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974B1 -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처리된 디지털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처리된 디지털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974B1
KR100654974B1 KR1020050042033A KR20050042033A KR100654974B1 KR 100654974 B1 KR100654974 B1 KR 100654974B1 KR 1020050042033 A KR1020050042033 A KR 1020050042033A KR 20050042033 A KR20050042033 A KR 20050042033A KR 100654974 B1 KR100654974 B1 KR 100654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olyethylene
thin
printing
polypropyle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289A (ko
Inventor
김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05004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97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76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on wooden surfaces, leather, linoleum, skin, or flow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제트 프린터의 프린팅 용지로 사용이 불가하였던 얇은 두께의 직물 원단을 잉크제트 프린터의 프린팅 용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시켜 주기 위한 프린팅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과 그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구현된 직물 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터 배치 즉,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가열·교반하여 수지액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과, 마스터 배치의 공정을 배제하는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으로 구분되며;
마스터 배치를 이용할 경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가열·교반하여 수지액을 구하는 단계와, 초박형 직물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직물 원단의 표면에 수지액을 25 내지 40 마이크로 미터의 두께로 도포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 등에 의해 디지털 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고;
마스터 배치를 배제할 경우 용융상태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도포된 직물 원단을 그라비아 인쇄수단에 투입하여 백색(white) 안료를 인쇄처리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 등에 의해 에 의해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직물 원단은 직물 원단에 별도의 후지(백 페이퍼)를 점착시키지 않고도 프린터에 의한 프린팅이 가능하여 제조비와 물류비 등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의해 직물 원단의 강직성 이 향상되어 잉크제트 프린터에 투입하여 인쇄를 진행할 시에 보다 원활한 프린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잉크제트 프린터, 직물 원단, 폴리에틸렌 수지, 강직성, 인식성

