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858B1 -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 - Google Patents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858B1
KR100654858B1 KR1020060012428A KR20060012428A KR100654858B1 KR 100654858 B1 KR100654858 B1 KR 100654858B1 KR 1020060012428 A KR1020060012428 A KR 1020060012428A KR 20060012428 A KR20060012428 A KR 20060012428A KR 100654858 B1 KR100654858 B1 KR 100654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unit
steam generat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쓰리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쓰리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쓰리아이
Priority to KR102006001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6Floor-scrubb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8Instantaneous electrical steam generators built-up from heat-exchange elements arranged within a confined chamber having heat-retain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를 손잡이 막대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펌프에 의해 일정량씩 납작한 통 형상의 스팀 발생기로 공급시켜 스팀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팀을 발생시켜 바닥면을 청소하도록 하는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50)를 내장하고 걸레를 부착시키는 걸레 부착부가 하부에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는 손잡이 막대(20); 상기 손잡이 막대(20) 상에 구비되어 탈부착 가능한 물탱크(40)가 장착되는 물탱크 장착부(30); 및 상기 물탱크(40)의 물을 상기 스팀 발생기(50)로 전달하는 펌프(60)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기(50)는, 납작한 형상의 통으로 이루어지며 물을 일시 계류시키는 물계류부(100)와, 물을 지그재그식으로 통과시키는 물안내부(110)와, 기화된 스팀을 안내하는 스팀 안내부(120)와, 스팀을 스팀 배출구(56)로 배분하여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130)를 포함하는 스팀 청소기를 제공하며, 이를 위한 상기 스팀 발생기를 제공한다.
스팀, 청소기, 물탱크, 스팀 발생기

Description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Steam Cleaner and Steam Generator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물탱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펌프와 스팀 발생기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스팀 발생기의 외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스팀 발생기의 내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스팀 발생기의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보조 바퀴
20 : 손잡이 막대 30 : 물탱크 장착부
32 : 물탱크 수용부 34 : 물 공급구
36 : 물탱크 보호덮개 38 : 투명창
40 : 물탱크 42 : 물 배출구
50 : 스팀 발생기 52 : 물 유입구
54 : 가열부 56 : 스팀 배출구
58 : 온도 센서 60 : 펌프
70 : 상부 플레이트 72 : 하부 플레이트
74a, 74b : 전열선 76a, 76b : 전원 연결부
100 : 물계류부 102 : 케이싱 격벽
104 : 실링 부재 110 : 물안내부
112 : 분리 격벽 114 : 제 1 단턱
116 : 내부 격벽 118 : 제 2 단턱
120 : 스팀 안내부 122 : 스팀 안내격벽
124 : 내외측 분리격벽 126 : 제 3 단턱
130 : 스팀 공급부 132 : 제 1 스팀분배격벽
134 : 제 1 스팀통과부 136 : 제 2 스팀분배격벽
138 : 제 2 스팀통과부
본 발명은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를 손잡이 막대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펌프에 의해 슬림형의 스팀 발생기로 공급시켜 스팀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의 바닥 청소를 위한 청소기로는 종래 진공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다. 진공 청소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블로워(Blower)나 펌프에 의해 진공 상태를 만들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통기성 필터를 통과하며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청소기이다. 진공 청소기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측면에서는 청소 효과가 우수하나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와 같이 실내 바닥에 장판을 깔아 사용하는 생활 환경에 있어서는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를 이용한 청소 이후에 다시 물걸레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닦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에는 단순히 물걸레를 이용한 청소보다 청소 효과가 우수하고 살균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스팀 청소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스팀 청소기는 스팀을 바닥면에 분사시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바닥면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하고 물걸레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원리에 의해 작동된다. 