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248B1 - 광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광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248B1
KR100653248B1 KR1020050054433A KR20050054433A KR100653248B1 KR 100653248 B1 KR100653248 B1 KR 100653248B1 KR 1020050054433 A KR1020050054433 A KR 1020050054433A KR 20050054433 A KR20050054433 A KR 20050054433A KR 100653248 B1 KR100653248 B1 KR 100653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lade
housing
magnet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칠성
김재경
우상민
최동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248B1/ko
Priority to US11/472,555 priority patent/US2007000850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4Single movable plate with two or more apertures of graded size, e.g. sliding plate or pivoting 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53Intensity control of illuminating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광량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어퍼츄어를 구비한 회전부와, 회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회전부를 소정의 각도로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회전부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리셋부와, 회전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를 포함하는 광량 조절 장치는 투사되는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명암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더욱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광량 조절 장치, 영상 투사 장치, 어퍼츄어

Description

광량 조절 장치{Light Quaint Adjust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영상 투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2의 AA'선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의 단면도.
도 4b는 도 2의 BB'선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암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CC'선에 따른 블레이드암의 단면도.
도 6c는 도 6a의 DD'선에 따른 블레이드암의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서 EE'선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
도 7c는 도 7a에서 FF'선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의 사시도.
도 8b는 도 8a에서 GG'선에 따른 샤프트의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쉬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에서 JJ'선에 따른 고정부쉬의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의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에서 KK'선에 따른 고정부쉬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부호의 설명*
11: 하우징 111: 패드안착면 113: 개구
115: 부쉬삽입공 117: 샤프트 삽입공 119: 하우징단턱
13: 블레이드암 131: 블레이드 결합부 133: 암몸통부
135: 샤프트 삽입부 137: 리셋마그넷 장착부
139: 위치마그넷 장착부
15: 블레이드 151: 어퍼츄어 153: 연결부
17: 내측코어 171: 코어몸통 173: 코어돌출부
19: 요크 191: 요크몸통부 193: 요크측면부
21: 구동마그넷 23: 리셋마그넷 25: 위치마그넷
27: 샤프트 271: 나사부 273: 샤프트몸통
275: 샤프트헤드
29: 고정부쉬 291: 부쉬헤드 293: 부쉬몸통
295: 나사산
31: 스프링 33: 베어링 35: 조절부쉬
37: 패드 41: 인쇄회로기판 43: 댐퍼
45: 코일 47: 홀센서
본 발명은 광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투사 장치의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LP(Digital Light Processing)를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는 일반 LCD(Liquid Crystal Display) 영상기기의 단점인 픽셀의 모자이크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원색 재현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극장, 회의실 또는 프로젝션 TV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영상 투사 장치는 투사방식에 따라 크게 전면 영상 투사(Front Projection) 장치 및 후면 영상 투사(Rear Projection) 장치로 구분된다.
전면 영상 투사 장치는 스크린의 전면에서 영상신호를 투사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극장, 회의실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반면, 후면 영상 투사 장치는 스크린의 후면에서 영상신호를 투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후면 영상 투사 장치는 프로젝션 TV의 형태로 보편화되어 있다. 특히, 후면 영상 투사 장치는 주위 환경이 밝은 곳에서도 비교적 밝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전면 영상 투사 장치에 비해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후면 영상 투사 장치의 일례인 프로젝션 TV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른 종래의 프로젝션 TV는 백색광을 생성하는 광원(81)과, 상기 광원(81)으로부터 나온 백색광에 소정의 색상을 부여하는 색처리장치(83), 상기 색처리장치(83)에 의해 처리된 광을 이용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초소형 디스플레이 장치(85),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5)에 표시된 영상을 영사하는 영사렌즈(87, 89), 상기 영사렌즈(87)로부터 나온 광의 경로를 변환하는 미러(93) 및 상기 영사렌즈(89)로부터 나온 영상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스크린(91)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81)은 백색광을 발산하는 램프형 광원이며, 상기 색처리장치(83)는 백색광을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의 3가지로 분리하는 칼러필터이다. 