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941B1 -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1941B1 KR100651941B1 KR1020047019080A KR20047019080A KR100651941B1 KR 100651941 B1 KR100651941 B1 KR 100651941B1 KR 1020047019080 A KR1020047019080 A KR 1020047019080A KR 20047019080 A KR20047019080 A KR 20047019080A KR 100651941 B1 KR100651941 B1 KR 1006519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rner
- mat
- blocking plate
- burner mat
- combus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3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25 asbesto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95 riebeck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4—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 F23D14/145—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combustion being stabilised at a screen or a perforated pl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6—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without any visible flame
- F24C3/067—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버너 매트부가 비교적 큰 대용량 버너 어셈블리도 상기 버너 매트부의 전 부위에 대한 균일 연소가 가능하도록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버너 챔버와; 상기 버너 챔버의 상부에 안착되며, 연소 영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연소 영역을 가지는 버너 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버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사열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스복사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너 매트부에 소정의 비연소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혼합가스의 제공량이 적더라도 버너 매트부의 전 부위에 대한 균일 연소가 가능하도록 한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복사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버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복사조리기는 연료와 공기를 혼합한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한 복사체의 가열시에 발생되는 복사파에 의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조리 기기이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가스복사조리기가 개략적으로 도시 되고 있다.
즉, 종래 가스복사조리기는 오븐부(10) 및 탑버너부(2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탑버너부(20)는 첨부된 도 2의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버너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 버너 어셈블리는 크게 버너 하우징(21)과, 글래스(22)와, 혼합관(23)과, 버너 챔버(24)와, 버너 매트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너 하우징(21)은 버너 어셈블리의 외관을 이루면서 연소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22)는 상기 버너 하우징(21)의 상면에 설치되어 버너 어셈블리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23)은 연료와 공기가 유입되어 서로 혼합되는 관으로써, 상기 버너 챔버(24)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챔버(24)는 상기 혼합관(23)을 통해 유입된 혼합가스가 저장되는 부분으로써 둘레부위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버너 챔버(24)의 개구된 상부는 버너 하우징(2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매트부(25)는 상기 버너 챔버(24)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버너 챔버(24)로부터 제공되는 혼합가스를 연소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버너 매트부(25)는 표면 연소를 수행하면서 복사파를 발생시키는 복사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너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글래스(22) 상면에 피가열체를 얹은 상태로 점화조작을 수행하면, 혼합관(23)에 연료와 공기가 각각 유입되고, 상기 혼합관(23)을 통과하는 도중 서로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혼합관(23)과 연통된 버너 챔버(24)내로 유입됨과 더불어 버너 매트부(25)를 통과하면서 버너 하우징(21)의 연소 공간 내부로 분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혼합가스는 도시하지 않은 점화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점화 불꽃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이 때,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버너 매트부(25)의 표면상에서 연소되고, 상기 버너 매트부(25)는 상기 연소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지면서 복사파를 발생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복사파는 글래스(22)를 투과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함으로써 조리가 수행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버너 어셈블리는 상대적으로 대용량에 적용된 구성일 경우 예컨대, 소형 주전자 등의 가열이 아닌 대형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버너 어셈블리일 경우에는 낮은 온도로의 가열이 어려웠던 문제점을 가진다.
즉, 낮은 온도로의 가열을 위해 가스 공급량의 저감이 이루어질 경우 버너 매트부(25)의 면적에 비해 버너 챔버(24)로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양이 극히 적게 되어 상기 혼합가스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상기 버너 매트부(25)의 중앙측에만 연소 될 뿐 버너 매트부(25)의 외측 부위로는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이렇게 버너 매트부(25)의 중앙측에만 연소되고, 상기 버너 매트부(25)의 외측 부위의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대형 조리물의 중앙 부위에만 그 가열이 이루어질 뿐 상기 대형 조리물의 전 부위에 대한 균일 가열이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버너 매트부(25)의 중앙부위로만 국부적으로 연소될 경우에는 화염이 쉽게 꺼져버렸던 문제점 역시 가지고 있다.