스팀 청소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걸레를 부착하는 걸레 부착면, 사용자의 청소 작업을 위한 손잡이 막대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스팀 청소기 의 대표적인 구성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7141호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팀 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먼저 종래 스팀 청소기는 물탱크가 바닥면에 접촉하는 본체에 구비되어 있어 본체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스팀의 발생에 있어서 물탱크 내부에 스팀 발생기를 구비하여 스팀을 발생시킴에 따라 물탱크에 채워진 물이 모두 끓어야 스팀이 발생되므로 전기 소모량이 증가하고 스팀 발생까지의 대기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스팀 청소기를 이동시키거나 보관시에 경사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물탱크의 물이 스팀 배출구 쪽으로 월류되어 누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며, 스팀의 배출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더불어 물탱크가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없고 다만 본체 상부로 인출된 주입 구멍을 통해서만 물을 채워줄 수밖에 없으므로 물 충전을 위해서는 스팀 청소기 전체를 들고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물을 충전함에 있어서도 스팀 청소기 주위로 물을 흘러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누전의 위험성까지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에는 스팀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슬림형의 스팀 발생기를 구비하고 손잡이 막대에는 물탱크를 위치시키며 물탱크의 물을 스팀 발생기로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스팀 발생기의 온도에 따라 상기 펌프의 작동과 상기 스팀 발생기의 작동을 제 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팀을 발생시켜 바닥면을 청소하도록 하는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50)를 내장하고 걸레를 부착시키는 걸레 부착부가 하부에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는 손잡이 막대(20); 상기 손잡이 막대(20) 상에 구비되어 탈부착 가능한 물탱크(40)가 장착되는 물탱크 장착부(30); 및 상기 물탱크(40)의 물을 상기 스팀 발생기(50)로 전달하는 펌프(60)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기(50)는, 납작한 형상의 통으로 이루어지며 전열선(74a, 74b)을 하부면에 내장하되, 상기 펌프(60)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부(52), 상기 물 공급부(52)로부터 공급된 물이 일시 계류하는 물계류부(100), 상기 물계류부(100)의 물을 지그재그식으로 통과시키는 물안내부(110), 상기 물안내부(110)를 통과하며 기화된 스팀을 안내하는 스팀 안내부(120), 상기 스팀 안내부(120)에서 전달된 스팀을 스팀 배출구(56)로 배분하여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 청소기의 본체에 내장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에 있어서, 하부면에 내장되는 전열선(74a, 74b);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부(52); 상기 물 공급부(52)로부터 공급된 물이 일시 계류하는 물계류부(100); 상기 물계류부(100)의 물을 지그재그식으로 통과시키는 물안내부(110); 상기 물안내부(110)를 통과하며 기화된 스팀을 안내하는 스팀 안내부(120); 및 상기 스팀 안내부 (120)에서 전달된 스팀을 스팀 배출구(56)로 배분하여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130)를 포함하고, 납작한 형상의 통으로 이루어지는 스팀 발생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는 물탱크를 스팀 청소기의 손잡이 막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물탱크의 물을 펌프에 의해 본체 내부의 스팀 발생기로 공급하되 스팀 발생기에서의 누수를 방지하고 온도에 따라 적절한 스팀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의 물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스팀 청소기에 구비되는 물탱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물탱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를 내장하고 걸레를 부착시키는 걸레 부착부가 하부에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는 손잡이 막대(20)와, 손잡이 막대(20) 상에 구비되며 물탱크를 장착하는 물탱크 장착부(3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일측에는 보조 바퀴(12)가 구비되어 청소시 본체(10)의 이동을 보조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손잡이 막대(20)의 상부에는 손잡이(22)가 구비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손잡이 막대(20)의 하부는 본체(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물탱크 장착부(30)를 설명한다.
물탱크 장착부(30)의 내부에는 물탱크(40)가 내장되는 물탱크 수용부(32)가 구비되고, 물탱크 수용부(32)의 하부에는 물탱크(40)의 물 배출구(42)가 삽입되는 물 공급구(34)가 구비된다. 물탱크(40)의 물 배출구(42)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배출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물 배출구(42)가 물 공급구(34)에 삽입되면 물탱크(40)의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물탱크 장착부(30)에는 물탱크 보호덮개(36)가 결합되어 물탱크(40)를 물탱크 수용부(32)에 장착후 물탱크 보호덮개(36)로 이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탱크 보호덮개(36)의 일면에는 투명창(38)이 구비되어 물탱크(40)의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물탱크(40)에 물을 충전한 후 스팀 청소기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스팀 청소기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물탱크(40)의 물은 별도의 펌프에 의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 발생기로 전달되어 증발하게 되는데, 펌프 및 스팀 발생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펌프와 스팀 발생기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펌프(60)는 물탱크 장착부(30)의 하부에 구비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펌프(60)의 입구는 제 1 연결관(62)에 의해 물 공급구(34)와 연결되고, 펌프(60)의 출구는 제 2 연결관(64)에 의해 스팀 발생기(50)의 물 유입구(52)에 연결된다. 펌프(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팀 발생기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물탱크(40)의 물을 스팀 발생기(5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펌프(6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펌프나 솔레노이드(Solenoid)를 이용한 펌프일 수 있다. 또한 펌프(60)는 유량의 제어가 용이한 정량 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펌프(60)에 의해 펌핑된 물은 제 2 연결관(64)을 거쳐 스팀 발생기(50)의 물 유입구(52)로 전달된다.
