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4470A - 해상도 향상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도 향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4470A
KR20050114470A KR1020040039694A KR20040039694A KR20050114470A KR 20050114470 A KR20050114470 A KR 20050114470A KR 1020040039694 A KR1020040039694 A KR 1020040039694A KR 20040039694 A KR20040039694 A KR 20040039694A KR 20050114470 A KR20050114470 A KR 20050114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ovable member
fixing member
screen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호
홍삼열
김영중
김진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4470A/ko
Priority to EP04799992A priority patent/EP1751975A4/en
Priority to PCT/KR2004/002801 priority patent/WO2005120056A1/en
Priority to CNA2004800409323A priority patent/CN1906931A/zh
Priority to US11/024,668 priority patent/US20050264501A1/en
Priority to TW094101950A priority patent/TW200540459A/zh
Publication of KR2005011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4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5Refractiv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3Systems for active beam shaping by rapid movement of an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02B27/10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5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having sequential partially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9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using crossed beamsplitting surfaces, e.g. cross-dichroic cubes or X-cub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7Use of pixel shift techniques, e.g. by mechanical shift of the physical pixels or by optical shift of the perceived pix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modul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e.g. micromirr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도 향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해상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는 빛이 방출되는 램프와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사이의 광 경로상에 위치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동일한 영상신호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변위판이 형성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 전류가 인가 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측면에 형성되어 역기전력이 유도되는 센서 코일과, 상기 코일과 대면하는 고정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마그네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상도 향상 장치{APPARATUS FOR INPROVING RESOLUTION}
본 발명은 해상도 향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해상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해상도 향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장치는 경량화, 경박화 및 대화면으로 가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대화면의 디스플레이인 프로젝션 TV는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됨에 따라 보다 높은 해상도를 표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해상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해상도 향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 및 조작으로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해상도 향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는 빛이 방출되는 램프와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사이의 광 경로상에 위치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동일한 영상신호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변위판이 형성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 전류가 인가 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측면에 형성되어 역기전력이 유도되는 센서 코일과, 상기 코일과 대면하는 고정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마그네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는 빛이 방출되는 램프와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사이의 광 경로상에 위치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동일한 영상신호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변위판이 형성된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 전류가 인가 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측면에 형성되어 역기전력이 유도되는 센서 코일과, 상기 코일과 대면하는 가동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마그네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일 및 센서 코일은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일 및 센서 코일은 PCB 기판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위판은 굴절율이 일정한 판형의 투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는 일실시예이다.
도 1은 반사형 LCD를 이용한 프로젝션 TV의 조명계의 하나로서, 도 1의 3 PBS 시스템의 반사형 조명계는 램프(Lamp)(1)에서 조사된 빛이 콘덴싱 렌즈(condensing lens)를 거쳐 제 1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2)를 지나면서 레드(Red;R), 그린(Green;G)의 빛은 반사하고 블루(Blue;B)의 빛은 투과한다.
그리고 반사된 레드, 그린의 빛은 제 2 다이크로익 미러(3)를 통과하면서 그린의 빛은 반사하고, 레드의 빛은 투과 과정을 거쳐 R,G,B LCD 패널 앞에 있는 제 1,2,3 PBS(Polarized Beam Splitter)(4a)(4b)(4c)에 입사된다.
각각 제 1,2,3 PBS(4a)(4b)(4c)에 입사된 각각의 R,G,B의 빛은 반사되어 제 1,2,3 LCD 패널(5a)(5b)(5c)로 입사되고, 입사된 각각의 R,G,B의 빛은 제 1,2,3 LCD 패널(5a)(5b)(5c)에 의해 위상이 바뀌며 반사되어 각각 제 1,2,3 PBS(4a)(4b)(4c)를 투과하게 된다.
이렇게 투과된 R, G, B의 빛은 X-프리즘(6)에서 합성되어 변위판(11)을 지나 투사 렌즈(Projection Lens)(10)로 입사된다.
그리고, 투사 렌즈(10)를 지난 빛은 스크린(12)에 투사된다.
이때, 상기 변위판(11)은 상기 X-프리즘(6)과 투사 렌즈(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투사 렌즈(10)와 스크린(12) 사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변위판(11)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얇은 판형의 투광판으로서 시간의 변화에 따라 그 위치 또는 각도가 변화됨으로써 보다 높은 해상도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스크린(12) 상의 각각의 위치에 시간에 따라 다른 영상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가 가진 픽셀(Pixel)의 수보다 높은 해상도의 구현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반사형 LCD, 다이크로익 미러, PBS 등을 이용한 광학계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사형 LCD 대신 투과형 LCD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2는 디엘피(DLP) 광학 시스템에서 본 발명이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를 참조하도록 한다.
