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078B1 - 신체 장착체 - Google Patents

신체 장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078B1
KR100656078B1 KR1020050077496A KR20050077496A KR100656078B1 KR 100656078 B1 KR100656078 B1 KR 100656078B1 KR 1020050077496 A KR1020050077496 A KR 1020050077496A KR 20050077496 A KR20050077496 A KR 20050077496A KR 100656078 B1 KR100656078 B1 KR 100656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protective member
filling device
gas
communic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584A (ko
Inventor
요코 기무라
마리코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050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2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63C9/125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과제] 기낭(氣囊)을 확실히 보호하는 것으로 신뢰성이 높은 신체 장착체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기밀성(氣密性)의 기낭(3)과, 기낭(3)을 보호하며 고형식(固形式)이고 또한 탄력성을 가지는 보호 부재(5)가 설치되고, 기낭(3)은 신체의 좌우의 흉부에 각각 위치하는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 신체의 좌우의 어깨부에 각각 위치하여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에 각각 연통하는 좌우의 어깨 기낭부(43, 44) 및 신체의 등부에 위치하여 좌우의 어깨 기낭부(43, 44) 간에 연통하는 등 기낭부(45)를 일체로 구비하며, 보호 부재(5)는 외방(外方)으로부터 각 기낭부를 덮는 제1 피복부(55)와, 제1 피복부(55)로부터 측방(側方)으로 연장되어 기낭(3)의 체적 팽창 시에 기낭(3)을 신체의 좌우 방향 외방으로부터 덮는 제2 피복부(56)를 가지는 구성으로 한다.
신체 장착체, 기낭, 보호 부재, 피복부, 외장체

Description

신체 장착체{APPARATUS OF BEING MOUNTED ON A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팅 베스트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플로팅 베스트의 오른쪽 앞길을 연 도면.
도 3은 플로팅 베스트의 외장체를 생략하여 기낭 및 보호 부재를 나타낸 장착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플로팅 베스트의 기낭, 가스 충전 장치, 충전 파이프 및 보호 부재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플로팅 베스트를 신체에 장착한 정면도.
도 6은 도 4의 A-A 단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7은 신체의 어깨에 걸린 상태의 기낭 및 보호 부재의 측면도.
도 8은 신체의 어깨에 걸린 상태의 기낭 및 보호 부재의 단면도.
도 9는 기낭이 팽창하였을 때의 측면 단면도.
도 10은 기낭이 팽창하였을 때의 평면 단면도.
도 11은 보호 부재의 제2 피복부 및 기낭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12는 가스 충전 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가스 충전 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 플로팅 베스트 2 : 외장체
3 : 기낭 5 : 보호 부재
6 : 가스 충전 장치 55 : 제1 피복부
56 : 제2 피복부
본 발명은 낚시용 플로팅 베스트나 구명 조끼 등의 신체 장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상에서의 구명구(救命具)로서, 예를 들어, 구명 조끼로 불리는 신체 장착체가 있다. 이와 같은 신체 장착체에서는 긴급의 구명 시에 정해진 부력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고, 이와 같은 부력을 얻기 위하여 가스를 충전하는 것으로 팽창하는 기낭(氣囊)과, 고형식(固形式)의 부력재를 구비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신체 장착체는 재킷 타입이며, 재킷 본체 (외장체)의 좌우 앞길 각각에 설치한 수납부에 기밀(氣密) 재료로 형성한 기낭부를 수용하고, 이들 기낭부는 등 측 목덜미부에 설치한 연통로로 연통하고 있다. 또한, 부력재는 뒷길에 설치한 수납부에 꿰매어져 있다.
기낭을 이용한 신체 장착체에서는, 통상 기낭에는 공기가 들어있지 않고 편평(扁平)한 상태로 있고, 구명 시에는 신체 장착체에 부설된 가스 충전기의 조작부 를 조작하여 기낭으로 가스를 보내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신체 장착체에 부설된 충전기를 사용자 스스로 부는 것으로 기낭에 가스를 보내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낭에 가스를 보내는 것으로 기낭이 체적 팽창하고, 부력재와 아울러 필요한 부력을 얻을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신체 장착체에서는, 기낭은 단지 재킷 본체의 수납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뿐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주위의 환경에 바위 등이 존재하고 있어 그것에 의하여 기낭이 손상되면, 기낭 내의 가스가 빠져 필요한 부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바위 등으로 기낭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하여 신체에 대하여 전방(前方) 및 후방(後方)에서 기낭의 외측에 면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부재를 설치한 신체 장착체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덧붙여, 이 경우, 보호 부재로서 부력재를 겸용하여 필요한 부력을 얻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02-14329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62-87999호 공보
그런데 신체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에서 기낭의 외측에 면하도록 보호 부재를 배치한 신체 장착체에서는, 기낭을 팽창시켰을 때에 신체에 대한 측방(側方)으로부터 기낭을 보호하는 부분이 없다. 그러나 기낭은 편평한 때보다도 가스를 충전하는 것으로 체적 팽창시킨 구명 시에 특히 손상하기 쉬워지는 것이고, 단지 기낭의 외측에 면하도록 보호 부재를 배치한 신체 장착체에서는 기낭을 측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어, 그만큼 구명 시에서의 신뢰성이 낮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기낭을 확실히 보호하는 것으로 신뢰성이 높은 신체 장착체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신체 장착체는, 신체 흉부 또는 신체 등부의 적어도 한 쪽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가스를 충전하는 것으로 체적 팽창하여 부력이 부여되는 기밀성의 기낭과, 당해 기낭을 보호하고 고형식 또한 탄력성을 가지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보호 부재는 신체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의 외방(外方)으로부터 기낭을 덮는 제1 피복부와, 당해 제1 피복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기낭의 체적 팽창 시에 당해 기낭을 측방으로부터 덮는 제2 피복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기낭은 보호 부재의 제1 피복부에 의하여 전후 방향 외방으로부터 손상에 대하여 보호되고, 기낭의 체적 팽창 시에는 제2 피복부에 의하여 좌우 방향 외방으로부터 손상에 대하여 보호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신체 