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028B1 - 물통이 없는 구조의 가습기 - Google Patents

물통이 없는 구조의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028B1
KR100259028B1 KR1019970053382A KR19970053382A KR100259028B1 KR 100259028 B1 KR100259028 B1 KR 100259028B1 KR 1019970053382 A KR1019970053382 A KR 1019970053382A KR 19970053382 A KR19970053382 A KR 19970053382A KR 100259028 B1 KR100259028 B1 KR 10025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midifier
steam
condui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356A (ko
Inventor
양성석
Original Assignee
양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석 filed Critical 양성석
Priority to KR101997005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028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통이 없이도 가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고, 가습기의 물통을 없애서 가습용 물을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항상 신선한 상태에서 공급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가습기가 갖고 있는 위생상의 문제점 및 빈번하게 물통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 등을 해소한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가습을 위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 발생 장치와, 수증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수증기 배출 장치와,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물통이 없는 구조를 갖는 가습기로서, 수증기 발생 장치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부터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 공급 장치와, 상기 수증기 발생 장치를 수용하며 상기 물 공급 장치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수증기 발생 장치에서 형성된 수증기를 체류시키는 체류 공간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수증기 발생 장치로 공급되는 물이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어 위생적인 수증기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통이 없는 구조의 가습기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물통이 없이도 가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가습하는 초음파식, 열선을 이용하여 가열하여 가습하는 가열식,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를 모두 이용하는 복합식의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통에 물을 채우고 물통의 입구 부위를 거꾸로 하여 물을 가습기의 초음파 소자 주위로 공급하면 초음파 소자가 고주파로 진동하며 물입자를 여기시켜서 강제로 물입자를 분리한다. 분리된 물입자는 온도가 높지 않은 40℃ 정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물입자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자연스런 상태에서는 바닥에 가라앉으려고 하기 때문에 바닥에서부터 팬을 이용하여 바람을 일으켜 수증기 관을 통과하여 밖으로 나오게 된다.
가열식 가습기는 초음파식과 마찬가지로 물통을 통해 물이 히터 주위로 공급되며 공급된 물이 히터의 열에 의하여 끓어서 수증기화하여 가습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혼합식 가습기는 상기 초음파식과 가열식을 합한 것으로서 가장 보편적인 기능으로는 물을 약 80℃ 정도 가열한 상태에서 초음파 소자를 이용하여 수증기화하는 것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초음파 가습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초음파식 가습기의 진동자(600)는 압전체로 제작되며 압전체는 전계를 가하면 변형이 발생하고 힘을 가하여 변형을 일으키면 전계가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이 가습기에는 약 1.65MHz의 고주파 전계를 진동자의 앞뒤에 가하여 줌으로써 진동자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진동을 이용하여 물분자에 충격을 주어 물분자를 서로 분리한다.
종래의 가습기는 물통(100)을 갖고 있으며 물통(100)의 하부에는 물통의 하중에 의해 물이 새어 나오게 설계된 핀이 있으며, 물 공급구(900)가 물에 잠겨 있으면 나오지 않다가 가습이 진행되면서 물이 소모되어서 물 배출구가 공기에 노출되면 공기가 물통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물이 새어 나온다. 물이 일정량 이하인 상태에서 진동자가 작동하게 되면 손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레벨 센서(700)를 사용하여 수위가 일정량 이하이면 가동을 중단한다.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에 있어서 분리될 수 있는 부분은 물통과 수증기가 통과하는 케이스(200)이고 나머지 진동자 등은 하부 회로(800)와 분리될 수 없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종래의 가습기는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물통의 내부는 정체된 물에 잠겨 있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므로 자주 세척해 주어야 하지만 구조의 한계로 인하여 세척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물이 수증기화하기 때문에 진동자는 항상 물에 잠겨 있게 되고 40℃ 정도의 물에 계속 잠겨 있는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면은 불순물이 끼기 쉽다. 이러한 불결한 환경에서 수증기가 생성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깨끗하게 청소를 하여 주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가습기는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초음파 진동자는 초음파를 발생할 때 열이 발생하며 이러한 열에 의해 수온이 약 40℃에서 45℃까지 상승하게 되는데, 이 온도는 세균이 번식하기에 아주 적합하며 또한 물이 정체되어 있기 때문에 물때가 끼어 더욱 세균이 번식하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청소를 자주하여 주어야 하지만, 깨끗이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진동부를 뒤집어서 물을 제거하여야 하고, 기존의 가습기는 진동부와 회로 및 본체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뒤집기에는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겁다.