광학 시스템은 디엠디(DMD)(14)에 비추게 될 빛을 제공하는 것이며, 영상신호에 따라 각각의 마이크로 미러가 온(On)상태로 스크린쪽을 비추게 될지, 오프(Off)상태로 스크린이 없는 쪽으로 빛을 비추게 될지 결정된다.
디엘피 광학 시스템은 빛이 발생되는 램프(17)와, 상기 램프(17)에서 발생된 빛이 통과되는 막대 렌즈(18)와, 상기 막대 렌즈(18)를 통과한 백색광이 RGB로 색분할되는 컬러 휠(19)과, 상기 컬러 휠(19)을 지난 빛이 모아지는 컨덴싱 렌즈(Condensing Lens)(13)와, 상기 컨덴싱 렌즈(13)를 거친 빛이 반사되는 프리즘(15)과, 상기 프리즘(15)에 반사된 빛을 스크린에 비추는 디엠디(14)와, 상기 디엠디(14)에서 반사된 빛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위되도록 하는 변위판(11)과, 상기 변위판(11)을 지난 빛을 확대하여 스크린(12)에 투사하는 프로젝션 렌즈(16)가 포함된다.
상기한 구성을 바탕으로 디엘피 광학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램프(17)에서 나오는 백색 광은 반사체의 내부 곡률에 의해 집속되고, 집속된 빛은 빛터널(Light Tunnel) 또는 막대 렌즈(Rod Lens)(11)를 통과하게 된다.
막대 렌즈(18)는 작고 길쭉한 거울 4개가 서로 마주보게 접합된 것으로서, 막대 렌즈(18)를 통과한 빛은 난반사되어 밝기 분포가 균일하게 된다.
빛의 밝기를 고르게 균일하게 하는 것은 최종적으로 스크린에 비추어지는 빛의 밝기를 고르게 하는 것과 같으며, 이러한 기능을 하는 막대 렌즈(18)는 프로젝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서 중요한 광학 부품이 된다.
막대 렌즈(18)를 통과한 빛은 색 분할을 위한 컬러 휠(19)을 지나며, 컬러 휠(19)은 영상의 수직 동기에 맞춰 회전된다.
컬러 휠(19)을 지난 빛은 컨덴싱 렌즈(Condensing Lens)(13)를 지나 프리즘(15)에 반사되어 디엠디(14)로 향하게 된다.
프리즘(15)은 빛의 입사각에 따라 전반사를 하거나 투과되도록 할 수 있다.
디엠디(14)에 비추어진 빛은 샘플링된 픽셀값에 따라 제어된 마이크로 미러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스크린을 향하거나 스크린 밖으로 벗어난다.
디엠디(14)에 반사되어 스크린(12)을 향하는 빛은 변위판(11)과 프로젝션 렌즈(16)를 통과하여 대형 스크린(12)에 비추어지도록 확대된다.
이때, 상기 변위판(11)은 프리즘(15)과 프로젝션 렌즈(16) 사이에 위치하거나 스크린(12)과 프로젝션 렌즈(1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위판(11)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거나, 각도가 변화되면서 투사하는 동일한 영상신호가 시간에 따라 스크린(12)의 다른 위치에 맺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변위판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a)는 변위판(11)이 없는 상태 또는 변위판(11)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서 프리즘 또는 투사렌즈에서 방출된 빔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스크린상의 동일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된다.
