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871B1 -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 Google Patents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871B1
KR100845871B1 KR1020070025067A KR20070025067A KR100845871B1 KR 100845871 B1 KR100845871 B1 KR 100845871B1 KR 1020070025067 A KR1020070025067 A KR 1020070025067A KR 20070025067 A KR20070025067 A KR 20070025067A KR 100845871 B1 KR100845871 B1 KR 100845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permanent magnet
driving
blad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탁
이종진
정제현
홍삼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5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8Homogenising, shaping of the illumination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13Plural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73Polarisers in the lamp ho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프로젝션 장치의 명암비 조절 유닛은 영상광 통과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광 통과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구동 축과 연결부로 이루어진 구동힌지를 구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힌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고정 축에 삽입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힌지를 회전구동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영구자석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힌지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힌지와 상기 영구자석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장치는 영구자석에 형성된 돌출부가 구동힌지의 연결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영구자석의 회전운동에 따라 구동힌지의 회전구동이 가능하며, 영구자석의 분극의 위치 변경에 따라 연결부의 각도를 변경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명암비, 회전구동, 영구자석, 돌출부

Description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Contrast ratio adjustment unit and proj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을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의 일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Ⅰ-Ⅰ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Ⅲ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용되는 구동힌지와 구동유닛 중 영구자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용되는 구동힌지와 구동유닛 중 영구자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 특히 명암비 조절을 위한 광 차단 구조물의 구동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마이크로 디바이스(Micro Device)를 이용한 프로젝션(projection) 장치는 소형화, 경량화뿐만 아니라, 대화면으로 되어가는 추세에 놓여져 있으며, 그 용도 또한 기존의 사무용 중심에서 고화질 영상을 위한 A/V(Audio/Video)용으로도 그 용도가 확장되어 가고 있다. A/V용의 경우 사무용과 달리 영상의 명암 변화가 지속적이면서도 높은 빈도로 발생하고, 이에 명암의 차이를 더 세분화하여 보여주는 것이 화질 향상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디바이스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의 경우 기존 사무용에서 중요시되는 밝기 등의 화질의 요인에 추가적으로 명암비 개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명암비를 개선 시킬 수 있는 명암비 증진용 디바이스의 적용이 요구되어 지며, 광 투과 면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광 차단 구조물에 관한 구동 방식 및 부품이 요구되어 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명암비 증진을 위한 광 차단 구조물의 회전 구동형 방식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 장치의 명암비 조절 유닛은 영상광 통과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광 통과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구동 축과 연결부로 이루어진 구동힌지를 구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힌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고정 축에 삽입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힌지를 회전구동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영구자석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힌지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힌지와 상기 영구자석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을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는 램프에서 조사된 빛을 정렬하여 어느 하나의 편광 성분을 갖는 빛을 출사하는 조명계와, 상기 조명계로부터 입사된 빛을 반사시켜 영상 정보가 실린 빛으로 출사하는 영상광 형성계와, 영상광 통과공이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통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되어, 상기 영상광 형성계에 의해 생성된 빛을 스크린에 투사시키는 투사계와, 상기 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광 통과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구동 축과 연결부로 이루어진 구동 힌지를 구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힌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고정 축에 삽입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힌지를 회전구동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영구자석에는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상기 구동힌지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힌지와 상기 영구자석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 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을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조명계(110), 영상광 형성계(120), 투사계(130) 및 명암비 조절 유닛(140)으로 구성된다.
조명계(110)는 램프(100)에서 조사된 빛을 정렬하여 어느 하나의 편광 성분을 갖는 빛을 영상광 형성계(120)로 출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테그레이터(Integrator) 및 PBS(Polarized Beam Splitter)(112), 컬러 휠(Color wheel, 114), 복수의 조명렌즈(116) 및 블록형 PBS를 포함한다.
인테그레이터 및 PBS(112)는 램프(100)로부터 출사된 빛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균일화 시키고, 어느 하나의 편광 성분을 갖는 빛으로 정렬시킨다. 본 발명에서 인테그레이터는 라이트 터널(light tunnel) 또는 라이드 로드(light rod) 등 다양한 빔 정형기가 사용될 수 있다.
