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976B1 -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976B1
KR100654976B1 KR1020050087201A KR20050087201A KR100654976B1 KR 100654976 B1 KR100654976 B1 KR 100654976B1 KR 1020050087201 A KR1020050087201 A KR 1020050087201A KR 20050087201 A KR20050087201 A KR 20050087201A KR 100654976 B1 KR100654976 B1 KR 10065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air cleaner
anion
negative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01D46/004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containing fixed gas displacement element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의 케이스를 일부 개방시 회동편을 회동시키며 음이온 발생핀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커버링(covering)함으로써 신체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상해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 음이온 발생핀, 노출방지부재, 회동편, 토션 스프링

Description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structure of covering a negative ion generator in an air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내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핀을 커버링하기 위한 노출방지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방지부재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9: 개방홀
20: 음이온 발생핀 30: 격벽
40: 커버 50: 노출방지부재
51: 힌지핀 52: 회동편
53: 삽입홀 55: 절곡돌기
56: 토션 스프링 57: 누름바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의 케이스를 일부 개방시 회동편을 회동시키며 음이온 발생핀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커버링(covering)함으로써 신체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상해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해물질의 과다한 배출로 인하여 대기 환경이 많이 오염되고, 실내의 공기 또한 흡연이나 각종 오염물질로 인하여 심하게 오염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 등에 감염된 공기가 실내에 존재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병원과 연구실 등과 같은 곳에서는 실내공기 중에 세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러한 실내의 오염은 인체에 정신적, 육체적으로 악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공기 정화용으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팬과 필터를 통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 등을 집진하는 집진장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오염 때문에 감소된 음이온을 회복시키기 위해 정전극과 부전극 사이에 고전압을 가하여 만들어진 다량의 전자로 방전 주변의 공기를 이온화하는 코로나 방전방식의 음이온 발생기가 이용된다.
그런데, 종래 음이온 발생기는 신체와 접촉할 경우 고전압으로 인해 상해를 입을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공기청정기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하여 공기청정기의 커버를 열 경우 마이크로 스위치가 작동되며 고전압 변환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접촉을 피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공기청정기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별도로 설치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공기청정기의 케이스 내부에 토션 스프링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편을 구비함으로써 케이스의 개방된 개방홀을 밀폐하고 있는 커버를 제거시 회동편의 회동으로 인해 음이온 발생핀을 커버링함에 따라 신체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핀을 내부에 고정 설치하고, 바닥면에서 상기 음이온 발생핀의 설치위치까지 격벽을 돌출하며, 상기 격벽과 측벽 사이의 공간만큼 상면에 개방홀을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격벽과 측벽의 끝단과 선택적으로 접하며 상기 케이스의 개방홀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커버를 분리시 상기 음이온 발생핀을 덮어 신체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노출방지부재로 구성되는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노출방지구조로서 커버의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에 삽입되어 상기 개방홀을 밀폐한 상기 커버의 내측벽에 일단을 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제거시 회동하며 상기 음이온 발생핀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회동편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연장되어 개방홀을 밀폐시 회동편의 타단부를 눌러 상호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내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핀을 커버링하기 위한 노출방지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방지부재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0)는 전면에 흡입그릴(12)을 형성하고, 상측에 토출그릴(1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는 흡입그릴(12)에 인접한 내부에 필터부(16)를 구비하여 흡입그릴(12)을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미세먼지 등을 포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토출그릴(14)에 인접한 내부에 송풍부(18)를 구비함으로써 흡입그릴(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된 공기를 토출그릴(14)로 안내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는 송풍부(18) 후측에 음이온 발생핀(20)을 구비하여 토출그릴(14)로 안내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방사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필요시 개방될 경우 개방된 음이온 발생핀(20)에 의해 신체의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노출방지부재(50)를 별도로 구비한다.
즉, 상기 케이스(10)는 토출그릴(14)에 인접한 상면에 개방홀(19)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는 송풍부(18)의 후측에 해당하는 바닥면에서 음이온 발생핀(20)의 높이까지 격벽(30)을 돌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음이온 발생핀(20)은 송풍부(18)와 격벽(30)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개방홀(19)은 커버(40)에 의해 개폐된다.
즉, 상기 커버(40)는 격벽(30)과 케이스(10)의 측벽(11)과 접하며 케이스(10) 내부를 밀폐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제거시 개방홀(19)을 개방한다.
특히, 상기 커버(40)와 격벽(30) 및 측벽(11)의 접하는 부위에는 단턱(40a,30a,11a)이 형성되어 서로 꽉 끼이게 됨으로써 커버(40)의 요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노출방지부재(50)는 힌지핀(51), 회동편(52), 토션 스프링(56) 및 누름바(57)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출방지부재(50)의 힌지핀(51)은 격벽(30)과 측벽(11) 사이에 해당하는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음이온 발생핀(20)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편(52)은 하부로 지지편(52a)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52a)은 삽입홀(53)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힌지핀(51)이 삽입홀(53)에 끼워진다.
상기 지지편(52a)이 없게 되면, 회동편(52)의 중심이 격벽(30)의 상단보다 낮기 때문에 회동편(52)이 커버(40)의 내부에 수용되기 위해서는 많이 기울어져야 함에 따라 토션 스프링(56)의 압축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편(52)은 커버(40)의 제거시 회동하며 음이온 발생핀(20)의 상부를 커버링하는데, 그 끝단에 하향 절곡된 절곡돌기(55)를 연장 형성하여 개방된 음이온 발생핀(20)의 외측까지 커버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편(52)은 격벽(30)의 상단에 닿음으로써 음이온 발생핀(20)과의 직접적 접촉을 방지한다.
상기 토션 스프링(56)은 힌지핀(51)에 삽입되며, 일단을 격벽(30)의 내측에 접하고 타단을 회동편(52)에 접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회동편(52)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누름바(57)는 커버(40)의 하측에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바(57)는 커버(40)로 개방홀(19)을 닫을시 회동편(52)의 타단부를 눌러 토션 스프링(56)을 압축하면서 회동편(52)의 일단부를 들어올려 커버(4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커버(40)는 개방홀(19)을 밀폐시 회동편(52)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누름바(57)는 커버(40)의 둘레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상세한 작동을 설명한다.
최초, 커버(40)가 케이스(10)의 개방홀(19)을 밀폐한 상태에서 커버(40)의 누름바(57)가 회동편(52)의 타단부를 눌러 힌지핀(51)에 대해 회동편(52)을 하향 경사지게(도 1에서 봤을 때)한다.
이때, 상기 회동편(52) 특히 절곡돌기(55)는 커버(40)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토션 스프링(56)은 압축된다.
이 후, 필요에 따라 케이스(10)의 개방홀(19)을 개방해야 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가 상부로 들리게 되면, 누름바(57)가 회동편(52)을 누르는 힘이 서서히 제거됨에 따라 압축되었던 토션 스프링(56)이 원상 복귀하려는 힘에 의해 힌지핀(51)에 대해 회동되는 지지편(52a)과 일체인 회동편(52)은 힌지핀(51)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도 3에서 봤을 때) 회동된다.
이때, 상기 회동편(52)의 일단부 둘레는 격벽(30)의 상단에 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회동편(52)이 직접적으로 음이온 발생핀(20)에 접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40)가 서서히 개방홀(19)을 밀폐하게 되면, 누름바(57)가 회동편(52)의 타단부를 누르면서 하향 경사지게 하기 때문에 커버(40)가 격벽(30) 및 측벽(11)에 접할시 회동편(52)의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도 1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에 의하면, 공기청정기의 케이스 내부에 간단한 구조의 회동편을 구비하여 케이스의 개방시 음이온 발생핀을 커버링하게 설치함에 따라 음이온 발생핀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편은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케이스에서 커버를 제거함과 동시에 음이온 발생핀을 커버링하기 때문에 별도로 회동편을 회동시키면서 음이온 발생핀을 커버링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동편은 끝단에 하향 절곡되는 절곡돌기를 연장 형성하여 음이온 발생핀의 개방된 둘레까지 커버링하여 음이온 발생핀의 노출부위를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음이온 발생핀을 내부에 고정 설치하고, 바닥면에서 상기 음이온 발생핀의 설치위치까지 격벽을 돌출하며, 상기 격벽과 측벽 사이의 공간만큼 상면에 개방홀을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격벽과 측벽의 끝단과 선택적으로 접하며 상기 케이스의 개방홀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커버를 분리시 상기 음이온 발생핀을 덮어 신체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노출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이에 접하는 격벽 및 측벽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방지부재는 상기 커버의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 치된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지지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방홀을 밀폐한 상기 커버의 내측벽에 일단을 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제거시 회동하며 상기 음이온 발생핀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회동편과;
    상기 커버의 하부에 연장되어 상기 개방홀을 밀폐시 상기 회동편의 타단부를 눌러 상호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은 일단에 절곡돌기를 하향되게 연장 형성하여 상기 음이온 발생핀의 개방된 측부의 노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은 상기 커버의 제거시 상기 회동편을 상기 격벽의 끝단까지 탄성적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힌지핀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격벽의 내측에 접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회동편의 하부에 접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KR1020050087201A 2005-09-20 2005-09-20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KR10065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201A KR100654976B1 (ko) 2005-09-20 2005-09-20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201A KR100654976B1 (ko) 2005-09-20 2005-09-20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976B1 true KR100654976B1 (ko) 2006-12-08

