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403B1 -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제조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제조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403B1
KR101023403B1 KR1020080063344A KR20080063344A KR101023403B1 KR 101023403 B1 KR101023403 B1 KR 101023403B1 KR 1020080063344 A KR1020080063344 A KR 1020080063344A KR 20080063344 A KR20080063344 A KR 20080063344A KR 101023403 B1 KR101023403 B1 KR 101023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aper
layer
digital prin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444A (ko
Inventor
김석열
김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08006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4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4Processes for the fixation or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in three-dimensional for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30Ink jet prin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직물지를 잉크젯 프린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과 그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프린팅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원단 표면에 잉크흡수층을 도포하여 프린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원단의 이면에 점착층을 도포하여 반복적인 점착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점착층의 이면에 박리가 가능한 필름층을 부착·형성하여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 의해 구현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는 프린팅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직물지를 구성하는 필름층(이형 필름)을 제거한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직물지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으며, 직물지 이면의 점착층이 전면의 잉크흡수층에 영향을 줄 수 없도록 함으로써 프린팅된 이미지가 손상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프린팅, 직물지, 잉크흡수층, 점착층, 필름층

Description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digital printing textile's manufacture method and digital printing textile}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터 직물지를 잉크젯 프린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과 그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프린팅 직물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근래에는 종이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한 프린팅용 직물지를 잉크젯 프린터 등의 프린팅(실사출력) 용지로 사용하여 보다 다양한 분야에 프린팅 직물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위와 같은 직물지의 경우 잉크젯 프린터의 특성에 맞게끔 후처리 가공된 것으로 대부분이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강직성 직물지로서 표면에 처리되는 형광약재 등으로 인해 불투명한 상태로 시판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프린팅 직물지는 단순하게 지류를 대체한 효과 외에는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프린팅 직물지를 보다 다양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었다.
그에 따라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의 이면에 점착제 처리를 하고 백페이퍼(후지/이형지)를 부착하여 점착성을 부여함으로써 프린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직물지가 안출되었는데, 백페이퍼를 제거한 직물지는 일반의 프린팅 직물지와 동일한 인쇄품질을 가지므로 프린팅 직물지를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었으나 점착성을 가지는 디지털 프린팅용 소재의 경우 합성지, PVC 등의 소재가 사용되고 있고 이들 소재는 가격이 비싼 관계로 취급(사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프린팅 직물지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폴리에스터 직물지의 표면에 잉크흡수층을 형성함과 아울러 직물지의 이면이 점착층을 형성하여 반복적인 점착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직물지의 점착면에 박리가 가능한 필름층을 형성하여 디지털 프린팅이 가능한 직물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를 보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하였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사로 제직되는 직물 원단 표면에 잉크흡수층을 도포하여 프린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정과, 상기 원단의 이면에 점착층을 도포하여 반복적인 점착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과, 점착층의 이면에 박리가 가능한 필름층을 부착·형성하는 각각의 공정에 의해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은 간단한 공정을 통해 디지털 프린팅이 가능한 직물지를 양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는 프린팅 머신에 의한 프린팅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직물지를 구성하는 필름층(이형 필름)을 제거한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에 반복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어 직물지를 다양한 분야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직물지 이면의 점착층이 전면의 잉크흡수층에 영향을 줄 수 없도록 하여 프린팅된 이미지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등 본 발명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은 잉크흡수층의 형성공정과, 점착층의 형성공정과, 필름층의 형성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 공정의 바람직한 실시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제 1 공정 - 본 공정은 직물 원단의 표면에 잉크흡수층을 구현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폴리에스터로 제직된 직물 원단에 물을 용제로 한 코팅약제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 직물 원단의 표면에 잉크흡수층을 형성한다.
이때, 코팅약제는 용제인 물을 40 ~ 65%에 대하여 아크릴 또는 우레탄 바인더 수지가 13 ~ 28%, 실리카가 7 ~ 9%, 음이온 또는 비이온계 발색제가 4 ~ 8%,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가 6 ~ 8%, 음이온 또는 비이온계 고착제가 5 ~ 7%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제 2 공정 - 본 공정은 잉크흡수층이 형성된 직물 원단의 이면에 점착층을 도포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직물 원단의 이면에 원단에 점착제(수용성 우레탄/아크 릴 또는 유성 우레탄/아크릴)를 도포한 다음 소정 온도로 건조하되, 건조온도는 점착제의 성분(수성/유성)에 따라서 110℃ ~ 220℃의 온도 범위 내에서 택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점착제의 점성 또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인바, 점착제의 종류나 점착제가 갖는 점성의 정도가 본 발명이 향유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에 영향을 끼칠 수는 없다 할 것이다.
제 3 공정 - 본 공정은 점착층의 이면에 필름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PET 필름 또는 지류(종이)에 실리콘(silicone)을 얇게 도포한 다음 24시간 이상 경화하여 이형 필름(이형지)을 제조하고, 실리콘이 경화된 필름을 직물 원단의 점착층 이면에 가압시켜 부착한 다음 72 ~ 96시간 동안 숙성하여 부착된 이형 필름에 대한 완전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를 제조할 수 있었던 바, 제조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는 폴리에스터 직물 원단의 표면에 용제인 물에 아크릴 또는 우레탄 바인더 수지, 실리카, 발색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고착제가 혼합된 코팅약제에 의한 잉크흡수층이 형성되고, 직물 원단의 이면에 점착제가 도포되며, 점착제의 이면에 필름 또는 지류에 실리콘을 도포하여서 된 이형 필름에 의해 구현되는 필름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되는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는 직물지 이면에 형성된 점착층이 앞면의 잉크흡수층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직물지에 프린팅되는 이미지 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발명의 작용>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구현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는 원단의 표면과 이면에 잉크흡수층과 점착층이 형성되고, 점착층의 이면에 박리가 가능한 필름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디지털 프린팅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프린팅 작업이 이루어진 직물지를 구성하는 필름층(이형 필름)을 제거한 상태에서 제거한 상태에서 직물지를 원하는 장소에 부착할 수 있어 직물지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직물지의 제조공정에서 직물 원단에 도포되는 점착제의 점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직물지의 반복적인 탈부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인바, 위와 같은 점은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품 경쟁력을 가일층 향상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것이다.