그리고 상기 초소형 디스플레이 장치(85)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Digital Micro mirror Device, 이하, "DMD"라고 함)이다. 이러한 DMD(85)는 미국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사가 개발한 빛을 제어하는 반도체를 이용한 투사형 표시기로서, 이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미세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마이크로 반사미러를 구비하며, 이와 같은 반사미러는 각각 하나의 화소 구조를 담당한다. 그리고 반사미러는 각 화소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메모리(미도시)의 해당 정전계 작용에 의하여 반사미러의 경사가 조정되어 화상을 표현한다. 상기 DMD(85)의 반사미러는 매 우 빠른 속도로 진동하면서 입사된 광의 경로를 온/오프(on-off) 전환하면서 반사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상 투사 장치는 상기 영사렌즈(89)가 상기 DMD(85)로부터 나온 광량(light quaint)을 그대로 투과하기 때문에 명암비가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명암비(contrast ratio)란 백색과 흑색의 휘도 비율을 뜻한다. 즉, 화면 전체를 흑색으로 색상을 설정했을 때의 휘도와 화면을 백색으로 했을 때의 휘도의 비율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명암비가 클수록 더욱 정교하고 선명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밤중에 번개 치는 영상을 표현하는 경우 명암비가 높으면 번개와 밤하늘의 명암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투사 장치에서 투사되는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명암비를 높일 수 있는 광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는 광원으로터 나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어퍼츄어를 구비한 회전부와, 회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회전부를 소정의 각도로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회전부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리셋부와, 회전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광량 조절 장치는 어펴츄어의 회전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의 양을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명암비를 높임과 동시에 더욱 선명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회전부는 어퍼츄어가 형성된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와 결합되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블레이드암을 포함한다.
지지부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고정되어 블레이드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부는 블레이드암에 결합된 코일과, 하우징에 결합되어 코일을 관통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구동마그넷을 포함한다.
또한, 리셋부는 회전부에 결합되어 구동마그넷과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리셋마그넷을 포함하고, 위치검출부는 회전부에 결합되는 위치마그넷과, 하우징에 고정되는 홀센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광량 조절 장치는 리셋마그넷을 이용하여 블레이드의 위치를 자동으로 원상 복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검출부에 의해 블레이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블레이드에는 상이한 곡률반경을 갖는 다수 개의 어퍼츄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이한 곡률반경을 갖는 다수의 어퍼츄어를 통해 광량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표면을 흑색 및 무광택으로 처리함으로써 빛의 난반사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암은 암몸통부와, 암몸통부의 일단에서 형성되며 블레이드와 결합하는 블레이드결합부와, 암몸통부의 타단에서 형성되며 샤프트가 결합하는 샤프트삽입부를 포함한다.
블레이드암은 샤프트삽입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위치마그넷이 장착되는 위치마그넷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마그넷 장착부를 홀센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위치를 더욱 정밀한 측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지지부는 샤프트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블라인드암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부쉬와, 샤프트의 타단부에 삽입되어 블라인드암을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블라인드암이 샤프트 상에서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는 고정부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샤프트는 샤프트몸통과, 샤프트몸통의 일단에서 형성되며 고정부쉬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와, 샤프트몸통의 타단에서 형성된 사프트헤드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고정부쉬가 삽입되는 부쉬삽입공과, 샤프트헤드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공을 포함한다. 따라서, 샤프트는 상기 고정부쉬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샤프트삽입부와 샤프트 사이에는 베어링을 삽입함으로써 블라인드암과 샤프트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몸통부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코일은 중공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구동부는 코일의 내부에서 블레이드암의 회전방향으로 위치하는 코어와, 코어와 평행한 방향 으로 구동마그넷에 대하여 인접하게 위치하는 요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마그넷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력선을 코일로 집중시킬 수 있게됨으로써 구동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은 내주면에 하우징단턱을 구비하고, 코어와 요크를 하우징단턱에 안착시킴으로써 코어 및 요크를 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 할 수 있다.
요크는 마그넷안착부를 구비한 요크몸통부와, 요크몸통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요크측면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절반편으로 이루어지고, 코어는 코어몸통부와, 코어몸통부의 양단에서 코어단턱을 경계로 형성된 코어돌출부를 가지며, 요크측면부는 코어단턱에 안착되는 요크돌기와, 코어돌출부가 삽입되는 요크삽입홈을 구비한다.