또한, 기존의 가습기는 물통을 구비하는 구조이므로 물통에 물을 자주 공급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물통에 물을 공급하는 횟수를 줄이려면 물통의 크기를 크게 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는 가습기 전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제작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열식의 경우는 끓여서 배출하기 때문에 살균된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는 위생상의 장점이 있으나 가습 효율이 떨어지고 끓는 물로 인한 안전 상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가습 효율이 낮은 데 비해 소비 전력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가열식 가습기는 물이 가열되어 날아가고 무기물은 남아있기 때문에 스케일이 형성되므로 사용함에 따라 가습 효율이 점차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히터를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히터의 사용 수명 한계로 인해 자주 사용하게 되면 수명이 짧아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가습기에 있어서의 위와 같은 문제점들이 해결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습기의 물통을 없애서 가습용 물을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항상 신선한 상태에서 공급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가습기가 갖고 있는 위생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빈번하게 물통을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습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가습기의 내부가 나타나게 도시한 개략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a)의 선 A-A'를 따라서 절단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이 없는 가습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가습기가 하부 받침대와 상부 몸체와 뚜껑으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a)는 제2도의 선 A-A'를 따라서 절단 도시한 개략 단면도, (b)는 가요성 호스가 있는 부분의 확대도, (c)는 가요성 전기 케이블이 있는 부분의 확대도, (d)는 (b)의 호스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 물의 순환을 위한 연결부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제4도의 부분을 상부 몸체의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받침대 2 : 상부 몸체
3 : 뚜껑 4 : 수증기 배출구
5 : 수증기 6 : 가습량 조절 스위치
7 : 전원 스위치 8 : 수동과 자동 전환 스위치
9 : 전원 케이블 10 : 연결 도관
11 : 수도 12 : 가요성 호스
13 : 전기 케이블 14 : 제어 회로
15 : 부구 16 : 꼭지
17 : 공간 18 : 초음파 진동자
19 : 밸브 20 : 배출구
21 : 호스 22 : 국부 저압부
25 : 음각부 26 : 체류 공간
100 : 물통 200 : 수증기 통과 케이스
300 : 수증기 배출구 600 : 초음파 진동자
700 : 레벨 센서 800 : 제어회로
900 : 물 공급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종래 가습기에서의 문제점들이 해결된 신규하고 우수한 물통이 없는 구조를 갖는 가습기가 마련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가습을 위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 발생 장치와, 수증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수증기 배출 장치와,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물통이 없는 구조를 갖는 가습기로서, 수증기 발생 장치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부터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 공급 장치와, 상기 수증기 발생 장치를 수용하며 상기 물 공급 장치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수증기 발생 장치에서 형성된 수증기를 체류시키는 체류 공간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수증기 발생 장치로 공급되는 물이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어 위생적인 수증기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에 의하면, 물을 신선한 상태에서 수도 등과 같은 물 공급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받을 수 있게 되는 물통이 없는 구조로 인해 가습용 수증기를 위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물통의 물을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해결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에 있어서, 물 공급 장치는 물 인입 장치와 물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데, 물 인입 장치는 물이 외부로부터 가습기로 인입될 수 있게 하고 물의 인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물 배출 장치는 가습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에 응답하여 체류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며 또한 물 배출을 제어한다. 