장착체는, 가스를 충전하는 것으로 체적 팽창하여 부력이 부여되는 기밀성의 기낭과, 당해 기낭을 보호하고 고형식 또한 탄력성을 가지는 보호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기낭은 신체의 좌우의 흉부에 각각 위치하는 좌우의 가슴 기낭부, 신체의 좌우의 어깨부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좌우의 가슴 기낭부에 각각 연통하는 좌우의 어깨 기낭부 및 신체의 등부에 위치하여 상기 좌우의 어깨 기낭부 간에 연통하는 등 기낭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보호 부재는 신체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의 외방으로부터 상기 각 기낭부를 덮는 제1 피복부와, 당 해 제1 피복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기낭의 체적 팽창 시에 당해 기낭을 신체의 좌우 방향 외방으로부터 덮는 제2 피복부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좌우의 가슴 기낭부, 좌우의 어깨 기낭부, 등 기낭부는 보호 부재인 제1 피복부에 의하여 전후 방향 외방으로부터 손상에 대하여 보호되고, 각 기낭부의 체적 팽창 시에는 제2 피복부에 의하여 좌우 방향 외방으로부터 손상에 대하여 보호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신체 장착체는, 제1 피복부가 기낭의 외방에 대향시켰을 때에 기낭의 면적에 비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피복부를 기낭의 면적에 비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기낭의 체적 팽창 시에 기낭이 단독적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장착체는, 등 기낭부는 좌우의 어깨 기낭부에 비하여 등 측으로 넓은 폭을 가지고, 제2 피복부는 좌우의 어깨 기낭부 및 등 기낭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신체의 어깨 부분에서는 상방(上方)에도 측방에도 보호하는 것이 없다. 따라서, 갯바위 등에서 낚시꾼이 수면에 있었을 때 등, 바위 등으로 손상을 입기 쉬운 것은 좌우의 어깨 기낭부나 등 기낭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어깨 기낭부나 등 기낭부가 바위 등으로 손상되면, 기낭의 내부의 가스가 새어 부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제2 피복부를 좌우의 어깨 기낭부 및 등 기낭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 이것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장착체는, 기낭 및 보호 부재를 외장하는 외장체가 설치되 고, 당해 외장체에 형성한 수납부에 상기 기낭 및 보호 부재가 겹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수납부는 오른쪽 앞길에서부터 왼쪽 앞길로 뒷길의 상부에 설치한 연속부를 통하여 연속하여 형성되고, 외장체에 수납부의 형상을 따라 오른쪽 앞길에서부터 왼쪽 앞길로 뒷길의 상부를 통하여 개구(開口)가 형성되며, 당해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장착체는, 기낭과 보호 부재가 서로 탈착(脫着) 수단을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낭과 보호 부재를 분리하여 기낭, 보호 부재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장착체는, 개폐 수단이 슬라이드·파스너(slide fastener)이며, 개구의 가장자리부에는 슬라이드·파스너의 이측(裏側)에서 기낭을 덮는 띠상의 속 보호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슬라이드·파스너 개폐 시, 이 속 보호구에 의하여 기낭을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장착체는, 외장체에 수납부를 따르는 띠상의 신축 천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낭의 체적 팽창 시에 외장체가 기낭의 체적 팽창을 따라 변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장착체는, 기낭에 연통로를 통하여 당해 기낭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가스 충전 장치가 연통되고, 연통로를 관통하기 위한 노치(notch)가 보호 부재의 제1 피복부에 형성되어, 노치에 연통로를 관통하는 것으로 기낭에 보호 부재의 제1 피복부를 통하여 가스 충전 장치가 기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스 충전 장치는 기낭에 보호 부재를 통하여 배치시킬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신체 장착체를 신체에 장착하였을 때, 보호 부재가 기낭과의 사이에 있는 분만큼, 사용자에게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신체 장착체의 장착 시에 가스 충전 장치는 신체에 대하여 전방으로 돌출하는 모양이 된다. 그러나 나아가 가스 충전 장치에 대향하는 부분에 신축성이 풍부한 신축성 천을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이것이 가스 충전 장치의 형상에 따라 신축하여 신체를 압압하는 힘을 흡수하기 때문에, 가스 충전 장치라고 하는 경질의 이물이 신체의 앞에 있었다고 하여도 그 존재에 의한 위화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신체 장착체를 갯바위 낚시 등에 호적(好適)하게 이용되는 플로팅 베스트를 예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플로팅 베스트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플로팅 베스트의 오른쪽 앞길을 연 도면, 도 3은 외장체를 생략하고 기낭 및 보호 부재를 나타낸 장착 상태의 사시도이다. 덧붙여, 이 도 2에서는 도 1에 기재하고 있는 포켓 등을 생략하고 있다.
플로팅 베스트(1)는 외장체(2)와, 이 외장체(2)에 수납된 기낭(3)과, 기낭(3)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5)와, 기낭(3) 내에 가스 (탄산 가스가 이용된다)를 자동적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가스 충전 장치(6), 기낭(3) 내에 가스를 사람의 입으로 불어넣기 위한 충전 파이프(7)를 가진다. 이와 같은 플로팅 베스트(1)는, 구명 시에 정해진 부력을 가질 필요가 있고, 그대로의 형상으로 미리 부력이 부여되고 있는 보호 부재(5)와, 체적 팽창하는 것으로 부력이 부여되는 기낭(3)과 아울러, 상기 정해진 부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플로팅 베스트(1)는, 신체(H)에 장착할 때에 팔(H1)을 통하게 하는 팔 통과 개구(8)를 가지고 있고, 이 팔 통과 개구(8)는 겨드랑이(H2) 및 겨드랑이 아래 부분 (늑골 부분)에 상당하는 영역을 개방하는 형상을 가진다. 외장체(2)는 왼쪽 앞길(10), 오른쪽 앞길(11), 뒷길(12)을 가진다. 외장체(2)는 좌우의 앞길(10, 11)과 뒷길(12)을 연속하는 어깨부(14)를 가진다. 좌우의 앞길(10, 11)은 복부(10A)와 흉부(10B)를 가지고, 좌우의 앞길(10, 11)과 뒷길(12)은 어깨부(14)를 통하여 연속하고 있다. 나아가, 외장체(2)는 오른쪽 앞길(11)과 뒷길(12)을 일체로 이루는 웨이스트부(15)를 가진다. 좌우의 앞길(10, 11)에 있어서, 복부(10A), 흉부(10B), 어깨부(14)는, 이 순서로 점차 좁은 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좌우 앞길(10, 11)의 높이 방향 중간부 및 하부의 전면(前面)에는, 낚시구 등을 넣기 위한 포켓(16, 17)이 슬라이드·파스너(20)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왼쪽 앞길(10) 및 오른쪽 앞길(11)의 앞 이음부(23, 24)끼리는, 앞 이음부(23, 24)에 봉착된 다른 슬라이드·파스너(21)에 의하여 이음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웨이스트부(15)에는 메시(mesh)상의 천이 봉착되어 이루어진다. 앞 이음부(23, 24)로부터 그 상부에 이르는 안감으로서 신축성이 있는 천(29)이 슬라이드·파스너(22)를 따라 봉착되어 있다. 이것은 기낭(3)이 체적 팽창하였을 때에 그 체적 팽창을 허용하기 위함이다.
