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568Y1 - 먼지봉투의 존재유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동작하는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먼지봉투의 존재유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동작하는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568Y1
KR200328568Y1 KR20-2003-0020717U KR20030020717U KR200328568Y1 KR 200328568 Y1 KR200328568 Y1 KR 200328568Y1 KR 20030020717 U KR20030020717 U KR 20030020717U KR 200328568 Y1 KR200328568 Y1 KR 200328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ag
vacuum cleaner
dust
conductive wire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3-0020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5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72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combined with security means, e.g. for preventing use, e.g. in case of absence of the ba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 내에 먼지봉투가 없는 경우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모터의 동작을 멈추게 함으로써, 모터의 손상을 예방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진공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에 장착되는 먼지봉투의 평판 일측 가장자리에는 절개홈이 움푹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절개홈의 중간에는 도전성 와이어가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배치되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먼지봉투를 고정시키기 위한 먼지봉투 홀더의 일면상에는 제 1 끼움돌기와 제 2 끼움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이때 제 2 끼움돌기들 사이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며, 먼지봉투가 먼지봉투 홀더의 일면에 장착되는 경우, 도전성 와이어의 중간 부분이 감지센서와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감지센서는 먼지봉투의 존재를 확인하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먼지봉투의 존재유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동작하는 진공 청소기{Vaccuum cleaner capable of automatically ascertaing the existence of a dust filter bag}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 내에 먼지봉투가 없는 경우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모터의 동작을 멈추게 함으로써, 모터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바닥이나 가구 등에 쌓여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청소할때에 사용하는 진공 청소기는 저압부(低壓部)의 흡수력을 이용하여 먼지 등을 빨아들인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청소기는 실내의 구석구석을 청소하기에 편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넓은 거실을 청소할 때는 코드선을 벽면에 설치한 콘센트에 꽂고 구석구석 밀고 다니면서 먼지를 깨끗이 흡수시키고, 청소가 끝나면 스위치를 끄고 코드를 뺀 다음 먼지상자의 뚜껑을 열고 쌓인 먼지를 털어내거나 또는 먼지봉투 내에 임계량의 먼지가 수거될 때까지 그대로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진공 청소기는 기본적으로 흡입구, 모터, 회전날개, 먼지봉투, 먼지받이 케이스, 배기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정류자 전동기로 회전날개를 1만회 이상 회전시켜서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다음 먼지나 찌꺼기를 흡입구를 통해 빨아들인다. 이때 빨아들인 먼지나 찌꺼기 등은 먼지봉투에서 걸러주고 공기는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먼지봉투 내에 임계량의 먼지나 이물질이 쌓여서 먼지봉투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먼지봉투를 꺼내어 포화된 먼지봉투와 교환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포화된 먼지봉투를 제거한후 그대로 진공청소기 본체의 커버를 닫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만일, 먼지봉투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켜 청소를 하게 되면, 먼지나 이물질 등이 모터쪽으로 유기되어 모터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된다.
따라서, 먼지봉투의 존재유무를 감지하여 진공 청소기의 작동모드를 제어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 청소기 내에 먼지봉투가 없는 경우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모터의 동작을 멈추게 함으로써, 모터의 손상을 예방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먼지봉투의 사시도, 그리고
도 3a 및 3b는 도 2에 도시된 먼지봉투가 진공 청소기의 집진실 내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진공 청소기 11 : 본체
12 : 먼지봉투 홀더 13a,13b : 끼움돌기
14 : 본체 커버 20 : 먼지봉투
22 : 평판 24 : 투과성 페이퍼
23 : 절개홈 25 : 돌출부
30 : 도전성 와이어 40 : 감지센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에서 일면이 먼지봉투 홀더에 끼워맞추어지는 방식으로 장착되고 먼지나 이물질을 수거하는 먼지봉투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봉투는 평판, 평판의 일면에 부착되어 평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투과성 페이퍼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평판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절개홈이 상기 관통공 쪽으로 움푹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중간에는 도전성 와이어가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배치되고, 이에 의해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먼지봉투 홀더의 상기 일면상에는 제 1 끼움돌기 및 제 2 끼움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끼움돌기들 사이에는 감지센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그 양단이 상기 절개홈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에 삽입하여 끼워진다.
