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084B1 -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084B1
KR100647084B1 KR1020050064200A KR20050064200A KR100647084B1 KR 100647084 B1 KR100647084 B1 KR 100647084B1 KR 1020050064200 A KR1020050064200 A KR 1020050064200A KR 20050064200 A KR20050064200 A KR 20050064200A KR 100647084 B1 KR100647084 B1 KR 100647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x
loading
ship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4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드내 설치 면적 과다 사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더블-A 타입의 구조물로서, 미 사용시 보관 및 관리 면적을 적게 차지할 수 있고, 차량, 작업자 등의 유동이 자유롭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캐리어 제작비가 매우 경제적인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는 선박의 조립 구조물을 적재하는 것으로서, 직선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있는 지면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한 쌍의 다리부(101, 102)와; 상기 다리부(101, 102) 각각의 상단에서 교량 형상을 갖게 결합된 박스부(100)를 포함하고, 'ㄷ'자 형상, 교량 형상, 양단 지지 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고, 복수개로 배열되어 곡블럭을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럭, 적재, 캐리어, 플레이트, 다리부, 박스부

Description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CARRIER STRUCTURE FOR CARRYING ROUND BLOCK OF SHIP}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B-타입 캐리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것으로서, 중요부위 확대 단면도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 11 : 제1하판
12 : 제2하판 13 : 제1덧판
14 : 제2덧판 15 : 측면박스판
16 : 중앙박스판 17, 18 : 박스브래킷
19, 20, 21, 22, 23, 24 : 트랜스웹 25 : 제1다리판
26 : 제2다리판 27 : 다리판용 보강판
28 : 기저판 29 : 기저판용 브래킷
40 : 사다리 100 : 박스부
60, 61 : 보조빔 101, 102 : 다리부
본 발명은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선수, 선미의 조립에 사용되는 곡블럭을 비롯하여 각종 형상의 블럭을 야드(yard)내에 안정되게 적치하는데 사용되는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블럭은 선박의 선수, 선미에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곳에 해당하는 선박 제작용 구조물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B-타입 캐리어의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I자 수평빔(1)의 양측 각각에서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소에 보강판(2)(web plate)들을 용접하여 결합하고 있다.
이런 종래 기술에 따른 B-타입 캐리어의 구조는 아래쪽이 뚫린 직육면체의 고정 구조물로서, 좌, 우측에 수평빔(1)이 배열되고, 이런 수평빔(1)들의 사이에 복수개의 횡방향 빔들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수평빔(1)들과 횡방향 빔들은 용접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상대적으로 넓은 고정 공간을 차지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B-타입 캐리어의 구조는 복수개(예 : 6 ∼ 8개)의 수직지지축(3)들을 이용하여 블럭 적재용 야드의 지면에서 수직하게 수평빔(1)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수직지지축(3)들은 통상의 격자형, 트러스 등의 통상의 배열방식으로 보강축(4), 수평지지축(5, 6)들을 더 구비한다.
이런 종래의 B-타입 캐리어의 구조는 수평빔(1)의 상부에 곡블럭(9)의 곡면에 대응한 표면을 갖는 각종 지지블럭(7, 8)을 부설하여 곡블럭(9)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적재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B-타입 캐리어의 구조는 상술한 구조적 특징의 이유로, 야드내 블럭 적재 면적 부족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고, 물류 흐름 방해 및 보관 부지 과다 사용의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B-타입 캐리어의 구조에서는, 소형 블럭을 적재시에도 상대적으로 1개의 B-타입 캐리어가 사용됨에 따라, 블럭 크기에 상관없이 동일 면적을 사용하는 비효율성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B-타입 캐리어의 구조는 과중한 블럭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개수가 많은 복수개의 보강판, 수직지지축, 보강축, 수평 지지축을 요구하는 통상적인 구조(예 : 트러스 구조)를 갖고 있으며, 과다한 설치 면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캐리어 제작비 과다 소요의 문제가 있다. 