컬러 휠(114)은 인테그레이터 및 PBS로부터 출사된 빛을 레드(Red) 또는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빛으로 분리한다.
복수의 조명렌즈(116)는 컬러 휠(114)에서 분리된 빛을 블록형 PBS(118)에 집속시킨다.
블록형 PBS(118)는 복수의 조명렌즈(116)를 통과한 빛을 영상광 형성계(120)로 반사시키고, 영상광 형성계(120)로부터 출사된 빛을 투과시켜 투사계(130)로 입 사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영상광 형성계로 빛을 집속시키는 부재로서 블록형 PBS를 예시하였으나, 평판형 PBS 또는 전반사 프리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광 형성계(120)는 컬러 휠(114)에 의해 분리된 빛을 영상데이터에 따라 영상광으로 변환시켜 투사계(130)로 입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DLP 방식은 다수의 가동미러가 집적된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의해 영상이 생성되며, LCD 방식은 액정 패널에 의해 영상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DLP 방식에 의할 경우에는 영상광 생성계(120)는 DMD 칩으로 구성되며, DMD 칩에는 다수의 가동 미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블록형 PBS로 반사시켜 영상광을 생성한다. 또한 LCD 방식에 의할 경우에는 영상광 생성계(120)는 LCD 패널로 구성되며, On/Off 상태에 따라 입사된 빛의 위상을 변화시켜 블록형 PBS로 반사한다.
투사계(130)는 영상광 생성계(120)로부터 생성된 빛을 스크린에 투사시기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수차를 줄이고 영상광을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렌즈들이 내장된다.
특히, 영상광의 명암을 조절하기 위한 광 차단 구조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명암비 조절 유닛(140)은 투사계(130)의 경통 내부에 설치된다.
경통 내부에 설치된 명암비 조절 유닛(140)은 영상광 통과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광 통과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구동 축과 연결부로 이루어진 구동힌지를 구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힌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고정 축에 삽입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힌지를 회전구동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영구자석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힌지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힌지와 상기 영구자석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2고정 축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는 상기 구동 축과 상기 제2고정 축 상에 장착되어, 회전운동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운동하게 설치된 제1블레이드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회전운동하게 설치된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는 온/오프(ON/OFF) 구동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의 일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Ⅰ-Ⅰ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Ⅲ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은 프레임(132),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1, 142) 및 구동유닛(145, 148)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32)에는 영상광 통과공(133)이 형성되어 있다. 영상광 통과공은 도 1의 영상광 생성계(120)에서 생성된 영상광이 통과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영상광 통과공은(133)은 곡선부(133a)와 상기 곡선부(133a)의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부(13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곡선부(133a)는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원호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영상광 통과공(133)은 반원형의 형상과 비슷하다. 또한, 영상광 통과공은 도 2에 도시된 형태와 달리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는(141,142)는 경통(131)의 내부에 형성된 프레임(132) 상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광 통과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여 명암비를 조절한다.