또한, 물 인입 장치는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 물 공급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며 공급되는 물의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체류 공간 내의 수증기 발생 장치 주위에는 물이 와류 유동할 수 있게 하여 바닥에 물때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류 공간 내의 물이 유동할 수 있게 하는 물 순환 기구가 마련된다. 이러한 물 순환 기구는 모터 작동에 의한 펌프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고, 비동력식(자연 발생적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비동력식 순환 기구는, 수증기 발생 장치 주위에 배출구를 형성시키고, 이 배출구를 임의의 적당한 기구에 의해 물 공급 장치로 연결시켜서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체류 공간 내의 물이 배출구를 통해서 빠져 나와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함께 다시 물 체류 공간을 향하여 공급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이점들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물통이 없이 외부로부터 물을 직접 공급받기 때문에 물통이 차지하는 부피 만큼의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가습기의 전체 크기(가로, 세로, 높이 및 두께 치수)를 상당히 줄일 수 있고, 또한 물통이 있는 경우에 물통의 용량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높게 형성된 수증기 배출구를 아주 낮게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의 가습기는 물통을 사용함으로 인해 물통의 물이 소모되면 다시 채워주어야 하지만, 본 발명의 가습기는 일례로, 수도와 같은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이 항상 공급될 수 있으므로 물을 보충시키는 작업이 없이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 상의 위생 문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습기는 물통을 사용하지 않고 항상 흐르는 물에 의해 가습용 증기를 발생시키므로 세균의 번식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진동자 주위에 설치된 물 배출구를 통해 체류 공간 내의 물이 배출되면서 진동자의 주위에 와류 운동을 형성시킴에 따라 물이 정체되지 않게 되어 물때가 쉽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세균의 번식이 용이하지 않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기가 초음파식 가습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14, 도 4의(a))가 장착되고 물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물 인입 장치를 구비하는 하부 받침대(1)와, 제어 회로(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일례로, 초음파 진동자(18)와 같은 수증기 발생 장치와, 물 공급 장치와 물 배출 장치를 구비하는 상부 몸체(2)와, 수증기 배출구(4)가 형성된 뚜껑(3)을 구비한 수증기 배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수증기 배출 장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증기를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 받침대 (1)에는 전원 케이블(9)에 의하여 외부 전원에 연결되며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14)가 내장된다. 이 받침대(1)의 전방면에는 상기 제어 회로(14)와 연결된 여러가지 스위치, 일례로 가습량 조절 스위치(6), 전원 스위치(7) 및 수동/자동 전환 스위치(8)가 마련된다. 제어 회로(14)에는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 하기 위한 수위 감지 레벨 센서 및 습도 감지 센서도 연결된다.
또한, 하부 받침대(1)의 하단부에는 외부로부터 가습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인입 장치를 구성하는 호스 등과 같은 연결 도관(10)이 부착되어 있다. 이 연결 도관은 하부 받침대 내부로 연장된다. 하부 받침대(1) 본체 근처의 부분에서 연결 도관(10)은 이 도관을 2개로 분리하거나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이 연결부에는 연결 도관(10)을 분리할 때에 물이 새어나오지 않게 조정할 수 있는 밸브(19)가 설치된다. 연결 도관(10)은 비닐계이고 유연한 재질이며 내경은 1mm이고 외경은 2mm인 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가습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원으로서의 수도에 연결 도관(10)이 연결되는 경우 수도의 수압은 가습용으로 사용하기에는 강하므로 그 수압을 약하게 하고 불순물을 걸러주기 위해서 연결 도관(10)의 적정 위치에 필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필터는 불순물 제거를 위하여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를 사용한다. 공급되는 물의 압력은 약 2.5 내지 3kg/㎠으로 감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하부 받침대(1)의 상부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17)이 형성된다. 이 공간(17) 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13), 제1 호스(12) 및 제2 호스(21)가 배치된다. 케이블(13)은 제어 회로와 초음파 진동자(18)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제1 호스(12)의 한 단부는 연결 도관(10)의 단부에 연결되고 이 제1 호스(12)의 타단부는 다시 상부 몸체(2)에 마련된 물 배출 장치로 연결된다. 제1 호스(12)는 연결 도관(10) 보다 더 유연한 재질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며 그 크기는 내경을 1mm, 외경을 2mm로 하는 것이 좋다.
