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054A - 조리개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개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054A
KR20080018054A KR1020060080130A KR20060080130A KR20080018054A KR 20080018054 A KR20080018054 A KR 20080018054A KR 1020060080130 A KR1020060080130 A KR 1020060080130A KR 20060080130 A KR20060080130 A KR 20060080130A KR 20080018054 A KR20080018054 A KR 20080018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il
shutter member
disk body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영
송기범
강병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8054A/ko
Priority to EP07110090A priority patent/EP1892567A1/en
Priority to US11/768,472 priority patent/US20080049195A1/en
Priority to CNA200710128201XA priority patent/CN101131529A/zh
Publication of KR20080018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개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광경로 상에 형성된 주개구를 갖는 주디스크본체와, 상기 주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셔터부재와,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조리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구조를 간단히 하여 슬림화가 가능하며, 광경로 상에서 광경로를 차단하여 명암 조절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경제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개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IRIS UNIT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예에 따른 영상투사장치에 광학엔진세트가 장착된 부분절단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학엔진세트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조리개유닛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투사장치
115 : 광원부 117 : 반사판
120 : 조명계 121 : 집광렌즈
123 : 다이크로익렌즈 124 : 플라이아이렌즈
125 : 반사미러 126 : 집속경통부
127a, 127b : 신호선 개구 128 : 필드렌즈
129 : 디스플레이소자
130 : 투사계 133 : 투사렌즈
135 : 투사경통부 140 : 조리개유닛
145 : 주디스크본체 146 : 디스크결합공
147 : 주개구 149 : 셔터부재
150 : 구동부 151 : 제1코일
153 : 제1코일관통부 155 : 제1주자석
161 : 제1브래킷 163 : 브래킷볼트
163a : 브래킷볼트공 165 : 제2브래킷
170 : 힌지부 171 : 힌지핀
173a, 173b, 173c : 힌지핀공 175 : 탄성부재
175a : 제1지지부 175b : 제2지지부
177 : 센서자석 179 : 마그네틱센서
181 : 보조기판 185 : 신호선
191 : 구동기판 195 : 스토퍼
195a, 195b : 스토퍼공 211 : 제2코일
213 : 제2코일관통부 215 : 제2주자석
221 : 제3브래킷
311 : 보조디스크본체 313 : 보조개구
315 : 제1보조자석 321 : 체결볼트
411 : 제2보조자석 S : 스크린
본 발명은, 조리개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개유닛을 개선한 조리개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등에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TV, 프로젝터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광원부와 광원부에서 출사되는 광을 화상으로 변환시키는 디스플레이소자 등을 포함하는 영상투사장치와, 영상투사장치에서 형성된 화상을 스크린 상에 확대 투사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방식에 의한 구분과 시청형태에 따라 구분을 할 수 있다.
표시방식에 의해 구분하면,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및 PDP(Plasma Panel Display) 등으로 나눌 수 있다. DLP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라는 소자의 표면에 반사된 빛을 회로판을 통해 빛의 차단 및 개방을 결정하는 디지털장치를 사용하며, PDP(Plasma Panel Display)를 가스의 방전 원리를 이용한다.
