
KR100475114B1 (ko) 터치 패널의 선형성 측정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의 선형성 측정 방법
KR100453167B1 (ko) 터치패널 및 그의 구동장치
JPH1039987A (ja) タッチパネル
KR19990049089A (ko) 터치 패널의 위치 감지방법
JP3061404B2 (ja) ディスプレイ一体型タブレット
JP2002278690A (ja) タッチパネルの位置検出回路
JPH05127827A (ja) タツチパネル式入力装置
JPH04109328A (ja) 座標入力装置
KR20040057755A (ko) 터치패널과 그 구동장치 및 방법
JP3202471B2 (ja) ペン入力装置
WO2015167418A1 (en) Perform a self-capacitive scan of a stylus
JP4116414B2 (ja) 指紋データ生成装置、プログラム
JP2801813B2 (ja) タブレット装置及び表示一体型タブレット装置
JPS63136213A (ja) 座標の検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