Claims (2)

  1. 폴리에스터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직물 원단의 표면에 용제인 물 40 ~ 65%에 대하여 아크릴 또는 우레탄 바인더 수지가 13 ~ 28%, 실리카가 7 ~ 9%, 발색제가 4 ~ 8%,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가 6 ~ 8%, 고착제가 5 ~ 7%의 중량비로 혼합된 코팅약제를 코팅처리하여 직물 원단의 표면에 잉크흡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직물 원단의 이면에 원단에 점착제를 도포한 다음 점착제의 성분(수성/유성)에 따라서 110℃ ~ 220℃의 온도로 건조하여 직물 원단의 이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필름 또는 지류(종이)에 실리콘(silicone)을 얇게 도포한 다음 24시간 이상 경화하여 이형지를 제조하고, 경화된 필름을 직물 원단의 점착층의 이면에 가압시켜 부착한 다음 72 ~ 96시간 동안 숙성하여 이형지에 대한 완전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점착층의 이면에 필름층이 형성되도록 한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폴리에스터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직물 원단의 표면에 물 40 ~ 65%에 대하여 아크릴 또는 우레탄 바인더 수지가 13 ~ 28%, 실리카가 7 ~ 9%, 발색제가 4 ~ 8%,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가 6 ~ 8%, 고착제가 5 ~ 7%의 중량비로 혼합된 코팅약제에 의한 잉크흡수층이 형성되고, 직물 원단의 이면에 점착층이 형성되며, 점착제의 이면에 필름 또는 지류에 실리콘을 도포하여서 된 필름층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
KR1020080063344A 2008-07-01 2008-07-01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제조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 KR101023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344A KR101023403B1 (ko) 2008-07-01 2008-07-01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제조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344A KR101023403B1 (ko) 2008-07-01 2008-07-01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제조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44A KR20100003444A (ko) 2010-01-11
KR101023403B1 true KR101023403B1 (ko) 2011-03-24