Description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처리된 디지털 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manufacture method since thin digital printing thin textile by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resin processing and digital printing thin textile}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처리된 디지털 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프린팅 용지로 사용이 불가하였던 얇은 두께의 직물 원단을 잉크제트 프린터의 프린팅 용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시켜 주기 위한 프린팅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과 그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구현된 직물 원단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지류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한 프린팅용 직물 원단이 잉크제트 프린터 등의 프린팅(실사출력) 용지로 이용되고 있는데, 위와 같은 직물 원단의 경우 잉크제트 프린터의 특성에 맞게끔 후처리 가공된 것으로 대부분이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원단 자체의 두께와 표면에 처리되는 형광 코팅약재 등으로 인해 불투명한 상태로 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양방향 가능이 가능한 초박형의 투과성 직물 원단의 사용이 요구될 때가 있으나 초박형 직물 원단에 프린팅 작업을 할 경우 잉크제트 프린터에 의한 프린팅 과정에서 원단이 프린터 헤드에 부딪혀서 말리는 현상이나 직물 원단의 후면으로 잉크빠짐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초박형 직물 원단 자체만으로는 프린팅 수단(용지)이 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초박형 직물 원단의 이면에 백 페이퍼(후지)를 점착시켜 잉크제트 프린터의 소제 인식용 센서를 차단시키고, 직물 원단에 강직성을 부여하여 직물 원단에 대한 프린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백 페이퍼 점착형 직물 원단의 경우 백 페이퍼의 점착공정에 따른 비용의 소요가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착된 백 페이퍼가 프린팅의 완료 후에 폐기되는 것을 감안할 때 상당한 자원의 낭비가 아닐 수 없으며, 또한, 백 페이퍼로 인해 직물 원단의 부피가 상당히 증가할 수밖에 없으므로 물류비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백 페이퍼 점착형 직물 원단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초박형 직물 원단의 일면에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계열의 약재를 처리하여 직물 원단의 강직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잉크제트 프린터의 소제 인식용 센서의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직물 원단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잉크제트 프린터에 의한 원활한 프린팅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직물 원단에 대한 프린팅 과정에서 직물 원단이 구겨지거나 말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프린팅용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과 위 제조방법에 의해 구현된 직물 원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염료 및 안료를 첨가하여 약재를 구하는 단계(마스터 배치)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가열하여 수지액을 구하는 단계와, 약재 또는 수지를 직물 원단 일면에 도포(라미네이팅; laminating)하는 단계와, 수지액이 도포된 직물 원단을 그라비아 인쇄처리하는 단계 등에 의해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 직물 원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는바,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은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수지에 안료 및 염료를 첨가한 다음 가열하여 약재를 구하는 공정)를 이용하여 직물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실시예 1.)과, 마스터 배치를 배제하고 직물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구분되며, 각 제조방법의 구체적인 실시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실시예 1.>
마스터 배치를 이용한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 직물 원단의 제조는 약재의 조성단계와, 약재의 처리 및 건조단계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세한 실시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마스터 배치의 방법으로 백색(white) 안료를 가공한 다음 안료에 폴리머 칩 상태로 된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를 혼합하고, 위 혼합물을 가열·교반하여 용융상태의 약재를 구한다.
이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97%로 하였을 때 안료는 3%의 중량비를 이루도록 혼합하고, 혼합물에 대한 가열온도는 180℃ 내지 240℃의 온도조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초박형 직물 원단을 50 내지 80알피엠(RPM)의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직물 원단의 표면에 약재(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안료의 혼합물)를 30 내지 4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라미네이팅; laminating)한 다음 상온하에서 직물 원단을 건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재의 조성공정에서 마스터 배치를 하는 이유는 강직성과 인식(프린팅)능력의 향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재를 조성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직물 원단에 강직성을 부여하여 프린팅시에 직물 원단의 구김현상을 방지하여 주고 약재를 조성하는 백색 안료는 직물 원단을 프린 터에 투입하였을 시에 프린터의 소제 인식용 센서의 빛을 차단시켜 원활한 프린팅을 보장해주게 된다.
<실시예 2.>
마스터 배치의 공정을 배제하고 디지털 프린팅 직물 원단을 제조할 경우에는 그라비아 인쇄처리공정이 부가되어야 하며, 마스터 배치의 배제시에 이루어지는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의 제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칩상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에 180℃ 내지 240℃의 온도를 가하면서 고르게 가열·교반하여 용융상태의 수지액을 구한다.
초박형 직물 원단을 50 내지 80알피엠(RPM)의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직물 원단의 표면에 상기 구해진 수지액을 30 내지 4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한 다음 상온하에서 직물 원단을 건조한다.
수지액의 도포 및 건조가 왼료된 직물 원단을 그라비아 인쇄수단에 투입하여 50알피엠(RPM)의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백색(white) 염료를 인쇄처리한 다음 건조하되, 인쇄되는 염료는 0.5 ~ 1마이크로미터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고 염료에 대한 건조온도는 70℃ ~ 10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직물 원단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액을 도포하는 이유는 직 물 원단에 강직성을 부여하여 프린팅 과정에서 구김(말림)현상을 방 지하기 위한 것이며, 직물 원단에 백색 안료를 그라비아 인쇄처리하는 이유는 직물 원단을 프린터에 투입하였을 시에 프린터의 소재 인식용 센서의 빛을 차단시켜 인식(프린팅)능력을 형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직물 원단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안료로 조성된 약재가 코팅처리되거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코팅된 직물 원단에 그라비아 인쇄처리가 이루어진 것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의해 직물 원단의 강직성이 향상되어 잉크제트 프린터에 투입하여 인쇄를 진행할 시에 구김현상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직물 원단이 프린터 헤드에 부딪히거나 말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우수한 인쇄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혼합된 백색 안료는 프린터의 인식센서에 의한 인식성을 가일층 향상시켜 우수한 해상도의 출력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스터 배치의 배제시에 이루어지는 그라비아 인쇄처리되는 백색 염료는 프린터의 인식센서에 의한 인식능력을 가일층 향상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은 초박형 직물 원단을 잉크제트 프린터에 의한 프린팅 수단(용지)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전환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직물 원단은 직물 원단에 별도의 후지(백 페이퍼)를 점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생산공정을 매우 간결하게 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지를 포함하는 직물 원단에 비해 부피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어 물류비 등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의해 직물 원단의 강직성이 향상되어 잉크제트 프린터에 투입하여 인쇄를 진행할 시에 구김현상이 방지되어 보다 원활한 프린팅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직물 원단이 그라비아 인쇄처리되어 프린터에 의한 인식성이 가일층 향상되어 우수한 해상도의 출력물을 얻을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것이다.