코어몸통부는 원호 형상을 구비하기 때문에 블레이드암의 회전시 상기 코어몸통부가 블레이드암의 회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크돌기에 댐퍼를 각각 부착함으로써 블레이드암의 스토퍼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암과 요크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댐퍼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셋마그넷은 구동마그넷과 수직 방향으로 착자되며 하나의 극만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구동부로부터 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블라이드암은 자동적으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위치검출부는 홀센서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을 가지고, 인쇄회로기판은 코일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과 코일을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을 압축소결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량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는 블레이드암(13) 및 블레이드(15)를 포함하는 회전부와; 구동마그넷(21), 코일(45), 코어(17) 및 요크(19)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게 하는 구동부와; 하우징(11), 샤프트(27), 고정부쉬(29), 스프링(31), 베어링(33) 및 조절부쉬(35)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리셋마그넷(23)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부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리셋부와; 위치마그넷(25)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를 포함한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량 검출 장치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량을 조절하는 어퍼츄어(151)를 구비하는 블레이드(15)는 상기 블레이드암(13)와 나사 결합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 드암(13)은 상기 샤프트(27)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블레이드암(13)과 상기 샤프트(27) 사이에는 베어링(33)이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7)의 일단부에는 고정부쉬(29)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샤프트헤드(275)가 상기 하우징(11)에 삽입된다. 상기 샤프트(27)는 스프링(31)에 의해 일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조절부쉬(35)에 의해 위치 설정된다.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상기 요크(19)가 안착되고 상기 요크(19)에는 상기 구동마그넷(21)이 안착된다. 상기 코일(45)은 상기 블레이드암(13)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코일(45)의 내부에는 코어(17)가 위치한다. 상기 리셋마그넷(23)은 상기 블레이드암(13)의 리셋마그넷 장착부(137)에 부착되고, 상기 위치마그넷(25)은 위치마그넷 장착부(139)에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11)의 상부에는 패드(37)가 부착되고, 하부에는 인쇄회로기판(41)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요크(19)의 일측에는 댐퍼(43)가 각각 부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회전부, 구동부, 지지부, 리셋부 및 위치검출부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어퍼츄어(aperture)를 구비하는 블레이드(15)와, 상기 블레이드(15)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블레이드암(13)을 포함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15)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블레이드(15)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15)는 광량을 조절하는 어퍼츄어(151) 및 상기 블레이드암(13)에 결합되는 연결부(153)를 구비한다. 상기 블레이드(15)에는 광원(미도시)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므로,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광택의 흑색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퍼츄어(151)는 미세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어퍼츄어(151)는 상이한 곡률반경을 갖는 제1 어퍼츄어(151a) 및 제2 어퍼츄처(151b)를 구비하고 상기 어퍼츄어(151)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어퍼츄어(151)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제1 어퍼츄어(151a) 및 제2 어퍼츄어(151b)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 어퍼츄어의 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일한 어퍼츄어를 형성하거나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곡률반경을 갖는 3개 이상의 어퍼츄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츄어(151)가 반원 형상을 갖지만, 어퍼츄어의 형상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퍼츄어가 타원, 삼각, 사각 또는 슬롯(slot)의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53)는 상기 블레이드암(13)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53)의 형상은 광량 조절 장치의 설계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53)의 일단부에는 스크류삽입공(15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삽입공(153a)에 스크류(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블레이드암(13)과 나사 결합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암(13)의 사시도이고, 도 6b 내지 도 6c는 도 6a의 CC'선 및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암(13)은 상기 블레이드(15)와 결합하는 블레이드 결합부(131)와, 상기 블레이드 결합부(131)의 일단에 형성된 암몸통부(133)와, 상기 암몸통부(133)의 일단에서 형성된 샤프트삽입부(135)와, 상기 리셋마그넷(23)이 장착되는 리셋마그넷 장착부(137) 및 상기 위치마그넷(25)이 장착되는 위치마그넷 장착부(139)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암(13)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블레이드(15)를 회전시킨다.
