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343B1 - 도어 개폐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343B1
KR100648343B1 KR1020050076872A KR20050076872A KR100648343B1 KR 100648343 B1 KR100648343 B1 KR 100648343B1 KR 1020050076872 A KR1020050076872 A KR 1020050076872A KR 20050076872 A KR20050076872 A KR 20050076872A KR 100648343 B1 KR100648343 B1 KR 100648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spring
closing
le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217A (ko
Inventor
켄지 무라마츠
카츠히코 하야시
기요츠구 타카사와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double-acting springs, e.g. for closing and opening or checking and closing no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1014Operating means
    • Y10T292/1021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과제>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도어에 닫는 방향의 가압력이 가해지는 타이밍을 설정하기 쉬운 도어 개폐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도어 개폐 보조 장치(10)는, 냉장고 본체(3)측에, 도어(2)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레버 부재(20)와, 도어(2)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할 때의 레버 부재(20)의 회동이 전달되어 축적 탄성 변형하는 동시에, 그 탄성 복귀력에 의해 레버 부재(20)를 통하여 도어(2)를 닫힘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와, 도어의 전폐(全閉) 위치와 반개(半開) 위치의 사이에 도어(2)가 있는 동안, 레버 부재(20)와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를 기구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도어(2)가 반개 위치보다 더 열림 방향에 있을 때는,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를 축적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한 채로, 레버 부재(20)와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와의 기구적인 접속을 끊는 전환 기구(스토퍼 기구(80) 및 중계 부재(30))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도어 개폐 보조 장치{AUXILIARY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S}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를 탑재한 냉장고의 설명도이다.
도 2의 (A), (B), (C), (D), (E)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도어 개폐 보조 장치의 구성을 평면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그 종단면도, 레버 부재의 단면도,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의 단면도, 및 가압력 조정부의 설명도이다.
도 3의 (A), (B), (C), (D)는 각각,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에 사용한 레버 부재의 평면도,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 주변의 평면도, 스토퍼 기구의 설명도, 및 셔터 판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반개(半開)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전개(全開)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량예에 관련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에 있어서, 스토퍼 부재에 의해 중계 부재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2 : 도어
3 : 냉장고 본체(기기 본체)
5 : 힌지 기구
10 : 도어 개폐 보조 장치
20 : 레버 부재
25 : 회전 중심축
26, 29 :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
30 : 중계 부재
40 :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
45 : 가압력 조정부
50 : 댐퍼 장치
60, 65 :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
70 : 스토퍼 부재
80 : 스토퍼 기구
240 : 중계 부재 배제용 캠부
본 발명은 냉장고 등에 있어서 도어의 폐쇄를 보조하기 위한 도어 개폐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등의 개구에 대한 도어의 개폐를 확실히 행하기 위한 도어 개폐 보조 장치로서는,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사이에 걸치도록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고, 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특개소 57- 73384호 공보
여기서,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이 도어에 항상 인가되어 있으면, 식품의 출납이 어렵다. 그래서, 레버 부재 등을 이용하여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여 도어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타이밍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코일 스프링이나 타이밍 조정 기구를 냉장고 본체측과 도어측에 분할하여 배치한 경우에는, 냉장고 본체측에 배치되는 부재와 도어측에 배치되는 부재에 대해,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서로의 위치 관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립에 시간이 걸리는 동시에, 도어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타이밍이 어긋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도어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타이밍을 설정하기 쉬운 도어 개폐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기 본체에 힌지 기구를 통 하여 연결되며 해당 기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닫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도어 개폐 보조 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레버 부재와, 상기 도어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할 때의 상기 레버 부재의 회동이 전달되어 탄성 변형하는 동시에, 그 탄성 복귀력에 의해 상기 레버 부재를 통하여 상기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와, 상기 도어의 전폐(全閉: 완전히 닫음) 위치와 이 전폐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만 열림 방향으로 회동한 반개(半開: 반정도 열림) 위치의 사이에 상기 도어가 있는 동안, 상기 레버 부재와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기구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가 상기 반개 위치보다 더 열림 방향에 있을 때는,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한 채, 상기 레버 부재와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와의 기구적인 접속을 끊는 전환 기구를 가지며, 상기 레버 부재,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전환 기구는 어느 것도, 상기 도어측 및 상기 기기 본체측 중의 어느 한쪽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를 열 때, 도어가 전폐 위치로부터 반개 위치에 도달하는 구간에 있어서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고, 그 이상 도어가 열릴 때, 전환 기구는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한 채, 레버 부재와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와의 기구적인 접속을 끊는다. 이 때문에, 도어를 크게 연 상태에서는, 도어에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식품 등의 출납이 용이하다. 