시청형태에 따라 구분하면, 화면표시장치를 직접 주시하는 직시형 디스플레이(Direct-view image display device)와, 투사된 영상을 간접적으로 보는 투사형 디스플레이(Projection-type image display device)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종인 프로젝터(Projector)는 DMD 등의 디스플레이소자를 포함한 광학계와, 상기 광학계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을 가지고, 디스플레이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을 스크린 상에 확대 투사하는 장치로 투사형 디스플레이의 일종이다. 또한, 프로젝터에는 디스플레이가 하나인 단판식과 디스플레이가 세 개인 삼판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자치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2006-59268호(2006.06.0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리개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조리개유닛은 고정조리개, 셔터부재, 구동부를 포함하여 렌즈 사이에 배치된다. 셔터부재는 고정조리개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광량을 가변시키도록 이동 가능하게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동부는 자력에 의해 셔텨부재를 위치 이동시키는 VCM (Voice Coil Motor)를 채택된다. 이 VCM은 셔터부재에 연결되며, 케이스 내에서 회동 가능한 가동부재와, 가동부재를 비접촉으로 감싸는 마그네트를 가진다. 그리고, 가동부재에는 코일이 권선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리개유닛은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집광하고, 스크린에 투사되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명암비를 조절한다. 여기서 명암비는 화이트영역의 최대밝기값과 블랙영역의 최소밝기값의 비율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구동부가 케이스 외부에 결합되어 부품간의 간섭 및 조립구조에 불리하여 공간이 협소한 곳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제품의 제조비용이 상승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스텝모터와 같은 VCM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높고 응답속도가 느리며 명암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텝(Step) 변환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품질의 신뢰성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간단히 하여 슬림화가 가능하며, 명암 조절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경제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개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광경로 상에 형성된 주개구를 갖는 주디스크본체와, 상기 주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셔터부재와,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조리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주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주개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대해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브래킷과; 상기 주개구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코일의 회동을 안내하는 제2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주디스크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셔터부재가 상기 주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셔터부재가 상기 주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회동하며, 상기 셔터부재를 상기 개방위치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힌지부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셔터부재의 일영역에 결합된 센서자석과, 상기 셔터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센서자석의 자속변화를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보조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경통부에 형성된 신호선 개구를 통해 상기 보조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선과, 상기 경통부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신호선에 의해 상기 보조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코일은 회동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코일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제2브래킷은 상기 코일관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의 회동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제2브래킷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셔터부재가 상기 주개구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셔터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브래킷을 지지하도록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디스크본체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주자석과 대향되게 마련된 제1보조자석을 갖는 보조디스크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코일과 대향되게 상기 셔터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2주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디스크본체와 대향되게 배치된 보조디스크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는, 상기 제1코일에 전자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보조자석과, 상기 제2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주자석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2보조자석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제2코일은 회동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코일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제2브래킷은 상기 제2코일관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의 회동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집속하는 조명계와, 상기 조명계를 통과한 빛을 영상으로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소자에서 구현된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투사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통부는, 상기 조명계에 마련된 집속경통부와, 상기 투사계에 마련된 투사경통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디스크본체는 상기 집속경통부 및 투사경통부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광경로 상에 형성된 주개구를 갖는 주디스크본체와, 상기 주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셔터부재와,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조리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주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셔터부재의 일영역에 결합된 센서자석과, 상기 셔터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센서자석의 자속변화를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보조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디스크본체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주자석과 대향되게 마련된 제1보조자석을 갖는 보조디스크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코일과 대향되게 상기 셔터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 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2주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디스크본체와 대향되게 배치된 보조디스크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는, 상기 제1코일에 전자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보조자석과, 상기 제2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주자석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2보조자석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통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조리개유닛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에 수용 가능하게 마련되어 광경로 상에 형성된 주개구를 갖는 주디스크본체와, 상기 주디스크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셔터부재와,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주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셔터부재의 일영역에 결합된 센서자석과, 상기 셔터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센서자석의 자속변화를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보조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디스크본체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제1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주자석과 대향되게 상기 보조 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보조자석을 갖는 보조디스크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코일과 대향되게 상기 셔터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2주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디스크본체와 대향 배치된 보조디스크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는, 상기 제1코일에 전자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보조자석과, 상기 제2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주자석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2보조자석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투사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영상투사장치는 TV, 프로젝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나의 디스플레이소자를 갖는 단판식 프로젝터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광원부(115)와, 집속경통부(126)를 갖는 조명계(120)와, 디스플레이 소자(129)와, 투사경통부(135)를 갖는 투사계(130)를 구비한 영상투사장치(1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집속경통부(126) 및 투사경통부(135)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조리개유닛(140)을 더 포함한다.
광원부(1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115)는 각 광원기판(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광원부(115)가 엘이디로 마련되는 경우,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색광을 각각 조사하는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엘이디를 지지하며 구동하는 각 광원기판에 결합된다. 각 광원기판의 일측에는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광원부(115)는 엘이디 이외에도 수은램프나 메탈할라이드램프, 크세논램프와 같은 아크타입의 방전램프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광원부(115)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117)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계(120)는 광원부(115)에서 방출되는 빛을 집속하며, 집광렌즈(121)와, 다이크로익미러(123)와, 플라이아이렌즈(124) 등을 포함한다. 조명계(120)는 다양한 렌즈를 수용하는 집속경통부(126)를 포함한다.