반면에 (b)는 변위판(1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이고, (c)는 변위판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최초, (a)상태인 변위판(11)이 (b) 또는 (c)의 상태로 변화된다면 빛이 변위판(11)을 지나면서 굴절되어 스크린상에 다른 위치에 맺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변위판(11)은 광 경로 변경수단으로 작동함으로써, 동일한 영상신호를 스크린상의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상변위수단으로서의 변위판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변위판(11)의 두께, 변위판(11)의 기울어진 각도(빛의 입사각), 변위판(11)의 굴절율에 따라 스크린(12)에서의 빛의 이동정도가 계산될 수 있으며, 스크린(12)에서 필요한 빛의 이동정도에 따라 상기 변위판(11)의 두께, 기울어진 각도, 굴절율이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수학식 1의 스넬(Snell)의 법칙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n1은 공기의 굴절율, n2는 변위판의 굴절율, θ1은 빛의 입사각, θ2 는 빛의 굴절각)
따라서, 상기 변위판(11)을 지난 빛의 경로차이(D)는 다음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cosθ2=T/x, sin(θ12)=D/x, θ2=sin-1(n1 sinθ1/n2))
아울러, 상기 변위판(11)을 지난 빛의 경로차이(D)는 프로젝션 렌즈의 배율에 따라 실제 스크린(12)에서 맺히는 빛의 변위가 결정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변위판(11)의 위치 또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스크린에 맺히는 빛의 변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는 사각 형상의 픽셀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시간에 따라 변위판(11)이 움직이고, 이에 따라 스크린(12)상의 화면이 움직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a)는 종래의 스크린의 화면으로서 소정 시간(T=0~T1)동안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화면을 보여주고 있으나, (b)와 (c)는 시간(T=0)에서와 시간(T=T1)에서 각각 다른 위치에 동일한 화면을 보여줌으로써 동일한 픽셀수로 2배의 해상도를 인식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는 마름모 형상의 픽셀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크린에 맺히는 빛의 위치가 시간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스크린상에 다른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로 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때, 픽셀의 수가 많은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픽셀수로 2배의 해상도를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화면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적은 비용으로 해상도가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가동부재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는 고정부재(20)와 가동부재(30)가 포함된다.
먼저, 고정부재(20)는 디스플레이장치 내의 광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측에 고정부(21)가 형성되는데, 도면에는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장치에 고정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즉, 상기 고정부재(20)는 광 경로 상에 해상도 향상 장치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부재(20)의 일측에는 마그네트(magnet)(23)와 요크(yoke)(2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그네트(23)와 요크(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어느 한쪽에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23)는 N극과 S극이 형성된 2극 마그네트일 수 있으며, N극 또는 S극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1극 마그네트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23)는 자계를 이용하여 가동부재(3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요크(22)는 자로(자계의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자계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가동부재(30)는 상기 고정부재(2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동부재(30)는 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며, 변위판(31)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변위판(3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빛이 투과되는 얇은 판으로써 짧은 시간동안 소정 각도를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동일한 영상신호의 빛에 대하여 스크린상에 맺히는 위치를 변화시킨다.
상기 가동부재(30)는 양측에 샤프트(3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샤프트 삽입 홈(2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 원활한 회전을 위한 제1,2 베어링(33)(36)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샤프트(32)는 상기 가동부재(30)의 회전축으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베어링(33)은 대략 원기둥 형태로서 중심에 샤프트(32)가 삽입되고, 상기 제1베어링(33)은 상기 고정부재(20)의 샤프트 삽입 홈(27)에 위치한다.
상기 제2베어링(36)은 가동부재(30)측의 외측 지름을 크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내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동부재(30)는 상기 고정부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베어링(36)에 의해 좌측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없도록 고정되고, 우측의 제1베어링(33) 측에는 판 스프링(24)이 형성되어 우측으로도 이동될 수 없도록 고정된다.
다만, 판 스프링(24)의 탄성에 의해 적당한 움직임이 보장되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가동부재(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판 스프링(24)은 일단만 고정부재(20)에 결합되는 타단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재(30)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베어링(33)(36)의 상측에는 제1커버(25)와 제2커버(26)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재(30)가 상측방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커버(25)는 두개의 나사로 가동부재(30)에 결합되고, 상기 제2커버(26)는 하나의 나사로 일부분만 가동부재(3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가동부재(30)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적당한 움직임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2커버(26)는 적당한 탄성력을 가지며, 이는 상기 판 스프링(24)의 작동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시말해서, 가동부재(30)의 적당한 움직임을 보장하면서 상기 고정부재(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으로서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가동부재(30)의 측면, 즉 고정부재(20)에 형성된 마그네트(23)와 대향하는 면에는 코일(35)이 형성된다.
코일(35)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동부재(30)의 측면에는 코일 홀더(38)가 구비되고, 상기 코일 홀더(38)에 코일(35)이 지지되어 고정된다. 코일(35)은 대략 직사각형 형태 또는 레이스 트랙 형태로 형성되어 전류를 방향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23)를 중심으로 가동부재(3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코일(35)은 전원공급선(34)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며, 코일(35)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고정부재(20)에 형성된 마그네트(23)와 상호작용에 의해 인력과 척력이 발생되어 상기 가동부재(30)가 구동되도록 한다. 즉, 전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30)의 회전방향이 제어된다.
