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604B1 -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 도어래치 - Google Patents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 도어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604B1
KR100655604B1 KR1020050128441A KR20050128441A KR100655604B1 KR 100655604 B1 KR100655604 B1 KR 100655604B1 KR 1020050128441 A KR1020050128441 A KR 1020050128441A KR 20050128441 A KR20050128441 A KR 20050128441A KR 100655604 B1 KR100655604 B1 KR 100655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
switched
connection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현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Abstract

본 발명은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션 레버와 락레버간의 결속위치를 변위시켜, 별도 방향전환 수단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사용자의 경험칙과 같이 릴리즈 상태에서는 락노브가 상승하고, 락 상태에서는 락노브의 하강하도록 구성된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 도어래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도어래치, 커넥션 레버, 락레버, 락노브, 방향성, 벨 크랭크

Description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 도어래치{AUTOMOBILE DOOR LATCH}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된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도어래치에서, 커넥션 레버의 절환에 따른 락 상태와 릴리즈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가)는 릴리즈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나)는 락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어래치에서, 커넥션 레버의 절환에 따른 락레버 및 락노브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가)는 릴리즈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나)는 락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자동차용 도어래치
10. 베이스 플레이트 11. 보조편
20. 파울레버 21. 결착단
30. 릴리즈 레버 31. 중앙단
31a. 안내장공
40. 커넥션 레버 41. 일단
50. 락링크 51. 락핀
60. 락레버 61. 링크홈
70. 락로드 71. 락노브
본 발명은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션 레버와 락레버간의 결속위치를 변위시켜, 별도 방향전환 수단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사용자의 경험칙과 같이 릴리즈 상태에서는 락노브가 상승하고, 락 상태에서는 락노브가 하강하도록 구성된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 도어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래치는, 파울의 해정작용에 의해 차량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해정하는 래치모듈과, 커넥션 레버의 절환작용에 의해 상기 래치모듈을 해정을 택일적으로 제어하는 락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모듈의 파울은, 일편에 마련된 파울레버를 통해 내부핸들과 외부핸들과 결속된 릴리즈 레버와 연동되어 래치기어의 해정을 도모하게 되며, 상기 락모듈은, 락레버와 결속된 커넥션 레버의 절환작용에 의해 락링크의 락핀을 변위로, 릴리즈 레버와 파울레버간의 연동(릴리즈) 또는 비연동(락)이 제어되게 된다.
한편, 최근 자동차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락모듈에 스피드락(Speed Lock) 또는 타임락(Time Lock)기능이 도입되어, 일정한 속력이나 시간이 지나면 전동에 의해 커넥션 레버가 역방향으로 절환되어 락상태로 전환되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래치가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충돌시 외충격에 의해 상기 역방향으로 절환된 커넥션 레버가 일방향으로 절환되어, 락노브의 조작없이도 내부핸들 또는 외부핸들의 조작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설계형태가 법제화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래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락레버(60')의 하부(61')에 커넥션 레버(40')의 일단(41')이 링크 결속된 관계로, 커넥션 레버(40')의 일방향 절환시 락로드(70)가 마련된 락레버(60')가 역방향으로 절환되고, 역으로 커넥션 레버(40')가 역방향으로 절환시 락로드(70)가 마련된 락레버(60')가 일방향으로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릴리즈 상태를 위한 커넥션 레버(40')의 일방향 절환시 락레버(60')가 역방향으로 절환됨에 따라 사용자의 경험칙과 반대로 락로드(70)에 마련된 락노브가 하강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당분야에서는 락로드에 별도의 방향 전환수단인 벨 크랭크(미도시)를 마련하여 상기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생산에 따른 부대 비용이 증대시키는 요인일 뿐더러, 설치 공간의 확보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션 레버와 락레버간의 결속위치를 변위시켜 커넥션 레버와 락레버의 절환방향이 동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 방향전환 수단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사용자의 경험칙과 같이 릴리즈 상태에서는 락노브가 상승하고, 락 상태에서는 락노브의 하강하도록 구성된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 도어래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용 도어래치는,