집광렌즈(121)는, 광원부(115)와 다이크로익미러(123)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부(115)에서 조사된 광을 평행하게 모은다.
다이크로익미러(123)는, 광원부(115)와 반사미러(125)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부(115)에서 조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반사 또는 투과시킨다. 예를 들면, 다이크로익미러(123)는 녹색광을 투사시키며, 청색광 및 적색광을 반사 시킨다.
플라이아이렌즈(124)는, 다이크로익미러(123)와 반사미러(125) 사이에 배치되어 광의 밝기를 균일하게 하여 좁은 곳에서 대화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라이아이렌즈(124)는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각각 가지는 미소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반사미러(125)는, 플라이아이렌즈(124)와 필드렌즈(128)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부(115)에서 조사된 광을 필드렌즈(128)로 반사시킨다.
집속경통부(126)는 다양한 렌즈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신호선(185)이 출입할 수 있도록 신호선 개구(127a)를 갖는다. 집속경통부(126)는 주디스크본체(145)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필드렌즈(128)는, 반사미러(125)와 디스플레이소자(129)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부(115)로부터 조사된 광을 손실없이 디스플레이소자(129)로 조사시킨다.
디스플레이소자(129)는, 광원부(115)에서 조사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소자(129)는 DMD(Digital Micro- mirror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DMD는 수십만 개의 미세 구동거울이 집접된 반도체 칩으로 조사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DMD에서는 매초 50만회 이상 스위칭을 하는 수십만 개의 거울이 모여진 광을 각각 디지털방식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DMD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초소형 거울에 광이 반사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투사하므로 광의 이용효율이 높다.
투사계(130)는 디스플레이소자(129)에서 구현된 영상을 스크린(S)에 투사하며, 복수의 투사렌즈(133)를 포함한다. 투사계(130)는 투사렌즈(133)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투사경통부(135)를 포함한다.
투사경통부(135)는 투사렌즈(133)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신호선(185)이 출입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신호선 개구(127b)를 갖는다. 투사경통부(135)는 주디스크본체(145)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경통부(126, 135)는 집적경통부(126)와 투사경통부(13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것을 의미한다.
조리개유닛(14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디스크본체(145)와, 셔터부재(149)와,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조리개유닛(140)은 제1브래킷(161)과, 제2브래킷(165)과, 스토퍼(195)와, 힌지부(170)와, 탄성부재(175)를 더 포함한다. 조리개유닛(140)은 마그네틱센서(179)와, 보조기판(181)과, 구동기판(191)을 더 포함한다. 조리개유닛(140)는 집적경통부(126) 및 투사경통부(135)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주디스크본체(145)는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판상으로 마련되며, 광경로 상에 형성된 주개구(147)를 포함한다. 주디스크본체(145)는 집속경통부(126) 및 투사경통부(135)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주디스크본체(145)는 제1주자석(155)과, 제1브래킷(161)과, 제2브래킷(165)과, 힌지부(170)와, 보조기판(181)과, 마그네틱센서(179) 등을 지지한다. 주디스크본체(145)는 경통부(126, 135)와 스크루(미도시)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디스크결합공(146)을 갖는다. 주디스크본체(145)는 렌즈들에 의해 형성되는 상을 고려하여 렌즈들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를 지지하는 렌드홀더(미도시)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디스 크본체(145)는 힌지핀(171)과 결합되는 힌지핀공(173a)을 포함한다. 주디스크본체(145)에는 주개구(147) 타측에 스토퍼(195)가 결합되는 스토퍼공(195b)이 형성되어 있고, 주개구 일측에는 제1브래킷(161)과 결합되는 브래킷볼트공(16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주디스크본체(145)가 경통부(126, 135) 내부에 수용되어 광학엔진세트(110)를 슬림화시킬 수 있다.