Family

ID=3773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201A KR100654976B1 (ko) 2005-09-20 2005-09-20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42B1 (ko) 2012-06-25 2013-11-18 강창환 음이온 발생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67A (ko) * 1999-07-05 2002-04-17 코지 안노 공기 청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67A (ko) * 1999-07-05 2002-04-17 코지 안노 공기 청정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2906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42B1 (ko) 2012-06-25 2013-11-18 강창환 음이온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1206A (ko)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
JP3691218B2 (ja) 空気清浄機
KR100654976B1 (ko)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JPH11244206A (ja) 真空掃除機用本体の紫外線ランプ設置構造
KR20100077951A (ko) 에어컨의 전기집진기
KR20190000367U (ko) 실외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공기정화기
JP2004168372A (ja) 蓋体の取付構造
JP4381994B2 (ja) 空気調和機の空気清浄装置
JP2001054562A (ja) 空気清浄機
KR100902232B1 (ko) 공기청정기
JP3670799B2 (ja) 空気清浄機
KR100689908B1 (ko) 이물질 제거용 커버를 갖는 공기청정기
JPH05317627A (ja) 空気清浄器
JP3703612B2 (ja) 空気清浄機
KR101076941B1 (ko) 공기청정기
KR101191412B1 (ko) 집진장치
CN217302942U (zh) 一种油烟机
KR20030083189A (ko) 공기조화기
JPH10296126A (ja) 空気清浄器
JP4461524B2 (ja) 空気清浄機
JPH1157530A (ja) 空気清浄機
KR200328568Y1 (ko) 먼지봉투의 존재유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동작하는진공 청소기
JP2000005540A (ja) 空気清浄機のフィルタ取付構造
JPS5843943Y2 (ja) 自動車用空気清浄機
JP3608959B2 (ja) 空気清浄装置用蓋体の取付構造及び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