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189B1 -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189B1
KR100651189B1 KR1020040116235A KR20040116235A KR100651189B1 KR 100651189 B1 KR100651189 B1 KR 100651189B1 KR 1020040116235 A KR1020040116235 A KR 1020040116235A KR 20040116235 A KR20040116235 A KR 20040116235A KR 100651189 B1 KR100651189 B1 KR 100651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railway vehicle
performance tes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391A (ko
Inventor
정종덕
김정국
홍용기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1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18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8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60Testing or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시험에 있어서,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윤축에 취부된 스트레인게이지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차량 내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윤축의 좌우 축상 끝단에 설치된 신호전달수단과;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에서 발생한 신호의 변형율을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와; 주행중의 도시철도차량의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등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신호전달수단에 의하여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프레코더와; 상기 테이프레코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A/D 변환기와; 상기 A/D 변환기로부터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을 검출하여 전 구간에 걸쳐 주행안정성을 평가해 주는 데이터처리부와;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검출된 각종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부로 구성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통한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완성대차, 주행성능시험,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허용한도

Description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장치 및 방법 {A test-apparatus of running safety in Motor Bogie for Urban Transit Vehicles and the method therefo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시험을 위한 시스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시험을 위한 시험열차의 편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차륜/레일 사이의 작용력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시험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트레인게이지 200 : 신호전달수단
300 : 증폭기 400 : 테이프레코더
500 : A/D 변환기 600 : 입력부
700 : 데이터처리부 800 : 출력부
본 발명은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곡선통과 능력을 판단하기 위하여 주행시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및 횡압허용한도를 측정하여 탈선이론에 의한 주행안정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한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철도차량의 주행안정성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은 탈선인데, 철도에 있어서 탈선은 대형사고로 직결되기 때문에 결코 쉽게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며, 철도가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상대적인 장점으로 내세울 수 있는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을 측정하여 주행안정성을 평가하여여만 한다.
한편, 탈선계수는 수평방향의 힘인 횡압(Q)에 대한 수직방향의 힘인 윤중(P)의 비이고, 윤중감소율은 수직방향의 힘의 변동분(ΔP)에 대한 정적인 상태에서 수직방향 힘인 윤중(Pst)의 비이며, 횡압(Q)는 차륜 플랜지와 레일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횡방향 하중 즉, 윤축에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힘을 말한다.
보통, 횡압의 증가에 의한 탈선계수가 일정치를 넘으면 차륜이 레일을 올라타거나 뛰어넘어 탈선을 하게 되고, 차량의 진동이나 중심의 편기, 궤도 및 차량의 평면성 틀림, 곡선에서의 캔트 및 원심력, 풍압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윤중의 감소 역시 허용한도를 초과하면 탈선의 위험이 있으며, 횡압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레일이 지지하지 못하고 넘어 가거나(roll over), 옆으로 밀리는 현상(shift)에 의해 차량이 탈선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주행 중 도시철도차량의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은 도시철도차량의 주행안정성 검토의 중요한 기준이 되고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및 평가는 쾌적한 승차감 내지 안전수송, 고속수송을 위한 차량과 궤도의 실현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작업이다.
그러나, 탈선에 대한 안전의 문제는 단순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이 관계되고 복잡하기 때문에 도시철도차량의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사항이다.