셔터부재(149)는, 주개구(147)를 개폐하도록 주디스크본체(145)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170)에 결합되어 있다. 힌지부(170)와 주디스크본체(145)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다. 셔터부재(149)는 주개구(147)를 개폐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셔터부재(149)는 주개구(147)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주개구(147)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회동한다. 셔터부재(149)에는 일단에 제1코일(151)이 결합되며, 타단에 센서자석(177)이 결합되며, 주개구(147)를 개폐하는 판상의 중앙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셔터부재(149)는 주디스크본체(145)에 결합되어 주디스크본체(145)의 주개구(147)를 개폐시킬 수 있다. 셔터부재(149)는 보조기판(181)에서 제1코일(151)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케이블(미도시)을 지지할 수 있다. 셔터부재(149)에는 힌지핀(171)에 결합되는 힌지핀공(173b)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50)는, 셔터부재(149)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보조기판(181)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권선된 제1코일(151)과, 제1코일(151)의 회동방향을 따라 주디스크본체(145)에 결합된 제1주자석(155)을 포함한다. 이에,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제1코일(151)에 흐르는 전류와, 제1주자석(155)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이 제1코일(151)에 작용한다. 이 때,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제1코일(15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제1코일(151)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은 셔터부재(149)를 힌지부(17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셔터부재(149)가 주개구(147)를 개폐할 수 있다.
이에, 제1코일(151)에 흐르는 전류량을 변화시켜 셔터부재(149)가 주개구(147)를 개폐하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셔터부재(149)가 주개구(147)를 개폐하여 광경로를 차단하는 과정에서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없으므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1코일(150)의 응답속도가 빨라 셔터부재(149)가 주개구(147)를 개폐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정도를 전류 변화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스크린(S)에 형성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조절할 수 있는 단계를 폭 넓게 할 수 있다.
제1코일(151)에는 중앙에 관통 형성된 제1코일관통부(153)가 있으며, 제1코일관통부(153) 주위로 셔터부재(149)가 주디스크본체(145)의 주개구(147)를 개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자기력이 발생되도록 코일이 권선되어 있다. 여기서, 제1코일(151)의 권선방향에 따라 제1주자석(155)의 결합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제1코일관통부(153)에는 제2브래킷(165)이 삽입되어 셔터부재(149)의 회동을 안내한다. 제1코일(151)은 제1주자석(155)과 이격되게 셔터부재(149)에 결합된다.
제1브래킷(161)은 주개구(147)의 일측에 마련되며, 주디스크본체(145)에 대해 셔터부재(149)를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힌지부(170)와 결합된다. 제1브래킷(161)은 판상의 구조를 가지며 힌지핀(171)이 결합되는 힌지핀공(173c)이 형성되 어 있다. 제1브래킷(161)은 주디스크본체(145)에 브래킷볼트(163)에 의해 결합된다. 제1브래킷(161)은 탄성부재(175)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175a)를 갖는다. 제1브래킷(161)은 보조기판(181)을 지지할 수 있다.
제2브래킷(165)은 주개구(147)의 타측에 마련되어 주디스크본체(145)에 결합되어 제1코일(151)의 제1코일관통부(153)에 삽입되어 셔터부재(149)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2브래킷(165)의 양단부에는 스토퍼(195)가 결합되는 스토퍼공(195a)이 형성되어 있다. 제2브래킷(165)은 길이방향을 따라 제1주자석(155)과 이격된 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2브래킷(165)은 셔터부재(149)가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과정에서 제1코일(151)의 무게 등으로 인한 쳐짐 등을 예방하여 제1코일(151) 및 셔터부재(149)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힌지부(170)는 제1브래킷(161)과 주디스크본체(145) 사이에 마련되어 셔터부재(149)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힌지부(170)는 힌지핀(171)과, 힌지핀(171)이 결합되는 힌지핀공(173a, 173b, 173c)을 포함한다.
