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976B1 -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976B1
KR100650976B1 KR1020060083988A KR20060083988A KR100650976B1 KR 100650976 B1 KR100650976 B1 KR 100650976B1 KR 1020060083988 A KR1020060083988 A KR 1020060083988A KR 20060083988 A KR20060083988 A KR 20060083988A KR 100650976 B1 KR100650976 B1 KR 100650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oundation pile
hole
building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8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단지의 지중에 매설되는 다수 개의 기초말뚝을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지중에 매설된 기초말뚝이 견고하게 건축물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원기둥형상의 기초말뚝의 상단부에 씌워지도록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주면홈이 연속적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는 기초철근이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철근돌출홀이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일정 크기의 통공이 구비되는 상단결합캡; 기초말뚝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내부홀에 삽설되어 내부홀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밀착되며, 상단은 상단결합캡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통공에 결합되어 일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상단지지체; 그리고 직사각형의 판재형상을 하고, 일정 크기를 갖는 네 개의 결합홀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각 결합홀로부터 일정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는 네 개의 결속홀이 각각 구비되며, 각 결합홀에는 기초말뚝의 상단부에 착설된 상단결합캡이 결합됨으로써 상단결합캡의 외주면에 구비된 외주면홈에 결합홀이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기초철근, 기초말뚝, 체결플레이트, 상단결합캡

Description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PILE STRUCTURE FOR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말뚝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초말뚝 110 : 기초철근
120 : 쇠신 200 : 상단결합캡
210 : 외주면홈 220 : 통공
230 : 가이드홈 300 : 결합플레이트
310 : 결합홀 320 : 결속홀
400 : 상단지지체 410 : 절개홈
500 : 방석기초
본 발명은 건축단지에 설치되는 기초말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단지의 지중에 매설되는 다수 개의 기초말뚝을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지중에 매설된 기초말뚝이 견고하게 건축물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단지에 건축되는 건축물의 경우 고층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고층의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기초말뚝을 이용하여 지반을 구축해야한다. 지반을 구축할 목적하에 지중에 때려 박는 통상의 기초말뚝은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긴 파이프의 형상을 갖는 콘크리트 말뚝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초말뚝은 한국공업규격에 의거한 것으로,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대부분 디젤 해머를 사용한 항타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지역에는 먼저, 소정구간 터파기를 한 후, 항타시공에 의해 다수 개의 기초말뚝을 지면에 매설한다. 이후, 기초말뚝의 상단 콘크리트를 소정높이 절개하여 기초말뚝에 배근된 기초철근이 소정길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기초말뚝의 하단부에는 쇠신이 착설되어 기초말뚝이 원활하게 지중에 매설되도록 한다. 이후, 상방으로 돌출된 기초말뚝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방석기초를 시공한다. 이러한 기초말뚝이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기초말뚝의 상부에 방석기초를 시공한 후 방석기초의 상부에 건축물이 시공된다. 지중에 매설되는 기초말 뚝이 지중에서 견고하게 지지해주지 않으면 건축물이 기울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기초말뚝이 견고하게 지중에 매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단지의 지중에 매설되는 다수 개의 기초말뚝을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지중에 매설된 기초말뚝이 견고하게 건축물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원기둥형상의 본체와 그 본체의 내부에 배근되는 다수개의 기초철근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지반매설용 기초말뚝에 있어서, 기초말뚝의 상단부에 씌워지도록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주면홈이 연속적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는 기초철근이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철근돌출홀이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일정 