즉, 탈선현상에 대한 이해가 아직 명확하기 않고, 실제의 차량이 어떤 자세와 어떤 상태로 주행하고 있는가, 차량의 제원이나 선로의 상황, 주행속도 등이 탈선에 안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등을 정성적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정량적ㆍ구체적인 문제에 들어가면 데이터가 없거나 설명이 불가능한 것 등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차량의 탈선 또는 전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제 주행 중 철도차량의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을 정확하게 측정 및 평가하여 도시철도차량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으로는 컴퓨터 해석을 통해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을 예측하는 방법과 모의시험대(Roller Rig for Simulation Test)에서 하중 및 운행조건에 맞추어 측정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컴퓨터 해석을 통해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을 예측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주행시 발생하는 예측하기 어렵거나 설명이 불가능한 요인들이 배제되는 문제점이 있고, 모의시험대(Roller Rig for Simulation Test)에서 하중 및 운행조건을 가하면서 측정하는 방법은 실제 선로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하면 시험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별도의 구동장비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일이나 차량의 특성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차량의 진행방향 전두부에 스트레인게이지가 취부된 윤축을 장착하여, 차량의 운용상태, 주행하는 선로조건, 차량에 적재된 하중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는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을 본선 시운전시 실제 선로에서 도시철도차량 주행 중 측정함으로써 차량의 곡선추종성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시험에 있어서,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윤축에 취부된 스트레인게이지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차량 내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윤축의 좌우 축상 끝단에 설치된 신호전달수단과;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에서 발생한 신호의 변형율을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와; 주행중의 도시철도차량의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등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신호전달수단에 의하여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프레코더와; 상기 테이프레코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A/D 변환기와; 상기 A/D 변환기로부터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을 검출하여 전 구간에 걸쳐 주행안정성을 평가해 주는 데이터처리부와;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검출된 각종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측정용 스트레인게이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펄스부호 변조 텔레미터(PCM Telemet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슬립링(Slip 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시험에 있어서, 주행시험전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윤축에 스트레인게이지를 취부하는 게이지부착단계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하중교정단계와; 주행 중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로부터 발생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측정단계와; 주행 중의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등의 보조데이터를 입력하는 보조데이터입력단계와; 상기 데이터측정단계와 보조데이터입력단계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테이프레코더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와; 상기 테이프레코더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직하중, 횡압 등으로 변환하여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허용한도를 산출하는 데이터처리단계와; 상기 데이터처리단계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출력단계에서 출력된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허용한도를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분기기, 교량 등 선로조건에 따라 분석하여 곡선추종성 및 주행안정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행성능 시험방법은 공차상태로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성능 시험방법은 만차상태로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시험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시험을 위한 시험열차의 편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차륜/레일 사이의 작용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시험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열차는 4량으로 편성하고 전부대차의 1 위축에 시험용 윤축을 설치한다. 상기 시험용 윤축은 정방향으로 진행할 때에는 최전부축이 되며, 역방향으로 진행할 때에는 최후부축이 되기 때문에, 주행 중 궤도나 차량의 특성에 의한 영향이 보다 크게 발생하는 최전부축 주행일 때에만 시험을 한다.
또한, 상기 시험용 윤축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차량 내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저장하기 위하여 회전체인 윤축에서 고정체인 차내로 신호를 전달해 주는 신호전달수단(200)을 취부한다. 이 경우, 상기 신호전달수단(200)은 펄스부호 변조 텔레미터(PCM Telemeter)를 사용할 수도 있고 슬립링(Slip ring)을 취부하여 시험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윤축은 차륜의 플레이트 부위가 곡면이기 때문에 수직하중과 수평하중간 상호간섭이 발생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실제 시험용 윤축에서는 윤중과 횡압의 상호간섭이 최소인 위치를 선정하기 위해 해석결과를 토대로 선정한 위치에 응력집중 측정용 스트레인게이지(100)를 부착하고 정하중 시험을 실시하여 수직하중과 수평하중 상호간에 간섭이 가장 적으면서도 감도가 큰 지점을 선택하여 스트레인게이지(100)를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주행성능 시험 중 상기 윤축에 취부된 스트레인게이지로(100)부터 감지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에 대한 신호가 신호전달수단(200)인 텔레미터 혹은 슬립링을 매개로 하여 운행 중 차량내부로 전달된다.
한편, 실제 운행 중인 차량의 내부에는 상기 텔레미터 혹은 슬립링을 매개로 하여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300)와, 상기와 같이 증폭된 신호 내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프레코더(400)와, 상기 테이프레코터에 저장된 테이터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A/D 변환기(500)가 설치된다.