힌지핀(171)은 제1브래킷(161)과 주디스크본체(145) 사이에 마련되어 제1브래킷(161)과, 셔터부재(149)와, 주디스크본체(145)의 힌지핀공(173a)에 결합된다. 힌지핀(171)은 원통형상의 막대로 이루어져 있다. 힌지핀(171)과 셔터부재(149)의 힌지핀공(173b) 사이에 셔터부재(149)의 원활한 회동을 위한 베어링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힌지핀(171)은 셔터부재(149)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75)는 셔터부재(149)를 개방위치로 탄성 가압하도록 힌지부(170) 에 결합되어 있다. 탄성부재(175)는 실시예와 같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나, 셔터부재(149)를 개방위치로 탄성 가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스프링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175)의 코일단부 일측은 제1브래킷(161)의 제1지지부(175a)에 지지되며, 타측은 셔터부재(149)의 제2지지부(175b)에 지지된다. 탄성부재(175)는 제1코일(151)의 전자기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셔터부재(149)를 개방위치로 탄성 가압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코일(15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제1코일(151)에 전자기력이 작용하지 않아 탄성부재(175)에 의해 셔터부재(149)가 개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센서자석(177)은 셔터부재(149)에 결합되어 마그네틱센서(179)가 셔터부재(149)의 개폐 정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자석(177)은,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코일(151)이 셔터부재(149)에 결합된 위치와 이격되도록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나, 셔터부재(149)의 개폐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마그네틱센서(179)는 셔터부재(149)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센서자석(177)의 자속변화를 감지한다. 마그네틱센서(179)는 센서자석(177)의 자속변화를 감지하도록 보조기판(181)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주디스크본체(145)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마그네틱센서(179)가 셔터부재(149)의 자속변화를 감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와 같은 개방위치에서 센 서자석(177)에서 마그네틱센서(179)까지의 최소 이격거리는 "X"이며, 도 5c와 같은 폐쇄위치에서 센서자석(177)에서 마그네틱센서(179)까지의 최대 이격거리는 "Z"로 된다. 여기서, 도 5b와 같이, 셔터부재(149)의 회동에 따라 센서자석(177)에서 마그네틱센서(179)까지의 이격거리가 "Y"로 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에, 센서자석(177)과 마그네틱센서(179)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자속변화를 감지하여 셔터부재(149)가 주개구(147)를 어느 정도 차단하였는지를 제어부(미도시)에서 산출할 수 있다. 이에, 셔터부재(149)의 제어가 용이하다.
보조기판(181)은 마그네틱센서(179), 제1코일(151)을 구동한다. 보조기판(181)은 주디스크본체(145)에 결합되어 신호선(185)에 의해 경통부(126, 135) 외부에 마련된 구동기판(1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신호선(185)은 구동기판(181)과 보조기판(18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신호선(185)은 신호선 개구(127a, 127b)를 통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연성을 갖는 Polyester 또는 Polyimide 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FPC(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기판(191)은 경통부(126, 135) 외부에 마련되어 신호선(185)에 의해 보조기판(1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토퍼(195)는 제2브래킷(165) 양단부에 마련되어 셔터부재(149)가 주개구(147)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셔터부재(149)의 회동을 제한한다. 스토퍼(195)는 주디스크본체(145)의 스토퍼공(195b)에 결합되어 제2브래킷(16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작동과정을 도2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상이 스크린(S)에 형성되는 과정을 다음과 같다.
각 광원기판은 엘이디나 수은램프와 같은 광원부(115)를 구동하여 광을 주사한다. 광원부(115)에서 주사되는 일부의 광은 반사판(117)에 의해 집광렌즈(121)로 반사될 수 있다. 이에, 집광렌즈(121)에서는 주사된 광이 평행하게 모이며, 다이크로익미러(123)에서는 광의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이 투사 또는 반사된다. 그리고, 광은 플라이아이렌즈(124)에 의해 균일한 밝기를 가지며, 반사미러(125)에서 반사되어 필드렌즈(12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소자(129)에 도달한다. 이러한 광경로 상의 집적경통부(126)의 렌즈들 사이에 조리개유닛(140)이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소자(60)는 입사된 광은 투사렌즈(133)를 거쳐 스크린(S)에 확대 투사된다. 디스플레이소자(129)에서 스크린(S)으로 향하는 투사경통부(135)의 투사렌즈(133) 사이에 조리개유닛(140)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음, 조리개유닛(140)의 구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부재(149)가 좌측 스토퍼(195)에 근접되는 개방위치에 위치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판(191)에서 소정 전원을 인가하면 신호선(185)과, 보조기판(181)과, 보조기판(181)에서 제1코일(151)까지 연결된 케이블과 같은 연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제1코일(151)에 전류가 흐른다. 제1코일(151)에 흐르는 전류와 제1주자석(155)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이 제1 코일(151)에 작용하며, 이러한 전자기력은 제1코일(151)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1코일(151)의 이동량은 제1코일(151)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한다. 이에, 제2브래킷(165)은 제1코일(151)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제1코일(151)을 안내하면, 셔터부재(149)의 중앙영역은 주개구(147)의 광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센서(179)에서 센서자석(177)의 위치를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셔터부재(149)가 주개구(147)를 차단하는 정도를 제어부에서 산출하여 제1코일(151)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판(191)에서 제1코일(151)에 흐르는 전류량을 더욱 증가시키면, 제1코일(151)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이 증가하여 제1코일(151)은 더 우측으로 이동되어 스토퍼(195)에 근접하는 폐쇄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서, 전자기력이 증가하더라도 제1코일(151)의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은 스토퍼(195)에 의해 폐쇄위치에서 제한된다.