이는, 버너 매트부(25)의 표면적이 상당히 큼을 고려할 때 상기 버너 매트부(25)의 중앙부위에서 연소되는 화염이 상기 버너 매트부(25)의 외측으로 제공되는 혼합가스의 부족으로 인해 상기 버너 매트부(25)의 외측으로 원활히 전달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의 경우,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가스의 누출은 발생되기 때문에 안전에 따른 위험이 증가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가스의 공급량이 적게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버너 매트의 외측 부위에서도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버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르면,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버너 챔버; 상기 버너 챔버의 상부에 안착되며, 연소 영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연소 영역을 가지는 버너 매트부; 그리고, 상기 버너 매트부의 비연소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연소 차단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 차단부는 상기 버너 매트부의 중심과 최외곽 부위의 사이 혹은, 상기 버너 매트의 중심 부위에 비연소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버 너 매트부의 저면 혹은,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밀착되어 혼합가스가 상기 버너 매트부의 표면에 도달되어 연소됨을 방지하는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포함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르면,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버너 챔버; 그리고, 상기 버너 챔버의 상부에 안착되며, 내측 버너 매트와 외측 버너 매트로 각각 분리되어 상기 각 버너 매트간의 분리된 부위가 비연소 영역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각 버너 매트는 연소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버너 매트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각 버너 매트간의 분리된 부위 사이에는 상기 분리된 각 버너 매트의 상면 둘레부위에 밀착되는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분리된 각 버너 매트의 둘레 부위가 각각 안착되도록 안착턱을 가지는 지지부가 구비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버너 매트간의 분리된 부위 사이에는 상기 각 버너 매트간을 연결하면서 상기 연결 부위의 일부를 감싸도록 연결부재를 구비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형태에 따르면,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버너 챔버; 상기 버너 챔버의 상부에 안착되며,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 영역을 가짐과 동시에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연소 영역을 동시에 가지는 버너 매트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버너 매트의 비연소 영역은 상기 연소 영역과는 다른 재질인 비연소용 재질로 형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각 형태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의 구조는 버너 매트부의 전체적인 크기는 충분히 크게 형성하되, 혼합가스가 제공되어 연소되는 부위는 실질적으로 적게 형성함으로써 적은 양의 혼합가스로도 안정적이게 연소되도록 하여 연소 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가열 성능은 저하되지 않도록 함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뒤따르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종래 가스복사조리기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가스복사조리기의 버너 어셈블리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반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단 플레이트의 형태 및 버너 매트부에의 장착 상태에 대한 각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단 플레이트가 버너 매트부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너 매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단 플레이트가 버너 매트부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다른 형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에 대한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단 플레이트의 형태 및 버너 매트부에의 장착 상태에 대한 각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버너 매트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또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버너 챔버(140)와, 버너 매트부(150) 그리고, 연소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특징으로 제시된다.
여기서, 상기 버너 챔버(140)는 버너 하우징(110)의 저부에 장착되며, 혼합관(130)을 통과하면서 혼합된 혼합가스가 유입된다.
이 때, 상기 버너 챔버(140)의 상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버너 챔버(140)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종래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대략 유사하게 변형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매트부(150)는 상기 버너 챔버(140)의 상부에 안착되며, 연소 영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연소 영역을 가진다.
이 때, 상기 비연소 영역이라 함은 연소는 가능하나 주변 구조에 의해 실질적으로 표면 연소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진 영역이다.
그리고, 상기 연소 차단부는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비연소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연소 차단부는 버너 매트부(150)의 중심과 최외곽 부위의 사이에 상기 비연소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차단플레이트(161)가 포함된다.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는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저면 혹은,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밀착되어 혼합가스가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표면에 도달됨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차단 플레이트(161)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링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링의 형상에는 첨부된 도 4a와 같이 원형 링이 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각, 오각, 육각 등과 같은 다각형 링 등이 있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를 링의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첨부된 도 4b와 같이 나선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첨부된 도 4c와 같이 방사상으로 길게 형 성될 수도 있으며, 첨부된 도 4d와 같이 버너 매트부(15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부위로 갈수록 밀착면이 점차 확장(혹은, 축소)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는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함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 차단부는 지지부(16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62)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를 지지하면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가 버너 매트부(15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가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경우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기 지지부(162)는 그 일단이 상기 버너 챔버(140)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의 저면을 받쳐주도록 연결된다.