설계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20)에 코일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가동부재(30)에 마그네트(23)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가동부재(30)가 제어전류에 따라 회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판(31)은 가동부재(30)에 결합되는데, 가동부재(30)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39)에 변위판(31)을 위치시킨 후 지지부재(37)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돌출부(39)의 형상은 도 8에 자세히 도시되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고정부재(20)의 내측에는 스토퍼(28)가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나 오동작 또는 과도한 작동에 의해 가동부재(30)의 회전 범위를 일정 각도 이하로 제한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30)의 정확한 제어를 위해 상기 가동부재(30)의 측면에 센서코일(43)을 형성한다.
도 11의 경우에는 센서코일 홀더(42)에 센서코일(41)을 감은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의 경우에는 PCB 기판(43)에 코일(35)과 센서코일(41)을 형성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센서코일(41)은 코일(35)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코일(35)에 제어전류가 유입되어 상기 가동부재(30)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센서코일(41)에는 역기전력이 유도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35)에 인가되는 전류를 알 수 있고, 상기 센서코일(41)에 유도되는 역기전력에 따라 상기 코일(35)에 인가하는 제어전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센서코일(41)에 유도되는 역기전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코일(35)에 인가하는 제어전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가동부재(30)의 구동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는 것이다.
변형된 실시예로서, 상기 센서코일(41) 및 코일(35)를 고정부재(20)에 형성하고 상기 마그네트(23)를 상기 가동부재(30)에 형성하여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광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어 전류의 인가에 따라 코일(35) 및 마그네트(23)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동부재(30)의 회전 범위는 바람직하게 ±0.75도 범위내로 설정되고 제1위치와 제2위치에 반복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동부재(30)는 동일한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해상도를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해상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해상도 향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 및 조작으로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해상도 향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해상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해상도 향상을 위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상도 향상 장치가 원활하고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는 일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변위판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상변위수단으로서의 변위판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변위판의 위치 또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스크린에 맺히는 빛의 변위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에서 가동부재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에서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에서 가동부재에 센서코일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램프 2 ; 제 1 다이크로익 미러
3 ; 제 2 다이크로익 미러 4 ; PBS
5 ; LCD 패널 6 ; X-프리즘
10 ; 투사 렌즈 11 ; 변위판
12 ; 스크린 13 ; 컨덴싱 렌즈
14 ; 디엠디 15 ; 프리즘
17 ; 램프 18 ; 막대 렌즈
19 ; 컬러 휠 20 ; 고정부재
21 ; 고정부 22 ; 요크
23 ; 마그네트 24 ; 판 스프링
25 ; 제1커버 26 ; 제2커버
27 ; 샤프트 삽입 홈 28 ; 스토퍼
30 ; 가동부재 31 ; 변위판
32 ; 샤프트 33 ; 제1베어링
34 ; 전원공급선 35 ; 코일
36 ; 제2베어링 37 ; 지지부
38 ; 코일 홀더 39 ; 돌출부
41 ; 센서코일 42 ; 센서코일 홀더
43 ; PCB 기판

Claims (5)

  1. 빛이 방출되는 램프와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사이의 광 경로상에 위치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동일한 영상신호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변위판이 형성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 전류가 인가 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측면에 형성되어 역기전력이 유도되는 센서 코일과,
    상기 코일과 대면하는 고정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마그네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향상 장치.
  2. 빛이 방출되는 램프와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사이의 광 경로상에 위치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동일한 영상신호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변위판이 형성된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 전류가 인가 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측면에 형성되어 역기전력이 유도되는 센서 코일과,
    상기 코일과 대면하는 가동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마그네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향상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및 센서 코일은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향상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및 센서 코일은 PCB 기판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향상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판은 굴절율이 일정한 판형의 투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향상 장치.