외장체(2)에 기낭(3) 및 기낭(3)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5)를 수납하는 수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25)는 좌우 앞길(10, 11)에서부터 어깨부(14) 및 뒷길(12)의 상부인 연속부 (신체의 견갑골에 상당하는 영역)에 걸쳐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납부(25)는 외장체(2)를 겉감(26) 및 안감(27)을 좌우 앞길(10, 11)의 주연부(周緣部), 어깨부(14)의 주연부, 뒷길(12)의 주연부 및 뒷길(12)의 높이 방향 도중 부분에서 봉착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좌우의 앞길(10, 11), 어깨부(14), 뒷길(12)에 걸쳐 연속하는 수납부(25)가 형성된다. 수납부(25)의 안감(27)으로서 나일론 직물 등의 보호 천을 이용하여 기낭(3)을 보호하고 있다. 뒷길(12) 중 수납부(25)보다 하방의 영역 (견갑골 상당 영역보다다 하방에 상당) 부분은 메시 천(30)이 이용되고 있다.
외장체(2)의 안감(27)에 수납부(25)의 개구(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33)는 앞 이음부(23, 24)의 가장자리 측의 도중부터, 복부(10A), 흉부(10B), 어깨부(14) 및 뒷길(12) 상연부(上緣部)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33)는 슬라이드·파스너(22)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구(33)의 가장자리부에 속 보호구(34)가 개구(33)를 따라 봉착되어 있다.
도 4는 기낭, 가스 충전 장치, 충전 파이프 및 보호 부재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이것을 신체에 장착한 정면도, 도 6은 도 4의 A-A 단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7은 신체의 어깨에 걸린 상태의 기낭 및 보호 부재의 측면도, 도 8은 신체의 어깨에 걸린 상태의 기낭 및 보호 부재의 단면도, 도 9는 기낭이 팽창하였을 때의 측면 단면도, 도 10은 기낭이 팽창하였을 때의 평면 단면도, 도 11은 보호 부 재의 제2 피복부 및 기낭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12는 가스 충전 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측면 단면도이다. 덧붙여, 도 4에서는 기낭(3)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보호 부재(5) 및 기낭(3) 올린 상태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는 역으로 기낭(3)을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보호 부재(5)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기낭(3)은 상기 가스가 충전되는 것으로 체적 팽창하여 부력이 부여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나일론 직물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시행한 것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2매의 기낭체(40, 40)를 전후로 맞추어 둘레 가장자리를 용착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낭(3)은 신체(H)의 복부로부터 좌우의 흉부에 각각 위치하는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 신체의 좌우의 어깨부(H3)에 각각 위치하여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에 각각 연통하는 좌우의 어깨 기낭부(43, 44) 및 신체(H)의 등부(H4)에 위치하여 좌우의 어깨 기낭부(43, 44) 간에 연통하는 등 기낭부(45)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끼리는 각각 어깨 기낭부(43, 44)를 통하여 등 기낭부(45)에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기낭부(41, 42, 43, 44, 45)로 형성되는 부력 발생용 공간은 연통하고 있다.
보호 부재(5)는 에틸렌-초산염화 비닐,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등을 이용한 발포체로 형성되어 그 자체 부력을 가지는 고형식의 부력체(5A)와, 그 외주(外周)가 나일론 직물이나 폴리에스테르 직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얇은 봉지체(46)로 피복되는 이중 구조이다. 부력체(5A)는 용이하게 휘는 탄력성 (가요성)이 부여되 어 있다.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 중 하부(41a, 42a)의 영역은, 신체(H)에 장착하였을 때에 복부를 거의 전면에서 좌우로부터 덮고 또한 옆구리부를 도중까지 덮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좌우 폭을 각각 가진다.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 중 상부(41b, 42b)는 신체(H)의 좌우 외측이 만곡(彎曲)하도록 노치되어 좁은 폭 형상이 되면서 어깨 기낭부(43, 44)에 이른다. 어깨 기낭부(43, 44)는 신체(H)의 승모근을 덮을 정도의 좌우 폭을 가지고 있다.