스팀 발생기(50)는 상술한 물 유입구(52)를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 하단에는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스팀 배출구(56)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전열선을 내장하여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54)가 구비된다. 또한, 가열부(54)에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58)가 구비되어 가열부(54)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물 유입구(52)로 전달된 물은 가열부(54)에서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화된 후 스팀 발생기(50) 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스팀 배출구(56)로 배출되는데, 본 발명 의 또 다른 요점은 물의 누수를 방지하고 가열된 스팀이 스팀 배출구(56)를 통해 고루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팀 발생기(50)의 구성에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에 구비되는 스팀 발생기(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스팀 발생기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팀 발생기(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에 물 유입구(52)를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 다수의 스팀 배출구(56) 세트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팀 발생기(50)는 상부 플레이트(70)와 하부 플레이트(72)를 다수의 결합공(78)에 결합 나사(미도시)를 결합시켜 형성함으로써 제작 및 결합을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물 유입구(52)는 상부 플레이트(70)에 구비되고 스팀 배출구(56) 세트는 하부 플레이트(72)에 구비하도록 한다.
한편, 하부 플레이트(72)에는 외부가 난연성 코팅재로 코팅된 전열선(74a, 74b)이 내장되고 전열선(74a, 74b)의 말단에는 전원 연결부(76a, 76b)가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72)의 하부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 센서(58)가 구비된다.
스팀 발생기(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스팀 발생기의 내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스팀 발생기의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이다.
스팀 발생기(50)의 하부 플레이트(72)에는 물 유입구(52)로부터 공급된 물을 하부 플레이트(72)에 내장된 전열선(74a, 74b)에 의해 스팀으로 기화시키는데, 물과 스팀은 다수의 격벽으로 적절히 구획된 공간, 즉 전술한 설명에서는 가열부(54)로 호칭된 부분을 통과하면서 최종적으로는 다수의 스팀 배출구(56)로 가능한한 균등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스팀 발생기(50)의 하부 플레이트(72)에는 물 유입구(52)로부터 공급된 물이일시 계류하는 물계류부(100), 물을 지그재그식으로 통과시키면서 가열되도록 하는 물안내부(110), 물안내부(110)를 통과하며 기화된 스팀을 안내하는 스팀 안내부(120), 스팀 안내부(120)를 거친 스팀이 다수의 스팀 배출구(56)로 가능한한 균등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스팀 공급부(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물안내부(110) 및 스팀 안내부(120)는 물계류부(100)의 양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스팀 발생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계류부(100), 물안내부(110), 스팀 안내부(120), 및 스팀 공급부(130)의 외측에는 케이싱 격벽(102)이 구비되어 내측의 물이나 스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 플레이트(70)에는 실링 부재(104)가 구비되어 분리된 공간 사이의 물이나 스팀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안내부(110)는 물계류부(100)와 분리 격벽(112)으로 분리되고 분리 격벽(112)의 일측에는 제 1 단턱(114)이 구비된다. 제 1 단턱(114)은 분리 격벽(112)의 일측을 절단하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턱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물계류부(100)에 계류된 물은 일정 수량을 초과하면 제 1 단턱(114)을 통해 물안내부(110) 로 전달된다. 한편, 물안내부(110)의 내부에는 다수의 내부 격벽(116)이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물은 물안내부(110)의 내부 격벽(116)에 의해 지그재그의 유로를 형성하며 물안내부(110)를 통과하게 되므로 하부 플레이트(72)에 내장된 전열선(74a, 74b)에 의해 충분히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내부 격벽(116)의 말단에는 제 2 단턱(118)이 구비된다. 제 2 단턱(118)의 높이는 제 1 단턱(114)보다 높게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물안내부(110)를 통과하며 가열된 물은 스팀으로 변하여 제 2 단턱(118)을 통과한 후 스팀 안내부(120)로 전달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물안내부(110)에 공급된 물이 제 2 단턱(118)을 넘어 일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스팀 안내부(120)는 스팀을 안내하여 스팀 공급부(1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팀 안내부(120)는 물계류부(100)와 물안내부(110)를 스팀 공급부(130)와 분리시키는 내외측 분리격벽(124)이 "ㄷ"자 형으로 배치되고, 원활한 스팀의 전달을 위해 일측이 개방된 스팀 안내격벽(122)이 물안내부(110)와 스팀 아내부(1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내외측 분리격벽(124)의 굴곡부에 있어서 내외측 분리격벽(124)의 중앙부를 케이싱 격벽(102)까지 연장하고 스팀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 3 단턱(126)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단턱(126)을 형성함으로써 기화되지 않은 물이 스팀 공급부(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팀 공급부(130)는 하나 이상의 격벽으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제 1 스팀분배격벽(132)과 제 2 스팀분배격벽(136)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제 1 스팀분배 격벽(132)과 제 2 스팀분배격벽(136)은 스팀 안내부(120)로부터 전달된 스팀을 스팀 배출구(56)로 균등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스팀분배격벽(132)에는 제 1 스팀통과부(134)가 구비되고, 제 2 스팀분배격벽(136)에는 제 2 스팀통과부(138)가 구비된다.