예컨대, 종래의 B-타입 캐리어의 구조는 고가의 제작비가 요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인 적재 면적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또한, 종래의 B-타입 캐리어의 구조는 고정식 구조물이므로, 미 사용시 큰 적재 공간을 항시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야드내 설치 면적 과다 사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더블-A 타입의 구조물로서, 미 사용시 보관 및 관리 면적을 적게 차지할 수 있고, 차량, 작업자 등의 유동이 자유롭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캐리어 제작비가 매우 경제적인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설치, 분해, 이동이 용이하고, 보관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대폭 감소된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조립 구조물을 적재하는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에 있어서, 직선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있는 지면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 각 각의 상단에서 교량 형상을 갖게 결합된 박스부를 포함하고, 'ㄷ'자 형상, 교량 형상, 양단 지지 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고, 복수개로 배열되어 곡블럭을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박스부는 직사각형 상판의 정면과 배면쪽 테두리변 아래에 각각 측면박스판을 'ㄷ'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용접하고 있고, 상기 측면박스판의 사이에서 상기 상판 중앙 저면에는 직사각판 형상의 중앙박스판이 'T'자 이음 방식으로 용접되어 있되, 제1하판과 제2하판이 제1덧판 및 제2덧판을 이용하여 외측 및 내측 모서리 이음 방식과 싱글 스트랩 이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이음 방식에 의해 상기 중앙박스판과 상기 측면박스판의 아래쪽 부위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박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하판, 상기 제2하판, 상기 측면박스판 및 상기 상판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적소에는, 트랜스웹이 상기 박스부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열되어서 상기 박스부의 내부 격막과 같은 구조로 용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리부는 사각 박스 축 형상을 갖도록 제1다리판과 제2다리판을 모서리 이음 방식으로 용접하되, 축심에 일치되게 각각 다리판용 보강판을 개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리부 중 어느 하나에는 아래쪽부터 상기 박스부까지 높이 방향으로 사다리가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것으로서, 중요부위 확대 단면도를 포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는 선수, 선미, E/Room 등의 D/Btm(곡블럭)의 운반 및 적재에 사용되는 철제 구조물로서, 본 발명은 양측 지지부에 해당하는 다리부(101, 102)만으로 세워져 있으며, 별개로 구성되어서 다양한 크기의 곡블록을 지지할 수 있고, 복수개로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분해할 수 있으며, 미 사용시 2개 또는 복수개를 다열로 배열하도록 이동 및 보관할 수 있어서 고정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활용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는 도 2에 개시된 형상, 예컨대 'ㄷ'자 형상, 교량 형상, 양단 지지 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직선을 기준으로 소정 이격거리(예 : 11m) 떨어져 있는 지면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한 쌍의 다리부(101, 102)와; 상기 다리부(101, 102) 각각의 상단에서 교량 형상을 갖게 결합된 박스부 (100)를 포함하는 몸체를 갖되, 이런 몸체 2개를 한 쌍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본 발명은 일명, 더블-에이(Double A) 타입 캐리어로서 호칭된다.
박스부(100)는 직사각형 상판(10)(top plate)의 정면과 배면쪽 테두리변 아래에 각각 측면박스판(15)(side box plate)을 'ㄷ'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용접하고 있다.
또한, 측면박스판(15)의 사이에서 상판(10) 중앙 저면에는 직사각판 형상의 중앙박스판(16)(center box plate)이 'T'자 이음 방식으로 용접되어 있다(도 4 병행 참조).
중앙박스판(16)은 박스부(100)의 자중, 적재 하중 등에 의해 휨변형, 좌굴 등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보강 수단이다.
중앙박스판(16)은 측면박스판(15)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제작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박스판(16)의 길이에 하기에 설명할 박스브래킷(17, 18)의 길이의 두배 값과, 2개의 트랜스웹(19, 21)(trans web)의 두께의 두배 값을 모두 더할 경우, 측면박스판(15)의 길이와 동일하게 된다.
도 3에서도 확인 할 수 있듯이, 2개의 측면박스판(15)은 '
Figure 112005038395388-pat00001
' 형상과 같이, 양쪽 끝단 아래쪽 코너(모서리)에 사면을 갖게 떼어낸 챔퍼 형상(chamfer shape)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1개의 중앙박스판(16)의 양쪽 끝단에는 트랜스웹(19, 21)의 간섭을 배제하면서도, 중앙박스판(16)을 그의 길이 방향으로 일치하게 연장 및 용접하도록, 각각의 박스브래킷(17, 18)들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특히, 마지막의 박스브래킷(18)은 우측변 또는 좌측변 아래쪽 코너가 상기 측면박스판(15)의 양쪽 끝단 아래쪽 코너와 동일한 챔퍼 형상을 갖는다.
이런 모따기된 형상의 특징에 의해서, 상판(10), 중앙박스판(16) 및 측면박스판(15) 각각의 양측 끝단의 위쪽 부위를 마감할 수 있게 다른 트랜스웹(20)이 용접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박스부(100)의 저면은 제1하판(11)(1st bottom plate)과 제2하판(12)(2nd bottom plate)으로 마감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측면박스판(15)의 사이에서 상판(10)의 저부에 1개의 중앙박스판(16)이 고정되어 있다.
이런 상태에서 원활한 용접작업을 위해서, 좌측의 확대 원을 참조하면, 각각의 제1하판(11)과 제2하판(12)은 외측 및 내측 모서리 이음 방식에 의해 측면박스판(15) 측에 용접되어 있다.