상부 몸체(2) 안에는 하부에 물을 체류시킬 수 있고 상부에 수증기를 체류시킬 수 있는 물/수증기 체류 공간(26)이 형성된다. 그 공간 안의 바닥부에는 수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증기 발생 장치가 설치되고, 또한 물을 체류 공간 안으로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체류 공간 내에는 수증기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수증기 발생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초음파 진동자(18)로 구성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18)는 일례로, 압전 세라믹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18)의 한면은 물에 노출되고 가장자리는 고무 등으로 밀봉 유지시켜서 물이 하부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한다. 초음파 진동자(18)의 둘레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배출구(20)를 원형으로 형성하여 물/수증기 체류 공간(26) 안에 있는 물이 배출구 (20)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물은 초음파 진동자(18)의 주위에서 와류 유동을 하게 되므로 물이 정체되어 있지 않게 되어 물의 정체로 인해서 세균 번식이 용이해지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 배출구 (20)를 통해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부 몸체(2)의 체류 공간(26) 내에 있는 물의 압력만으로는 약하다. 이를 보강해 주기 위해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체류 공간(26) 내의 물이 자연 배출될 수 있도록, 물 배출구의 배출 단부에 제2 호스(21)를 연결하고 이에 대향되는 제2 호스(21)의 타 단부를 제1 호스(12) 안으로 관통시켜 제1 호스(12)의 관로 내에 위치하게 한다(도 4(d) 참조). 이 경우, 제2 호스(21)의 단부 직경은 제1 호스(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제2호스(21)의 단부 직경은 제1호스(12)의 직경의 1/2 이하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제2 호스(21)가 제1 호스(12) 안을 관통하여 제1 호스 (12)의 관로 내에 위치하게 되면 관로 내의 제2 호스(21)의 단부에는 국부적인 저압부(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국부적인 저압부(22)의 형성에 의해 체류 공간 (26) 내의 물은 배출구(20)를 통해서 호스(12)의 관로 내로 강제 배출되어서 호스 (12) 안을 관통하여 유동하는 공급되는 물과 함께 다시 상부 몸체(2)의 체류 공간 (26) 안으로 공급된다(물의 유동 방향은 도 4(d)에 화살표로 도시됨).
하부 받침대(1)와 상부 몸체(2) 사이에는 제어 회로(14)와 초음파 진동자 (18)를 연결시키는 가요성 전기 케이블(13)이 여유 있는 길이로 배치되게 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가습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도관(10)의 배출구로부터 물 배출 장치의 인입구까지 연결시키는 제1 호스(12)도 가요성 있는 것을 선택하여 여유 있는 길이로 배치되게 한다. 이에 따르면 상부 몸체(2)를 하부 받침대(1)로부터 분리하였을 때에 상부 몸체(2)를 용이하게 다룰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과 호스의 길이는 상부 몸체(2)를 청소할 때에 뒤집을 수 있을 정도로 길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케이블과 호스의 여유 길이부는 하부 받침대(1)와 상부 몸체(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분히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받침대(1)와 상부 몸체(2) 사이가 여유 길이를 갖는 케이블과 호스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임의의 형태의 직접 연결 방식을 채택하여 연결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물 배출 장치는, 한 단부가 호스(12)에 연결되며 배출 단부가 역 U자형으로 형성된 꼭지(16)와, 중심 구멍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레벨 센서를 포함하는 부구(15)를 포함한다. 레벨 센서는 제어 회로 (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위 검출 신호를 제어 회로(14)로 보낸다. 이에 따라, 물 체류 공간 내의 물이 일정 이상의 높이로 높아지면 부구(15)가 상향 이동하여 꼭지(16)의 입구와 서로 맞닿아서 입구를 막게 되어 물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게 된다. 또한 레벨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가 일정 수준 이하이면 그 수위 검출 신호가 제어 회로(14)로 보내지고 제어 회로(14)는 이에 응답하여 초음파 진동자가 작동하지 않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구(15)에는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일 때 U자형 부분의 단부에 닿아서 그 단부를 막을 수 있도록 한 음각부(25)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진동자의 가습 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방지되고, 또한 가습기의 작동이 중단되었을 때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물리적 방식으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게 하여 물이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14)에는 초음파 진동자(18), 습도 검출 센서 및 레벨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 회로(14)는 초음파 진동자 (18)를 구동시키며 습도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실내 습도와 최적 습도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가습 작동시키거나 수동 가습으로 전환할 수 있고 레벨 센서의 수위 신호에 따라 진동자의 작동을 개시 및 중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제어 회로는 임의의 공지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수증기 배출 장치를 구성하는 뚜껑(3)은 상부 몸체(2)의 상부를 덮으며 이것의 한 측면에 형성된 수증기 배출구(4)를 통해서는 수증기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된 수증기가 실내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외부 구조에 있어서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습기를 벽 면에 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즉, 가습기의 배면에 벽걸이용 구멍, 또는 장착 브라켓에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구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한 형태의 가습기를 가지고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서 설명된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들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의 여러 부재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즉, 