또한, 차량의 내부에는 상기 A/D 변환기(500)로부터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을 검출하여 전 구간에 걸쳐 주행안정성을 평가해 주는 데이터처리부(700)와, 상기 데이터처리부(700)에 의해 검출된 각종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부(8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출력부(800)는 실제 시험 중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데이터 출력값의 추이를 화면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오실로스코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시험은 주행중의 도시철도차량의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분기기, 교량 등 선로조건에 따른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을 검출, 분석하여 곡선추종성 및 주행안정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므로 실제 주행 중의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600)를 차량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장치는 4량으로 편성된 시험열차 전부대차의 1위축에 설치된 시험용 윤축과, 상기 윤축에 취부된 스트레인게이지(100)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차량내부로 전달하는 신호전달수단(200)과,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에서 발생한 신호의 변형율을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300)와, 시험차량의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등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600)와, 상기 신호전달수단(200)에 의하여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프레코더(400)와, 상기 테이프레코더(4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화시켜주는 A/D 변환기(500)와; 상기 A/D 변환기(500)로부터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을 검출하여 전 구간에 걸쳐 주행안정성을 평가해 주는 데이터처리부(700)와; 상기 데이터처리부(700)에 의해 검출된 각종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부(80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전에,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 시험의 차륜/레일 사이의 작용력을 도시한 도면인데, 탈선계수는 수평방향의 힘인 횡압(Q)에 대한 수직방향의 힘인 윤중(P)의 비이고, 윤중감소율을 수직방향의 힘의 변동분(ΔP)에 대한 정적인 상태에서 수직방향 힘인 윤중(Pst)의 비이며, 횡압(Q)는 차륜 플랜지와 레일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횡방향 하중 즉, 윤축에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힘을 말한다.
보통, 횡압의 증가에 의한 탈선계수가 일정치를 넘으면 차륜의 레일을 올라타거나 뛰어넘어 탈선을 하게 되고, 차량의 진동이나 중심의 편기, 궤도 및 차량의 평면성 틀림, 곡선에서의 캔트 및 원심력, 풍압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윤중의 감소 역시 허용한도를 초과하면 탈선의 위험이 있으며, 횡압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레일이 지지하지 못하고 넘어 가거나(roll over), 옆으로 밀리는 현상(shift)에 의해 차량이 탈선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주행 중 철도차량의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은 철도차량의 주행안정성 검토의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시험에 있어서는 상기 값의 측정치를 통하여 철도차량의 곡선추종성 내지는 주행안정성을 평가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시험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 시험방법은, 주행시험전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윤축에 스트레인게이지(100)를 취부하는 게이지부착단계(S100)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0)의 하중교정단계(S200)와; 주행 중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0)로부터 발생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측정단계(S300)와; 주행 중의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등의 보조데이터를 입력하는 보조데이터입력단계와(S400); 상기 데이터측정단계(S300)와 보조데이터입력단계(S400)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테이프레코더(400)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500)와; 상기 테이프레코더(4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직하중, 횡압 등으로 변환하여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허용한도를 산술하는 데이터처리단계(S600)와; 상기 데이터처리단계(S6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단계(S700)로 이루어진다.
한편, 게이지부착단계(S100)은 주행 중 윤축에 가해지는 수직하중, 수평하중 을 측정하기 위한 예비단계로서, 철도차량의 차륜을 모델링하여 구조해석하거나 정하중 시험을 통하여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의 상호 간섭이 가장 적은 위치를 선택하여 스트레인게이지(10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이지부착단계(S100)를 통해 스트레인게이지(100)를 윤축에 부착한 후에는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100)가 실제 주행성능시험 중 정확한 출력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취부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정한 하중교정단계(S200)를 거칠 필요가 있는데, 상기 하중교정단계(S200)는 일정한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순차적으로 가하면서 해당 스트레인게이지(100)가 선형적인 출력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족하다.
상술한 게이지부착단계(S100)와 하중교정단계(S200)를 거친 후에는 비로소 실제 주행 중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0)로부터 발생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측정단계(S300)를 거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시험은 주행 중의 도시철도차량의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분기기, 교량 등 선로조건에 따른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을 검출, 분석하여 곡선추종성 및 주행안정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므로 상기 철도차량의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등 선로조건을 입력하는 보조데이터입력단계(S400)가 필요하다.