또, 도어를 닫을 때, 도어가 반개 위치에 도달하면, 전환 기구는 레버 부재와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기구적으로 접속시키기 때문에, 도어에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의 가압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도어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닫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버 부재,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 및 전환 기구는 어느 것도, 도어측 및 기기 본체측 중의 어느 한쪽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한쪽에 있어서만,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여 도어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전환 기구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도어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타이밍을 설정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기기 본체측에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어의 대형화나 중량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예를 들면 상기 레버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와, 상기 도어가 상기 전폐 위치와 상기 반개 위치의 사이에 있는 동안, 상기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에 의해 변위하여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동시에, 그 탄성 복귀력을 상기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를 통하여 상기 레버 부재에 전달 가능한 중계 부재와, 상기 도어가 상기 전폐 위치와 상기 반개 위치의 사이에 있는 동안, 상기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와 상기 중계 부재를 기구적인 접속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가 상기 반개 위치보다 더 열림 방향에 있을 때는, 상기 중계 부재를 구속하여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하는 스토퍼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도어가 상기 반개 위치보다 더 열림 방향에 있을 때, 상기 중계 부재를 구속하여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하는 스토퍼 부재와, 이 스토퍼 부재를 상기 중계 부재를 구속하는 위치까지 변위시키기 위한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레버 부재와 공통의 회전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중계 부재를 구속하는 위치까지 변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에는, 상기 중계 부재를 구속하고 있는 상기 스토퍼 부재가 외력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중계 부재의 구속이 해제되어 해당 중계 부재가 상기 도어의 닫힘 동작을 방해하는 위치로 변위했을 때, 상기 도어의 닫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까지 되돌리는 중계 부재 배제용 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중계 부재 배제용 캠부는, 상기 중계 부재를 상기 스토퍼 부재로 구속되어 있던 위치까지 되돌리며,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에 가압되어서 상기 중계 부재를 구속하는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계 부재에 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부하를 발생시키는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어가 급속히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힘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댐퍼 장치가 부하를 발생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중계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 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어에 큰 힘을 가하여 닫으려고 했을 때, 그와 같은 움직임에 다른 부재가 추종할 수 없어도, 레버 부재가 직접 중계 부재를 회전시키므로, 댐퍼 장치가 작용하여 도어가 급속히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레버 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도어와 상기 기기 본체의 사이를 덮도록 출현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레버 부재를 연동시키는 전달 기구가, 롤러와 이 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어의 회전을 레버 부재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를 탑재한 냉장고의 설명도이다. 도 2의 (A), (B), (C), (D), (E)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도어 개폐 보조 장치의 구성을 평면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그 종단면도, 레버 부재의 단면도,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의 단면도, 가압력 조정부의 설명도이다. 도 3의 (A), (B), (C), (D)는 각각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에 사용한 레버 부재의 평면도,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 주변의 평면도, 스토퍼 기구의 설명도, 셔터 판의 설명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2의 (A)에 나타내는 도어의 위치를 전폐 위치로 하고, 그로부터 열림 방향(반시계 회전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 도어가 회전하여, 후술하는 도 4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었을 때를 반개 위치로 하며, 더 열림 방향(반시계 회전의 방향)으로 도어가 회전하여, 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었을 때를 전개(全開: 완전히 열림) 위치로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냉장고(1)는, 냉장고 본체(3)와, 그 개구(9)를 개폐하는 양쪽 열림식의 한 쌍의 도어(2)를 갖고 있다. 한 쌍의 도어(2)는, 각각이 힌지 기구(5)를 통하여 냉장고 본체(3)에 연결되어 냉장고 본체(3)의 개구(9)를 개폐할 수 있다. 또, 본 형태의 냉장고(1)에 있어서, 그 상부면에는, 한 쌍의 도어(2)의 각각에 대하여 닫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도어 개폐 보조 장치(10)가 구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3)의 상부면에 도어 지지판(4)이 고정되고, 그 선단부에는 힌지 기구(5)를 통하여 도어(2)가 지지되어 있다. 또, 도어 개폐 보조 장치(10)는, 도 2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고(1)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지판(地板)(11)과, 이에 대향 배치된 지판(12)을 가지고 있으며, 지판(11, 12)은 연결축(25, 35, 48, 100)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문 개폐 보조 장치(10)의 구성)
도 2의 (A), (B) 및 도 3에 있어서, 도어 개폐 보조 장치(10)는, 도어(2)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레버 부재(20)와, 도어(2)를 닫힘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와,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와 레버 부재(20)를 기구적으로 접속한 상태 및 이 접속을 해제한 상태로 전환하는 스토퍼 기구(80)를 가지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레버 부재(20)와 가압력 발생용 스프 링 부재(40)는 중계 부재(30)를 통하여 기구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본 형태에서는, 이 중계 부재(30)와 스토퍼 기구(80)에 의해, 후술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전환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어 개폐 보조 장치(10)에 사용되고 있는 각 부재의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A), (B), (C) 및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20)는, 1쌍의 판재(201, 202)를 복수의 연결축(22, 23)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통하여 대향시킨 것이며, 지판(11, 12)의 사이에 고정된 회전 중심축(25)에 대하여, 시계 회전(CW) 및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 중심축(25)은, 도어(2)의 회전 중심으로 되는 힌지 기구(5)의 회전 중심축의 옆쪽에 배치되며 쌍방의 위치가 어긋나 있다.
