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815B1 - 교량 압출 롤러받침 - Google Patents

교량 압출 롤러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815B1
KR100657815B1 KR1020050044249A KR20050044249A KR100657815B1 KR 100657815 B1 KR100657815 B1 KR 100657815B1 KR 1020050044249 A KR1020050044249 A KR 1020050044249A KR 20050044249 A KR20050044249 A KR 20050044249A KR 100657815 B1 KR100657815 B1 KR 100657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ridge
extrusion
plat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987A (ko
Inventor
정기영
Original Assignee
(주)평화엔지니어링
정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화엔지니어링, 정기영 filed Critical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44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815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01D21/065Incremental lau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 방향이 롤러축에 맞지 않는 경우도 후방 앵커의 회전축에 의해 자동으로 플레이트면이 회전되어 롤러축이 항상 압출방향과 일치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수로 배치된 각 롤러축을 정확히 같은 방향으로 맞추지 않아도 면 마찰이 발생치 않도록 하여 롤러의 내구성이 증진되고, 교량 시공도 용이하도록 한 교량 압출 롤러받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은 강상자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교량상판을 교각의 상면을 따라 전진 이동시키는 교량 압출 롤러받침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어 상기 교량상판의 하면과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의 사이에 교축으로 배치되며, 롤러를 가이드 하는 트랙 가이드와; 상기 롤러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의 하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장공이 형성된 롤러플레이트와; 상기 롤러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며,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탄성패드와; 상기 탄성패드의 하면과 교각 상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장공에는 롤러플레이트와 탄성패드 및 베이스플레이트를 앵커가 관통되어 고정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연속압출공법, 교량 압출, 가이드롤러

Description

교량 압출 롤러받침{roller bearing for Bridge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도 1은 종래의 연속압출공법의 가이드롤러와 횡방향 가이드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연속압출공법의 가이드롤러와 횡방향 가이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연속압출공법의 가이드롤러와 횡방향 가이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이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의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교각 14: 교량 상판
16: 횡방향 가이드 18: 수직고정부
20: 수평고정부 21: 조절부재
22: 가이드판 26: 볼트
28: 고정블록 30: 가이드롤러
32: 수직지지부재 34: 수평지지부재
36: 롤러 38: 링크부재
40: 캐터필러 42: 볼트
100: 교량 상판 110: 교각
120: 롤러 130: 트랙 가이드
140: 롤러축 150: 롤러플레이트
152: 장공 160: 탄성패드
170: 베이스플레이트 180: 앵커
190: 고정 및 회전축 R: 롤러받침
본 발명은 교량 압출 롤러받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속압출 공법에 의해 강상자형 교량의 가설시 구비되는 롤러형 교좌장치로 압출 방향이 롤러축에 맞지 않는 경우도 후방 회전축에 의해 자동으로 플레이트면이 회전되어 롤러축이 항상 압출방향과 일치되도록 한 교량 압출 롤러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교량의 연속압출공법(ILM: Incremental Launching Method)은 철재로 이루어진 강상자형 주형의 세그먼트를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한 후 상기 세그먼트를 들어올려 조립한 후 압출장치에 의해 교축방향으로 압출시키면서 교량 상판을 형성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가설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연속압출공법은 강상자형 세그먼트를 사전에 공장에서 제작하고, 이를 차례로 들어올려 조립한 후 압출장치에 의하여 교축방향으로 압출시켜 일체화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완성하여 나가므로 안정성이 높으며, 시공관리가 용이하고, 시공시 외부 기후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교량의 가설공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여기서, 상기의 연속압출공법을 통한 교량의 가설시 공장에서 제작된 강상자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교량 상판을 별도의 압출장치에 의해 교축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압출시킬 때, 압출되는 교량상판의 낙교를 방지하고, 교각 상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각의 일측에는 횡방향 가이드를 구비하고, 교각의 상면에는 가이드롤러를 설치하는데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교량상판(14)을 압출하여 압출시킬 때 유압장치 등과 같은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기계작동의 