이후, 데이터저장단계(S500)에서는 상기 데이터측정단계(S300)에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0)로부터 발생한 데이터와 상기 보조데이터입력단계(S400)에서 입 력된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등 선로조건을 종합적으로 테이프레코더(40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저장단계(S500)를 통하여 테이프레코더(400)에 저장된 데이터는 분석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직하중, 횡압 등으로 변환하여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허용한도 등을 산출하는 데이터처리단계(S600)로 이어지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800)는 실제 시험 중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데이터 출력값의 추이를 화면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오실로스코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데이터출력단계(S700)에서 출력된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허용한도를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분기기, 교량 등 선로조건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평가기준인 허용한도 내에 있는지를 검토하여 곡선추종성 및 주행안정성을 평가하는 단계(S800)를 거쳐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방법을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방법은 공차상태 및 만차상태로 각각 수행함으로써 차량에 적재된 하중조건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를 예측,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각각 주행시험 전 시험용 윤축에 부가되는 윤중을 측정하여 각각의 주행시험에 있어서 초기 윤중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 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 및 방법에 의하며, 레일이나 차량의 특성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차량의 진행방향 전두부에 스트레인게이지가 취부된 윤축을 장착하여, 차량의 운용상태, 주행하는 선로조건, 차량에 적재된 하중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는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을 본선 시운전시 실제 선로에서 철도차량 주행 중 측정함으로써 차량의 곡선추종성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철도차량이 주행 중 탈선으로부터 안전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정밀한 시험장치 및 방법을 통하여 보다 양질의 철도차량을 제작ㆍ생산함으로써 철도의 이용자에게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시험에 있어서,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윤축에 취부된 스트레인게이지(100)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0)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차량 내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윤축의 좌우 축상 끝단에 설치된 신호전달수단(200)과;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0)에서 발생한 신호의 변형율을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300)와;
    주행중의 도시철도차량의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등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600)와;
    상기 신호전달수단(200)에 의하여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프레코더(400)와;
    상기 테이프레코터(4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A/D 변환기(500)와;
    상기 A/D 변환기(500)로부터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 등을 검출하여 전 구간에 걸쳐 주행안정성을 평가해 주는 데이터처리부(700)와;
    상기 데이터처리부(700)에 의해 검출된 각종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부(8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0)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측정용 스트레인게이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시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수단(200)은 펄스부호 변조 텔레미터(PCM Teleme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시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수단(200)은 슬립링(Slip 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시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800)는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시험장치.
  6.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 주행성능시험에 있어서,
    주행시험전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윤축에 스트레인게이지(100)를 취부하는 게이지부착단계(S100)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하중교정단계(S200)와;
    주행 중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0)로부터 발생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측정단계(S300)와;
    주행 중의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등의 보조데이터를 입력하는 보조데이터입력단계(S400)와;
    상기 데이터측정단계(S300)와 보조데이터입력단계(S400)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테이프레코더(400)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500)와;
    상기 데이터저장단계(S500)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수직하중, 횡압 등으로 변환하여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허용한도를 산출하는 데이터처리단계(S600)와;
    상기 데이터처리단계(S6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단계(S7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데이터출력단계(S700)에서 출력된 탈선계수, 윤중감소율, 횡압허용한도를 속도, 이동거리, 선로곡률반경, 분기기, 교량 등 선로조건에 따라 분석하여 곡선추종 성 및 주행안정성을 평가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하는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성능 시험방법은 공차상태로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성능 시험방법은 만차상태로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방법.