래치모듈이 수용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직교하여 형성된 보조편에는, 락노브가 마련된 락로드를 일측에 편심지게 힌지 결속한 락레버가 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일단이 상기 락레버와 링크 결속되는 것으로 일방향으로 절환되면 래치모듈의 릴리즈 상태를, 역방향으로 절환되면 래치모듈의 락 상태를 택일적으로 구현하는 커넥션 레버가 축 설치된 형태의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레버의 일단을 수직으로 길게 연장하고 락레버의 상측에는 링크홈을 형성하여, 커넥션 레버의 일단이 락레버의 상측에 링크 결속되어서 커넥션 레버와 락레버의 절환방향이 동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릴리즈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커넥션 레버가 일방향 절환되면 락레버도 일방향 절환되어 락로드가 상승궤적을 그리고, 락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커넥션 레버가 역방향 절환되면 락레버도 역방향 절환되어 락로드가 하강궤적을 그리게 되어서, 별도의 방향전환 수단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릴리즈 상태에서는 락노브가 상승하고, 락 상태에서는 락노브가 하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래치는 개구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것으로 파울레버가 마련된 파울이 각각 축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내부핸들 또는 외부핸들의 조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절환되어 상기 파울레버를 연동시켜 절환시키는 릴리즈 레버와, 일단이 락레버가 직교하여 링크 결속된 커넥션 레버가 각각 축 설치된 구조로,
상기 릴리즈 레버의 중앙단에는 안내장공이, 상기 릴리즈 레버의 안내장공의 내측 일편에는 파울레버의 결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션 레버의 타단에는 락핀이 상기 릴리즈 레버의 안내장공에 수용된 락링크가 결속되어,
커넥션 레버의 일방향 절환시 락링크의 락핀이 안내장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릴리즈 레버와 파울레버의 연동상태인 릴리즈 상태로 전환되고, 커넥션 레버의 역방향 절환시 락링크의 락핀이 안내장공의 외측에 형성되어 릴리즈 레버와 파울레버의 비연동상태인 락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하고 있는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 도어래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도어래치에서, 커넥션 레버의 절환에 따른 락 상태와 릴리즈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가)는 릴리즈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나)는 락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어래치에서, 커넥션 레버의 절환에 따른 락레버 및 락노브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가)는 릴리즈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나)는 락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래치(1)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 설치된 커넥션 레버(40)의 절환작용에 의해, 외부핸들과 내부핸들이 결속된 릴리즈 레버(30)와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에 마련된 파울레버(20)간의 연동 또는 비연동이 이루어져, 외부핸들 또는 내부핸들의 조작에 의해 파울레버(20)가 절환되는 릴리즈 상태와, 외부핸들 또는 내부핸들의 조작에 의해 파울레버(20)가 절환되지 아니하는 락 상태가 택일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상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래치(1)는 공지의 것과 같이 스트라이커를 해정하는 래치기어(미도시)와 상기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것으로 파울레버(20)가 마련된 파울(미도시)이 각각 축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 내부핸들 또는 외부핸들의 조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절환되어 상기 파울레버(20)를 연동시켜 절환시키는 릴리즈 레버(30)와, 상기 릴리즈 레버(30)와 락링크(50)를 통해 연결된 커넥션 레버(40)가 각각 축(S1, S2)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보조편(11)에는 커넥션 레버(40)의 일단(41)이 링크 결속된 락레버(60)가 축(S3)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락레버(60)에는, 락노브(71)를 마련한 락노드(70)가 일편에 편심지게 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파울레버(20)는, 파울과 동일축에 설치되어 파울의 절환에 요구되는 작용력을 인가받기 위한 수단으로, 파울레버(20)의 결착단(21)에 작용력이 제공되면 파울은 파울레버(20)와 함께 일방향으로 절환되어 래치기어의 구속상태를 해제하게 되는데, 이러한 파울레버(20)의 절환에 의한 파울의 절환과, 래치기어의 해제작용은 당분야에서 공연히 실시되고 있는 주지관용의 기술인 관계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세한 도면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릴리즈 레버(30)의 중앙단(31)에는 안내장공(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릴리즈 레버(30)의 안내장공(31a)의 내측 일편에는 파울레버(20)의 결착단(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션 