Family

ID=4181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344A KR101023403B1 (ko) 2008-07-01 2008-07-01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제조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6244B2 (en) 2011-08-23 2014-1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jet media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1611A (en) * 1995-12-26 2000-06-06 Kimoto Co., Ltd. Sheet for providing ink-receiving layer
KR20010000371A (ko) * 2000-09-23 2001-01-05 김의용 점착원단을 이용한 프린터 방법 및 프린터 된 제품원단
KR200313940Y1 (ko) * 2003-02-15 2003-05-22 주식회사 마프로 잉크젯 프린터용 출력천
KR100712691B1 (ko) * 2006-04-24 2007-05-02 (주)케이엠티 기능성 실사프린트용 원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1611A (en) * 1995-12-26 2000-06-06 Kimoto Co., Ltd. Sheet for providing ink-receiving layer
KR20010000371A (ko) * 2000-09-23 2001-01-05 김의용 점착원단을 이용한 프린터 방법 및 프린터 된 제품원단
KR200313940Y1 (ko) * 2003-02-15 2003-05-22 주식회사 마프로 잉크젯 프린터용 출력천
KR100712691B1 (ko) * 2006-04-24 2007-05-02 (주)케이엠티 기능성 실사프린트용 원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44A (ko) 201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4673B2 (ja) 乾式転写捺染用転写紙及びそれを用いた乾式転写捺染法
US20100043152A1 (en) Method of dry transfer printing of synthetic fibrous material with disperse dye and transfer paper
US20130000830A1 (en) Method of printing foil images upon textiles
JP6075945B2 (ja) 繊維材料又は皮革材料のペーパー捺染法及び捺染紙
JP2006055841A (ja) フロック加工をして染色した下地を連続的に製造する方法
TWI473920B (zh) 噴墨打印轉移印花紙的基紙處理塗層
JP6257878B2 (ja) 捺染印刷用転写紙および捺染方法
JP2006207101A5 (ko)
JP2006207101A (ja) 水溶性染料による天然繊維材料の転写捺染法
KR101023403B1 (ko)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제조된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
KR101739352B1 (ko) 천연섬유원사의 본염 및 DTP(digital textile printing)용 표면처리제, 이 표면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 표면처리제를 이용하여 인쇄된 천연섬유원사 인쇄물
CN102049910A (zh) 用于uv高光饰面板的紫外线固化油墨丝网印刷技术
JP2787449B2 (ja) 染色方法
KR100962513B1 (ko) 축광 기능을 구비한 전사매체
JP5342710B2 (ja) インクジェット装飾材
KR20060123905A (ko) 디지털 실사출력 다이렉트 접착 열전사지
JP2008174865A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布帛及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CN209352812U (zh) 一种数码喷绘打印布
KR100920123B1 (ko) 넌스티커 평판 인쇄 금속판 및 그 제작 방법
DE2847703C2 (de) Verfahren zum einzelnen oder kleinserienmaßigen Aufbringen von Ornamenten, Figuren, Buchstaben, Symbolen o.dgl. Formen aus Sublimierfarben auf mit derartigen Farben bedruckbare Materialien sowie mit Formen bedruckte Folie zur Durchfährung des Verfahrens
KR200428669Y1 (ko) 스티커의 구조
KR100654974B1 (ko)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처리된 디지털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
KR200254250Y1 (ko) 점착원단으로 프린터 된 제품원단
KR20200006460A (ko) 반응성 잉크를 이용한 열 전사인쇄용 전사지 제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전사 방법
US20080053328A1 (en)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