KR1020040116235A 2004-12-30 2004-12-30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장치 및 방법 KR100651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235A KR100651189B1 (ko) 2004-12-30 2004-12-30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235A KR100651189B1 (ko) 2004-12-30 2004-12-30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391A KR20060077391A (ko) 2006-07-05
KR100651189B1 true KR100651189B1 (ko) 2006-11-30

Family

ID=3716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235A KR100651189B1 (ko) 2004-12-30 2004-12-30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1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2297A (zh) * 2017-08-02 2017-12-15 安徽骏达起重机械有限公司 轨道安全检测方法
KR20210059118A (ko) 2019-11-14 2021-05-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선전력 및 신호 통신을 적용한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20220001233A (ko) 2020-06-29 2022-01-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 탈선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32B1 (ko) * 2008-06-13 2010-03-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직변위와 정상횡가속도를 이용한 탈선계수 측정장치 및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8063A (ja) * 1990-02-26 1991-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走行特性測定装置
JPH07239285A (ja) * 1994-02-28 1995-09-12 Mitsubishi Heavy Ind Ltd 列車走行負荷測定装置
JP2003240626A (ja) 2002-02-20 2003-08-27 East Japan Railway Co 輪重取得装置、輪重取得方法、鉄道車両、鉄道車両の保守方法、軌道の保守方法
JP2003267216A (ja) 2002-03-15 2003-09-25 Sumitomo Metal Ind Ltd 鉄道車両の振動制御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並びに鉄道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8063A (ja) * 1990-02-26 1991-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走行特性測定装置
JPH07239285A (ja) * 1994-02-28 1995-09-12 Mitsubishi Heavy Ind Ltd 列車走行負荷測定装置
JP2003240626A (ja) 2002-02-20 2003-08-27 East Japan Railway Co 輪重取得装置、輪重取得方法、鉄道車両、鉄道車両の保守方法、軌道の保守方法
JP2003267216A (ja) 2002-03-15 2003-09-25 Sumitomo Metal Ind Ltd 鉄道車両の振動制御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並びに鉄道車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2297A (zh) * 2017-08-02 2017-12-15 安徽骏达起重机械有限公司 轨道安全检测方法
KR20210059118A (ko) 2019-11-14 2021-05-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선전력 및 신호 통신을 적용한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20220001233A (ko) 2020-06-29 2022-01-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 탈선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391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i et al. Condition monitoring of railway track using in-service vehicle
US9628762B2 (en) System for imaging and measuring rail deflection
CA2574051C (en) Apparatus for detecting hunting and angle of attack of a rail vehicle wheelset
Elkins et al. Testing and analysis techniques for safety assessment of rail vehicles: the state-of-the-art
KR100946232B1 (ko) 수직변위와 정상횡가속도를 이용한 탈선계수 측정장치 및그 방법
KR101259088B1 (ko) 철도차량의 주행 안정성 분석 시스템
Boronenko et al.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wheel-rail contact vertical forces by using a variable measurement scale
RU2659365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напряженно-деформированного состояния пути
Boronenko et al. Diagnostics of freight cars using on-track measurements
KR100651189B1 (ko) 도시철도차량 완성대차의 주행성능 시험장치 및 방법
KR100651188B1 (ko) 도시철도차량 대차프레임 동응력 시험장치 및 방법
JP4448899B2 (ja) 横圧測定方法及び鉄道車両用台車
JP7257729B2 (ja) 橋梁の共振検出方法とその共振検出装置及び橋梁の共振検出プログラム
Bocciolini et al. Wayside measurement of lateral and vertical wheel/rail forces for rolling stock homologation
KR100921547B1 (ko) 철도차량용 대차의 피로도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철도차량 보호방법
JP2000002606A (ja) ゲ―ジ変換器用の車輪転移制御システム
KR20120042257A (ko) 철도차량의 윤중 측정방법
JP2008254578A (ja) 鉄道車両の走行異常検知方法及び装置
Sato et al. Wheel/rail contact analysis of tramways and LRVs against derailment
RU2466047C2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поверхности катания колесных пар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и метрополитена
RU2513338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состояния рельсового пути
KR100651195B1 (ko) 철도차량의 승차감 종합측정시스템
RU2731163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динамической жёсткости рельсового пу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Rakoczy et al. Railroad bridge condition evaluation using onboard systems
Rahimov et al. A new way to determine the indicators of vertical and horizontal of a subway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