레버 부재(20)는, 회전 중심축(25)측에 위치하는 기초부(24)와, 이 기초부(24)로부터 뻗은 연장 설치 부분(28)을 구비하고 있다. 연장 설치 부분(28)의 하부면으로부터 아래쪽에는 지지축(211)이 돌출되어 있고, 이 지지축(211)의 하단 부분에는, 지지축(211)의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롤러(21)가 지지되어 있다. 도어(2)의 상부면에는 안내 홈(8)(가이드부)이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 부재(20)의 롤러(21)는, 안내 홈(8)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안내 홈(8) 및 롤러(21)에 의해, 레버 부재(20)와 도어(2)를 연동시키는 전달 기구(7)가 구성되어 있다. 또, 레버 부재(20)에 있어서, 기초부(24)의 외주 가장자리 중, 회전 중심축(25)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은, 완만하게 반경이 커지도록 만곡하는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6)와, 이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6)로부터 완만하게 최대 반경으로 되는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9)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도 2의 (A), (B)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기구를 구성하는 중계 부재(30)는, 한 쌍의 대략 직사각형의 판재(301, 302)를 연결축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통하여 대향시킨 것이며, 지판(11)과 지판(12)의 사이에 고정된 회전 중심축(35)에 대해, 시계 회전(CW) 및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계 부재(30)의 4개의 각 부분 중 하나에서는, 지지축에 대해 롤러(31)가 지지되어 있고, 이 롤러(31)는 레버 부재(20)의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6)에 접촉하고 있다. 또, 중계 부재(30)에 있어서, 회전 중심축(35)으로부터 보아 롤러(3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연결축(39)은, 후술하는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에 대한 작용부로 되어 있다.
도 2의 (A), (B)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 부재(30)에 있어서 한 쌍의 판재(301, 302)의 사이에는, 대략 부채꼴 형상의 기어(36)가 고정되어 있는 한편, 중계 부재(30)의 옆쪽에는 오일식의 댐퍼 장치(50)가 배치되어 있다. 댐퍼 장치(50)는, 외주 부분에 구성되어 있는 외측 톱니가 기어(36)의 톱니부(37)와 서로 맞물려 있다. 여기서, 댐퍼 장치(50)는, 그 중심측의 각축(角軸)부가 지판(11, 12)에 회전 고정되어 있는 한편, 외주측이 회전부이며, 그 사이에 댐퍼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 댐퍼 기구는, 외주측의 회전부가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고,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부하를 발생시킨다. 또, 댐퍼 부하는, 회전 각도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의 (D)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 부재(30)의 옆쪽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가 배치되고, 이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는, 내측의 스프링 위치 결정용 축(48)과, 한쪽 단부(42)가 걸어 맞춰진 가압력 조정부(45)와, 다른 쪽 단부(41)가 접촉하는 중계 부재(30)의 연결축(3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2의 (E)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력 조정부(45)는, L 자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그 상승부의 상부면에는 2개의 홈(46, 4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압력 조정부(45)는,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의 한쪽 단부(42)가 2개의 홈(46, 47) 중, 어느 홈에 걸어 맞춰지는가에 의해,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의 (A), (B) 및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 기구(80)는, 레버 부재(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판재(201, 202)의 사이에 배치된 판 형상의 스토퍼 부재(70)와, 이 스토퍼 부재(70)를 반시계 회전(CCW)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60)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70)는, 레버 부재(20)와 같이, 회전 중심축(25)에 대해 시계 회전(CW)의 방향 및 반시계 회전(CCW)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60)는,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중계 부재(30)의 연결축(32)에 대하여 지지된 판 스프링이며, 연결축(32)을 중심으로 시계 회전(CW)의 방향 및 반시계 회전(CCW)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60)는, 기단(基端) 부분(61)이 중계 부재(30)의 기어(36)의 근원 부분에 접촉하고 있고, 중계 부 재(30)가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선단 부분(62)이 스토퍼 부재(70)의 시계 회전(CW) 방향측의 측단부를 가압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레버 부재(20)의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6)에 시계 회전(CW)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9)의 반경 R3(도 3의 (A) 참조), 스토퍼 부재(70)의 외주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얕은 오목부(71)의 반경 R1(도 3의 (C) 참조), 오목부(71)에 반시계 회전(CCW)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원호 부분(73)의 반경 R2(도 3의 (C) 참조)는, 이하의 식