크기의 통공이 구비되는 상단결합캡; 기초말뚝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내부홀에 삽설되어 내부홀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밀착되며, 상단은 상단결합캡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통공에 결합되어 일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상단지지체; 그리고 직사각형의 판재형상을 하고, 일정 크기를 갖는 네 개의 결합홀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각 결합홀로부터 일정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는 네 개의 결속홀이 각각 구비되며, 각 결합홀에는 기초말뚝의 상단부에 착설된 상단결합캡이 결합됨으로써 상단결합캡의 외주면에 구비된 외주면홈에 결합홀이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기초말뚝의 상단의 내부홀에 삽설되는 상단지지체는 하단부의 지름이 상단부보다 큰 원추형의 형상을 하고, 상측부는 상단결합캡의 상면부 중심에 구비된 통공에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을 하며, 하단부 중심부에는 일정 깊이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하단부가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되며, 하단부가 기초말뚝의 내부홀에 삽설되면서 내부홀의 내벽을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기초말뚝의 상단부에 상단결합캡이 결합되고, 상단결합캡의 외주면이 결합플레이트의 결합홀에 결합된 후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방석기초가 기초말뚝의 상측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단지에 조성되는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일정 지역을 단단하게 다지기 위해 소정구간 터파기를 한 후, 항타시공에 의해 기초말뚝을 지면에 매설하고, 상기 기초말뚝의 상단부에 원통형의 형상을 하는 상단결합캡을 씌운 후 여러 개의 기초말뚝에 동시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를 기초말뚝의 상단부에 결합시키며, 상기 결합플레이트에는 다수 개의 결합홀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각 결합홀에 기초말뚝의 상단부가 결합됨으로써 다수 개의 기초말뚝이 결합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므로 기초말뚝이 견고하게 건축물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말뚝 연결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말뚝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건축물 기초말뚝구조를 설명함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초말뚝을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기초말뚝(10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하단부는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쇠신(120)이 착설되며, 상기 기초말뚝(1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기초철근(110)이 배근됨으로써 강한 강도를 보유하게 된다. 상기 기초말뚝(100)은 그 하부가 건축물이 시공되는 지반에 소정깊이 매설되며, 지반에 매설된 기초말뚝(100)의 상단부 일정 길이를 커팅 공정을 통해 두부정리를 함으로써 기초말뚝(100)의 내부에 배근된 다수개의 기초철근(110)이 상방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기초말뚝(100)의 하단부에 금속으로 된 쇠신(120)이 착설되므로 기초말뚝(100)을 항타공법으로 지중에 매설할 때 끝이 뾰족한 쇠신(120)에 의해 원활하게 지중에 박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초말뚝(100)의 상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방석기초(500)를 시공하여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기초말뚝(100)을 항타공법에 의해 지중에 매설시킨 후 상단부의 일 부분을 절개하여 기초철근(110)을 돌출시키게 되고, 상기 기초철근(110)의 일 부분을 돌출시킨 후 기초말뚝(100)의 상단부에 원통형의 형상을 하는 상단결합캡(200)을 착설시킨다.
상기 상단결합캡(200)은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외주면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외주면홈(210)은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단결합캡(200)의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단결합캡(200)의 상면부에는 가변을 따라 오목하게 들어간 가이드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30)에는 다수 개의 철근돌출홀(도시 안됨)이 형성된다. 상기 철근돌출홀은 가이드홈(230)의 내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단결합캡(200)이 기초말뚝(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면 기초철근(110)이 철근돌출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상단결합캡(200)의 상면부 중심부에는 일정 크기의 통공(220)이 구비된다. 상기 통공(220)을 통해 기초말뚝(100)의 상단부 내부홀(130)에 삽설되는 상단지지체(400)의 상단부가 상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상단지지체(400)는 하단부의 지름이 상단부보다 큰 원추형의 형상을 하고, 상측부는 상단결합캡(200)의 상면부 중심에 형성된 통공(220)에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을 한다.