상기 가스 충전 장치(6)는 오른쪽의 가슴 기낭부(42) 중 상부(42b)에 배치되어 있다. 충전 파이프(7)는 왼쪽의 가슴 기낭부(41) 중 상부(41b)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 충전 장치(6)는 직방체상의 충전 장치 본체(47)와, 이 충전 장치 본체(47)의 상면에 나사를 끼워 장착된 가스 봄베(48)와, 충전 장치 본체(47) 내의 구동부 (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50)와, 이 조작 레버(50)를 지축(51) 둘레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하는 것)시키는 끈체(52)와, 조작 레버(50)를 비회동으로 유지하는 유지 핀(53)을 가진다. 가스 충전 장치(6)를 기낭(3)에 장착한 상태로, 지축(51)은 충전 장치 본체(47)의 하부이고 또한 신체(H)의 중심에 대하여 외방 측에 위치된다. 조작 레버(50)의 끈체(52)와의 연결부(50b)는 지축(51)보다 상방 측에 위치하고 있다. 충전 장치 본체(47)는 오른쪽의 가슴 기낭부(42)와 연통로(54)를 통하여 연통되고, 이 연통로(54)의 기단부는 충전 장치 본체(47)에 연결 (연통)되며, 연통로(54)의 선단(先端)은 오른쪽의 가슴 기낭부(42)에 삽입되어 장착 부재(54a)를 통하여 가슴 기낭부(42)에 고정되어 있 다. 가스는 이 연통로(54)를 통과하여 오른쪽의 가슴 기낭부(42)로부터 기낭(3) 전체에 충전되어 기낭(3)이 체적 팽창하여 부력이 부여된다.
충전 파이프(7)는 파이프 본체(7a)의 기부(基部)가 왼쪽의 가슴 기낭부(41)의 상부(41b)에 삽입되는 것으로 파이프 본체(7a)가 가슴 기낭부(41)에 연통되고, 가슴 기낭부(41)의 안쪽에서 장착부(7b)를 통하여 가슴 기낭부(41) 중 상부(41b)에 장착되어 있다. 파이프 본체(7a)의 선단에는 탈착 가능한 캡(7c)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긴급 시에 이 캡(7c)을 떼어 공기를 왼쪽의 가슴 기낭부(41)로부터 불어넣는 것으로 기낭(3) 전체에 공기가 들어가 기낭(3)에 부력이 부여된다. 덧붙여, 플로팅 베스트(1)의 통상의 사용 시에서는, 기낭(3)에는 가스 (공기)가 봉입되어 있지 않고, 기낭(3)과 보호 부재(5)가 겹쳐진 상태로 수납부(25)에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특히 충전 장치 본체(47)를 설치하는 상부란, 플로팅 베스트(1, 기낭(3))를 신체(H)에 장착하였을 때, 쇄골(S)보다도 하방이고 또한 신체(H)의 겨드랑이(H2)보다 상방의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는 갯바위 낚시 등을 행할 때에 낚시꾼이 몸을 움직여도 방해가 되기 어려운 (이물의 위화감이 적은) 부분이기 때문이다.
보호 부재(5)는 신체(H)로부터 전후 방향 (흉배(胸背)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의 외방으로부터 기낭(3)을 덮는 제1 피복부(55)와, 제1 피복부(55)로부터 신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낭(3)의 체적 팽창 시에 기낭(3)을 신체(H)의 좌우 방향 외방 (좌우 양 어깨 방향 외방)으로부터 덮는 제2 피복부(56)를 가진다.
제1 피복부(55)는 기낭(3)의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를 덮는 가슴 기낭 피복부(57, 58)와, 기낭(3)의 좌우의 어깨 기낭부(43, 44)를 덮는 어깨 기낭 피복부(60, 61)와, 등 기낭부(45)를 덮는 등 기낭 피복부(62)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피복부(55)는 이것을 기낭(3)의 상기 외방에 겹쳐 대향시켰을 때에, 기낭(3)의 개략 형상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기낭(3)의 외방에 겹쳐 대향시켰을 때에 기낭(3)의 면적에 비하여 넓은 면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가슴 기낭부(41, 42)를 덮는 가슴 기낭 피복부(57, 58)의 좌우 폭은, 다른 피복부(60, 61, 62)에 비하면 기낭부(41, 42, 43, 44, 45)와의 차이는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피복부(55)를 기낭(3)의 면적에 비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기낭(3)의 보호가 확실히 이루어진다. 특히, 가슴 기낭부(41, 42)는 면적이 다른 기낭 부분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하는 가슴 기낭 피복부(57, 58)를 크게 하는 것으로 가슴 기낭부(41, 42)의 체적 팽창에 수반하는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제2 피복부(56)는 어깨 기낭부(43, 44) 및 등 기낭부(45)에 대하여 측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피복부(55)와 제2 피복부(56)의 경계부는 상기 봉지체(46)가 봉착된 봉착부(63)를 통하여 분리되고, 제1 피복부(55)와 제2 피복부(56)에는 각각 별개의 부력체(55A, 55B)가 내장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피복부(56)는 어깨 기낭부(43, 44) 및 등 기낭부(45)를 상태 (常態, 기낭(3)에 가스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피복하고 있다. 이 경우, 봉착부(63)에서 접히는 것으로 제2 피복부(56)가 신체(H) 측에 위치 하도록 피복하고 있다. 덧붙여, 기낭(3) 및 보호 부재(5)는 좌우 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도 10 및 도 11에서는 좌우 중 한쪽을 나타내어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2 피복부(56)는, 봉착부(63)를 중심으로 접어 구부리지 않고 신장시킨 상태 (도 3, 도 4, 도 5)에서는, 신체(H)의 어깨부 중, 특히 쇄골(S) 근처로부터 삼각근에 상당하는 부분, 견갑골의 외측 영역 근처까지,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고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제2 피복부(56)에 있어서, 신체(H)의 견정부(肩頂部)에 상당하는 부분에 상기 봉착부(63)와 직교하는 방향의 다른 봉착부(64)가 형성되고, 제2 피복부(56)의 전측과 후측으로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제2 피복부(56)의 전측과 후측에 별개의 부력체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끈체(52)를 끌어당기는 조작을 하는 것으로 가스 충전 장치(6)로부터 기낭(3)에 가스가 충전된다. 이와 같이, 비상 시에 가스가 기낭(3)에 충전되면, 기낭(3)은 신체(H)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외방을 향하여 팽출 (부풀어 오른다)하도록 체적 팽창한다. 기낭(3)이 체적 팽창하면, 제2 피복부(56)는 수납부(25)에 있어서 외장체(2)에서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제2 피복부(56)는 휘면서 신체(H)로부터 측방을 향하여 멀어지고, 기낭(3)의 체적 팽창에 수반하여 봉착부(63)를 중심으로 외방으로 퍼지는 상태로 되어, 어깨 기낭부(43, 44) 및 등 기낭부(45)를 외방으로부터 덮어 보호하게 된다.