R1<R2<R3
으로 나타내는 조건으로 설정되며, 또한 오목부(71)에 대하여 시계 회전(CW)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분에는 돌기(7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A), (B) 및 도 3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의 도어 개폐 보조 장치(10)에서는, 레버 부재(20)와 지판(12)의 사이에 부채꼴 형상의 셔터 판(90)이 배치되며, 이 셔터 판(90)은, 스토퍼 부재(70)나 레버 부재(20)와 같이, 회전 중심축(25)에 대해 시계 회전(CW)의 방향 및 반시계 회전(CCW)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셔터 판(90)에는, 그 회전 중심 부근에 볼록부(92)가 형성되고, 외주 원호 부분에도 볼록부(9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92, 93)는 레버 부재(20)와 간섭 가능한 높이 치수이며, 레버 부재(20)가 반시계 회전(CCW)의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레버 부재(20)의 기초부(24)와 볼록부(92)가 간섭하며, 셔터 판(90)은 반시계 회전(CCW)으로 회전한다. 또, 레버 부재(20)가 시계 회전(CW)의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레버 부재(20)의 연장 설치 부분(28)의 밑부분이 볼록부 (93)와 간섭하며, 셔터 판(90)은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셔터 판(90)의 볼록부(92, 93)의 회전 방향의 폭은, 레버 부재(2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폭과 비교하여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 판(90)은 레버 부재(20)의 동작에 지연되어 연동한다.
(열림 동작)
도 4 및 도 5는, 본 형태의 도어 개폐 보조 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반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전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형태의 도어 개폐 보조 장치(10) 및 냉장고(1)에 있어서, 도 2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반개 위치로 향하여 도어(2)를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안내 홈(8) 내에서 롤러(21)가 이동하면서, 레버 부재(20)가 회전 중심축(25)을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동안, 레버 부재(20)와 중계 부재(30)는,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6)와 롤러(31)를 통하여 기구적으로 접속하고 있고, 레버 부재(20)가 회전하면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6)를 따라 롤러(31)가 이동하며, 중계 부재(30)는 회전 중심축(35)을 중심으로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의 다른 쪽 단부(41)가 중계 부재(30)의 연결축(39)에 밀려서,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가 축적 탄성 변형한다. 그 동안, 댐퍼 장치(50)의 외주 부분은, 기어(36)에 의해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이 방향의 회전시, 댐퍼 장치(50)는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60)는, 기단 부분이 기어(36)에 밀려서, 연결축(32)을 중심으로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60)의 선단 부분(62)은, 스토퍼 부재(70)의 시계 회전(CW) 방향측의 측단부를 가압하므로, 스토퍼 부재(70)는 레버 부재(20)에 추종하도록, 회전 중심축(25)을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한다. 단, 스토퍼 부재(70)는, 레버 부재(20)의 연결축(23)에 접촉하므로, 레버 부재(20)보다도 반시계 회전(CCW)의 방향으로 나아가 회전하는 일은 없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내는 반개 위치로 되면, 중계 부재(30)의 롤러(31)는, 레버 부재(20)의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9)에 의해 스토퍼 부재(70)의 외주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71) 속으로 들어간다. 또한, 이 상태까지, 셔터 부재(90)는 레버 부재(20)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도 2의 (A)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한 채로 있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반개 위치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전개 위치로 향하여 도어(2)를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안내 홈(8) 내에서 롤러(21)가 이동하면서, 레버 부재(20)가 회전 중심축(25)을 중심으로 더욱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 레버 부재(20)의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9)는, 중계 부재(30)의 롤러(31)로부터 떨어지며, 롤러(31)는, 스토퍼 부재(70)의 외주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71) 속으로 들어가서 돌기(72)에 접촉한다. 또, 중계 부재(30)의 롤러(31)가 스토퍼 부재(70)의 오목부(71) 속으로 들어간 상태로, 중계 부재(30) 및 스토퍼 부재(70)에 가해지는 힘이 평형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레버 부재(20)가 회전 중심축(25)을 중심으로 더욱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해도, 스토퍼 부재(70)는, 도 4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정지한 채로 있다. 따라서, 레버 부재(20)가 회전 중심축(25)을 중심으로 더욱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해도, 중계 부재(30)는, 스토퍼 부재(70)에 의해 구속되어 정지한 채로 있으며, 레버 부재(20)와 중계 부재(30)의 기구적인 접속이 해제된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는, 축적 탄성 변형한 상태가 유지된다.