구동유닛(145, 148)은 연결부와 구동 축으로 이루어진 구동힌지(151, 152)를 구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1, 142)를 회전구동시킨다. 여기서, 구동유닛은 구동힌지(151, 152)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고정 축(143a, 144a) 주위에 위치하는 영구자석(146, 149)과 상기 영구자석과의(146, 149)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힌지(151, 152)를 회전구동시키는 전자석(147, 15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힌지(151, 152)는 상기 영구자석(146, 149)과 결합이 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석(147, 150)은 상기 영구자석(146, 149)의 양극 각각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코어(147a, 150a)와, 상기 한 쌍의 코어(147a, 150a)에 권선되며 하나의 코일선으로 이루어진 코일(147b, 15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는 달리 코일(147b, 150b)은 두 개의 코일선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코어는 규소강판과 같은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어는 동일한 크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32)은 상기 구동힌지(151, 152)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1, 142)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2고정 축(141b, 142b)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1, 142)는 상기 구동힌지(151, 152)와 상기 제2고정 축(141b, 142b) 상에 장착되어, 회전운동하도록 홈(143b, 144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 축(141b, 142b)에 대응되는 홈은 원형으로 되어 있어, 상기 제2고정 축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이 되고, 구동힌지(151, 152)에 대응되는 홈은 상기 구동힌지가 유동할 수 있도록 직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동힌지의 유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는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전자석과 구동힌지가 결합되어 있는 영구자석과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구동힌지가 회전 구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동힌지가 장착되는 홈의 형성 방향인 블레이드 가이드 라인의 수직 방향으로 토크가 작용해 블레이드가 회전 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블레이드의 구동 방식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이, 마그넷(magnet) 즉, 영구자석이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마그넷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소자의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의 광 차단 구조물로서 블레이드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온/오프(ON/OFF) 구동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만일, 블레이드의 개수가 N개라면 명암비 조절 단계는 2N 개가 되어, 명암비 조절을 보다 세분화하게 할 수 있어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은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운동하게 설치된 제1블레이드 및 프레임의 타측에 회전운동하게 설치된 제2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온/오프 구동에 의해 제1블레이드(141) 및 제2블레이드(142)는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은 4가지의 명암비 조절 단계로 구분이 된다.
여기서, 제1블레이드(141)는 영상광 통과공(133)의 직선부(133b)의 일부와 곡선부(133a)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홈(14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블레이드(142)는 영상광 통과공(133)의 곡선부(133a)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홈(142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블레이드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와 달리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블레이드(141)(142)의 형상 및 최대 회전각은, 영상광의 주광선이 통과되는 영역(이 차폐되지 않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크린에 투사된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힌지 회전 중심(401)은 영구자석, 즉 마그넷(magnet)의 회전 축을 의미하며, 도 2 및 도 3에서 143a 및 144a에 해당한다. 또한, 블레이드 회전 중심(403)은 제2고정 축을 의미하며, 도 2 및 도 3에서 141b 및 142b에 해당한다. 구동유닛에 의한 토크(torque)의 작용점(405)은 도 2 및 도 3에서 구동힌지(151, 152)에 해당한다. 블레이드 가이드 라인(Blade Guide Line)은 구동힌지가 유동되도록 형성된 홈의 방향을 의미하며, 구동힌지의 유동에 따라 블레이드 가이 드 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토크가 작용해 블레이드가 회전구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힌지 회전 중심(401)과 토크의 작용점(405) 사이의 거리를 l1, 블레이드 회전 중심(403)과 토크의 작용점(405) 사이의 거리를 l2 , 구동힌지 회전 중심(401)과 블레이드 회전 중심(403) 사이의 거리를 L 이라하고 하고, 상기 l1 을 길이로 하는 변과 L을 길이로 하는 변 사이의 각을 α, 상기 l2 를 길이로 하는 변과 L을 길이로 하는 변 사이의 각을 β라고 가정하자. 만일, 'tan β = l1 * sin α/(L-l1 * cos α)', 'L = (k+1)*l1'이라고 하면, k 값에 따라 블레이드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 값이 0.5인 경우에는 'tan β ≒ 2 * tan α' , k 값이 1인 경우에는 'tan β ≒ tan α', k 값이 2인 경우에는 'tan β ≒ 0.5 * tan α'가 된다. 다시 말해, k 값은 l1 과 L의 비에 의해 정해지는바, 블레이드, 고정힌지 및 구동힌지의 공간적 배치에 따라 블레이드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은 영구자석에 구동힌지를 직접 부착할 경우 영구자석의 분극 위치와 구동힌지 축의 위치를 정확히 설정하기 어렵다. 