상기 먼지봉투가 상기 먼지봉투 홀더의 일면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중간 부분이 상기 감지센서와 접촉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와 접촉하여 상기 먼지봉투의 존재를 확인하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의 집진실 내에 먼지봉투가 없는 경우에 감지센서가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구동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구조가 간단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10)의 본체(11) 내에는 먼지나 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먼지봉투(20)가 배치된다. 먼지봉투(20)는 먼지봉투 홀더(12)에 일면이 끼워맞추어져서 장착된다. 먼지봉투 홀더(12)에 고정 배치된 먼지봉투(2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커버(14)에 의해서 폐쇄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먼지봉투(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먼지봉투(20)는 단단한 종이로 이루어진 평판(22), 평판(22)의 일면에 부착되어 평판(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투과성 페이퍼(24)을 포함한다. 평판(22)의 중앙에는 관통공(21)이 형성되는데, 관통공(21)은 진공 청소기가 동작할 때 모터에 의해서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의 유동통로가 된다.
이때, 평판(22)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절개홈(23)이 관통공(21) 쪽으로 움푹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절개홈(23)의 중간에는 도전성 와이어(30)가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배치된다. 즉, 도전성 와이어(30)는 그 양단이 절개홈(23)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25)에 삽입하여 끼워지고, 이에 의해 절개홈(23)을 가로질러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도전성 와이어(30)의 중간 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도 3a 및 3b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먼지봉투(20)가 진공 청소기(10)의 먼지봉투 홀더(12)에 장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봉투(20)는 먼지봉투 홀더(12)의 일면상에 돌출하여 형성된 제 1 끼움돌기(13a) 내로 먼지봉투(20)의 4개 가장자리중 대칭적인 2개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또한, 나머지 2개의 가장자리중 하나가 먼지봉투 홀더(12)의 일면상에 돌출하여 형성된 제 2 끼움돌기(13b) 내로 삽입된다.
이때, 먼지봉투 홀더(12)의 일면에서 제 2 끼움돌기(13b)들 사이에는 감지센서(40)가 배치된다. 따라서, 먼지봉투(20)가 먼지봉투 홀더(12)의 일면상에 장착되는 경우, 먼지봉투(20)의 절개홈(23)을 가로질러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도전성 와이어(30)의 중간 부분이 감지센서(40)와 접촉하게 된다. 감지센서(40)는 먼지봉투(20)의 도전성 와이어(30)와 접촉하여 먼지봉투(20)의 존재를 알리는 감지신호를 발생시켜서 진공 청소기(10)의 마이컴(도시되지 않음)으로 전달하게 된다.
진공 청소기(10)의 마이컴은 감지센서(40)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진공 청소기 모터의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작동개시신호를 인가하여 모터를 작동시키게 된다.