그 사이에, 댐퍼 장치(50)의 외주 부분은, 기어(36)에 의해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이 방향의 회전시, 댐퍼 장치(50)는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 셔터 부재(90)는, 볼록부(92)가 레버 부재(20)에 의해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밀리는 결과, 회전 중심축(25)을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3)와 도어(2)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덮는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스토퍼 부재(70) 및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60)로 이루어지는 스토퍼 기구(80)는, 도어(2)가 전폐 위치와 반개 위치의 사이에 있는 동안,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6)와 중계 부재(30)를 기구적인 접속을 허용하는 동시에, 도어(2)가 반개 위치보다 더 열림 방향에 있을 때는, 중계 부재(30)를 구속하여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를 축적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스토퍼 기구(80) 및 중계 부재(30)에 의해 구성된 전환 기구는, 도어(2)가 전폐 위치와 반개 위치의 사이에 있는 동안, 레버 부재(30)와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를 기구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도어(2)가 반개 위치보다 더 열림 방향에 있을 때는,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를 축적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한 채, 레버 부재(20)와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의 기구적인 접속을 끊는다.
(닫힘 동작)
도 5에 나타내는 전개 위치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반개 위치로 향하여 도어(2)를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안내 홈(8) 내에서 롤러(21)가 이동하면서, 레버 부재(20)가 회전 중심축(25)을 중심으로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사이, 스토퍼 부재(70)는, 도 5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정지한 채 있으며, 중계 부재(30)는 스토퍼 부재(70)에 의해 구속된 채로 있고, 레버 부재(20)와 중계 부재(30)의 기구적인 접속은 해제된 채로 있다. 그러므로,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는 축적 탄성 변형한 상태가 유지된다.
또, 레버 부재(20)가 회전 중심축(25)을 중심으로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도중에서 레버 부재(20)가 셔터 부재(90)의 볼록부(93)에 접촉하므로, 셔터 부재(90)는 도중부터 레버 부재(20)와 함께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반개 위치로부터 도 2의 (B)에 나타내는 전폐 위치로 향하여 도어(2)를 더욱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안내 홈(8) 내에서 롤러(21)가 이동하면서, 레버 부재(20)가 회전 중심축(25)을 중심으로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 레버 부재(20)의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9)가 롤러(31)에 접촉한다. 여기서,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9)의 반경 R3는, 상기한 바와 같이 R3>R1의 관계에 있고,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9)가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에 축적된 탄성력을 스토퍼 부재(70)로부터 넘겨받는다. 그 직후에,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9)로부터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6)에 롤러(31)를 통하여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의 복귀력이 작용한다. 그 때, 레버 부재(20)의 연결축(23)이 스토퍼 부재(70)를 가압하므로, 스토퍼 부재(70)는 레버 부재(20)와 함께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계 부재(30)의 롤러(31)는, 레버 부재(20)의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6)에 접촉하며, 중계 부재(30)와 레버 부재(20)는 기구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그 이후는 중계 부재(30)의 구속이 해제되어 있으므로,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는, 그 탄성 복귀력에 의해 중계 부재(30)를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며, 이와 같은 힘은 롤러(31) 및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26)를 통하여 레버 부재(20)에 전달된다. 따라서, 중계 부재(30)의 탄성 복귀력은 도어(2)를 닫힘 방향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의 가압력은,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60)가 스토퍼 부재(70)를 통하여 레버 부재(20)를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가압력보다 충분히 크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도어(2)에 작은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도어(2)를 닫을 수 있다. 또, 레버 부재(20)는, 전폐 위치보다도 더욱 내측에서 회전할 수 있고,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의 설치 복귀력이 남도록 설정하고 있으므로, 도어(2)를 확실히 닫을 수 있다.
또, 중계 부재(30)가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힘은, 기 어(36)를 통하여 댐퍼 장치(50)의 외주 부분을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다. 이 방향의 회전시, 댐퍼 장치(50)는 부하를 발생시키므로, 도어(2)는 천천히 닫히게 된다.