또한, 전자석의 코어의 효율 증대등을 위해 코어의 구조 변경이 필요한 경우 영구자석의 분극 위치가 이동하게 되어 구동힌지 축의 회전각도에 따른 위치 재설정이 필요함에 따라 제작 및 설계의 변경이 용이하지 못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의 다른 실시예들로서 이용되는 구동힌지와 구동유닛 중 영구자석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용되는 구동힌지와 구동유닛 중 영구자석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특히, 도 5(a)는 구동유닛 중 돌출부가 한 개 형성된 영구자석을 나타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영구자석에 구동힌지(151, 152)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구동힌지가 장착된 영구자석의 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용되는 구동힌지와 구동유닛 중 영구자석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특히, 도 6(a)는 구동유닛 중 돌출부가 두 개 형성된 영구자석을 나타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영구자석에 구동힌지(151, 152)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구동한지가 장착된 영구자석의 단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은 구동힌지(151, 152)를 구동시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동힌지(151, 15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축(1512, 1522)과 연결부(1511, 152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힌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고정 축(143a, 144a)에 삽입되는 영구자석(146, 149)과, 상기 영구자석(146, 149)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힌지(151, 152)를 회전구동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146, 149)에는 돌출부(1461, 1491)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힌지(151, 152)의 상기 연결부(1511, 1521)에는 상기 돌출부(1461, 1491)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힌지(151, 152)와 상기 영구자석(146, 149)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에 있어서 영구자석(146, 149)과 구동힌지(151, 152)는 영구자석에 형성된 돌출부가 구동힌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결합이 되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13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2고정 축(141b, 142b)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는 상기 구동힌지(151, 152)의 상기 구동 축(15122, 1522)과 상기 제2고정 축(141b, 142b) 상에 장착되어, 회전운동하도록 홈(143b, 144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1461, 1491)는 상기 영구자석(146, 149)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영구자석을 제작할 때 돌출부가 함께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한 개 또는 그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만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461, 1491)가 상기 영구자석(146, 149)에 하나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동힌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고정 축(143a, 144a)의 일측과 상기 연결부(1511, 1521)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32) 상에는 상기 제1고정 축(143a, 144a)의 타측이 장착되도록 홈(13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고정 축(143a, 144a)이 회전운동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은 영구자석에 돌출부가 한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가 구동힌지의 연결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영구자석과 구동힌지가 결합이 되는 것이다. 다만, 돌출부가 한 개 형성되는 경우 영구자석과 구동힌지의 결합력이 약함으로써 유동이 생겨 블레이드의 회전각 제어가 힘들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1고정 축과 구동힌지의 연결부가 결합이 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부와 구동힌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고정 축이 결합됨에 따라 전자석과 영구자석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영구자석과 연결된 구동힌지와 제1고정 축은 회전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고정 축은 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 상에 형성된 홈에 장착이 되어 회전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가 하나 형성된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은 구동힌지의 연결부에 제1고정 축이 결함됨으로써 회전구동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다.
만일,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영구자석에 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동힌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고정 축은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61, 1491)가 두 개 형성된 경우에는 구동힌지(151, 152)의 연결부(1511, 1521)에 형성된 홈에 상기 돌출부(1461, 1491)가 삽입되어 영구자석과 구동힌지가 결합이 되는 것이다. 이 경우 구동힌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고정 축(143a, 144a)은 프레임(133) 상에 고정이 되며, 전자석과 영구자석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고정 축(143a, 144a)을 중심으로 영구자석(146, 149)이 회전운동함에 따라 영구자석(146, 149)에 결합된 구동힌지(151, 152)의 구동 축(1512, 1522)이 회전 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가 두 개 형성된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은 영구자석 자체의 회전만으로 구동힌지를 구동시켜 회전구동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만일 전자석의 코어의 단면 또는 위치 변경에 따른 영구자석의 분극이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동힌지의 연결부(1511, 1521)는 분극의 이동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은 영구자석의 분극이 이동하는 경우 영구자석에 구동힌지를 직접 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영구자석에 결합되는 구동힌지의 연결부가 영구자석의 분극의 이동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명암비 조절 유닛은 분극의 이동에 의해 블레이드의 회전각이 변경된 경우에도 연결부의 각도를 변경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 장치의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마그넷(magnet)이 자체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마그넷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구조물들을 위한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공간 활용 측면에 서 매우 탁월하다.