상기 블레이드결합부(131)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몸통부(133)의 상단부에서 돌출되여 있으며 스크류 삽입공(131a)을 구비한다. 상기 스크류삽입공(131a)에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가 삽입되어 상기 블레이드암(15) 및 상기 블레이드(13)가 나사 결합한다. 물론, 상기 블레이드(13)와 상기 블레이드암(15)은 접착제 등에 의해서도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13)와 상기 블레이드암(15)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암몸통부(133)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중앙에는 중공부(13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부(133a)에는 상기 코일(45) 및 상기 코어(17)가 위치한다. 상기 암몸통부(133)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마그넷(2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샤프트삽입부(135)는 상기 암몸통부(133)의 일단부에서 형성되며 링 형 상을 갖는다. 상기 샤프트삽입부(135)에는 상기 베어링(33)이 삽입되고, 상기 베어링(33)에는 상기 샤프트(27)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암(13)은 상기 샤프트(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리셋마그넷 장착부(137)는 상기 암몸통부(133)와 상기 샤프트삽입부(135)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리셋마그넷 장착부(137)는 상기 구동마그넷(21)이 장착되는 방향과 수직이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셋마그넷 장착부(137)는 전면만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셋마그넷(23)은 하나의 극만이 상기 구동마그넷(21)과 상호 작용한다. 상기 리셋마그넷 장착부(137)는 상기 리셋마그넷(23)이 상기 구동마그넷(21)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면 상기 회전부 임의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리셋마그넷 장착부(137)는 상기 구동마그넷(21)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마그넷(21)과 상기 리셋마그넷(23)의 상호 작용력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마그넷 장착부(139)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삽입부(135)의 하면에 위치하는 경사진 면이다. 상기 위치마그넷 장착부(139)에는 상기 위치마그넷(25)이 장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41)에 부착된 홀센서(47)가 상기 위치마그넷(25)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상기 위치마그넷 장착부(139)는, 상기 블레이드암(13)이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홀센서(47)가 상기 위치마그넷(25)의 움직임을 더욱 정밀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마그넷 장착부(139)를 상기 홀센서(47)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마그넷 장착부(139)의 경사 각도는 홀센서 및 위치마그넷(25)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15)와 상기 블레이드암(13)을 별개로 형성하였지만, 상기 블레이드(15)와 상기 블레이드암(13)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부는 상기 블레이드암(13)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블레이드(15)가 상기 샤프트(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리셋마그넷 장착부(137) 및 상기 위치마그넷 장착부(139)는 상기 리셋부 및 상기 위치검출부의 구성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블레이드암(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샤프트(27)와, 상기 샤프트(27)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샤프트(27)에 삽입되는 고정부쉬(29), 스프링(31), 베어링(33) 및 조절부쉬(35)를 포함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의 사시도이고, 도 7b 내지 도 7c는 도 7a의 GG'선 및 HH'선에 따른 상기 하우징(11)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1)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패드안착면(111), 개구(113), 부쉬삽입공(115), 샤프트삽입공(117) 및 하우징단턱(119)을 갖는다.
상기 패드안착면(111)은 상기 하우징(11)의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면으로서 상부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37)가 안착 된다. 상기 패드(37)는 상기 하우징(11)위 상부에서 나사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구(113)는 상기 하우징(11)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으로서 상기 개구(113)에 의해 상기 하우징(11)의 내부가 개방된다.
상기 부쉬삽입공(115)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이다. 상기 부쉬삽입공(115)에는 상기 고정부쉬(29)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삽입공(117)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에서 상기 부쉬삽입공(115)과 대향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삽입공(117)에는 상기 샤프트(27)의 샤프트헤드(275)가 삽입된다. 상기 부쉬삽입공(115) 및 상기 샤프트삽입공(115)은 도 7a 내지 도 7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일 수도 있고, 타원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단턱(119)은,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 내주면에서 일정한 길이로 내부로 돌출된다. 상기 하우징단턱(119)은 상기 하우징(11) 내주면의 모든 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단턱(119)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19)가 안착 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7)가 안착 된다.