레버(40)의 타편에는, 락핀(51)을 릴리즈 레버(30)의 안내장공(31a)에 수용한 락링크(50)가 결속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션 레버(40)가 일방향으로 절환되면, 락링크(50)의 락핀(51)이 안내장공(31a)의 내측에 위치되어 릴리즈 레버(30)와 파울레버(20)간의 연동상태인 릴리즈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는, 사용자가 내부핸들 또는 외부핸들을 조작하여 릴리즈 레버(30)를 일방향으로 절환시키게 되면, 락핀(51)에 의해 파울레버(20)도 함께 연동하여 절환되므로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션 레버(40)가 역방향으로 절환되면, 락링크(50)의 락핀(51)이 안내장공(31a)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릴리즈 레버(30)와 파울레버(20)간의 비연동상태인 락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는, 사용자가 내부핸들 또는 외부핸들을 조작하여 릴리즈 레버(30)를 일방향으로 절환시키더라도, 락핀(51)은 파울레버(20)의 결착단(21) 결착시키지 아니하고 공회전하게 되므로,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션 레버(40)는, 일반적으로 락레버(60)와 키실린더(미도시) 그리고 엑츄에이터(미도시)와 결속되어 절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직교하여 형성된 보조편(11)에 축(S3) 설치된 락레버의 절환에 의해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절환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락레버(60)에는, 락노브(71)를 마련한 락로드(70)가 편심지게 결속되어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락노브(71)를 파지하여 당기게 되면 락레버(60)는 일방향으로 절환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락노브(71)를 누르게 되면 락레버(60)는 역방향으로 절환된다.
그리고 역으로 락레버(60)가 일방향으로 절환되면 락노브(71)가 마련된 락로드(70)는 상승하게 되고, 락레버(60)가 역방향으로 절환되면 락노브(71)가 마련된 락로드(70)는 하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호 링크 결속되는 락레버(60)와 커넥션 레버(40)간의 결속위치를 변위시켜, 락레버(60)와 커넥션 레버(40)의 절환방향이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차용 도어래치(1)의 릴리즈 상태에서는 락레버(60)에 결속된 락로드(70)가 상승하고, 자동차용 도어래치(1)의 락 상태에서는 락레버(60)와 결속된 락로드(70)가 하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넥션 레버(40)의 일단(41)을 수직으로 길게 연장하고 락레버(60)의 상측에 링크홈(61)을 형성하여, 커넥션 레버(40)의 일단(41)이 락레버(60)의 상측에 링크 결속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션 레버(40)가 일방향으로 절환되면 락레버(60)도 일방향으로 절환되고, 또 락노브(71)의 조작에 의해 락레버(60)가 일방향으로 절환되면 커넥션 레버(40)도 일방향으로 절환된다.
그리하여, 도 4의 (가)에서와 같이 릴리즈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커넥션 레버(40)가 일방향 절환되면 락레버(60)도 일방향 절환되어서 락로드(70)가 상승궤적을 그리고, 도 4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락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커넥션 레버(40)가 역방향 절환되면 락레버(60)도 역방향 절환되어 락로드(70)가 하강궤적을 그리게 되어서, 사용자의 일반적인 경험칙과 같이 릴리즈 상태에서는 락노브(71)가 상승되고, 락 상태에서는 락노브(71)가 하강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락노브(71)를 위로 당기게 되면, 커넥션 레버(40)는 일방향으로 절환되어서 릴리즈 상태를 이루게 되고, 또 사용자가 락노브(71)를 누르게 되면, 커넥션 레버(40)는 역방향으로 절환되어서 락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래치(1)는, 벨 크랭크와 같은 별도의 방향 전환수단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사용자의 경험칙과 같이 릴리즈 상태에서는 락노브(71)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락 상태에서는 락노브(71)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 상호 링크 결속되어 절환방향이 서로 역으로 이루어지던 락레버와 커넥션 레버의 형상을 개량하여 결속 위치를 변위시킴으로써, 커넥션 레버와 락레버의 절환방향이 동일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종래와 같이 락로드에 별도 방향전환 수단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사용자의 경험칙과 같이 릴리즈 상태에서는 락노브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락 상태에서도는 락노브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술내용이 접목된 자동차용 도어래치는, 방향전환 수단인 벨 크랭크가 마련된 종래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대비하여, 제품생산에 따른 부대비용이 저감되고 또 구조의 간소화를 꾀함으로써,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 등이 제공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래치는, 종래 양산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바로 접목시켜, 상기한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2)