그런데 기낭(3)이 체적 팽창하여, 상기와 같이 제2 피복부(56)가 어깨 기낭부(43, 44) 및 등 기낭부(45)를 외방으로부터 덮은 상태에서도, 제1 피복부(55)와 제2 피복부(56)의 봉지체(46)의 경계부에 봉착부(63)를 설치하고, 봉지체(46)는 얇 기 때문에, 제2 피복부(56)가 제1 피복부(55)에 대하여 프리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신체(H)의 견정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상기 봉착부(63)와 직교하는 방향의 다른 봉착부(64)를 설치하여, 제2 피복부(56)의 전측과 후측으로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제2 피복부(56)의 전측과 후측이 서로 프리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피복부(56)가 제1 피복부(55)에 대하여 프리한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제2 피복부(56)의 전측과 후측을 서로 프리한 상태로 하게 하는 것으로, 비상 시에 플로팅 베스트(1)를 장착하여도 팔의 동작에 부담을 주거나 또는 제2 피복부(56)가 있기 때문에 생기는 움직임의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낭(3)을 장애물과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기낭(3)이 필요한 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2 피복부(56)는 기낭(3)의 체적 팽창 시에도 적어도 좌우의 어깨 기낭부(43, 44)를 측방으로부터 덮을 만한 면적이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래도 제2 피복부(56)가 제1 피복부(55)에 대하여 프리한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제2 피복부(56)의 전측과 후측을 서로 프리한 상태로 하게 하는 것으로, 팔의 동작에 부담을 주거나 제2 피복부(56)가 있기 때문에 생기는 위화감을 일으키거나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플로팅 베스트(1)에서는 외장체(2)에 수납부(25)를 설치하고, 기낭(3) 및 보호 부재(5)를 수납부(25)에 수납하여, 갯바위 낚시 등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기낭(3)에는 가스가 충전되지 않고, 기낭(3)은 편평한 형상이다. 그리고 기낭(3) 내에 가스를 충전하는 것으로 기낭(3)은 체적 팽창하지 만, 이때 기낭(3)은 수납부(25) 내에서 체적 팽창하여, 외부로 노출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기낭(3)의 체적 팽창 (변형)과 함께 수납부(25)도 변형하게 되어, 기낭(3)은 우선 외장체(2)에 의하여 보호되는 상태로 된다.
그런데 비상 시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기낭(3)에 가스 또는 공기를 넣어 기낭(3)이 체적 팽창할 때, 신체(H)는 수면에 있다. 이때, 신체(H)의 몸통 측방에는 통상 팔(H1)이 위치하고, 기낭(3)의 체적 팽창 시에는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는 보호되기 쉽다. 이것에 대하여, 특히 신체(H)의 어깨(H3) 부분에서는 상방에도 측방에도 보호하는 것이 없다. 따라서, 갯바위 등에서 낚시꾼이 수면에 있었을 때에서는, 플로팅 베스트(1)는 부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면 상방으로 부상하는 힘이 작용하여 신체(H)로부터 멀어지기 쉽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바위 등으로 손상을 받기 쉬운 것은 좌우의 어깨 기낭부(43, 44)나 등 기낭부(45)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어깨 기낭부(43, 44)나 등 기낭부(45)가 바위 등으로 손상되면, 기낭(3) 내부의 가스가 새어 부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기낭(3)은 체적 팽창 시의 쪽이, 가스가 미주입된 경우에 비하여 손상을 받는 면적이 커진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보호 부재(5)의 면적을 기낭(3)의 면적보다도 크게 하고 있고, 특히 제2 피복부(56)를 어깨 기낭 피복부(60, 61) 및 등 기낭 피복부(62)에 대하여 측방으로 크게 돌출 연장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기낭(3)의 체적 팽창 시에서도 좌우의 어깨 기낭부(43, 44)나 등 기낭부(45)를 충분히 덮을 만큼의 면적을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외부 측방으로부터의 손상으로부터 어깨 기낭부(43, 44)나 등 기낭부(45)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팅 베스트 (1)의 사용 시, 특히 긴급 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기낭(3)이 체적 팽창하여 부력이 부여되었을 때, 기낭(3)만이 수납부(25)에 수납되어 있었다고 하면, 그 부력에 의하여 기낭(3)이 단독적으로 부상하기 쉬운 상태로 된다. 그러나 기낭(3)에 겹쳐 보호 부재(5)를 탈착 수단에 의하여 이탈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고, 또한 보호 부재(5)의 면적을 기낭(3)의 면적보다도 크게 하여, 특히 제2 피복부(56)를 어깨 기낭 피복부(60, 61) 및 등 기낭 피복부(62)에 대하여 측방으로 크게 돌출 연장하도록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기낭(3)이 단독적으로 부상하여 버린다고 하는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 중 하부(41a, 42a)의 영역은, 신체(H)에 장착하였을 때에 복부를 거의 전면에서 좌우로부터 덮고 또한 옆구리부를 도중까지 덮는 것으로, 복부의 후방에서 연속시키고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부의 후방에서의 부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설치하지 않고, 등 기낭부(45)에 의하여 등 측에서 신체(H)에 대하여 부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수면에서의 신체(H)를 안전한 바람직한 부력 자세, 즉, 수면에서 신체(H)의 머리부 측을 부상시키는 자세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를 복부의 후방에서 연속시키고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그만큼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게 되는 것과 함께, 기낭(3)의 체적 팽창 시에도 플로팅 베스트(1)의 겨드랑이 부분을 신체(H)에 피트(fit)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와 등 기낭부(45)를 좌우의 어깨 기낭부(43, 44)에서 연통하여 기낭(3)을 일체로 하는 것으로 가스 충전 장치(6)를 복수 설치할 필요가 없다.