만일,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가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경우라면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지지부(162)는 그 일단이 상기 버너 챔버(140)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버너 매트부(150)를 관통하여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각 부위 중 상기 지지부(162)의 타단이 관통되는 부위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의 형상과 동일하게 링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의 경우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분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첨부된 도 6과 같이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부분적인 부위에 상기 지지부가 관통될 수 있는 다수의 관통공(151)을 형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162)의 타단과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간의 연결은 나사(162a) 체결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원활한 장착을 위해 바람직하다. 하지만 용접이나 여타의 결합 구조로도 상기 지지부(162)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 상호간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경우 지지부(162)의 타단과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간의 연결부위로 가스가 누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에 따라,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기 지지부(162)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간의 연결부위 사이에 버너 챔버(140) 내의 혼합가스가 누설됨을 방지하는 씰링부재(163)를 더 구비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씰링부재(163)는 석면 등과 같은 비연소 밀봉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단 플레이트(161)는 버너 매트부(150) 중 상기 지지부(162)가 관통되는 개구부위에 비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씰링부재(163)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에 비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가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지지부(162)는 첨부된 도 7과 같이 버너 매트부(150)를 관통하지 않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에도 전술한 씰링부재(163)가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와 버너 매트부(150)의 상면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와 상기 지지부(162) 간은 나사(162a) 체결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지지부(162)는 그 측면(혹은, 둘레면)이 개구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버너 챔버(140) 내로 유입된 혼합가스가 버너 매트부(150)의 외곽측으로도 원활히 유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지지부(162)는 메쉬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혼합가스의 보다 원활한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162)를 메쉬형의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저부를 혼합관(130)과 연통되도록 구성할 경우, 상기 혼합관(130)으로부터 버너 챔버(140)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가스는 상기 지지부(16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너 챔버(140) 내의 외곽측 공간으로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버너 매트부(150)의 중앙측으로만 연소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강도에 따른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기 지지부(162)의 측면 일부만을 메쉬형으로 형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이 적용된 버너 어셈블리의 연소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점화 조작이 수행되면, 혼합관(130)에 가스와 공기가 각각 유입되고, 상기 혼합관(130)을 통과하는 도중 상기 가스와 공기는 서로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혼합관(130)과 연통된 버너 챔버(140) 내로 유입됨과 더불어 버너 매트부(150)를 통과하면서 버너 하우징(110)의 연소 공간 내부로 분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혼합가스는 도시하지 않은 점화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점화 불꽃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이 때,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각 부위 중 차단 플레이트(161)가 밀착된 부위로는 혼합가스가 해당 부위의 표면에까지 도달되지는 못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가 밀착된 부위의 주변을 향해 상기 혼합가스가 유동 된다.
이 때,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중앙측 부위로는 혼합 가스가 원활히 유동 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주변으로 유동 되는 혼합 가스는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외곽측 부위를 향해 유동 된다.
특히, 상기 차단 플레이트(161)를 지지하는 지지부(162)는 혼합가스의 유동이 버너 매트부(150)의 외곽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추가로 수행한다.
이로 인해,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전 부위는 균일하게 표면 연소된다.
물론, 차단 플레이트(161)에 의해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비연소 영역은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중앙측 및 외곽측 부위에서 연소 되는 열기와 대류 됨으로써 실질적인 연소는 이루어지지 않지만 고온의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매트부(150)의 표면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복사파는 글래스(120)를 투과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함으로써 비교적 큰 조리용기라도 전부위에 대한 고른 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는 버너 매트부가 내측 버너 매트(251) 및 외측 버너 매트(252)로 각각 분리된 형태로 구성됨이 제시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버너 매트(251)와 상기 외측 버너 매트(252)사이의 분리된 부위는 비연소 영역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각 버너 매트(251,252)는 연소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버너 매트부를 내측 버너 매트(251)와 외측 버너 매트(252)로 분리할 경우 상호간의 분리된 부위 사이에는 연소 차단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 차단부는 상기 분리된 각 버너 매트(251,25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비연소 영역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소 차단부는 상기 분리된 각 버너 매트(251,252)의 상면 둘레 부위에 밀착되는 차단 플레이트(261)와, 상기 분리된 각 버너 매트(251,252)의 둘레 부위가 각각 안착되도록 안착턱(262b)을 가지면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261)와 연결되는 지지부(26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차단 플레이트(261)와 상기 지지부(262) 간은 나사(262a) 체결 등으로 상호간을 연결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단 플레이트(261)와 상기 지지부(262) 사이에는 씰링부재(263)를 구비하여 버너 챔버(140) 내의 혼합가스가 누설됨을 방지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다른 형태를 개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다른 형태는 버너 매트부를 내측 버너 매트(251)1와 외측 버너 매트(252)로 분할 하되, 상호간을 별도의 연결부재(264)로 연결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연결부재(264)는 상기 분할된 각 버너 매트(251,252)간을 연결함과 더불어 상호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264)의 양단은 상기 분할된 각 버너 매트(251,252) 간의 연결 부위가 수용되도록 요입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의 연결부재(264)를 사용할 경우 별도의 차단 플레이트(261)나 지지부(261)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분할된 각 버너 매트(251,252)간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더불어 해당 부위로의 혼합가스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비연소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작용된다.