상기 하우징(11)의 하면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41)이 부착된다. 상기 인쇄회로판(41)에는 홀센서(4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제작 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샤프트(27)를 고정하고 상기 회전부, 구동부, 지지지부, 리셋부 및 위치검출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샤프트(27)를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힌지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샤프트(27)를 지지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샤프트(27)의 사시도이고, 도 8b 는 도 8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27)는 나사부(271)와, 상기 나사부(271)에서 연장된 샤프트몸통(273)과, 상기 샤프트몸통(293)의 일단에 형성된 샤프트헤드(275)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부(271)는 상기 고정부쉬(29)의 나사산(295)과 나사 결합한다. 상기 샤프트몸통(293)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부터 상기 스프링(31), 베어링(33) 및 조절부쉬(35)가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헤드(275)는 상기 하우징(11)의 샤프트삽입공(117)에 삽입된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쉬(29)의 사시도 및 JJ'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쉬(29)는 부쉬헤드(291), 부쉬몸통(293) 및 나사산(295)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쉬(29)는 상기 하우징(11)의 부쉬삽입공(115)에 삽입되며, 상기 샤프트(27)와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샤프트(27)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부쉬헤드(291)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부쉬몸통(293)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부쉬헤드(29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외주면에 노출된다. 상기 부쉬몸통(293)은 상기 하우징(11)의 부쉬삽입공(11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나사산(295)은 상기 샤프트(27)의 나사부(271)와 나사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샤프트(27)의 일단을 나사산(295)이 형성된 고정부쉬(29)를 이용하여 고정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샤프트(27)를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부쉬삽입공 (117)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27)가 부쉬삽입공에 직접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스프링(31)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7)에 삽입되어 상기 블레이드암(13)의 샤프트삽입부(135) 및 상기 고정부쉬(29)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31)은 상기 블레이드암(13)을 한 방향으로 가압하는데, 이때 상기 블레이드암(13)의 타측면에는 상기 조절부쉬(35)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암(13)은 상기 스프링(31)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암(13)은 상기 스프링(31)과 상기 조절부쉬(35)에 의해 상기 샤프트(27) 상에서의 이동이 방지되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 되게 위치하는 상기 구동마그넷(2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33)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삽입공(117) 및 상기 샤프트(27)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샤프트(27)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베어링(33)은 볼베어링 또는 롤러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샤프트(27) 및 상기 샤프트(27)를 지지하는 하우징(11)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부가 샤프트에 결합된 힌지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스텝모터(step motor)인 경우 상기 회전부는 스텝모터의 회전축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마그넷(21)과, 상기 코일(45), 코어(17) 및 요크(19)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마그넷(21)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19)의 내면에 한 쌍이 장착되며, 마주 보는 면이 서로 동일한 극을 갖는다. 상기 구동마그넷(21)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은 상기 중공부(133a) 내부에 위치한 상기 코일(45)을 관통한다. 이때, 상기 코일(45)에 전류를 인가하면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의해 상기 코일에 전자기력이 가해진다. 상기 구동마그넷(21)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은 상기 요크(19) 및 상기 코어(17)에 의해 상기 코일(45)로 더욱 집중된다.
상기 코일(45)은 상기 중공부(133a)의 내부에 위치하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41)과 연결된다. 상기 코일(45)을 상기 인쇄회로기판(41)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지만,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이 더욱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17)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상기 코어(17)의 단면도이다.
상기 코어(17)는 원호 형상의 코어몸통(171)과 상기 코어몸통(171)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코어돌출부(173)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17)는 상기 코일(45)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마그넷(21)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기 코일(45)로 집중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코어(17)는 철 또는 니켈과 같이 자기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이 큰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몸통(171)은,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45)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코일(45) 및 상기 블레이드암(13)은 회전하기 때문 에 상기 코어몸통(171)이 원호 형상을 갖게 함으로써, 상기 코어몸통(171)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암(13)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몸통(171)의 곡률반경은 상기 블레이드암(13)의 회전반경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돌출부(173)는 상기 코어몸통(171)의 양단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코어몸통(171)과 상기 코어돌출부(173) 사이에는 코어단턱(17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어돌출부(173)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단턱(119)에 안착 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크(1)는 요크몸통부(191)와 상기 요크몸통부(191)의 양단에서 돌출된 요크측면부(193)를 갖는다. 상기 요크(19)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절반편(19, 1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크(19)는 상기 코어(17)와 같이 상기 구동마그넷(21)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기 코일(45)에 집중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요크(19) 또한, 철이나 니켈 등과 같이 자기 투자율이 우수한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크몸통부(191, 191')는 단면이 "┘" 형상을 갖는다. 상기 요크몸통부(191, 19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단턱(199)에 안착 되며, 상기 요크몸통부(191, 191')의 마그넷안착부(191a, 191a')에는 상기 구동마그넷(21) 이 위치된다. 상기 요크몸통부(191, 191')는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억지 끼워 맞춤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크몸통부(191, 191')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단턱(119)에서부터 상기 하우징(11)의 상단부까지의 길이와 동일하다.