오차로 인하여 압출방향으로 작은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오차로 인하여 교량상판(14)의 압출방향이 의도하였던 정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벗어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의 측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압출시의 오차로 인해 압출되는 교량상판(14)이 교각(10)으로부터 벗어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방향 가이드(16)를 구비함으로써 교량상판(14)의 낙교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횡방향 가이드(16)는 상기 교각(10)의 양측에 구비되어 교량상판(14)이 압출할 때 교량상판(14)을 안전하게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하며, 교각(1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수직고정부(18)와 상기 수직고정부(18)의 상측에서 내향되도록 구비된 수평고정부(20), 상기 수평고정부(2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조절부재(21)와 교량상판(14)에 직접 마찰되는 가이드판(22)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교각(10)의 상면에는 압출되는 교량상판(14)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교량상판(14)의 압출시 마찰력을 저감시켜 압출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30)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30)는 수직지지부재(32)의 사이에 구비되는 수평지지부재(34)와 이 수평지지부재(34)의 둘레를 따라 일방향으로 정렬된 다수의 롤러(36), 상기 각각의 롤러(36)를 연결하는 링크부재(38), 상기 롤러(36)의 회전력을 취합하도록 각각의 롤러(36)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캐터필러(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30)는 교각(10)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블록(28)에 볼트(42)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이드롤러(30)는 교량상판(14)과 직접 접촉하는 캐터필러(40)가 얇은 체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교량상판(14)의 압출할 때 그 일부가 하중을 견디지 못해 파손되거나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체인의 교체나 구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적으로 가설작업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30)는 캐터필러(40)와 롤러(36)의 이상 유무를 수시로 확인하여 가설도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관리인력이 필요하고, 더구나 상기 링크부재(38)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롤러(36)는 캐터필러(4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캐터필러(40)와 롤러(36)의 점검시 많은 시간과 장비가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인건비나 자재비의 소모는 전체 공사비의 증가를 초래하였고, 작업환경의 불안으로 안전한 시공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압출 방향이 롤러축에 맞지 않는 경우도 후방 회전축에 의해 자동으로 플레이트면이 회전되어 롤러축이 항상 압출방향과 일치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수로 배치된 각 롤러축을 정확히 같은 방향으로 맞추지 않아도 면 마찰이 발생치 않도록 하여 롤러의 내구성이 증진되고, 교량 시공도 용이하도록 한 교량 압출 롤러받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은 강상자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교량상판을 교각의 상면을 따라 전진 이동시키는 교량 압출 롤러받침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어 상기 교량상판의 하면과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의 사이에 교축으로 배치되며, 롤러를 가이드 하는 트랙 가이드와; 상기 롤러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의 하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장공이 형성된 롤러플레이트와; 상기 롤러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며,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탄성패드와; 상기 탄성패드의 하면과 교각 상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장공에는 롤러플레이트와 탄성패드 및 베이스플레이트를 앵커가 관통되어 고정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이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의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은 강상자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교량상판(100)을 교각(110)의 상면을 따라 전진 이동시키는 교량 압출 롤러받침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어 상기 교량상판(100)의 하면과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120)와; 상기 롤러(120)의 사이에 교축으로 배치되며, 롤러(120)를 가이드 하는 트랙 가이드(130)와; 상기 롤러(120)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축(140)과; 상기 롤러축(140)의 하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장공이(152) 형성된 롤러플레이트(150)와; 상기 롤러플레이트(150)의 하면에 설치되며,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탄성패드(160)와; 상기 탄성패드(160)의 하면에 설치되며, 교각(110) 