즉, 각 버너 매트(251,252)간의 분리된 부위는 연소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반면, 차단 플레이트(261) 혹은, 연결부재(264)가 구비된 부위의 주변으로는 혼합가스의 원활한 유동에 의해 내측 버너 매트(251)뿐만 아니라 외측 버너 매트(252) 역시 안정적인 연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비교적 큰 조리용기라도 전부위에 대한 고른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는 버너 매트부(350)의 중심 부위에 표면 연소됨을 차단하는 연소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 때, 상기 연소 차단부는 상기 버너 매트부(350)의 상면 혹은, 저면 중심 부위에 밀착되는 차단 플레이트(361)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 플레이트(361)는 버너 챔버(140) 내를 유동하는 혼합가스가 상기 버너 매트부(350)의 중심측 표면에까지 도달됨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버너 매트부(350)의 중심 부위가 표면 연소됨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소 차단부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361)가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362)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 플레이트(361)는 평면에서 볼 때 도 11a와 같이 원판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도 11b와 같이 다각형 판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차단 플레이트(361)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 플레이트(361)가 상기 버너 매트부(35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지지부(362)는 그 일단이 상기 버너 챔버(14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차단 플레이트(361)의 저면을 받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지지부(362)는 원통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되, 그 둘레면은 혼합가스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구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지지부(362)의 둘레면은 메쉬형으로 형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부(362)는 단순한 바(bar)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의 구조에 의해 버너 매트부(350)의 중심 부위는 비연소 영역을 형성하는 반면, 상기 버너 매트부(350)의 외곽측 부위는 연소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적은 양의 혼합가스로도 상기 버너 매트부(350)의 외곽측 부위를 연소시킬 수 있게 되어 비교적 큰 조리용기라도 전부위에 대한 고른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2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는 버너 매트부(450)를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 영역을 가짐과 동시에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연소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함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버너 매트부(45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연소 차단부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버너 매트부(450) 자체에 비연소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버너 매트부의 비연소 영역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를 연소 영역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함을 제시한다.