또한, 도어(2)를 급속히 닫으려고 하면, 레버 부재(20)의 측단부(27)(도 3의 (A) 참조)는, 중계 부재(30)의 연결축(32)을 밀어서 중계 부재(30)를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다. 따라서, 도어(2)에 큰 힘을 가하여 닫으려고 했을 때, 레버 부재(20)가 직접 중계 부재(30)를 회전시키므로, 레버 부재(20), 전환 기구(스토퍼 기구(70) 및 중계 부재(30))의 회전력의 전달이 확실히 행해진다. 또, 댐퍼 장치(50)가 작용하여, 도어(2)가 급속히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주된 효과)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형태의 도어 개폐 보조 장치(10)에서는, 도어(2)를 열 때, 도어(2)가 전폐 위치로부터 반개 위치에 도달하는 구간에 있어서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를 축적 탄성 변형시키며, 그 이상 도어(2)가 열릴 때, 전환 기구(스토퍼 기구(80) 및 중계 부재30)는,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를 축적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한 채, 레버 부재(20)와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의 기구적인 접속을 끊는다. 이 때문에, 도어(2)를 크게 연 상태에서는, 도어(2)에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식품 등의 출납이 용이하다. 또, 도어(2)를 닫을 때, 도어(2)가 반개 위치에 도달하면, 전환 기구는 레버 부재(20)와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를 기구적으로 접속시키기 때문에, 도어(2)에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의 가압력이 더해진다. 따라서, 도어(2)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닫을 수 있 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레버 부재(20),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 및 전환 기구는 어느 것도, 냉장고 본체(3)측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부재를 냉장고 본체(3)측과 도어(2)측으로 분리하여 배치하는 경우와 달라서,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 도어(2)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타이밍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형태의 도어 개폐 보조 장치(10)에 의하면,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도어(2)를 양호한 감촉으로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닫을 수 있다.
(개량예)
도 6은 본 발명의 개량예에 관련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에 있어서, 스토퍼 부재에 의해 중계 부재의 구속이 해제된 양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의 (A), (B)는, 도 6에 나타내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 형태에서는, 스토퍼 기구(80)로서 도 2의 (A), (B) 및 도 3의 (C)에 나타내는 스토퍼 부재(70)와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60)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본 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70)와, 이 스토퍼 부재(70)를 연결부(25) 주위에 반시계 회전(CCW)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65)가 사용되고 있다.
또, 레버 부재(20)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 부재(30)를 구속하고 있는 스토퍼 부재(70)가 외력으로 변위함으로써 중계 부재(30)의 구속이 해제되어 중계 부재(30)가 도어(2)의 닫힘 동작을 방해하는 위치로 변위하였을 때, 도어(2)의 닫힘 동작에 의해 중계 부재(30)를 도어(2)의 닫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까지 되돌리는 중계 부재 배제용 캠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중계 부재(30)에서는 형상이나 롤러(31)의 위치 등이 변경되어 있다.
즉,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도어 개폐 동작 보조 장치(1)에서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2)를 연 상태에서는, 도어(2)를 닫힘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도록, 스토퍼 부재(70)와 중계 부재(30)의 롤러(31)를 구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 상태로 스토퍼 부재(70)에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여 스토퍼 부재(70)가 시계 회전(CW)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토퍼 부재(70)에 의한 중계 부재(30)의 롤러(31)의 구속이 해제된다. 그 결과, 중계 부재(30)가 연결축(35)을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하고, 롤러(31)는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도 7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어(2)를 닫으려고 했을 때, 레버 부재(20)의 측단부(27)가 롤러(31)와 간섭하여 도어(2)의 닫힘 동작을 방해하고 만다. 그런데 본 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20)에 중계 부재 배제용 캠부(24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계 부재(30)의 롤러(31)가 도어(2)의 닫힘 동작을 방해하는 위치로 변위하였을 때라도, 도어(2)에 강한 힘을 가하여 도어(2)를 닫힘 방향으로 밀면, 중계 부재 배제용 캠부(240)가 롤러(31)를 밀어 올려서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중계 부재(30)의 롤러(31)의 위치는, 도어(2)를 닫을 때 이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배제된다. 또, 스토퍼 부재(70)는,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65)에 가압되어서 연결축(25) 주위로 반시계 회전(CCW) 방향으로 회전하는 결과, 그 오목부(73)에 중계 부재(30)의 롤러(31)가 속으로 들어가 원상태(중계 부재(30)의 롤러(31)를 구속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그 이후는 도어(2)의 닫힘 동작을 지장 없이 행할 수 있고, 그 때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의 가압력은 중계 부재(30)를 통하여 도어(2)를 닫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외의 실시 형태)
또한, 상기 형태에서는,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태엽, 압축 스프링이라도 된다. 또,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60)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비틀림 코일 스프링, 인장 코일 스프링이라도 된다. 또, 댐퍼 장치는 에어 댐퍼 장치여도 된다.