상기 요크측면부(193, 193')는 상기 요크몸통부(191, 191')의 양단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며 좌우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요크측면부(193, 193')는 요크돌기(193a, 193a')를 갖는다. 또한, 한 쌍의 요크(19, 19')의 결합에 의해 코어삽입홈(193b)이 형성된다. 상기 요크돌기(193, 193')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7)의 코어단턱(173a)에 각각 안착 된다. 그리고 상기 요크삽입홈(193b)에는 상기 코어(17)의 코어돌출부(173)가 삽입된다.
상기 요크돌기(193a, 193a')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43)가 위치한다. 상기 댐퍼(43)는 상기 블레이드암(13)이 회전하면서 상기 요크돌기(193a, 193a')에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상기 블레이드암(13)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한다. 상기 댐퍼(43)는 플라스틱 수지와 같이 가볍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를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를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부를 스텝모터 또는 초음파 모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리셋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마그넷(21)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부의 기준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리셋부는 리셋마그넷(23)을 포함한다.
상기 리셋마그넷(23)은 상기 블레이드암(131)의 리셋마그넷 장착부(137)에 부착된다. 상기 리셋마그넷(23)이 장착된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셋마그넷(23)의 일면만이 상기 구동마그넷(21)에 대해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리셋마그넷(23)은 상기 구동마그넷(21)과 수직 방향으로 착자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마그넷(21)은 내측면이 N극을 나타내고 상기 리셋마그넷(23)은 S극이 노출된 경우, 상기 리셋마그넷(23)과 상기 구동마그넷(21)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블라인드암(1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45)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항상 상기 블라인드암(13)은 상기 하우징(11)의 좌측으로 편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셋부를 리셋마그넷(23)을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일(45)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가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샤프트(27)에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을 삽입하여 상기 블레이드암(13)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회전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블레이드암(13)에 장착된 위치마그넷(25)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마그넷(25)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암(13)의 하면에 형성된 위치마그넷 장착부(139)에 부착된다. 상기 위치마그넷(25)은 상기 하우징(11)의 저면과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1)의 저면에는 홀센서(hall sensor)(47)가 장착된 상기 인쇄회로기판(41)이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홀센서(47) 가 상기 위치마그넷(25)의 위치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위치마그넷(25)은 상기 홀센서(47)를 향하여 경사지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홀센서(47)가 상기 위치마그넷(25)의 회전에 의한 위치 변화를 더욱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센서(47)가 상기 블레이드암(13)의 위치를 검출한 후 상기 인쇄회로기판(41)을 통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가 회전부의 위치를 파악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다시 입력하여 상기 회전부를 필요한 각만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부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홀센서를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도센서(angle sensor)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의 어퍼츄어(151)에 빛(L)이 입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광원(미도시)으로부터 나온 빛(L)은 상기 블레이드(15)의 어퍼츄어(151)를 통과하는데, 빛(L)의 크기보다 상기 어퍼츄어(151)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빛(L)의 일부가 차단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15) 및 블레이드암(13)의 위치는 상기 위치마그넷(25)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상기 홀센서(47)에 의해 파악되어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된다. 그리고 스크린에 투사되는 빛의 광량을 더욱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면,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41)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킨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1)은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코일(45)에 전류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구동마그넷(21)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이 상기 코일(45)을 투과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장과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코일(45)에 힘이 작용한다. 이 힘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암(15) 및 상기 블레이드(13)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13) 및 상기 블레이드암(15)의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는 상기 코일(45)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된다.