상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70)로 구성되며, 상기 장공(152)에는 롤러플레이트(150)와 탄성패드(160) 및 베이스플레이트(170)를 앵커(180)가 관통되어 고정 체결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R)은 롤러(120), 트랙 가이드(130), 롤러축(140), 롤러플레이트(150), 탄성패드(160) 및 베이스플레이트(17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롤러(120)는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큰 것을 구비하여, 교량 상판(100)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롤러축(140)에는 롤러(120)가 설치되어, 롤러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랙 가이드(130)는 롤러(120)를 안내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롤러플레이트(150)는 롤러축(140)의 하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장공(152)이 형성되어 있어, 이 장공(152)을 통해 앵커(180)로 고정시켜, 롤러받침(R)을 고정 및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롤러플레이트(150)의 하면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탄성패드(160)가 설치됨으로써, 탄성패드(160)의 연직변위에 의해 교량 상판(100) 틸팅의 요각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70)는 교각(110)과 탄성패드(160)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탄성패드(160) 및 베이스플레이트(170)에는 장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앵커(180)로 고정 체결됨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R)은 유모차 바퀴원리를 응용하여 교량 상판(100)의 압출방향이 롤러받침(R)의 롤러축(140)에 맞지 않는 경우에도 롤러받침(R)의 후방측 앵커(180)의 회전축(190)에 의해 롤러받침(R)의 플레이트(150, 160, 170)에 평면으로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축(140)이 항상 교량상판(100)의 압출방향과 일치되게 함으로써, 다수로 배치된 각 롤러축(140)을 교량상판(100)의 압출방향과 정확히 동일방향으로 맞추지 않아도 면 마찰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롤러받침(R)의 내구성이 증진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즉, 상기 롤러받침(R)의 플레이트(150, 160, 170)를 탄성패드(160)로 하여 탄성패드(160)의 연직변위에 의해 교량상판(100)의 하중분담을 유도하며, 또한 기존 롤러받침(R)에서 수용되지 않는 압출방향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앵커(180)와 롤러받침(R)의 고정 및 회전축(190)과의 편심이 발생하여 자동적으로 롤러받침(R)의 플레이트(150, 170) 및 탄성패드(160)가 회전함으로써 교량상판(100)이 별다른 외부적 저항 없이 압출방향에 순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받침(R)이 앵커(180)의 회전축으로 회전함으로써 롤러받침(R)으로 유도되는 교량상판(100)의 임의방향으로 다수의 롤러받침(R)의 플레이트(150, 170) 및 탄성패드(160)가 면 마찰 없이 작동한다.
즉, 연속압출공법에 의해 교량상판(100)이 압출되면 교량상판(100)의 하면과 접촉되는 롤러(120)가 회전하면서 교량상판(100)을 압출시키는데, 이때 상기 롤러(120)에 전해지는 교량상판(100)의 하중은 롤러축(140)에 전달되고, 상기 롤러축(140)은 그 하부에 설치된 플레이트(150, 170) 및 탄성패드(160)의 연직변위에 의해 교량상판(100)의 틸팅의 요각을 수용함으로써 교량상판(100)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즉, 교량상판(100)이 롤러축(140)의 롤러(120)상을 지나가면 그 하중은 롤러축(140)을 통해 플레이트(150, 170) 및 탄성패드(160)로 전해짐에 따라 상기 (150, 170) 및 탄성패드(160)는 교량상판(100)의 하중을 그 하부인 교각(110)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을 2축 롤러받침(R)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압출 롤러받침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압출 방향이 롤러축에 맞지 않는 경우도 후방 회전축에 의해 자동으로 플레이트면이 회전되어 롤러축이 항상 압출방향과 일치될 뿐만 아니라 다수로 배치된 각 롤러축을 정확히 같은 방향으로 맞추지 않아도 면 마찰이 발생치 않는 구조가 됨으로써 롤러의 내구성이 증진되고 시공도 보다 용이한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압출 방향이 수시로 바뀌는 변곡선 등에서도 용이하게 시공 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가설의 범위를 넓힘으로써 가설 공사비를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강상자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교량상판(100)을 교각(110)의 상면을 따라 전진 이동시키는 교량 압출 롤러받침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어 상기 교량상판(100)의 하면과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120)와; 상기 롤러(120)의 사이에 교축으로 배치되며, 롤러(120)를 가이드 하는 트랙 가이드(130)와; 상기 롤러(120)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축(140)과; 상기 롤러축(140)의 하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장공이(152) 형성된 롤러플레이트(150)와; 상기 롤러플레이트(150)의 하면에 설치되며,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탄성패드(160)와; 상기 탄성패드(160)의 하면과 교각(110) 상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70)로 구성되며, 상기 장공(152)에는 롤러플레이트(150)와 탄성패드(160) 및 베이스플레이트(170)를 앵커(180)가 관통되어 고정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압출 롤러받침.
