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642B1 - 음이온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음이온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642B1
KR101330642B1 KR1020120067963A KR20120067963A KR101330642B1 KR 101330642 B1 KR101330642 B1 KR 101330642B1 KR 1020120067963 A KR1020120067963 A KR 1020120067963A KR 20120067963 A KR20120067963 A KR 20120067963A KR 101330642 B1 KR101330642 B1 KR 101330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se
case
anion generator
holder
negative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환
Original Assignee
강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환 filed Critical 강창환
Priority to KR102012006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마련되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서포터가 마련된 브래킷이 고정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전면에는 LED표시창이 마련되며 후면 내측에는 댐퍼 플레이트가 마련된 상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며, 푸쉬버튼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부 케이스 상면 외부로 돌출되는 것과 동시에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 발생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도입선의 방전극과 캡의 내주면에 마련된 코일형 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전기장을 통해 풍량을 발생시킴으로써 음이온을 실내로 급속하게 방사시킴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실내의 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별도의 팬모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풍량의 유무에 따른 기기의 불량 여부를 소비자가 직접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커버의 전면에 LED광고판이 마련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별도로 얻게됨으로써 전체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내부가 사용시에만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아 인테리어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게된다. 즉,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이온 발생장치{Anion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팬모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큰 풍속으로 방전극상의 음이온을 실내로 빠르게 방사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광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음이온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 질소산화물과 공기중에 내포되어 있는 담배연기,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등 각종 유기물질들은 "양이온"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를 중화하여 집진하기 위해 음이온을 공급함으로써, 실내공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균, 먼지, 꽃가루 등의 양이온이 있는 공간에 장시간 노출되면 아토피와 같은 알레르기성 각종 피부질환이 유발되므로, 음이온을 공급하여 양이온 성분을 중화시킨다.
이에 따라 각종 피부질환이 완화되고, 노폐물의 배출이 원활해져 세포의 활성화 및 신진대사가 촉진되어 인체는 물론이고, 동식물의 성장이 촉진된다.
이와 같이, 음이온의 유익한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 공기청정기능과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전용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부피가 크고 구입비용이 고가여서 대중화 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었으나, 근래에 들어와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실내용이나 자동차 내부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음이온 발생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근래의 음이온 발생장치는, 실내의 공기 청정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즉, 음이온이 발생되는 도입선의 방전극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실내로 퍼져나가는 시간이 오래 걸림으로써 중화 및 정화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는 방전극에서 음이온이 발생될때 공기중의 풍속이 매우 미약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입선의 후방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을 마련함으로써 방전극상에서 발생된 음이온을 빠르게 실내로 방사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별도의 팬모터를 마련하여야 함으로써 단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은 물론이고, 팬모터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해 건물 내부나 자동차 내부의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외에도 도입선의 방전극의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등에 의해 작동이 되지 않을시 이를 사용자가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도 내재되어 있다.
즉, 도입선의 방전극의 고장시에도 팬모터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를 음이온이 방출되는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시에도 전극등이 내재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로 팬모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도입선의 방전극에서 발생된 음이온을 실내로 일정 이상의 풍량으로 방사시킴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실내의 정화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단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고장 유무를 사용자가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광고의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만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아 인테리어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마련되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서포터가 마련된 브래킷이 고정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전면에는 LED표시창이 마련되며 후면 내측에는 댐퍼 플레이트가 마련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며, 푸쉬버튼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부 케이스 상면 외부로 돌출되는 것과 동시에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 발생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부 케이스의 상면에 위치되며, 소정깊이의 수용부가 형성된 메인 홀더와; 상기 홀더의 수용부상에 위치되채 푸쉬버튼에 의해 작동되며, 내부 중심부에는 방전극이 위치되고, 상부 케이스의 댐퍼 플레이트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기어부가 마련되어 상부 케이스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덮개가 결합되는 서브 홀더와; 상기 서브 홀더의 전면에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방전극과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코일형 전극이 권선된 캡;을 포함하여 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음이온 발생부와 LED표시창은 푸쉬버튼에 의해 온/오프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도입선의 방전극과 캡의 내주면에 마련된 코일형 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전기장을 통해 풍량을 발생시킴으로써 음이온을 실내로 급속하게 방사시킴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실내의 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별도의 팬모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풍량의 유무에 따른 기기의 불량 여부를 소비자가 직접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커버의 전면에 LED광고판이 마련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별도로 얻게됨으로써 전체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내부가 사용시에만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아 인테리어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게된다.