상기 블레이드(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어퍼츄어(15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빛(L)이 통과할 수 있는 어퍼츄어(151)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어퍼츄어(151)를 통과하는 광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츄어(151)를 원위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코일(45)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면, 상기 리셋마그넷(23)과 상기 구동마그넷(21)이 상호 작용하면서 상기 블레이드암(13)을 원상복귀시킨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술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지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 투사 장치에서 투사되는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명암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더욱 선명한 화질을 나타낼 수 있는 광량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셋마그넷을 이용하여 블레이드의 위치를 자동으로 원상 복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검출부에 의해 블레이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가 상이한 곡률반경을 갖는 다수의 어퍼츄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량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를 무광택 및 흑색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빛의 산란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치마그넷이 홀센서를 향하여 경사지게 위치하기 때문에 회전부의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라인드암이 조절부쉬에 의해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해 타측이 가압 되기 때문에 블라인드암이 샤프트 상에서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라인드암과 샤프트 사이에 베어링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블라인드암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요크에 댐퍼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블라인드암과 요크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함과 동시에 블라인드암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 다.

Claims (23)

  1.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어퍼츄어를 구비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회전부를 소정의 각도로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부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리셋부와;
    상기 회전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를 포함하는 광량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어퍼츄어가 형성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블레이드암을 포함하는 광량 조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블레이드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광량 조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블레이드암에 결합된 코일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을 관통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구동마그넷을 포함하는 광량 조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마그넷과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리셋마그넷을 포함하는 광량 조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위치마그넷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광량 조절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이한 곡률반경을 갖는 다수 개의 어퍼츄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광량 조절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표면은 흑색 및 무광택으로 의해 처리된 광량조절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암은
    암몸통부와;
    상기 암몸통부의 일단에서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와 결합하는 블레이드결합부와;
    상기 암몸통부의 타단에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가 결합하는 샤프트삽입부를 포함하는 광량 조절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암은 상기 샤프트삽입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위치마그넷이 장착되는 위치마그넷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광량 조절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마그넷 장착부는 상기 홀센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광량 조절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블라인드암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부쉬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블라인드암을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광량 조절 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고정부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샤프트몸통과; 상기 샤프트몸통의 일단에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쉬와 나사결합하는 나사부와; 상기 샤프트몸통의 타단에서 형성된 사프트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부쉬가 삽입되는 부쉬삽입공과, 상기 샤프트헤드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공을 포함하는 광량 조절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삽입부와 상기 샤프트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는 광량 조절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암몸통부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코일의 내부에서 상기 블레이드암의 회전방향으로 위치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구동마그넷에 대하여 인접하게 위치하는 요크를 포함하는 광량 조절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주면에 하우징단턱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와 상기 요크는 상기 하우징단턱에 안착 되는 광량 조절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마그넷안착부를 구비한 요크몸통부와, 상기 요크몸통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요크측면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절반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는 코어몸통부와, 상기 코어몸통부의 양단에서 코어단턱을 경계로 형성된 코어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요크측면부는 상기 코어단턱에 안착되는 요크돌기와, 상기 코어돌출부가 삽입되는 요크삽입홈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몸통부는 원호 형상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돌기에는 댐퍼가 각각 부착된 광량 조절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된 광량 조절 장치.
  2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마그넷은 상기 구동마그넷과 수직 방향으로 착자되며 하나의 극만이 외부로 노출되는 광량 조절 장치.
  2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을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코일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광량 조절 장치.
  2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압축소결에 의해 형성되는 광량 조절 장치.