또 상기 형태에서는, 레버 부재(20),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40), 및 전환 기구(스토퍼 기구(80) 및 중계 부재(30))를 유닛화하여 냉장고 본체(3)측에 구성하였으나, 이들 부재를 도어(2)측에 배치해도 된다. 또, 상기 형태에서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10)를 양쪽 열림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한 예였었으나, 한쪽 열림식의 냉장고 그 외의 기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를 열 때, 도어가 전폐 위치로부터 반개 위치에 도달하는 구간에 있어서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고, 그 이상 도어가 열릴 때, 전환 기구는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한 채, 레버 부재와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와의 기구적인 접속을 끊는다. 이 때문에, 도어를 크게 연 상태에서는, 도어에 닫힘 방향의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식품 등의 출납이 용이하다. 또, 도어를 닫을 때, 도어가 반개 위치에 도달하면, 전환 기구는 레버 부재와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기구적으로 접속시키기 때 문에, 도어에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의 가압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도어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닫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버 부재,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 및 전환 기구는 어느 것도, 도어측 및 기기 본체측 중의 어느 한쪽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한쪽에 있어서,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여 도어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전환 기구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도어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타이밍을 설정하기 쉽다. 따라서, 양쪽 열림식의 냉장고 등에 있어서도, 도어를 확실히 닫을 수 있다.

Claims (11)

  1. 기기 본체에 힌지 기구를 통하여 연결되며 해당 기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닫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도어 개폐 보조 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레버 부재와, 상기 도어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할 때의 상기 레버 부재의 회동이 전달되어 탄성 변형하는 동시에, 그 탄성 복귀력에 의해 상기 레버 부재를 통하여 상기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와, 상기 도어의 전폐(全閉: 완전히 닫음) 위치와 이 전폐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만 열림 방향으로 회동한 반개(半開: 반정도 열림) 위치의 사이에 상기 도어가 있는 동안, 상기 레버 부재와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기구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가 상기 반개 위치보다 더 열림 방향에 있을 때는,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한 채, 상기 레버 부재와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와의 기구적인 접속을 끊는 전환 기구를 가지며,
    상기 레버 부재,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전환 기구는 어느 것도, 상기 도어측 및 상기 기기 본체측 중의 어느 한쪽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전환 기구는, 상 기 기기 본체측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레버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와, 상기 도어가 상기 전폐 위치와 상기 반개 위치의 사이에 있는 동안, 상기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에 의해 변위하여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동시에, 그 탄성 복귀력을 상기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를 통하여 상기 레버 부재에 전달 가능한 중계 부재와, 상기 도어가 상기 전폐 위치와 상기 반개 위치의 사이에 있는 동안, 상기 개폐 동작 전달용 캠부와 상기 중계 부재를 기구적인 접속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가 상기 반개 위치보다 더 열림 방향에 있을 때는, 상기 중계 부재를 구속하여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하는 스토퍼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도어가 상기 반개 위치보다 더 열림 방향에 있을 때, 상기 중계 부재를 구속하여 상기 가압력 발생용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하는 스토퍼 부재와, 이 스토퍼 부재를 상기 중계 부재를 구속하는 위치까지 변위시키기 위한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레버 부재와 공통의 회전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중계 부재를 구속하는 위치까지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에는, 상기 중계 부재를 구속하고 있는 상기 스토퍼 부재가 외력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중계 부재의 구속이 해제되어 해당 중계 부재가 상기 도어의 닫힘 동작을 방해하는 위치로 변위했을 때, 상기 도어의 닫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까지 되돌리는 중계 부재 배제용 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부재 배제용 캠부는, 상기 중계 부재를 상기 스토퍼 부재로 구속되어 있던 위치까지 되돌리며,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스토퍼 부재 가압용 스프링 부재에 가압되어서 상기 중계 부재를 구속하는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부재에 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부하를 발생시키는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힘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댐퍼 장치가 부하를 발생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중계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레버 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도어와 상기 기기 본체의 사이를 덮도록 출현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레버 부재를 연동시키는 전달 기구가, 롤러와, 이 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보조 장치.