둘째, 블레이드, 고정힌지 및 구동힌지의 공간적 배치를 달리하여 블레이드의 회전각을 증가시킬 수 있어 탁월한 명암비 증감 효과를 갖는다.
셋째, 영구자석에 형성된 돌출부가 구동힌지의 연결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영구자석의 회전운동에 따라 구동힌지의 회전구동이 가능하다.
넷째, 영구자석의 분극의 위치 변경에 따라 연결부의 각도를 변경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영상광 통과공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광 통과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구동 축과 연결부로 이루어진 구동힌지를 구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힌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상기 제1고정 축에 삽입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힌지를 회전구동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영구자석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힌지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힌지와 상기 영구자석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명암비 조절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2고정 축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는 상기 구동 축과 상기 제2고정 축 상에 장착되어, 회전운동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명암비 조절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영구자석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명암비 조절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영구자석에 하나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고정 축의 일측과 상기 연결부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상에는 상기 제1고정 축의 타측이 장착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고정 축이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명암비 조절 유닛.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영구자석에 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고정 축은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명암비 조절 유닛.
  6. 램프에서 조사된 빛을 정렬하여 어느 하나의 편광 성분을 갖는 빛을 출사하는 조명계;
    상기 조명계로부터 입사된 빛을 반사시켜 영상 정보가 실린 빛으로 출사하는 영상광 형성계;
    영상광 통과공이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통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되어, 상기 영상광 형성계에 의해 생성된 빛을 스크린에 투사시키는 투사계;
    상기 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광 통과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구동 축과 연결부로 이루어진 구동 힌지를 구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힌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고정 축에 삽입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힌지를 회전구동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영구자석에는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상기 구동힌지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힌지와 상기 영구자석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2고정 축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는 상기 구동 축과 상기 제2고정 축 상에 장착되어, 회전운동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KR1020070025067A 2007-03-14 2007-03-14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KR100845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067A KR100845871B1 (ko) 2007-03-14 2007-03-14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067A KR100845871B1 (ko) 2007-03-14 2007-03-14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871B1 true KR100845871B1 (ko) 2008-07-14

Family

ID=3982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067A KR100845871B1 (ko) 2007-03-14 2007-03-14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8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832A (ko) * 1986-08-14 1988-05-11 에리히 데브리츠, 볼프강 에렌스타인 헤테로 아릴에틸아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111975A (ko) * 2004-05-24 2005-11-29 주식회사 하이소닉 프로젝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832A (ko) * 1986-08-14 1988-05-11 에리히 데브리츠, 볼프강 에렌스타인 헤테로 아릴에틸아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111975A (ko) * 2004-05-24 2005-11-29 주식회사 하이소닉 프로젝션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82832(1996.3.26.)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1975(200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181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10188003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device
JP2004258666A (ja) 投射型ディスプレイ光学系
KR20050118510A (ko) 디스플레이기기의 해상도 향상 장치 및 그 구동방법
TWI698696B (zh) 光路調整機構及其製造方法
KR20080015064A (ko) 투사형 표시장치
US20050128443A1 (en) Actuator for improvement of resolution
KR20050114470A (ko) 해상도 향상 장치
US7762669B2 (en) Display device for improving an image resolution of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JP4271242B2 (ja) 絞り駆動装置及び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2004310035A (ja) カラー照明装置及びこれを採用した画像投射装置
KR10119975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방법
US7290884B2 (en) Display device having resolution improving apparatus for project-type display device
KR20080018054A (ko) 조리개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투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KR100845871B1 (ko)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KR100852670B1 (ko)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KR100845868B1 (ko)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KR100852669B1 (ko)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KR20050113326A (ko)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0873137B1 (ko)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KR100833863B1 (ko)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KR100830477B1 (ko) 명암비 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US20050264547A1 (en) Display device
KR20070037239A (ko) 엑츄에이터
WO2020090422A1 (ja) 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