제1 피복부(55)의 우측의 가슴 기낭 피복부(58)에 가스 충전 장치(6)의 연통로(54)에 관통하는 노치(6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65)는 제2 피복부(56)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가슴 기낭 피복부(57, 58)의 측부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65)도 봉지체(46)의 일부로 피복되어 있다. 기낭(3)에 보호 부재(5)를 겹칠 때, 가스 충전 장치(6)의 충전 장치 본체(47)와 기낭(3) 간에 보호 부재(5)가 삽입되도록, 노치(65)에 연통로(54)를 관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신체(H)에 기낭(3) 및 보호 부재(5)를 통하여 가스 충전 장치(6)가 배치되게 된다.
기낭(3)과 보호 부재(5)를 탈착 가능하게 겹쳐 맞추기 위한 탈착 수단(6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탈착 수단(66)으로서 예를 들어, 기낭(3)과 보호 부재(5, 봉지체(46))의 이음면끼리에 장착한 복수의 훅(70) 등이 이용된다. 이 훅(70)의 배치로서 예를 들어, 기낭(3)과 보호 부재(5)의 둘레 가장자리 모서리부나 둘레 가장자리 도중에 복수 개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보호 부재(5)를 외장체(2)의 수납부(25)에 탈착하기 위한 탈착 수단(67)이 설치되어 있다. 이 탈착 수단(67)으로서 예를 들어, 수납부(25)를 형성하는 천과 보호 부재(5, 봉지체(46))의 이음면에 장착한 복수의 훅(71) 등이 이용된다. 덧붙여, 이들 훅(70, 71)은 예를 들어, 서로 착색을 바꾸는 것으로, 사용자는 망설이는 (틀리는) 일 없이, 기낭(3)과 보호 부재(5)끼리 또는 보호 부재(5)를 외장체(2)에 장착할 수 있다.
기낭(3)과 보호 부재(5)는 탈착 수단(66)에 의하여 겹쳐지도록 하여 장착한 상태에서, 가스 충전 장치(6) 및 충전 파이프(7)와 함께 수납부(25)에 수납된다. 이때, 슬라이드·파스너(22)를 조작하여 개구(33)를 해방하여 두고, 기낭(3)과 보호 부재(5)를 수납부(25)에 두도록 하는 것과 함께, 보호 부재(5)를 탈착 수단(67)의 훅(71)에 의하여 수납부(25)에 고정시키고, 슬라이드·파스너(22)를 닫도록 하는 것으로, 기낭(3)과 보호 부재(5)는 수납부(25)에 확실히 유지된다. 슬라이드·파스너(22)의 개폐를 행할 때, 개구(33)의 가장자리부에 속 보호구(34)가 개구(8)를 따라 봉착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33) 측에 있는 기낭(3)을 슬라이드·파스너(22)에서 끼워 버려 손상시켜 버린다고 하는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나아가, 기낭(3)은 편평하게 그 형상이 정해지지 않지만, 보호 부재(5)는 고형식의 부력체를 가져 형상은 고정되기 쉽기 때문에, 기낭(3)과 보호 부재(5)를 일체로 하는 것으로 기낭(3)을 수납부(25)에 수납하기 쉬워 작업성이 향상한다.
갯바위 낚시 등에 이용하는 먹이 등에 의하여 플로팅 베스트(1)가 더러워져 세탁을 행하는 경우, 기낭(3) 및 보호 부재(5)를 수납부(25)에 수납한 채 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기낭(3)과 보호 부재(5)를 수납부(25)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슬라이드·파스너(22)를 조작하여 개구(33)를 개방하고, 보호 부재(5)에서 탈착 수단(67)의 훅(71)을 떼어내는 것에 의하여, 기낭(3) 및 보호 부재(5)를 용이하게 수납부(25)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기낭(3)과 보호 부재(5)를 분리하는 경우에서는, 탈착 수단(66)의 훅(70)을 떼어내는 것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기낭(3)이나 보호 부재(5)를 교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훅(70, 71)을 떼어내는 것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외장체(2)의 왼쪽 앞길(10)의 상부로부터 뒷길(12)에 걸친, 또한 오른쪽 앞 길(11)의 상부로부터 뒷길(12)에 걸친 부분에, 다방향의 신축성이 풍부한 신축성 천(72), 예를 들어, 클로로프렌이나 폴리우레탄 고무를 짜 넣은 직물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왼쪽 앞길(10)의 상부에 신축성 천(72)을 설치하는 것으로 신축성 천(72)을 충전 파이프(7)에 대향시키고, 신축성 천(72)을 오른쪽 앞길(11)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신축성 천(72)을 가스 충전 장치(6)에 대향시키고 있는 구성을 가진다.
플로팅 베스트(1)의 장착 시에, 충전 파이프(7)나 가스 충전 장치(6)는 신체(H)에 대하여 전방으로 돌출하는 모양이 된다. 그리고 충전 파이프(7)나 가스 충전 장치(6)에 대향하는 부분에 신축성이 작은 천을 설치하고 있으면, 신체(H)의 동작에 따라서는 그 천에 의하여 충전 파이프(7)나 가스 충전 장치(6)가 신체(H)를 압압하는 것으로 위화감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충전 파이프(7)나 가스 충전 장치(6)에 대향하는 부분에 신축성이 풍부한 신축성 천(72)을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이것이 충전 파이프(7)나 가스 충전 장치(6)의 형상에 따라 신축하여 신체(H)를 압압하는 힘을 흡수하기 때문에, 충전 파이프(7)나 가스 충전 장치(6)라고 하는 경질의 이물이 신체(H)의 앞에 있었다고 하여도, 그 존재에 의한 위화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신축성 천(72)의 표측에 리플렉터(reflector)라고 칭하여지는 반사재(74)가 신축성 천(72)의 신축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좌우의 앞길(10, 11)의 가장자리부에 봉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반사재(74)의 광반사에 의하여, 사용자 (신체(H))의 존재가 강조되도록 되는 것과 함께, 외관적으로 뛰어난 플로팅 베스트(1)로 되어 있다.