Claims (5)

  1. 마스터 배치(master batch)의 공정으로 제조된 백색(white) 안료에 폴리머 칩 상태의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를 투입한 다음 가열·교반하여 약재를 구하는 단계와;
    초박형 직물 원단을 50 내지 80알피엠(RPM)의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직물 원단의 표면에 약재를 30 내지 4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한 다음 상온하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2.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180℃ ~ 240℃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지액을 구하는 단계와;
    초박형 직물 원단을 50 내지 80알피엠(RPM)의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직물 원단의 표면에 수지액을 30 내지 4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한 다음 상온하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수지액이 도포된 직물 원단을 그라비아 인쇄수단에 투입하여 50알피엠(RPM)의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0.5 ~ 1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백색(white) 염료를 인쇄처리한 다음 70℃ ~ 100℃의 온도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백색 안료의 혼합비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97% ~ 98%로 하였을 때 안료는 2% ~ 3%의 중량비를 이루도록 하고,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안료의 혼합물에 대한 가열온도는 180℃ ~ 240℃의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4.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표면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안료가 혼합된 약재가 30 내지 4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코팅처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
  5. 제2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표면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액이 30 내지 4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코팅처리되고, 수지액 표면에 0.5 ~ 1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백색 염료가 그라비아 인쇄처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
KR1020050042033A 2005-05-19 2005-05-19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처리된 디지털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 KR100654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33A KR100654974B1 (ko) 2005-05-19 2005-05-19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처리된 디지털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33A KR100654974B1 (ko) 2005-05-19 2005-05-19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처리된 디지털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289A KR20060119289A (ko) 2006-11-24
KR100654974B1 true KR100654974B1 (ko) 2006-12-08

Family

ID=3770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033A KR100654974B1 (ko) 2005-05-19 2005-05-19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처리된 디지털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42B1 (ko) 2007-11-08 2010-05-19 나투라미디어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7260A (ko) 2020-09-17 2022-03-24 김대현 인쇄 가능한 합지직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42B1 (ko) 2007-11-08 2010-05-19 나투라미디어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7260A (ko) 2020-09-17 2022-03-24 김대현 인쇄 가능한 합지직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289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9293B2 (en) In-line digital printing system for textile materials
US20100043152A1 (en) Method of dry transfer printing of synthetic fibrous material with disperse dye and transfer paper
CN101588929B (zh) 再转移中间片、使用该片在制品上印刷图像的方法和制品
JP2006055841A (ja) フロック加工をして染色した下地を連続的に製造する方法
CN106149403A (zh) 一种分散染料数码印花工艺
CN103753997A (zh) 一种d2t2染料热升华打印相纸及其制造方法
CN106223120A (zh) 一种热升华转移印花纸涂布工艺
JP4058470B2 (ja) 反応染料による天然繊維材料の乾式転写捺染法
CN109263324A (zh) 一种逆向上光的加工工艺
KR100654974B1 (ko)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처리된 디지털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
Sarkodie et al. Status and development of transfer printing in textiles—A review
TW202108710A (zh) 安全性墨水以及機器可讀式安全性特徵
JP2018505970A5 (ko)
ITMI20080688A1 (it) Rivestimento decorativo per oggetti e relativo metodo per decorare
JP6703457B2 (ja) 印刷済媒体製造方法および印刷済媒体製造装置
JP2018505970A (ja) 天然繊維昇華転写プリンティング用バインダー組成物
JP2010070737A (ja) 天然皮革用乾式転写捺染用転写紙及び乾式転写捺染法
KR20170103100A (ko) 의류용 라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라벨
CN206493728U (zh) 一种用于布料的透明镭射热转移膜
JPH04142988A (ja) 熱転写カバーフイルム
US20160303883A1 (en) Photographic paper with perfume for thermal sublimation prin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6032000A (ja) 金属光沢模様を有するバック押し転写材及びその製造法
KR101023403B1 (ko)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제조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
KR100756332B1 (ko) 복합 고분자 수지액 및 이를 이용한 피인쇄물 표면 처리 방법
CN104859332B (zh) Rc微孔型复合数码相纸及其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