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409B1 -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409B1
KR100655409B1 KR1020050091299A KR20050091299A KR100655409B1 KR 100655409 B1 KR100655409 B1 KR 100655409B1 KR 1020050091299 A KR1020050091299 A KR 1020050091299A KR 20050091299 A KR20050091299 A KR 20050091299A KR 100655409 B1 KR100655409 B1 KR 100655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nclined surface
housing
fixing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1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행중 충돌시 발생되는 고정부재를 상승시켜 트레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트레이(20)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22)와, 상기 트레이(20)가 끼워지는 하우징(10)의 저면에 설치된 박스(40)와, 상기 박스(40)의 내부에 스프링(51)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면에는 경사면(52)을 갖는 이동부재(50)와, 상기 이동부재(50)의 경사면(52)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의 저면에 설치된 승강부재(6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차량, 트레이, 스토퍼, 승강부재, 이동부재, 스프링

Description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Tray fixing device for car}
도1은 종래의 트레이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트레이
22 : 스토퍼 40 : 박스
50 : 이동부재 51 : 스프링
52, 61 : 경사면 60 : 승강부재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중 충돌시 발생되는 고정부재를 상승시켜 트레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일측에는 각종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트레이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에는 트레이(2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랫치(30)가 설치되어 있되, 랫치(30)의 내부에는 고정편(3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트레이(20)의 후방에는 랫치(3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걸림편(2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트레이(20)를 하우징(1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상기 트레이(20)의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편(21)이 랫치(30)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랫치(30)에 설치된 고정편(31)이 걸림편(21)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레이(20)를 개방시킬 때에는 상기 트레이(20)를 밀면 랫치(30)에 설치된 고정편(31)과 걸림편(21)의 결합력이 해제되므로 상기 트레이(20)는 개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트레이(20)는 차량 주행 중 충격력 발생시 트레이(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강구되지 않았으므로,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서 트레이(20)가 인출되어 트레이(20)에 보관된 물품이 외부로 인출되어 분실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트레이(20)에 탑승객이 접촉되어 상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트 레이의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편을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여 충돌 발생시 트레이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는 트레이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트레이가 끼워지는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된 박스와, 상기 박스의 내부에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면에는 경사면을 갖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경사면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된 승강부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레이(20)의 저면에 스토퍼(2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트레이(20)가 끼워지는 하우징(10)의 저면에는 박스(4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박스(40)의 내부에는 트레이(20)가 개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부재(5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이동부재(50)의 양단에는 스프링(51)이 탄력 설치되어 있고, 이동부재(50)의 상면에는 경사면(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50)의 경사면(52)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의 저면에는 승강부재(6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승강부재(60)의 저면에는 이동부재(50)에 형성된 경사면과(52) 대응되는 또 다른 경사면(6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이 정상 상태 즉,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부재(50)가 양단에 설치된 스프링(51)에 의해서 박스(40)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것이며, 이때 하우징(10)의 저면에 설치된 승강부재(60)는 하부로 이동되어, 그 승강부재(60)의 상단부는 트레이(20)의 저면에 설치된 스토퍼(22)의 하단부 보다 낮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트레이(20)를 개폐시킬 때 스토퍼(22)와 승강부재(60)가 간섭되지 않게 되므로 트레이(20)를 원활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차량 주행중 충격력이 발생하면 이동부재(50)는 관성력에 의해서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측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이동부재(50)가 이동됨에 따라서, 이동부재(50)에 형성된 경사면(52)은 승강부재(60)에 형성된 경사면(61)과 접촉되므로 상기 승강부재(60)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승강부재(60)의 상단부는 스토퍼(22)의 하단부 보다 높게 이동된다.
따라서, 충격력에 의해서 트레이(20)를 고정시키는 랫치(30)의 고정력이 해제될 경우 트레이(20)가 이동되면, 그 트레이(20)의 저면에 설치된 스토퍼(22)는 승강부재(60)에 접촉되어 상기 트레이(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50)는 충격발생 후 소정시간 이후에는 스프링(51)의 복 원력에 의해서 초기상태로 복원되므로, 상기 이동부재(50)에 의해서 상승된 승강부재(60)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서 트레이를 고정시키는 랫치의 고정력이 해제될 경우 관성력에 의해서 상승되는 승강부재에 의해서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형성된 스토퍼가 지지되므로 트레이의 개방으로 인한 승객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트레이(20)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22)와, 상기 트레이(20)가 끼워지는 하우징(10)의 저면에 설치된 박스(40)와, 상기 박스(40)의 내부에 스프링(51)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면에는 경사면(52)을 갖는 이동부재(50)와, 상기 이동부재(50)의 경사면(52)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의 저면에 설치된 승강부재(6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60)의 저면에는 이동부재(50)에 형성된 경사면(52)에 대응되도록 또 다른 경사면(6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
KR1020050091299A 2005-09-29 2005-09-29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 KR100655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299A KR100655409B1 (ko) 2005-09-29 2005-09-29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299A KR100655409B1 (ko) 2005-09-29 2005-09-29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5409B1 true KR100655409B1 (ko) 2006-12-08

Family

ID=3773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299A KR100655409B1 (ko) 2005-09-29 2005-09-29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4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916B1 (ko) 2001-12-24 2004-07-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열림 방지 구조를 가지는 푸쉬형 트레이
KR20050093188A (ko) * 2004-03-18 2005-09-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푸시형 수납장치
KR20060025051A (ko) * 2004-09-15 2006-03-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 열림방지장치
KR100613718B1 (ko) 2005-05-12 2006-08-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레이 열림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916B1 (ko) 2001-12-24 2004-07-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열림 방지 구조를 가지는 푸쉬형 트레이
KR20050093188A (ko) * 2004-03-18 2005-09-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푸시형 수납장치
KR20060025051A (ko) * 2004-09-15 2006-03-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 열림방지장치
KR100613718B1 (ko) 2005-05-12 2006-08-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레이 열림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22181A1 (en) Lateral shock absorber and child car safety seat therewith
US9975493B2 (en) Vehicular console device
WO2008075622A1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のリッドロック構造
KR20060050382A (ko) 가감속기구 및 상기 가감속기구를 구비한 차량용 소품함
KR101172576B1 (ko) 이동체의 로크기구
JP2004149025A (ja) 自動車の小物入れ兼用カップホルダ装置
ES2256384T3 (es) Un conjunto de receptaculo con una caja que esta montada de forma pivotable en una carcasa.
KR100655409B1 (ko) 차량용 트레이 고정장치
KR100683227B1 (ko) 돌출형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KR100553100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잠금기구
CN109979419B (zh) 盖开闭装置及键盘乐器
JP2018001982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9161094A (ja) ドア装置
KR100590949B1 (ko) 자동차용 플로워 콘솔의 상해 방지 구조
KR20110126423A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열림 방지 장치
KR100602673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슬라이드구조
CN111251964A (zh) 汽车用杯架
KR100944881B1 (ko) 자동차용 트레이 잠금장치
KR101052831B1 (ko) 암레스트의 팝업장치
KR100756968B1 (ko) 차량용 콘솔의 록킹 장치
KR100654984B1 (ko) 차량용 트레이의 댐퍼구조
KR101234322B1 (ko) 차량용 트레이의 안전장치
JP4849946B2 (ja) カップホルダ
KR100523581B1 (ko) 글로브 박스 구조
KR20160044831A (ko) 차량용 트레이 열림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