양측의 스팀 안내부(120)로부터 공급된 스팀은 내외측 분리격벽(124)과 제 1 스팀분배격벽(132)의 사이로 유도되어 제 1 스팀통과부(134)를 통과한다. 그 후 스팀은 제 1 스팀분배격벽(132)과 제 2 스팀분배격벽(134)의 사이로 유도되어 제 2 스팀통과부(138)로 전달된 후 제 2 스팀분배격벽(134)과 케이싱 격벽(102)의 사이 하부에 구비되는 스팀 배출구(56)로 배출된다.
제 1 스팀통과부(134)는 양측의 스팀 안내부(120)에 대응하여 하나씩 구비되고 제 2 스팀통과부(138)는 스팀 배출구(56)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제 1 스팀통과부(134)의 개수와 제 2 스팀통과부(138)의 개수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제 2 스팀통과부(138)의 개수는 스팀 배출구(56)의 개수보다는 적고 제 1 스팀통과부(134)의 개수는 제 2 스팀통과부(138)의 개수보다는 적게 구비되어, 제 1 스팀통과부(134)를 통과한 스팀이 제 2 스팀통과부(138)로 분배되고 다시 스팀 배출구(56)로 분배되도록 형성되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스팀 발생기는 다수의 격벽으로 내부를 분리하고 물을 저장하는 부분과 스팀으로 증발시키는 부분, 그리고 스팀을 안내하여 스팀 배출구(56)로 공급하는 부분이 구획되어 있어 물넘침을 방지하며 스팀을 빠른 시간내에 고루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의 제어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는, 온도 센서(58)에서 검출된 스팀 발생기(50)의 온도를 기본으로 하여 스팀 발생기(50)의 전열선(74a, 74b)에 공급되는 전원과, 물탱크(40)의 물을 스팀 발생기(50)로 공급하는 펌프(60)의 작동을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하게 된다.
스팀 청소기의 물탱크(40)에 물을 공급한 후 전원부(150)를 전원을 공급하면 제어부(140)는 펌프(60)를 구동시켜 물탱크(40)의 물을 스팀 발생기(50)로 전달한다. 이 때 작동의 개시에 있어서 스팀 발생기(50)로 공급되는 물은 스팀 발생기(50)의 물계류부(100)의 용량을 고려하여 기본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15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스팀 발생기(50)는 가열되고, 온도 센서(58)는 스팀 발생기(50)의 온도를 검출한다. 온도 센서(58)에서 검출된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스팀이 충분히 발생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펌프(60)에서의 물공급량을 감소 또는 중단시키고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펌프(60)를 작동시켜 적정량의 물이 스팀 발생기(50)로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온도 센서(58)에서 검출된 온도가 스팀 발생기(50)의 과열 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스팀 발생기(5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만 분리하여 물을 충전할 수 있으므로 스팀 청소기로의 물보충이 용이하고, 슬림형의 스팀 발생기의 구성으로 인해 본체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스팀 발생기에서의 물넘침을 방지하며 스팀 발생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발생기에 의하면 물의 증발이 빠르고 가열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스팀 배출구로 증발되지 않은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스팀을 발생시켜 바닥면을 청소하도록 하는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50)를 내장하고 걸레를 부착시키는 걸레 부착부가 하부에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는 손잡이 막대(20);
    상기 손잡이 막대(20) 상에 구비되어 탈부착 가능한 물탱크(40)가 장착되는 물탱크 장착부(30); 및
    상기 물탱크(40)의 물을 상기 스팀 발생기(50)로 전달하는 펌프(60)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기(50)는,
    납작한 형상의 통으로 이루어지며 전열선(74a, 74b)을 하부면에 내장하되, 상기 펌프(60)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부(52), 상기 물 공급부(52)로부터 공급된 물이 일시 계류하는 물계류부(100), 상기 물계류부(100)의 물을 지그재그식으로 통과시키는 물안내부(110), 상기 물안내부(110)를 통과하며 기화된 스팀을 안내하는 스팀 안내부(120), 상기 스팀 안내부(120)에서 전달된 스팀을 스팀 배출구(56)로 배분하여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기(50)에는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58)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 센서(58)의 온도에 따라 상기 스팀 발생기(50)로 물을 공급하는 상기 펌프(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장착부(30)는, 상기 물탱크(40)가 내장되는 물탱크 수용부(32)와, 상기 물탱크(40)의 물 배출구(42)가 삽입되는 물 공급구(34)와, 상기 물탱크 수용부(32)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물탱크(40)를 덮는 물탱크 