즉,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요부 단면도.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장치는, 크게 하부 케이스(10)와 상부 케이스(20) 그리고 음이온 발생부(30)로 이루어진다.
하부 케이스(10)는 내부에 수용 공간부(11)를 갖는 것으로서, 바닥면에는 다수의 서포터(12)가 마련된 브래킷(13)이 고정 설치되며, 브래킷(13)의 서포터(1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기적인 물품이나 기타 모터등이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부 케이스(20)는 하부 케이스(10)에 결합되어 밀폐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상태이며, 전면에는 LED표시창(21)이 마련된다.
또한 후면 내측에는 도어류의 개폐동작시 부드럽게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댐퍼 플레이트(22)가 마련된다.
이때 상술한 상,하부 케이스(20,10)는 도시된 것은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사각형이나 다각형등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할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한편, 음이온 발생부(30)는 상부 케이스(20)의 내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케이스(20)상에 마련되는 푸쉬버튼(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부 케이스(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음이온을 외부로 방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음이온 발생부(30)의 상세 구조를 보면, 상부 케이스(20)의 상면에 위치되며 소정깊이의 수용부가 형성된 메인 홀더(31)를 구비한다.
그리고 메인 홀더(31)상에는 서브 홀더(32)가 결합되는 바, 이 서브 홀더(32)는 상술한 푸쉬버튼(40)에 의해 작동되며, 내부 중심부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방전극(33)이 위치되고, 특히 상부 케이스(20)의 댐퍼 플레이트(22)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기어부(34)를 갖는 덮개(35)가 마련되는 바, 이 덮개(35)는 상부 케이스(20)의 개방 부위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서브 홀더(32)의 전면에는 캡(36)이 결합되며, 이 캡(36)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방전극(33)과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전극으로써 소정간격으로 수회 권선된 코일형 전극(37)이 결합된다.
한편, 음이온 발생부(30)와 LED표시창(21)은 푸쉬버튼(40)에 의해 온/오프되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제 음이온 발생장치를 적당한 장소 예를들면 자동차 내부가 기타 가정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푸쉬버튼(40)을 작동하게 되면, 상부 케이스(20) 외부로 서브 홀더(32)가 댐퍼 플레이트(22)와 덮개(35)의 기어부(34)간의 연계동작에 의해 돌출되고 동시에 방전극(33)과 코일형 전극(37) 상호간의 방전작용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되고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LED표시창(21) 역시 작동되어 내부 환경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광고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된다.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서브 홀더(32)를 내측으로 푸쉬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잠금 작용이 이루어지고 음이온 발생이 차단되어 LED표시창(21) 역시 오프(OFF) 된다.