구동기판(191)에서 제1코일(151)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으면, 제1코일(151)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제1코일(151)은 탄성부재(175)에 의해 개방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주자석(155)과 제1코일(151)에 의해 셔터부재(149)가 주개구(147)를 개폐하여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셔터부재(149)이 회동 응답속도가 빠르다. 또한, 제1코일(151)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셔터부재(149)가 주개구(147)를 개폐하는 정도를 아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셔터부재(149)가 주개구(147) 개폐하는 정도를 256단계로 조절할 수 있어 스크린(S)에 형성되는 화상의 명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 다. 이에, 스크린(S)에 형성되는 화질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조절할 수 있는 범위를 넓힐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개유닛(140)이 경통부(126, 135)에 수용되어 제품을 슬림화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등의 공정이 간편하여 경제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리개유닛(140)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셔터부재(149)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150)가 더 추가된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유닛(140)은 제2코일(211)과, 제2주자석(215)과, 제3브래킷(221)을 더 포함한다.
제2코일(211)은 구동기판(191)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제2코일(211)에 흐르는 전류와 제2주자석(215)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이 제2코일(211)에 작용하는 원리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1코일(151)과 동일하다. 다만, 제1코일(151)과 제2코일(211)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이 셔터부재(149)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2코일(211)에 전자기력이 작용된다. 제2코일(211)의 중앙에는 제2코일관통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3브래킷(221)이 제2코일관통부(213)에 삽입된다. 제2코일(211)에 공급되는 전류의 량은 제1코일(151)에 공급되는 전류의 량, 셔터부재(149)의 응답속도, 주개구(147)의 개폐정도 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제2주자석(215)은 제2코일(211)의 회동방향을 따라 제2코일(211)과 이격되도 록 주디스크본체(145)에 결합된다.
제3브래킷(221)은 주개구(147)의 타측에 제1브래킷(161) 주위에 마련되어 주디스크본체(145)에 결합되며, 제2코일(211)의 제2코일관통부(213)에 삽입되어 제1브래킷(161)과 함께 셔터부재(149)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3브래킷(221)의 양단부에는 제2브래킷(165)과 같이 셔터부재(149)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95)와 같은 구성가 포함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제2브래킷(165)은 제1실시예와 달리 제3브래킷(221)과 간섭되지 않고 힌지부(17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상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 센서자석(177)은 셔터부재(149)의 개폐정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1실시예와 달리 셔터부재(149)의 다른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부(170)와 제1코일(151) 사이의 측면에 센서자석(177)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센서(179)는 센서자석(177)에 대응되는 위치의 주디스크본체(145)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코일(151)과 제2코일(211) 중 어느 하나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코일(151)과 제2코일(211)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과 시간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유닛(140)의 셔터부재(149)는 제2브래킷(165) 및 제3브래킷(221)에 의해 양쪽에서 회동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50)가 양쪽에 마련되어 흐르는 전류량을 증가시켜 전자기력이 증대되어 셔터부재(149)의 응답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리개유닛(140)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보조디스크본체(311)와, 제1보조자석(315)을 더 포함한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보조디스크본체(311)는 경통부(126, 135)에 수용되어 셔터부재(149)를 사이에 두고 주디스크본체(145)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보조디스크본체(311)에는 제1보조자석(315)이 결합된다. 보조디스크본체(311)는 보조개구(313)를 갖는다. 보조개구(313)는 주개구(147)와 같은 크기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주개구(147)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보조개구(313)는 광경로 상에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주개구(147)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주개구(147)의 전방에 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조디스크본체(311)에는 주디스크본체(145)와 결합되는 체결볼트(32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보조자석(315)은 제1코일(151)을 사이에 두고 제1주자석(155)과 대향되게 보조디스크본체(311)에 결합되어 있다. 제1보조자석(315)과 제1코일(151)이 이격된 거리는 제1주자석(155)과 제1코일(151)이 이격된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브래킷(161) 및 제2브래킷(165)은 보조디스크본체(3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유닛(140)의 셔터부재(149)에 발생되는 자기장이 증가되어 제1코일(151)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이 증가한다. 이에, 셔터부재(149)의 응답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리개유닛(140)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2실시예에 보조디스크본체(311)와, 제1보조자석(315) 및 제2보조자석(411)을 더 포함한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보조디스크본체(311)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며, 제1보조자석(315)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2보조자석(411)은 제2코일(211)을 사이에 두고 제2주자석(215)과 대향되게 보조디스크본체(311)에 결합되어 있다. 제2보조자석(411)에서 제2코일(211)이 이격된 거리는 제2주자석(215)에서 제2코일(211)이 이격된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제1보조자석(315) 및 제2보조자석(411)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유닛(140)의 셔터부재(149)에 발생되는 자기장이 증가되어 제1코일(151)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이 증가한다. 이에, 셔터부재(149)의 응답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예를 들어 전면 투사형으로 이미지가 형성되는 스크린의 전방에 배치되어 화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일 수 있으며, 배면 투사형으로 스크린의 후방에서 화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단판식 디스플레이소자뿐만 아니라 다판식 디스플레이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를 간단히 하여 슬림화가 가능하며,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고, 응답속도가 빠르다.
또한, 주개구를 개폐하는 정도를 아주 정밀하게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어 화상의 명암 조절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등의 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하여 경제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3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광경로 상에 형성된 주개구를 갖는 주디스크본체와, 상기 주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셔터부재와,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조리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주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주개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대해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브래킷과;