보호덮개(36)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청소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기는, 상부 플레이트(70)와 하부 플레이트(72)를 결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70)는 상기 물 공급부(52)를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72)는 상기 물계류부(100), 상기 물안내부(110), 상기 스팀 안내부(120), 상기 스팀 공급부(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청소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안내부(110)는, 상기 물계류부(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물계류부(100)와 분리하는 분리 격벽(112), 상기 분리 격벽(112)의 일측에 형성되 는 제 1 단턱(114),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되는 내부 격벽(116), 및 내부 격벽(116)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 2 단턱(118)을 구비하고,
    상기 스팀 안내부(120)는, 상기 물계류부(100)와 상기 물안내부(110)를 상기 스팀 공급부(130)와 분리시키는 내외측 분리격벽(124)을 구비하고,
    상기 스팀 공급부(130)는, 제 1 스팀통과부(134)가 구비되는 제 1 스팀분배격벽(132)과, 제 2 스팀통과부(136)가 구비되는 제 2 스팀분배격벽(1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안내부(120)에는 일측이 개방되고 스팀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물안내부(100)와 상기 내외측 분리격벽(124)의 짧은 격벽 사이에 형성되는 스팀 안내 격벽(122)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청소기.
  7. 스팀 청소기의 본체에 내장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에 있어서,
    하부면에 내장되는 전열선(74a, 74b);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부(52);
    상기 물 공급부(52)로부터 공급된 물이 일시 계류하는 물계류부(100);
    상기 물계류부(100)의 물을 지그재그식으로 통과시키는 물안내부(110);
    상기 물안내부(110)를 통과하며 기화된 스팀을 안내하는 스팀 안내부(120); 및
    상기 스팀 안내부(120)에서 전달된 스팀을 스팀 배출구(56)로 배분하여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130)
    를 포함하고, 납작한 형상의 통으로 이루어지는 스팀 발생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기는, 상부 플레이트(70)와 하부 플레이트(72)를 결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70)는 상기 물 공급부(52)를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72)는 상기 물계류부(100), 상기 물안내부(110), 상기 스팀 안내부(120), 상기 스팀 공급부(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안내부(110)는, 상기 물계류부(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물계류부(100)와 분리하는 분리 격벽(112), 상기 분리 격벽(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단턱(114),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되는 내부 격벽(116), 및 내부 격벽(116)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 2 단턱(118)을 구비하고,
    상기 스팀 안내부(120)는, 상기 물계류부(100)와 상기 물안내부(110)를 상기 스팀 공급부(130)와 분리시키는 내외측 분리격벽(124)을 구비하고,
    상기 스팀 공급부(130)는, 제 1 스팀통과부(134)가 구비되는 제 1 스팀분배격벽(132)과, 제 2 스팀통과부(136)가 구비되는 제 2 스팀분배격벽(1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
KR1020060012428A 2006-02-09 2006-02-09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 KR100654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428A KR100654858B1 (ko) 2006-02-09 2006-02-09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428A KR100654858B1 (ko) 2006-02-09 2006-02-09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858B1 true KR100654858B1 (ko) 2006-12-06

Family

ID=3773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428A KR100654858B1 (ko) 2006-02-09 2006-02-09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8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7038A (zh) * 2010-09-10 2012-04-04 苏州韩京姬科技有限公司 蒸汽清洁器
CN102743136A (zh) * 2012-07-30 2012-10-24 苏州诚河清洁设备有限公司 一种蒸汽清洗机
KR101342567B1 (ko) * 2013-03-28 2013-12-17 노승환 스팀 청소기
CN104138243A (zh) * 2014-08-19 2014-11-12 苏州德莱电器有限公司 蒸汽清洁机