즉, 상기 버너 매트부(450)의 비연소 영역이 형성되는 부위를 비연소용 재질(451)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비연소용 재질은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너 매트부(450)의 중심과 최외곽 사이의 부위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버너 매트부(450)의 중심 부위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는 낮은 온도 즉, 적은 양의 혼합가스 공급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버너 매트부의 외곽측에도 연소가 가능함으로써 비교적 큰 용기도 전 부위에 대한 균일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버너 매트부의 전 부위에 대한 균일 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화염이 쉽게 꺼져버렸던 종래 문제점 역시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23)
-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버너 챔버;상기 버너 챔버의 상부에 안착되며, 연소 영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연소 영역을 가지는 버너 매트부; 그리고상기 버너 매트부의 비연소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버너 매트부의 전 부위가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는 연소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연소 차단부는,상기 버너 매트부의 저면 또는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가스가 상기 버너 매트부의 표면에 도달되어 연소됨을 방지하는 차단 플레이트,상기 차단 플레이트를 상기 버너 매트부에 밀착시키며 상기 혼합가스의 유동을 상기 버너 매트부의 외곽측으로 안내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소 차단부는상기 버너 매트부의 중심과 최외곽 부위의 사이에 비연소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단 플레이트는평면에서 볼 때 대략 링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버너 매트부의 저면에 밀착될 경우 상기 지지부는그 일단이 상기 버너 챔버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저면을 받쳐주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버너 매트부의 상면에 밀착될 경우 상기 지지부는그 일단이 상기 버너 챔버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버너 매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단 플레이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차단 플레이트간의 연결은 나사 체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차단 플레이트간의 연결부위 사이에는 버너 챔버 내의 혼합가스가 누설됨을 방지하는 씰링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는,혼합가스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도록 측면에 개구된 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는메쉬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버너 매트부는 내측 버너 매트와 외측 버너 매트로 각각 분리되어 상기 분리된 각 버너 매트가 연소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버너 매트간의 분리된 부위에는 연소 차단부가 구비되어 비연소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연소 차단부는상기 분리된 각 버너 매트의 상면 둘레 부위에 밀착되는 차단 플레이트와,상기 분리된 각 버너 매트의 둘레 부위가 각각 안착되도록 안착턱을 가지면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지지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소 차단부는상기 버너 매트부의 중심 부위에 비연소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연소 차단부는상기 버너 매트부의 저면 혹은,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밀착되어 혼합가스가 상기 버너 매트부의 표면에까지 도달됨을 방지하는 차단 플레이트와,상기 차단 플레이트를 상기 버너 매트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버너 매트부의 저면에 밀착될 경우 상기 지지부는상기 차단 플레이트를 상기 버너 매트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일단이 상기 버너 챔버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저면을 받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삭제
-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버너 챔버;상기 버너 챔버의 상부에 안착되며, 내측 버너 매트와 외측 버너 매트로 각각 분리되어 상기 각 버너 매트는 연소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버너 매트부;상기 버너 매트부의 분리된 영역에 구비되어 비연소 영역을 형성하는 차단 플레이트;상기 차단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혼합가스의 유동을 상기 비연소 영역의 외곽측으로 안내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는 상기 분리된 각 버너 매트의 둘레 부위가 각각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분리된 각 버너 매트 간의 사이에는상기 분리된 각 버너 매트 간을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연결부위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부재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7019080A KR100651941B1 (ko) | 2004-11-25 | 2003-12-29 |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7019080A KR100651941B1 (ko) | 2004-11-25 | 2003-12-29 |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6372A KR20050086372A (ko) | 2005-08-30 |
KR100651941B1 true KR100651941B1 (ko) | 2006-12-01 |
Family
ID=3727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9080A KR100651941B1 (ko) | 2004-11-25 | 2003-12-29 |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1941B1 (ko) |
-
2003
- 2003-12-29 KR KR1020047019080A patent/KR100651941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6372A (ko) | 2005-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61954B2 (en) | Gas burner | |
AU739705B2 (en) | Electric cooking oven with infrared gas broiler | |
US5879154A (en) | Flame spreader-type fuel burner with lowered NOx emissions | |
KR100927046B1 (ko) |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 |
KR100741412B1 (ko) | 가스버너 | |
KR100651941B1 (ko) |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 |
US8122875B2 (en) | Burner assembly for gas burners of radiant heating type | |
KR100927328B1 (ko) |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2065153B1 (ko) | 가스레인지 화력 보호 장치 | |
CN221780786U (zh) | 一种灶具 | |
TWI850556B (zh) | 加熱調理裝置 | |
KR20110032119A (ko) | 가스 그리들 장치 | |
KR200248155Y1 (ko) | 가스 버너용 화덕 | |
JP2005207668A (ja) | ガスコンロ | |
KR200360994Y1 (ko) |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
KR100799451B1 (ko) | 가스버너 구조 | |
KR100686007B1 (ko) |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 |
KR20040025334A (ko) | 상업용 가스밥솥의 버너 | |
KR20060031889A (ko) |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 |
TW202340651A (zh) | 爐灶燃燒器及燃氣灶 | |
KR200298125Y1 (ko) | 버너용 조리용기 받침대 | |
JPH0791675A (ja) | 加熱調理器 | |
KR200320698Y1 (ko) | 조리용 가스버너 | |
KR20050117766A (ko) |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
KR100475725B1 (ko) | 가스렌지용 버너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