외장체(2, 수납부(25)를 형성하는 겉감)의 일부, 즉 플로팅 베스트(1)의 팔 통과 개구(8)의 가장자리부에서, 겨드랑이(H2)의 약간 하방에 위치하는 근처에, 절개(7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 충전 장치(6)의 조작 레버(50)를 지축(51) 둘레로 회동시키는 끈체(52)가 상기 절개(75)로부터 도출되어, 그 선단에 끈체(52)를 끌어내릴 때에 사용자가 잡는 손잡이부(76)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개(75)의 위치로부터 끈체(52)를 도출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가스 충전 장치(6)는 상기와 같이 쇄골(S)보다도 하방이고 또한 신체(H)의 겨드랑이(H2)보다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는 것으로부터, 끈체(52), 조작 레버(50) 및 지축(51)의 관계에 있어서, 끈체(52)를 끌어당기는 조작을 할 때의 힘의 작용점이, 가스 충전 장치(6)를 예를 들어, 신체(H)의 등 등에 배치하였을 경우에 비하여 가까운 위치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역점으로부터 작용점까지의 거리를 짧게 한 것에 의하여, 도중에 끈체(52)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이 적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끈체(52)를 끌어당기는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력을 줄일 수 있어, 끈체(52)를 끌어당기는 조작이 하기 쉬워진다.
나아가, 조작 레버(50)의 지축(51)은 충전 장치 본체(47)의 하부이고 또한 신체(H)의 중심의 외방 측 부위에 위치하고 있고, 도 1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조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끈체(52)를 끌어당기는 조작을 할 때, 손잡이부(76)를 잡아 팔(H1)을 무리없이 자연스러운 방향으로 뻗는 것으로, 끈 체(52)를 끌어당기는 조작 방향 P가 가로 방향에 가까운 상태로 되고, 조작 레버(50)의 본체(50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가까운 방향을 향하여 끌어당기는 조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50)를 회동시킬 때에, 끌어당기는 조작력을 조작 레버(50)를 비회동으로 유지하는 유지 핀(53)에 부하시키는 것으로, 이 유지 핀(53)을 약하게 끌어당기는 조작력으로 파괴시킬 수 있게 되고, 구명 시에 용이하고 또한 한층 더 확실히 가스 충전 장치(6)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 플로팅 베스트(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절개(75)의 위치는 손잡이부(76)를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팔(H2)을 굽히면 곧바로 찾아낼 수 있는 위치이며, 이 위치에 손잡이부(76)를 설치하여 두는 것으로, 비상 시에 손잡이부(76)를 용이하게 찾아내어 끈체(52)를 끌어당기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외장체(2)에 수납부(25)를 설치하여 기낭(3) 및 보호 부재(5)를 수납부(25)에 수납하고 있고, 갯바위 낚시 등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통상 상태에서는 기낭(3)에는 가스가 충전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기낭(3)은 편평한 형상이고 또한 기낭(3)은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 좌우의 어깨 기낭부(43, 44) 및 등 기낭부(45)만으로 이루어지며, 보호 부재(5)는 제1 피복부(55) 및 제2 피복부(56)만으로 이루어지고, 가능한 한 작은 면적의 기낭(3) 및 보호 부재(5)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옆구리로부터 그 후방 부분은 외장체(2)의 천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기온이 높을 때의 낚시질에서도 사용자가 무더움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뒷길(12)의 하부를 메시 천으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한층 더 효과적으로 무더움을 느끼는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낭(3)과 보호 부재(5)를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 없이, 기낭(3)과 보호 부재(5)를 일체로 설치하여 조합품으로 하고, 이 조합품을 탈착 수단에 의하여 수납부(25)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교환, 세탁 등의 메인터넌스성은 없지만, 기낭(3)과 보호 부재(5)를 일체로 구비한 조합품을 수납부(25)에 일체로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낭(3)과 보호 부재(5)는 외장체(2)에 외장한 플로팅 베스트(1)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낭(3)과 보호 부재(5)를 일체로 한 형식의 플로팅 베스트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피복부(56)는 어깨 기낭 피복부(60, 61) 및 등 기낭 피복부(62)에 설치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능하다면 좌우의 가슴 기낭부(41, 42)에도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낭이 체적 팽창하였을 때에도 이것을 외방으로부터의 손상에 대하여 보호하게 되기 때문에, 손상에 의하여 기낭으로부터 가스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낭을 확실히 보호하는 것으로 신뢰성이 높은 신체 장착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신체 흉부 또는 신체 등부의 적어도 한 쪽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가스를 충전하는 것으로 체적 팽창하여 부력이 부여되는 기밀성(氣密性)의 기낭(氣囊)과, 상기 기낭을 보호하며 고형식(固形式)이고 또한 탄력성을 가지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신체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의 외방으로부터 상기 기낭을 덮는 제1 피복부와, 상기 제1 피복부로부터 측방(側方)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낭의 체적 팽창 시에 상기 기낭을 측방으로부터 덮는 제2 피복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2. 가스를 충전하는 것으로 체적 팽창하여 부력이 부여되는 기밀성의 기낭과, 상기 기낭을 보호하며 고형식이고 또한 탄력성을 가지는 보호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기낭은 신체의 좌우의 흉부에 각각 위치하는 좌우의 가슴 기낭부, 신체의 좌우의 어깨부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좌우의 가슴 기낭부에 각각 연통하는 좌우의 어깨 기낭부 및 신체의 등부에 위치하여 상기 좌우의 어깨 기낭부 간에 연통하는 등 기낭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보호 부재는 신체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의 외방으로부터 상기 각 기낭부를 덮는 제1 피복부와, 상기 제1 피복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낭의 체적 팽창 시에 상기 기낭을 신체의 좌우 방향 외방으로부터 덮는 제2 피복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복부는 상기 좌우의 어깨 기낭부 및 상기 등 기낭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복부는 상기 기낭의 외방에 대향시켰을 때에 상기 기낭의 면적에 비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 및 상기 보호 부재를 외장하는 외장체가 설치되고, 상기 외장체에 형성한 수납부에 상기 기낭 및 상기 보호 부재가 겹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오른쪽 앞길에서부터 왼쪽 앞길로 뒷길의 상부에 설치한 연속부를 통하여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외장체에 상기 수납부의 형상을 따라 오른쪽 앞길에서부터 왼쪽 앞길로 뒷길의 상부를 통하여 개구(開口)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과 상기 보호 부재가 서로 탈착(脫着) 수단을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이 슬라이드·파스너(slide fastener)이며,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파스너의 이측(裏側)에서 상기 기낭을 덮는 띠상의 속 보호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에 상기 수납부를 따르는 띠상의 신축 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에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기낭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가스 충전 장치가 연통되고, 상기 연통로를 관통하기 위한 노치(notch)가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치에 연통로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기낭에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를 통하여 상기 가스 충전 장치가 상기 기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 