KR1020040039694A 2004-06-01 2004-06-01 해상도 향상 장치 KR20050114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694A KR20050114470A (ko) 2004-06-01 2004-06-01 해상도 향상 장치
EP04799992A EP1751975A4 (en) 2004-06-01 2004-11-03 DISPLAY DEVICE
PCT/KR2004/002801 WO2005120056A1 (en) 2004-06-01 2004-11-03 Dispositif d'affichage
CNA2004800409323A CN1906931A (zh) 2004-06-01 2004-11-03 显示设备
US11/024,668 US20050264501A1 (en) 2004-06-01 2004-12-30 Display device
TW094101950A TW200540459A (en) 2004-06-01 2005-01-2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694A KR20050114470A (ko) 2004-06-01 2004-06-01 해상도 향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470A true KR20050114470A (ko) 2005-12-06

Family

ID=3542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694A KR20050114470A (ko) 2004-06-01 2004-06-01 해상도 향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64501A1 (ko)
EP (1) EP1751975A4 (ko)
KR (1) KR20050114470A (ko)
CN (1) CN1906931A (ko)
TW (1) TW200540459A (ko)
WO (1) WO2005120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2864A1 (en) * 2003-12-11 2006-08-23 LG Electronics, Inc. Actuator for improvement of resolution
KR101199757B1 (ko) * 2005-03-18 201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방법
KR20070082800A (ko) * 2006-02-17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4946964B2 (ja) * 2008-04-16 2012-06-06 船井電機株式会社 レーザプロジェクタ
JP6349851B2 (ja) * 2014-03-27 2018-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デバイス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4240213B (zh) * 2014-09-05 2017-1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显示装置
JP6442989B2 (ja) * 2014-10-31 2018-1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デバイス、光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398754B2 (ja) * 2015-01-30 2018-10-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デバイス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7003744A (ja) * 2015-06-09 2017-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デバイス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569329B2 (ja) * 2015-06-29 2019-09-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デバイス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631145B2 (ja) * 2015-10-07 2020-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JP2017219762A (ja) * 2016-06-09 2017-12-14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ジェクタ、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6111531B4 (de) * 2016-06-23 2022-02-1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Optischer Scanner
CN108074512A (zh) * 2016-11-18 2018-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投影方法及装置
CN110082999B (zh) * 2018-01-26 2021-11-16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机、光学引擎及画素偏移装置
US11126069B2 (en) * 2018-06-27 2021-09-21 Coretronic Corporation Projector and optical module including extending wire
JP6683288B2 (ja) * 2019-12-05 2020-04-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CN113219647B (zh) * 2020-02-05 2023-06-13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模块及投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752A (en) * 1992-05-27 1997-03-11 Opticon Inc. Optical reader with vibrating mirror
JPH06225247A (ja) * 1992-12-28 1994-08-12 Sony Corp 液晶プロジェクタ
JPH0743672A (ja) * 1993-08-02 1995-02-14 Sony Corp 光学素子回動装置、ソレノイド及び液晶プロジェクター
JPH07104278A (ja) * 1993-09-30 1995-04-21 Sony Corp 光軸変換装置及びビデオプロジェクター
JP3680410B2 (ja) * 1996-02-29 2005-08-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KR100211900B1 (ko) * 1996-06-15 1999-08-02 구자홍 화상 표시 장치
JPH11211970A (ja) * 1998-01-27 1999-08-06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系可動部の支持バネ装置
US7046407B2 (en) * 2000-02-14 2006-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ffractive color filter
US6879420B2 (en) * 2000-07-24 2005-04-12 Nhk Spring Co., Ltd. Actuator for scanning detecting light
US6865064B2 (en) * 2001-08-29 2005-03-08 Olympus Corporation Drive apparatus and drive method for electromagnetic drive actuator
US6856437B2 (en) * 2002-02-01 2005-02-15 Terabeam Corporation Fast steering mirror
JP3755525B2 (ja) * 2003-09-11 2006-03-1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投影光学系および映像投影装置
EP1692864A1 (en) * 2003-12-11 2006-08-23 LG Electronics, Inc. Actuator for improvement of resolution
KR20050118510A (ko) * 2004-06-14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의 해상도 향상 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20056A1 (en) 2005-12-15
TW200540459A (en) 2005-12-16
EP1751975A1 (en) 2007-02-14
EP1751975A4 (en) 2009-08-12
US20050264501A1 (en) 2005-12-01
CN1906931A (zh)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18510A (ko) 디스플레이기기의 해상도 향상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50114470A (ko) 해상도 향상 장치
KR20050114471A (ko) 해상도 향상 장치
KR20050057767A (ko) 해상도 향상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디스플레이장치
US20050128438A1 (en) Actuator for improvement of resolution
KR20050113327A (ko) 해상도 향상 장치
KR20070082800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19975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방법
KR20050113326A (ko)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37239A (ko) 엑츄에이터
KR20050117100A (ko) 해상도 향상 장치
US20050264547A1 (en) Display device
JP2006284995A (ja) 投射型画像表示装置
KR20070032270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35471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32269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32268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37229A (ko) 엑츄에이터
KR20070037237A (ko) 엑츄에이터
KR20070037227A (ko) 엑츄에이터
KR20070037236A (ko) 엑츄에이터
KR100794769B1 (ko)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JPH02206966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