즉, 쓸데없는 전원 소모가 발생되지 않게되고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되어 내부 환경을 미려하게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 케이스
20 : 상부 케이스
30 : 음이온 발생부
40 : 푸쉬버튼

Claims (3)

  1.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마련되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서포터가 마련된 브래킷이 고정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전면에는 LED표시창이 마련되며 후면 내측에는 댐퍼 플레이트가 마련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며, 푸쉬버튼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부 케이스 상면 외부로 돌출되는 것과 동시에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 발생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부 케이스의 상면에 위치되며, 소정깊이의 수용부가 형성된 메인 홀더와;
    상기 홀더의 수용부상에 위치되채 푸쉬버튼에 의해 작동되며, 내부 중심부에는 방전극이 위치되고, 상부 케이스의 댐퍼 플레이트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기어부가 마련되어 상부 케이스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덮개가 결합되는 서브 홀더와;
    상기 서브 홀더의 전면에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방전극과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코일형 전극이 권선된 캡;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와 LED표시창은 푸쉬버튼에 의해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KR1020120067963A 2012-06-25 2012-06-25 음이온 발생장치 KR101330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963A KR101330642B1 (ko) 2012-06-25 2012-06-25 음이온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963A KR101330642B1 (ko) 2012-06-25 2012-06-25 음이온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642B1 true KR101330642B1 (ko) 2013-11-18

Family

ID=4985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963A KR101330642B1 (ko) 2012-06-25 2012-06-25 음이온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6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544B1 (ko) * 2014-12-05 2015-09-16 강창환 음이온 발생장치
KR20190076153A (ko) * 2017-12-22 2019-07-02 강창환 무동력 풍향기능을 갖는 음이온 발생기의 음이온 발생노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588Y1 (ko) 2003-01-18 2003-04-14 김명옥 애완동물사의 위생관리용 음이온 발생기
KR200327446Y1 (ko) 2003-06-16 2003-09-22 김경현 음이온 발생 및 살균기능을 갖는 칫솔
KR100654976B1 (ko) 2005-09-20 2006-1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JP2013084348A (ja) 2011-10-06 2013-05-09 Trustlex Co Ltd 携帯型マイナスイオン発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588Y1 (ko) 2003-01-18 2003-04-14 김명옥 애완동물사의 위생관리용 음이온 발생기
KR200327446Y1 (ko) 2003-06-16 2003-09-22 김경현 음이온 발생 및 살균기능을 갖는 칫솔
KR100654976B1 (ko) 2005-09-20 2006-1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JP2013084348A (ja) 2011-10-06 2013-05-09 Trustlex Co Ltd 携帯型マイナスイオン発生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544B1 (ko) * 2014-12-05 2015-09-16 강창환 음이온 발생장치
WO2016089117A1 (ko) * 2014-12-05 2016-06-09 강창환 음이온 발생장치
CN106415957A (zh) * 2014-12-05 2017-02-15 姜昌焕 负离子发生装置
KR20190076153A (ko) * 2017-12-22 2019-07-02 강창환 무동력 풍향기능을 갖는 음이온 발생기의 음이온 발생노즐
KR102053506B1 (ko) * 2017-12-22 2019-12-06 강창환 무동력 풍향기능을 갖는 음이온 발생기의 음이온 발생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642B1 (ko) 음이온 발생장치
US20170197493A1 (en) Equipment for sanitizing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vehicles by means of radiant catalytic ionization
CN211903425U (zh) 一种具有除农残功能的冰箱
CN106247748A (zh) 一种带杀菌净化装置的冰箱
CN210844470U (zh) 一种实现人机共存的动态空间消毒装置
KR20170009390A (ko) 자외선 살균기
TWI768542B (zh) 壁面設置系統
JP2003024419A (ja) オゾン発生式脱臭除菌ボックス
WO2009112763A3 (fr) Association d'un rayonnement lumineux et d'un composé bioconvertible par la lipase pour améliorer l'apparence de la peau et/ou du cheveu
KR102053506B1 (ko) 무동력 풍향기능을 갖는 음이온 발생기의 음이온 발생노즐
KR101553544B1 (ko) 음이온 발생장치
CN205580088U (zh) 一种除菌除味保鲜装置和冰箱
JP2003207165A (ja) 空気調和機
KR20110061426A (ko)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US8357330B1 (en) Anti-microbial catheter system
CN204709449U (zh) 超声诊断b超探头消毒盒
KR20120091634A (ko) 무동력 풍향기능을 갖는 음이온 발생기의 음이온 발생노즐
KR101944184B1 (ko) 무드등을 겸한 빗 살균 소독기
CN210250648U (zh) 一种紫外线灯现场消毒器
CN203139160U (zh) 一种具有紫外线反射装置的便携式牙刷消毒器
JP2005226891A (ja) 冷蔵庫
CN103341189A (zh) 一种汽车脚垫杀菌器
CN219566320U (zh) 一种垃圾清理装置
CN220213469U (zh) 一种烤瓷牙灭菌装置
CN202078566U (zh) 一种能对室内空间滞留细菌病毒进行抑制杀灭的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