    상기 주개구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코일의 회동을 안내하는 제2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주디스크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셔터부재가 상기 주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셔터부재가 상기 주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회동하며,
    상기 셔터부재를 상기 개방위치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힌지부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셔터부재의 일영역에 결합된 센서자석과, 상기 셔터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센서자석의 자속변화를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보조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경통부에 형성된 신호선 개구를 통해 상기 보조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선과,
    상기 경통부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신호선에 의해 상기 보조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은 회동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코일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제2브래킷은 상기 코일관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의 회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제2브래킷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셔터부재가 상기 주개구를 개폐하 는 과정에서 상기 셔터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브래킷을 지지하도록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디스크본체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주자석과 대향되게 마련된 제1보조자석을 갖는 보조디스크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코일과 대향되게 상기 셔터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2주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디스크본체와 대향되게 배치된 보조디스크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는,
    상기 제1코일에 전자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보조자석과, 상기 제2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주자석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2보조자석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제2코일은 회동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코일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제2브래킷은 상기 제2코일관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의 회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집속하는 조명계와, 상기 조명계를 통과한 빛을 영상으로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소자에서 구현된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투사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통부는, 상기 조명계에 마련된 집속경통부와, 상기 투사계에 마련된 투사경통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디스크본체는 상기 집속경통부 및 투사경통부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영상투사장치에 있어서,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광경로 상에 형성된 주개구를 갖는 주디스크본체와, 상기 주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셔터부재와,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조리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주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유닛은,
    상기 셔터부재의 일영역에 결합된 센서자석과,
    상기 셔터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센서자석의 자속변화를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보조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디스크본체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주자석과 대향되게 마련된 제1보조자석을 갖는 보조디스크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코일과 대향되게 상기 셔터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2주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디스크본체와 대향되게 배치된 보조디스크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는,
    상기 제1코일에 전자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보조자석과, 상기 제2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주자석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2보조자석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24. 경통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조리개유닛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에 수용 가능하게 마련되어 광경로 상에 형성된 주개구를 갖는 주디스크본체와,
    상기 주디스크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셔터부재와,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유닛.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주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유닛.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주개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대해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브래킷과; 상기 주개구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코일의 회동을 안내하는 제2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주디스크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셔터부재가 상기 주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셔터부재가 상기 주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유닛.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의 일영역에 결합된 센서자석과,
    상기 셔터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센서자석의 자속변화를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보조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유닛.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디스크본체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제1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주자석과 대향되게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보조자석을 갖는 보조디스크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유닛.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코일과 대향되게 상기 셔터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주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2주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유닛.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디스크본체와 대향 배치된 보조디스크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는,
    상기 제1코일에 전자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코일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 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1보조자석과, 상기 제2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주자석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보조디스크본체에 결합된 제2보조자석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유닛.