JP2015515899A (ja) * 2012-05-08 2015-06-04 テクトロニック フロア ケア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スチームクリーナ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2754A1 (en) 1984-11-21 1986-05-28 Alfredo Cavalli (deceased) Multi-purpose household appliance particularly for cleaning floors, carpets, laid carpeting, and the like
JPS63139524A (ja) 1986-12-03 198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じゆうたんメンテナンス機器
JPS63296725A (ja) 1987-05-29 1988-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じゅうたんメンテナンス機器
KR940021001A (ko) * 1993-03-31 1994-10-17 이헌조 증기분사에 의한 청소방법 및 진공청소기
KR950028729A (ko) * 1994-04-22 1995-11-22 이헌조 진공청소기의 스팀발생장치
JPH1043099A (ja) 1996-08-06 1998-02-17 Tec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00000271A (ko) * 1999-10-04 2000-01-15 한경희 스팀청소기
KR20050072535A (ko) * 2004-01-07 2005-07-12 박항로 물걸레 스팀청소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2754A1 (en) 1984-11-21 1986-05-28 Alfredo Cavalli (deceased) Multi-purpose household appliance particularly for cleaning floors, carpets, laid carpeting, and the like
JPS63139524A (ja) 1986-12-03 198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じゆうたんメンテナンス機器
JPS63296725A (ja) 1987-05-29 1988-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じゅうたんメンテナンス機器
KR940021001A (ko) * 1993-03-31 1994-10-17 이헌조 증기분사에 의한 청소방법 및 진공청소기
KR950028729A (ko) * 1994-04-22 1995-11-22 이헌조 진공청소기의 스팀발생장치
JPH1043099A (ja) 1996-08-06 1998-02-17 Tec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00000271A (ko) * 1999-10-04 2000-01-15 한경희 스팀청소기
KR20050072535A (ko) * 2004-01-07 2005-07-12 박항로 물걸레 스팀청소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7038A (zh) * 2010-09-10 2012-04-04 苏州韩京姬科技有限公司 蒸汽清洁器
JP2015515899A (ja) * 2012-05-08 2015-06-04 テクトロニック フロア ケア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スチームクリーナー
CN102743136A (zh) * 2012-07-30 2012-10-24 苏州诚河清洁设备有限公司 一种蒸汽清洗机
KR101342567B1 (ko) * 2013-03-28 2013-12-17 노승환 스팀 청소기
CN104138243A (zh) * 2014-08-19 2014-11-12 苏州德莱电器有限公司 蒸汽清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858B1 (ko)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
KR200401868Y1 (ko) 업라이트형 진공스팀청소기
US20110232023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hybrid aluminum heater
KR100854015B1 (ko) 로봇청소기
KR101014468B1 (ko) 청소기의 노즐
JP2009019821A (ja) 加湿装置
KR100828100B1 (ko) 진공 겸용 스팀청소기의 온수탱크구조
KR200421793Y1 (ko)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KR20120078139A (ko) 기화식 가습기
KR20120068639A (ko) 기화식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284124A (ja) サウナ用マイナスイオンミスト発生装置
JP4676400B2 (ja) 加湿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機器
KR100955417B1 (ko) 빌트인 직수 연결형 가습기
KR101218445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청소기
KR100423261B1 (ko) 복합식 가습기
KR101282470B1 (ko)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JP2010032120A (ja) 蒸気発生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KR100862580B1 (ko) 스팀청소기
KR100728502B1 (ko) 스팀보일러 및 이를 채택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KR100259028B1 (ko) 물통이 없는 구조의 가습기
CN216712446U (zh) 衣物处理装置
WO2022151626A1 (zh) 一种洗地装置的补给底座和补给方法以及洗地机
KR20180033664A (ko) 고온 살균 가습키트
EP4378366A2 (en) Mop module of cleaner
KR10125335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