물통을 갖지 않는 구조를 갖게 하면서 다른 여러 부재들을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수위 검출 및 물 배출을 차단하는 것을 전자 개폐식으로 할 수 있으며, 진동자 주위에서 물이 배출되게 하는 장치를 펌프 작동 방식으로 할 수 있으며, 밸브(19)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 및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형태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몸체 부분과 하부 받침대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하였으나,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수증기 발생 장치는 초음파 진동 방식이 아닌 가열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가습기는 물통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편리하고 흐르는 물을 사용하고 청소가 용이한 구조이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물통이 없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 회로가 하부 받침대에 설치되고 하부 받침대와 상부 몸체의 사이는 유연한 호스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뚜껑을 분리하면 상부 몸체에는 초음파 진동자와 레벨 센서뿐이므로 크기가 작고 가벼워 쉽게 다룰 수 있고 또 뒤집을 수 있다. 따라서 물과 접촉하는 진동자를 청소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Claims (5)

  1. 가습을 위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 발생 장치와, 수증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수증기 배출 장치와,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발생 장치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부터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 공급 장치와, 상기 수증기 발생 장치를 수용하며 상기 물 공급 장치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수증기 발생 장치에서 형성된 수증기를 체류시키는 체류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 장치는 물이 외부로부터 가습기로 인입되게 하고 물의 인입을 제어할 수 있는 인입 장치와 상기 인입 장치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물 체류 공간으로 물을 제어 가능하게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물 배출 장치는 상기 인입 장치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이 연결 부재로부터 물 체류 공간 안으로 연장된 공급 도관과, 수위의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공급 도관의 단부를 개폐하여 공급 도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제어하는 물 배출 제어 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수증기 발생 장치로 공급되는 물이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어 위생적인 수증기가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이 없는 구조를 갖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장치는 외부 물 공급원에 연결되는 연결 도관과, 이 연결 도관의 한 단부에 부착되어 물 공급 압력을 감압시키고 물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기능을 하는 필터와, 연결 도관의 적절한 위치에 마련된 물 공급 제어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발생 장치 주위에 설치되어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 도관을 통과하여 체류 공간내로 유입된 물을 상기 공급 도관으로 강제 유입시켜 재순환시키는 순환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수증기 발생 장치 주위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공급 도관의 관로내에 연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의 횡단면 크기는 물 공급 장치의 도관의 횡단면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19970053382A 1997-10-17 1997-10-17 물통이 없는 구조의 가습기 KR100259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382A KR100259028B1 (ko) 1997-10-17 1997-10-17 물통이 없는 구조의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382A KR100259028B1 (ko) 1997-10-17 1997-10-17 물통이 없는 구조의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56A KR19990032356A (ko) 1999-05-15
KR100259028B1 true KR100259028B1 (ko) 2000-06-15

Family

ID=1952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382A KR100259028B1 (ko) 1997-10-17 1997-10-17 물통이 없는 구조의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34B1 (ko) * 2009-07-31 2010-08-19 주식회사 다안 복합 환기조화기의 가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56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56288A1 (en) Ultrasonic aroma humidifier capable of facilitating cleaning
KR101180598B1 (ko)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
JPH07213968A (ja) 小形洗浄器兼用の携帯用超音波加湿器
EP0009405A1 (en) Portable toilet with improved flush apparatus
KR100259028B1 (ko) 물통이 없는 구조의 가습기
KR20030078508A (ko)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스팀진공청소기와 이를 이용한스팀발생 및 자동세척방법
KR100654858B1 (ko) 스팀 청소기 및 이를 위한 스팀 발생기
US11872173B2 (en) Nursing machine host and nursing machine to which same belongs
JP2736297B2 (ja) 浴槽水循環加熱浄化装置
KR100870903B1 (ko) 빌트인 가습기
KR20050027573A (ko) 물에 띄우는 초음파 가습기
KR100378446B1 (ko) 스팀청소기
US7434791B2 (en) Faucet-based humidifier
KR102326497B1 (ko)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JPH07151362A (ja) 蒸気式加湿器
JPS6235440Y2 (ko)
CN214841360U (zh) 空气调节装置
CN112839555B (zh) 排泄物处理方法及其装置
US20050236022A1 (en) Ostomy bag cleaning device
KR200183340Y1 (ko) 히터식가습기
JPS6216959Y2 (ko)
JPH0243265Y2 (ko)
JPS6241678Y2 (ko)
KR200159207Y1 (ko) 히터식 가습기
JPH06257804A (ja) 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