  1. 래치모듈이 수용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직교하여 형성된 보조편에는, 락노브가 마련된 락로드를 일측에 편심지게 힌지 결속한 락레버가 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일단이 상기 락레버와 링크 결속되는 것으로 일방향으로 절환되면 래치모듈의 릴리즈 상태를, 역방향으로 절환되면 래치모듈의 락 상태를 택일적으로 구현하는 커넥션 레버가 축 설치된 형태의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레버의 일단을 수직으로 길게 연장하고 락레버의 상측에는 링크홈을 형성하여, 커넥션 레버의 일단이 락레버의 상측에 링크 결속되어서 커넥션 레버와 락레버의 절환방향이 동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릴리즈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커넥션 레버가 일방향 절환되면 락레버도 일방향 절환되어 락로드가 상승궤적을 그리고, 락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커넥션 레버가 역방향 절환되면 락레버도 역방향 절환되어 락로드가 하강궤적을 그리게 되어서, 별도의 방향전환 수단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릴리즈 상태에서는 락노브가 상승하고, 락 상태에서는 락노브가 하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용 도어래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도어래치는 개구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것으로 파울레버가 마련된 파 울이 각각 축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내부핸들 또는 외부핸들의 조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절환되어 상기 파울레버를 연동시켜 절환시키는 릴리즈 레버와, 일단이 락레버가 직교하여 링크 결속된 커넥션 레버가 각각 축 설치된 구조로,
    상기 릴리즈 레버의 중앙단에는 안내장공이, 상기 릴리즈 레버의 안내장공의 내측 일편에는 파울레버의 결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션 레버의 타단에는 락핀이 상기 릴리즈 레버의 안내장공에 수용된 락링크가 결속되어,
    커넥션 레버의 일방향 절환시 락링크의 락핀이 안내장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릴리즈 레버와 파울레버의 연동상태인 릴리즈 상태로 전환되고, 커넥션 레버의 역방향 절환시 락링크의 락핀이 안내장공의 외측에 형성되어 릴리즈 레버와 파울레버의 비연동상태인 락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용 도어래치.
KR1020050128441A 2005-12-23 2005-12-23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 도어래치 KR100655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441A KR100655604B1 (ko) 2005-12-23 2005-12-23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 도어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441A KR100655604B1 (ko) 2005-12-23 2005-12-23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 도어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5604B1 true KR100655604B1 (ko) 2006-12-11

Family

ID=3773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441A KR100655604B1 (ko) 2005-12-23 2005-12-23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 도어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07B1 (ko) 2009-09-29 2011-03-16 평화정공 주식회사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07B1 (ko) 2009-09-29 2011-03-16 평화정공 주식회사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3825C2 (ru) Автомобиль и дверной замок для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WO2006003356A8 (en) Latch arrangement
US9140038B2 (en) Door lock system
JP392104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2602981B1 (ko) 차량용 후드 래치 장치
CN104100155B (zh) 车门锁系统
JP2019123452A (ja) グラブボックス
KR100655604B1 (ko) 락노브의 방향성이 확보된 자동차 도어래치
KR100622727B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래치어셈블리
KR100351359B1 (ko) 도난방지구조를 갖춘 차량용 도어
KR20090064225A (ko) 자동차 도어래치의 오버라이드 구조
KR100604611B1 (ko) 프리휠형 락레버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EP3783173B1 (en) A vehicle door comprising a power child lock device
KR100786541B1 (ko) 휠 레버형 차량용 테일 게이트 래치
KR100444662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핀결합 연계형 래치 구조
KR100939187B1 (ko) 도난 방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차량용 도어래치
KR100610928B1 (ko) 자동차 도어 로커 장치
KR200425943Y1 (ko) 내부 손잡이 유닛이 마련된 차량용 테일 게이트의 래치
JP5970254B2 (ja) 車両ドア開閉装置
KR200141384Y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KR100573497B1 (ko) 비상 손잡이 일체형 트렁크 리드래치
KR100600431B1 (ko) 피니언기어에 의한 직선이송의 센트럴락 구조를 갖는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KR100372413B1 (ko) 안전 노브 기능을 겸한 차량용 도어의 오픈핸들
KR200247113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잠금장치
KR20040076058A (ko) 데드락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