KR1020060080130A 2006-08-23 2006-08-23 조리개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18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130A KR20080018054A (ko) 2006-08-23 2006-08-23 조리개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EP07110090A EP1892567A1 (en) 2006-08-23 2007-06-12 Iris unit, and image projec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768,472 US20080049195A1 (en) 2006-08-23 2007-06-26 Iris unit, and image projec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A200710128201XA CN101131529A (zh) 2006-08-23 2007-07-04 光圈单元以及具有其的图像投影设备和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130A KR20080018054A (ko) 2006-08-23 2006-08-23 조리개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54A true KR20080018054A (ko) 2008-02-27

Family

ID=3874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130A KR20080018054A (ko) 2006-08-23 2006-08-23 조리개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49195A1 (ko)
EP (1) EP1892567A1 (ko)
KR (1) KR20080018054A (ko)
CN (1) CN1011315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13361B (en) * 2006-11-23 2009-08-11 Delta Electronics Inc Magnetic actuator structure and magnetic light-shielding apparatus
TW201120559A (en) * 2009-12-04 2011-06-16 Qisda Corp Projection system
US20130335643A1 (en) * 2011-03-04 2013-12-19 Kenji Ishida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light quantity adjustment method
JP5709828B2 (ja) * 2012-12-13 2015-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
KR102104453B1 (ko) * 2017-11-09 2020-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194709B1 (ko) * 2018-08-28 2020-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7120U (de) * 1969-04-28 1970-01-22 Compur Werk Gmbh & Co Photographischer verschluss mit elektromagnetischem antrieb
JPS55159421A (en) * 1979-05-23 1980-12-11 Canon Inc Electromagnetically driven shutter
US4319822A (en) * 1979-10-13 1982-03-1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shutter
KR20050102841A (ko) 2004-04-23 200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개 장치 및 조리개 구동장치 및 이를 가지는카메라유닛과 조리개 제어방법
US7210795B2 (en) * 2004-05-31 2007-05-01 Nisca Corporation Light quantity adjusting device and projector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670008B1 (ko) 2004-11-26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엔진과 이를 가지는 프로젝션장치 및 프로젝션장치의광학엔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49195A1 (en) 2008-02-28
EP1892567A1 (en) 2008-02-27
CN101131529A (zh)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2486B2 (en) High resolution image projection apparatus with horizontally actuated image generation unit
US20060114362A1 (en) Optical engine, a proje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engine of projection apparatus
KR20080018054A (ko) 조리개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EP1895361A1 (en) Projection type display unit
JP2013038626A (ja)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WO2020078187A1 (zh) 投影机
US20060221309A1 (en) Projection type of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7997740B2 (en) Integrator unit
US9778551B2 (e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optical engine,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2007294346A (ja) 照明装置、照明方法及び投射型表示装置
JP2006284995A (ja) 投射型画像表示装置
JP4986010B2 (ja) 投影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
JP2004138913A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TWI838307B (zh) 光路調整機構
JP2004279498A (ja) 画像投影装置
KR100703074B1 (ko) 틸팅부재와 이를 갖는 틸팅 엑츄에이터
TWI251112B (en) Projection lens assembly and swing device thereof
KR100873137B1 (ko)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JP2000250130A (ja) 投写型表示装置
TW202036149A (zh) 光路調整機構及其製造方法
KR100845871B1 (ko)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JP2000231078A (ja) 映像投射装置
KR19990041487U (ko) Ama 프로젝터의 램프 조립체 위치조절장치
KR20080003688A (ko) 명암비 조절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투사장치
KR20050104686A (ko) Lcd 프로젝터의 광학엔진 냉각유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