KR1020050076872A 2004-08-23 2005-08-22 도어 개폐 보조 장치 KR100648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2758 2004-08-23
JP2004242758 2004-08-23
JPJP-P-2005-00033624 2005-02-09
JP2005033624A JP4521293B2 (ja) 2004-08-23 2005-02-09 扉開閉補助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217A KR20060053217A (ko) 2006-05-19
KR100648343B1 true KR100648343B1 (ko) 2006-11-23

Family

ID=3590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872A KR100648343B1 (ko) 2004-08-23 2005-08-22 도어 개폐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38412A1 (ko)
JP (1) JP4521293B2 (ko)
KR (1) KR100648343B1 (ko)
CN (1) CN10036369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0943A1 (en) * 2004-07-13 2006-01-19 Lear Corporation Mechanical handle switch assembly
KR100776627B1 (ko) * 2006-10-24 2007-11-15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매립형 자동복귀 힌지장치
KR101910655B1 (ko) 2012-04-10 2018-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미 오토 클로징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2868851B1 (en) * 2013-09-04 2018-07-11 Hisense Ronshen Guangdong Refrigerator Co., Ltd. Door stopper for refrigerator door body
KR102228916B1 (ko) 2014-03-11 202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4106876A1 (de) * 2014-05-15 2015-11-19 Hettich-Oni Gmbh & Co. Kg Lageranordnung für eine Tür
JP6420113B2 (ja) * 2014-10-15 2018-11-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冷蔵庫用扉駆動装置
JP2016102608A (ja) * 2014-11-28 2016-06-02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冷蔵庫用扉開閉機構
KR102277138B1 (ko) * 2015-02-03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18080482A1 (en) * 2016-10-26 2018-05-03 Hussmann Corporation Case frame and door assembly for a merchandiser
CN112444092B (zh) * 2019-08-28 2022-02-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嵌入式冰箱
US11542739B1 (en) * 2021-10-13 2023-01-03 Shern Dar Indusrial Corp. Door closer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3492A (en) * 1953-09-18 1957-03-05 Whirlpool Seeger Corp Door holder and closer
JPS4329525Y1 (ko) * 1966-08-17 1968-12-04
JPS61221483A (ja) * 1985-03-25 1986-10-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蓋の開閉装置
US5220747A (en) * 1992-10-27 1993-06-22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door biasing mechanism
US5787724A (en) * 1997-06-04 1998-08-04 Maytag Corporation Dispensing assembly for top mount refrigerator
US5896619A (en) * 1997-08-29 1999-04-27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door hinge and closure mechanism
US5931554A (en) * 1997-08-29 1999-08-03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door stop
TW536613B (en) * 1999-10-25 2003-06-11 Sharp Kk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622076B2 (ja) * 1999-11-19 2005-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扉開閉機構
US7192105B2 (en) * 2000-08-10 2007-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control device for refrigerators and refrigerator with the device
DE10049575A1 (de) * 2000-10-06 2002-04-1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Kältegerät mit Türöffnungshilfe
EP1488060A2 (en) * 2001-05-12 2004-12-22 Southco, Inc. Detended and damped hinge mechanism
DE10205590A1 (de) * 2002-02-11 2003-08-2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Türschließvorrichtung
JP3887243B2 (ja) * 2002-02-15 2007-02-2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動作補助装置
JP4112303B2 (ja) * 2002-04-01 2008-07-0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動作補助装置
US6845545B2 (en) * 2002-09-04 2005-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to close a door of a refrigerator
TW589434B (en) * 2002-11-13 2004-06-01 Salice Arturo Spa Hinge
US6978516B1 (en) * 2003-06-02 2005-12-27 Commercial Display Systems, Llc Apparatus for controlling various movements of a door
KR100495629B1 (ko) * 2003-07-31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217A (ko) 2006-05-19
CN100363697C (zh) 2008-01-23
JP4521293B2 (ja) 2010-08-11
JP2006090115A (ja) 2006-04-06
US20060038412A1 (en) 2006-02-23
CN1740715A (zh)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343B1 (ko) 도어 개폐 보조 장치
US8513551B2 (en) Interlock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U2427697C2 (ru) Мебельная петля
US20180196385A1 (en) 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1360601B1 (ko) 힌지장치 및 개폐장치 및 휴대기기
KR100439744B1 (ko)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JP3923636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20060113507A (ko) 작동방향 반전기구 및 그것을 적용한 덮개개폐장치
JP4904222B2 (ja) 扉開閉機構及び冷蔵庫
US11118389B2 (en) Retracting device and retracting device set
KR100385586B1 (ko) 프린터용 클램쉘 장치
US20100322616A1 (en) Barrier unit
JP2006163180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KR100837192B1 (ko) 슬라이딩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KR200223101Y1 (ko) 출입문용 피벗힌지
JP5724253B2 (ja) ドア開閉装置
KR200214694Y1 (ko)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JP2758933B2 (ja) ドアクローザ
US20220195769A1 (en) Hinge device
KR200275858Y1 (ko) 다중 캠 힌지
US12006750B2 (en) Hinge having damper and coil spring
US11715610B2 (en) Operating mechanism for operating at least one contact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JP2009013831A (ja) ロッカアーム
KR100875761B1 (ko) 슬라이딩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