만일, 먼지봉투(20) 내에 수거된 먼지나 기타 이물질의 양이 임계치 이상이어서 진공 청소기(10)의 사용자가 먼지봉투(20)를 제거한 후 부주의로 인하여 새로운 먼지봉투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 커버(14)를 닫고 진공 청소기(10)를 구동시키게 되면, 먼지봉투 홀더(12)의 일면상에 장착된 감지센서(40)는 그 사실을 감지하여 진공 청소기(10)의 마이컴(도시되지 않음)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마이컴은 스위칭부(도시되지 않음)로 신호를 인가하여 외부 동력원으로부터 진공 청소기 모터의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시켜서 모터가 동작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10)의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10)가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먼지봉투(20)의 부재사실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의 집진실 내에 먼지봉투가 없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구동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시키므로, 모터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봉투의 교체시 진공 청소기의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하여 새로운 먼지봉투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공 청소기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도 이러한 사실을 자동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진공 청소기(10)의 본체(11) 내에서 일면이 먼지봉투 홀더(12)에 끼워맞추어지는 방식으로 장착되고 먼지나 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먼지봉투(20)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봉투(20)는 평판(22), 상기 평판(22)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평판(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투과성 페이퍼(24)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22)의 중앙에는 관통공(21)이 형성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평판(22)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절개홈(23)이 상기 관통공(21) 쪽으로 움푹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23)의 중간에는 도전성 와이어(30)가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배치되고, 이에 의해 상기 도전성 와이어(30)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먼지봉투 홀더(12)의 상기 일면상에는 제 1 끼움돌기(13a) 및 제 2 끼움돌기(13b)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끼움돌기(13b)들 사이에는 감지센서(4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30)는 그 양단이 상기 절개홈(23)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25)에 삽입하여 끼워지고, 상기 제 1 끼움돌기(13a) 내로 상기 먼지봉투(20)의 4개 가장자리중 대칭적인 2개의 가장자리가 끼워지고 이와 동시에 나머지 2개의 가장자리중 하나가 상기 제 2 끼움돌기(13b) 내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먼지봉투(20)가 상기 먼지봉투 홀더(12)의 일면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와이어(30)의 중간 부분이 상기 감지센서(40)와 접촉하게 되고, 이때 상기감지센서(40)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30)와 접촉하면서 상기 먼지봉투(20)의 존재를 확인하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KR20-2003-0020717U 2003-06-30 2003-06-30 먼지봉투의 존재유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동작하는진공 청소기 KR200328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717U KR200328568Y1 (ko) 2003-06-30 2003-06-30 먼지봉투의 존재유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동작하는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717U KR200328568Y1 (ko) 2003-06-30 2003-06-30 먼지봉투의 존재유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동작하는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568Y1 true KR200328568Y1 (ko) 2003-09-29

Family

ID=4941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717U KR200328568Y1 (ko) 2003-06-30 2003-06-30 먼지봉투의 존재유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동작하는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5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4984A (zh) * 2022-04-18 2022-07-29 深圳市无限动力发展有限公司 集尘器的尘袋及合盖检测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4984A (zh) * 2022-04-18 2022-07-29 深圳市无限动力发展有限公司 集尘器的尘袋及合盖检测结构
CN114794984B (zh) * 2022-04-18 2023-10-17 深圳市无限动力发展有限公司 集尘器的尘袋及合盖检测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074B1 (ko) 로봇청소기
KR20180098530A (ko) 바닥 청소기 및 그 물탱크 구조
KR20180098228A (ko) 바닥 청소기, 클리닝 롤러 부품 및 스펀지 롤러
KR100751788B1 (ko) 청소기의 먼지통 조립장치
KR100915657B1 (ko)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KR200328568Y1 (ko) 먼지봉투의 존재유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동작하는진공 청소기
KR100945071B1 (ko)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KR100411432B1 (ko) 합체형 진공 청소기
KR100692577B1 (ko) 진공 청소기용 필터감지장치
KR100778708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보호장치
CN219557114U (zh) 一种擦窗机器人用吸附装置及通风系统
KR960014587B1 (ko) 안전스위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357515B1 (ko) 진공청소기
JPH10155708A (ja) 空気清浄機能付電気掃除機
KR200182561Y1 (ko) 업라이트진공청소기용먼지감지센서의설치구조
KR200155843Y1 (ko) 진공청소기의 전동기 보호장치
KR100654976B1 (ko)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KR970005512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KR930007481Y1 (ko) 진공 청소기 오물 흡입량 감지장치
JPH05168574A (ja) 電気掃除機
JP2007275328A (ja) 電気掃除機
KR960016449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고정홀더
JPH0510896Y2 (ko)
KR970000472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종이
KR970061177A (ko) 습식, 건식 겸용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