KR1020050054433A 2005-06-23 2005-06-23 광량 조절 장치 KR100653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433A KR100653248B1 (ko) 2005-06-23 2005-06-23 광량 조절 장치
US11/472,555 US20070008502A1 (en) 2005-06-23 2006-06-22 Light quantity adjus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433A KR100653248B1 (ko) 2005-06-23 2005-06-23 광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248B1 true KR100653248B1 (ko) 2006-12-01

Family

ID=3761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433A KR100653248B1 (ko) 2005-06-23 2005-06-23 광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08502A1 (ko)
KR (1) KR1006532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9824A (ja) * 2006-01-12 2007-07-26 Nisca Corp マグネットロ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磁駆動装置並びにこの光量調整装置を備えた光学機器
TWI367029B (en) * 2007-01-31 2012-06-21 Young Optics Inc Light source module
JP4271242B2 (ja) * 2007-03-09 2009-06-03 三菱電機株式会社 絞り駆動装置及び投写型画像表示装置
CA2631144C (en) * 2007-06-05 2011-03-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rojection display
TWM326645U (en) * 2007-06-06 2008-02-01 Young Optics Inc Light-shielding module and proj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TWM329799U (en) * 2007-10-23 2008-04-01 Coretronic Corp Automatic iris diaphragm module
JP5976142B2 (ja) * 2014-03-28 2016-08-23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カメラ
JP7119693B2 (ja) * 2018-07-23 2022-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投射システム
US10771710B2 (en) 2018-10-22 2020-09-08 Raytheon Company Shutter assembly for managing light relative to a photosensitive device
US11473616B2 (en) 2018-10-22 2022-10-18 Raytheon Company Flexure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6004A (ja) * 1992-02-04 1993-08-27 Seiko Epson Corp 投射型プロジェクター
JPH0611756A (ja) * 1992-06-25 1994-01-21 Copal Co Ltd レンズ駆動機構付きシャッタ
JP2004302108A (ja) * 2003-03-31 2004-10-28 Nidec Copal Corp プロジェクタ用絞り装置
JP2004325746A (ja) * 2003-04-24 2004-11-18 Nidec Copal Corp プロジェクタ用絞り装置
JP2005134522A (ja) * 2003-10-29 2005-05-26 Konica Minolta Opto Inc 絞り機構およびプロジェ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764A (en) * 1902-06-03 1903-05-19 George Robinson Wire-tightener.
US3593405A (en) * 1969-09-05 1971-07-20 Gen Electric Apparatus for forming winding end turns
DE4029749A1 (de) * 1990-09-20 1992-03-26 Schwaebische Huettenwerke Gmbh Filter
US5264896A (en) * 1992-05-18 1993-11-23 Eastman Kodak Company Continuously variable electronically actuated shuttering system
US6340080B1 (en) * 1997-10-29 2002-01-22 Lord Corporation Apparatus including a matrix structure and apparatus
JP3969927B2 (ja) * 2000-04-06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撮影装置及び観察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6004A (ja) * 1992-02-04 1993-08-27 Seiko Epson Corp 投射型プロジェクター
JPH0611756A (ja) * 1992-06-25 1994-01-21 Copal Co Ltd レンズ駆動機構付きシャッタ
JP2004302108A (ja) * 2003-03-31 2004-10-28 Nidec Copal Corp プロジェクタ用絞り装置
JP2004325746A (ja) * 2003-04-24 2004-11-18 Nidec Copal Corp プロジェクタ用絞り装置
JP2005134522A (ja) * 2003-10-29 2005-05-26 Konica Minolta Opto Inc 絞り機構および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08502A1 (en)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248B1 (ko) 광량 조절 장치
US7287864B2 (en) Light amount adjusting device and projector using the same
CN101000446B (zh) 磁性转子、电磁驱动装置及具有光量调整装置的光学设备
KR100884962B1 (ko)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20060193067A1 (en) Tilting assembly and tilting actuator having the same
US7210795B2 (en) Light quantity adjusting device and projector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50264501A1 (en) Display device
WO2005057917A1 (en) Actuator for improvement of resolution
EP1751976A1 (en) Display device
US7290884B2 (en) Display device having resolution improving apparatus for project-type display device
KR20080018054A (ko) 조리개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US20080043208A1 (en) Projection system and its optical shutter
KR20050113326A (ko)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JP2006284995A (ja) 投射型画像表示装置
US20060250691A1 (en) Tilting member and tilting actuator having the same
US20050264547A1 (en) Display device
KR100586616B1 (ko) 틸팅부재와 이를 갖는 틸팅 엑츄에이터
KR100717907B1 (ko) 진동형 틸팅장치
KR100703074B1 (ko) 틸팅부재와 이를 갖는 틸팅 엑츄에이터
JP3178837U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1147459A (ja) アイリス駆動装置及びアイリス駆動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5338711A (ja) 光量調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6284994A (ja) 投射光学系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投射型画像表示装置
KR20070079159A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어드밴스드 콘트라스트 인핸서
KR20050117100A (ko) 해상도 향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