및 상기 보호 부재를 외장하는 외장체가 설치되고, 상기 외장체에 형성한 수납부에 상기 기낭 및 상기 보호 부재가 겹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과 상기 보호 부재가 서로 탈착 수단을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에 상기 수납부를 따르는 띠상의 신축 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에 상기 수납부를 따르는 띠상의 신축 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에 상기 수납부를 따르는 띠상의 신축 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에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기낭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가스 충전 장치가 연통되고, 상기 연통로를 관통하기 위한 노치가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치에 연통로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기낭에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를 통하여 상기 가스 충전 장치가 상기 기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에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기낭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가스 충전 장치가 연통되고, 상기 연통로를 관통하기 위한 노치가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치에 연통로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기낭에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를 통하여 상기 가스 충전 장치가 상기 기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에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기낭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가스 충전 장치가 연통되고, 상기 연통로를 관통하기 위한 노치가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치에 연통로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기낭에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를 통하여 상기 가스 충전 장치가 상기 기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에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기낭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가스 충전 장치가 연통되고, 상기 연통로를 관통하기 위한 노치가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치에 연통로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기낭에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를 통하여 상기 가스 충전 장치가 상기 기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에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기낭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가스 충전 장치가 연통되고, 상기 연통로를 관통하기 위한 노치가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치에 연통로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기낭에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를 통하여 상기 가스 충전 장치가 상기 기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에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기낭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가스 충전 장치가 연통되고, 상기 연통로를 관통하기 위한 노치가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치에 연통로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기낭에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피복부를 통하여 상기 가스 충전 장치가 상기 기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장착체.
KR1020050077496A 2004-08-24 2005-08-23 신체 장착체 KR100656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43749A JP4454435B2 (ja) 2004-08-24 2004-08-24 身体装着体
JPJP-P-2004-00243749 2004-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584A KR20060050584A (ko) 2006-05-19
KR100656078B1 true KR100656078B1 (ko) 2006-12-08

Family

ID=3609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496A KR100656078B1 (ko) 2004-08-24 2005-08-23 신체 장착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54435B2 (ko)
KR (1) KR100656078B1 (ko)
CN (1) CN100488836C (ko)
TW (1) TW2006243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4435B2 (ja) 2004-08-24 2010-04-21 株式会社シマノ 身体装着体
JP4834534B2 (ja) * 2006-12-18 2011-12-14 株式会社シマノ 浮力材付き釣り用上着のポケット構造
KR102499772B1 (ko) * 2021-06-02 2023-02-14 대한민국 신체착용식 부력 구명장치
KR102457489B1 (ko) * 2021-07-05 2022-10-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구명동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7999U (ko) 1985-11-22 1987-06-05
JPS62181497U (ko) * 1986-05-12 1987-11-18
KR880019603U (ko) * 1987-04-10 1988-11-28 김동훈 부력옷
JPH02143296U (ko) * 1989-04-28 1990-12-05
JPH038094U (ko) * 1989-06-12 1991-01-25
WO1997011877A2 (en) 1995-09-29 1997-04-03 Hutchwilco Limited Personal floatation devices
JP2006062383A (ja) 2004-08-24 2006-03-09 Shimano Inc 身体装着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7999U (ko) 1985-11-22 1987-06-05
JPS62181497U (ko) * 1986-05-12 1987-11-18
KR880019603U (ko) * 1987-04-10 1988-11-28 김동훈 부력옷
JPH02143296U (ko) * 1989-04-28 1990-12-05
JPH038094U (ko) * 1989-06-12 1991-01-25
WO1997011877A2 (en) 1995-09-29 1997-04-03 Hutchwilco Limited Personal floatation devices
JP2006062383A (ja) 2004-08-24 2006-03-09 Shimano Inc 身体装着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584A (ko) 2006-05-19
JP4454435B2 (ja) 2010-04-21
CN100488836C (zh) 2009-05-20
CN1740052A (zh) 2006-03-01
TWI343886B (ko) 2011-06-21
TW200624328A (en) 2006-07-16
JP2006062383A (ja)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3190B1 (en) Inflatable wet suit
JP4344482B2 (ja) 防護服
KR101546120B1 (ko) 모터사이클 운전자용 에어백 시스템
US20030033659A1 (en) Article of clothing with buoyant material
KR100656078B1 (ko) 신체 장착체
AU2002324525B2 (en) Multi-chambered flotation device
KR100656077B1 (ko) 신체 장착체
AU2002324525A1 (en) Multi-chambered flotation device
JP7008594B2 (ja) 着脱可能な膨張式救命胴衣を備えたハーネス型安全帯
WO2006101317A1 (en) Lifesaving device floating on water
JP4255064B2 (ja) 救命具
KR101003179B1 (ko) 폴리우레탄 에어셀 시트를 이용한 부력 방탄복
JP4217062B2 (ja) 救命具
JP4272950B2 (ja) 防弾救命具
JP2023533589A (ja) 着用可能な保護装置
GB2480255A (en) A lifejacket with an integral chin support
JP4705810B2 (ja) 救命具
KR960010280Y1 (ko) 구명튜브의 공기주입장비식별 및 사용이 용이한 구명복
JP2006015817A (ja) 救命具
JP3182097U (ja) 膨張式ライフジャケットの点検窓
CN112093014B (zh) 一种双封闭干式轻装潜水服
JP3508931B2 (ja) 襟付きライフジャケット
WO2017184195A1 (en) Wearable flotation device
KR20090113512A (ko) 낚시용구 장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