상기 상단지지체(400)의 하단부 중심부에는 일정 깊이로 절개홈(410)이 형성 되어 하단부가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되며, 상기 상단지지체(400)를 기초말뚝(100)의 상단부 내부홀(130)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상단지지체(400)의 하단부를 절개홈(410)측으로 가압하면서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 기초말뚝(100)의 내부홀(130)에 상단지지체(400)가 삽설되면서 내부홀(130)의 내벽을 상단지지체(400)의 하단부가 외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서 내부홀(130)에 지지된다. 상기 상단지지체(400)가 기초말뚝(100)의 내부홀(130)에 삽설되면 상단지지체(400)의 상단부는 일 부분이 상단결합캡(200)의 통공(220)을 통해 기초말뚝(10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기초말뚝(100)의 상단부에 상단지지체(400)와 함께 상단결합캡(200)이 착설된 상태에서 기초말뚝(100)의 상단부에 착설된 상단결합캡(200)에는 결합플레이트(300)가 착설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300)는 직사각형의 판재형상을 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300)에는 원형으로 된 다수 개의 결합홀(310)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300)를 이용하여 네 개의 기초말뚝(100)을 일체로 결합시킬 경우에는 네 개의 결합홀(310)이 결합플레이트(300)에 형성되어야 하고, 여섯 개의 기초말뚝(100)을 일체로 결합시킬 경우에는 여섯 개의 결합홀(310)을 결합플레이트(300)에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300)에는 결합홀(310)의 근접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작은 지름의 결속홀(320)이 네 개가 구비된다. 상기 결속홀(320)은 결합플레이트(300)를 포함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방석기초(500)가 시공되면 결속홀(320)에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결속력을 보강하게 되며, 하나의 결합홀(310)의 근접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네 개가 착설되므로 하나의 결합플레이트(300)에 네 개의 결합홀(310)이 구비되어 있으면 결속홀(320)은 열여섯 개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300)가 네 개의 기초말뚝(100)의 상단결합캡(200)에 결합되면 상단결합캡(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주면홈(210)에 결합플레이트(300)의 결합홀(310)이 결합된다. 상기 상단결합캡(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주면홈(210)은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높이의 외주면홈(210)을 선택하여 결합홀(310)을 결합시키게 되므로 결합플레이트(300)를 일정한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300)에 구비되는 결합홀(310)의 지름이 상단결합캡(200)의 지름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됨으로써 결합플레이트(300)가 상단결합캡(200)에 결합되게 되면 강한 압력을 하향으로 인가하여야 결합플레이트(300)의 결합홀(310)이 상단결합캡(200)의 외주면홈(210)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기초말뚝(100)의 상면부에 상단결합캡(200)과 함께 결합플레이트(300)가 결합됨으로써 네 개의 기초말뚝(100)은 견고하게 결합플레이트(300)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며, 상기 상단결합캡(200)과 결합플레이트(300)가 포함되도록 기초말뚝(100)의 상단부에는 일정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방석기초(500)를 시공되며, 상기 방석기초(500)가 시공됨으로써 방석기초(500)에 건축물이 시공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단지에 조성되는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일정 지역을 단단하게 다지기 위해 소정구간 터파기를 한 후, 항타시공에 의해 기초말뚝을 지면에 매설한다. 상기 기초말뚝의 상단부에 원통 형의 형상을 하는 상단결합캡을 씌운 후 여러 개의 기초말뚝에 동시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를 기초말뚝의 상단부에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플레이트에는 다수 개의 결합홀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각 결합홀에 기초말뚝의 상단부가 결합됨으로써 다수 개의 기초말뚝이 결합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므로 기초말뚝이 견고하게 건축물을 지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원기둥형상의 본체와 그 본체의 내부에 배근되는 다수개의 기초철근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지반매설용 기초말뚝에 있어서, 기초말뚝(100)의 상단부에 씌워지도록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주면홈(210)이 연속적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는 기초철근(110)이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철근돌출홀이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일정 크기의 통공(220)이 구비되는 상단결합캡(200); 기초말뚝(10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내부홀(130)에 삽설되어 내부홀(130)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밀착되며, 상단은 상단결합캡(20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통공(220)에 결합되어 일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상단지지체(400); 그리고 직사각형의 판재형상을 하고, 일정 크기를 갖는 네 개의 결합홀(310)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각 결합홀(310)로부터 일정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는 네 개의 결속홀(320)이 각각 구비되며, 각 결합홀(310)에는 기초말뚝(100)의 상단부에 착설된 상단결합캡(200)이 결합됨으로써 상단결합캡(200)의 외주면에 구비된 외주면홈(210)에 결합홀(310)이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300)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초말뚝(100)의 상단의 내부홀(130)에 삽설되는 상단지지체(400)는 하단부의 지름이 상단부보다 큰 원추형의 형상을 하고, 상측부는 상단결합캡(200)의 상면부 중심에 구비된 통공(220)에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원 기둥형상을 하며, 하단부 중심부에는 일정 깊이로 절개홈(410)이 형성되어 하단부가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되며, 하단부가 기초말뚝(100)의 내부홀(130)에 삽설되면서 내부홀(130)의 내벽을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초말뚝(100)의 상단부에 상단결합캡(200)이 결합되고, 상단결합캡(200)의 외주면이 결합플레이트(300)의 결합홀(310)에 결합된 후 결합플레이트(300)를 포함하는 방석기초(500)가 기초말뚝(100)의 상측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