  2. 삭제
KR1020050044249A 2005-05-25 2005-05-25 교량 압출 롤러받침 KR100657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49A KR100657815B1 (ko) 2005-05-25 2005-05-25 교량 압출 롤러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49A KR100657815B1 (ko) 2005-05-25 2005-05-25 교량 압출 롤러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987A KR20060122987A (ko) 2006-12-01
KR100657815B1 true KR100657815B1 (ko) 2006-12-14

Family

ID=3772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249A KR100657815B1 (ko) 2005-05-25 2005-05-25 교량 압출 롤러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8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55B1 (ko) 2010-07-07 2010-11-22 동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동용 롤러를 구비한 교량상판 제작용 베이스 지지대
KR101786748B1 (ko) * 2015-09-30 2017-10-18 쌍용건설 주식회사 이동레일을 이용한 거더견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554B1 (ko) * 2011-05-16 2013-02-0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
CN108149591A (zh) * 2018-01-23 2018-06-12 广西交通工程检测有限公司 基于千斤顶反力自平衡的桥梁上部结构纠偏装置及方法
DE102018203612A1 (de) * 2018-03-09 2019-09-12 Peri Gmbh Absenkeinrichtung sowie Stützvorrichtung und Deckenschalung mit einer solchen Absenkeinricht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55B1 (ko) 2010-07-07 2010-11-22 동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동용 롤러를 구비한 교량상판 제작용 베이스 지지대
KR101786748B1 (ko) * 2015-09-30 2017-10-18 쌍용건설 주식회사 이동레일을 이용한 거더견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987A (ko)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7815B1 (ko) 교량 압출 롤러받침
ITUA20163959A1 (it) Modulo semovente per trasporti eccezionali
KR100650435B1 (ko)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시공장비
US20180093679A1 (en) Railway Vehicle and Funicular Apparatus
DE60012020T2 (de) Tragbare lastanzeigevorrichtung für ein schienenfahrzeug
JP3140123U (ja) 手延べ機の送り出し装置
KR200286115Y1 (ko)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가이드롤러장치
KR100481009B1 (ko)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가이드 어셈블리
US4440294A (en) Conveyor
JP5487031B2 (ja) 橋梁架設方法
US6196376B1 (en) Support device
JP4805366B2 (ja) 推進機構を内蔵した重量物移送装置
JP4879303B2 (ja) 橋桁送出し工法
KR20070075396A (ko) 신축이음장치
KR200396958Y1 (ko) 체인컨베이어의 체인이동장치
CN110900820B (zh) 自适应后张拉法预制箱梁的施工装置及施工方法
US3246775A (en) Bridge support for rotary reclaimer
CN110451157B (zh) 一种辊床
DE3724376A1 (de) Rollgurt
JP7305147B2 (ja)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KR19980064780A (ko) 모듈러 컨베이어 시스템
CN100476392C (zh) 平底履带行走加载装置
KR20060127331A (ko) 교량의 상부구조 시공용 철근대차
US344878A (en) Sluiceway-gate
US20210253027A1 (en) Tread device for a crawler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