KR1020060083988A 2006-09-01 2006-09-01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 KR100650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988A KR100650976B1 (ko) 2006-09-01 2006-09-01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988A KR100650976B1 (ko) 2006-09-01 2006-09-01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976B1 true KR100650976B1 (ko) 2006-11-30

Family

ID=3771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988A KR100650976B1 (ko) 2006-09-01 2006-09-01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9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715B1 (ko) 2006-11-15 2007-02-26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도로 교량의 기초파일 상단 보강구조
KR100851836B1 (ko) * 2007-12-28 2008-08-13 문형록 수직 측면부를 갖는 팽이말뚝집합체 및 이를 이용한지반보강공법
KR100851837B1 (ko) * 2007-12-28 2008-08-13 문형록 수직 측면부를 갖는 팽이말뚝집합체용기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2316014B1 (ko) * 2021-03-26 2021-10-21 한태근 옹벽시공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10A (en) 1975-06-24 1977-01-08 Kawasaki Steel Co Method of building large under water foundation
JPS52125809U (ko) 1976-03-22 1977-09-24
KR20020066817A (ko) * 2001-02-14 2002-08-21 김동역 말뚝기초상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관통균열 방지용시공방법및 그 시공구조
JP2002275879A (ja) 2001-03-16 2002-09-25 Noboru Kudo 軟弱地盤上の盛土安定工法
KR20040110387A (ko) * 2003-06-19 2004-12-31 (주)피에스테크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의 무파쇄 두부 보강방법 및 그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10A (en) 1975-06-24 1977-01-08 Kawasaki Steel Co Method of building large under water foundation
JPS52125809U (ko) 1976-03-22 1977-09-24
KR20020066817A (ko) * 2001-02-14 2002-08-21 김동역 말뚝기초상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관통균열 방지용시공방법및 그 시공구조
JP2002275879A (ja) 2001-03-16 2002-09-25 Noboru Kudo 軟弱地盤上の盛土安定工法
KR20040110387A (ko) * 2003-06-19 2004-12-31 (주)피에스테크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의 무파쇄 두부 보강방법 및 그보강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715B1 (ko) 2006-11-15 2007-02-26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도로 교량의 기초파일 상단 보강구조
KR100851836B1 (ko) * 2007-12-28 2008-08-13 문형록 수직 측면부를 갖는 팽이말뚝집합체 및 이를 이용한지반보강공법
KR100851837B1 (ko) * 2007-12-28 2008-08-13 문형록 수직 측면부를 갖는 팽이말뚝집합체용기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2316014B1 (ko) * 2021-03-26 2021-10-21 한태근 옹벽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9256A (en) Pinned foundation system
JP4902504B2 (ja) 布基礎補強構造及び布基礎補強構造の施工方法並びに補強金物
JP5372289B1 (ja) 境界壁構造物
KR100797002B1 (ko) 강관 파일의 콘크리트 속채움식 두부 보강 장치
WO2011114507A1 (ja) 新設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KR100650976B1 (ko)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
US20020166302A1 (en) Footing for sound-barrier walls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KR10169685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e블럭 옹벽의 다양한 조립 시공방법
JP2008223339A (ja) 中空杭の杭頭部強化方法及び杭頭部強化用補強材
JP2000265484A (ja) PCa杭地中壁による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216366Y1 (ko) 강관 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JP5228862B2 (ja) 地下構造、地下構造の構築方法
KR100423932B1 (ko) 강관 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JP2023011057A (ja) 基礎構造及び基礎構築方法
JP4795810B2 (ja) コンクリート床形成方法
KR100582866B1 (ko) 펜스 주주 지지 구조
JP5769104B2 (ja) 軟弱地盤における建物の基礎構造
JP2015200094A (ja) フーチング基礎構造
JP4519998B2 (ja) 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板組立体を用いた、軽量地盤構築方法、基礎構築方法、及び軽量盛土施工方法
KR102060511B1 (ko) 흙막이 벽체용 고강도 phc 파일
JPH08105066A (ja) Phc杭の基礎スラブ定着工法および定着部用土留め具
KR101357773B1 (ko) 소구경 기초파일
KR100680286B1 (ko) 건축물 기초말뚝구조
JP2001311168A (ja) 土留擁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