즉, 제1하판(11)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하판(11)과 좌측에 위치한 측면박스판(15)은 외측 모서리 이음 방식으로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제1하판(11)의 상면에 겹쳐진 제2덧판(14)(2nd chill plate)은 측면박스판(15)과 하판(11)의 직각 코너에 밀착된 상태로 내측 모서리 이음 방식으로 용접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확대 원을 참조하면, 제1하판(11)과 제2하판(12)은 수평하게 일치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싱글 스트랩 이음 방식을 이용하여 중앙박스판(16) 측에 용접된다.
즉, 중앙박스판(16)의 아래쪽 끝단과 제1하판(11) 및 제2하판(12)의 측단쪽 의 상면 사이에는 싱글 스트랩 이음 방식을 위해 제1덧판(13)(1st chill plate)이 박스부(100)의 내측에서 덧댄 구조를 갖는다.
박스부(100)의 내부에서 제1하판(11), 제2하판(12), 2개의 측면박스판(15) 및 상판(1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적소에는 각종 트랜스웹(19, 21, 22, 23, 24)이 박스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열되어서 상기 박스부(100)의 내부 격막과 같은 구조로 용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종 트랜스웹(19, 21, 22, 23, 24)들은 각각 그의 네 개의 모퉁이(코너)가 필릿(fillet) 가공되어 있어서, 용접선이 상호 겹치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트랜스웹(23, 24)에서 각각 네 개의 필릿 가공된 부위(30)는 필릿 크기 'R50' 정도로 곡면 모따기 되어 있기 때문에, 필릿 가공된 부위(30)를 제외한 모든 4변이 박스부(100)의 내표면과 접촉 및 용접되어 있다.
이와 반면, 박스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용접선(예 : 측면박스판과 상판, 또는 중앙박스판과 상판, 또는 제1, 제2하판과 측면박스판의 코너에 위치한 용접선 등)과 트랜스웹(23, 24)의 4변에 형성된 용접선은 교차축상에 존재하지만 상기 필릿 가공된 부위(30)에 의해 해당 용접선이 겹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서, 용접 가공성이 양호하게 되고, 과도한 용접에 의한 열변형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의 다리부(101)는 사각 박스 축 형상을 갖도록 제1다리판(25)과 제2다리판(26)을 모서리 이음 방식으로 용접하되, 축 심에 일치되게 각각 다리판용 보강판(27)(leg sup plate)을 개재하여 축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리부(101)의 아래쪽 끝단에는 각각 기저판(28)(base plate)이 끝단의 개구부위를 밀폐시키도록 용접되어 있다.
기저판(28)의 평면적은 다리부(101)의 축 평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되어 더욱 안정된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보강을 위해서 복수개의 기저판용 브래킷(29)(base bracket)이 코너 부위에 각각 용접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101) 중 어느 하나에는 아래쪽부터 박스부(100)까지 높이 방향으로 사다리(40)가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관계로 구성된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는 박스부(100)를 2개의 다리부(101, 102)로 지면에서 소정 높이 위에 지지함에 따라, 박스부(100) 아래쪽 및 다리부(101, 102) 사이 공간으로 작업자 또는 차량의 적재부 등이 왕래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박스부(100) 및 다리부(101, 102)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몸체는 트랜스포터, 지게차 등과 같이 지상 운반 장비로 운반할 수 있어서, 종래에 비해 매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운반 및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는 그의 설치 면적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의 허용 하중계산은 박스부(100)의 상판 중심 한 개소에 작용시킨 단독 하중에 대응한 제1하중조건과, 상판 중앙의 면적 부위에 작용시킨 부분 하중에 대응한 제2하중조건과, 상판 전체에 작용시킨 전체 하중에 대응한 제3하중조건, 즉 이와 같은 3개의 경우의 조건들에 대해서, 통상적인 허용 하중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허용 하중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개시된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는 해당 적재물(예 : 대형 또는 곡블럭과 보조빔)에 의한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안전성 높은 구조물임이 확인되었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는 1개 단독 또는 2개를 사용하여, 소형 곡블럭(9)을 적재할 수 있으면서도 적재 면적 사용률이 종래에 비해 매우 효율적이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는 평행하게 배열된 박스부(100)들과; 이런 박스부(100)들 사이를 가로지르게 놓은 한 쌍의 보조빔(60, 61)으로 이루어진 조합 내지 결합에 의해 상대적으로 대형인 곡블럭(9a)을 효율적으로 적재하고, 미 사용시 다시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런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터, 지게차 등과 같은 지상 운반 장비를 이용하여 블록작업장과 관리장소 사이를 운반 한 후, 2개 또는 복수개를 다열로 겹치게 배열하여 보관함에 따라 적재 공간이 크게 필요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는 박스부를 한 쌍의 다리부로 지지하는 더블-A 타입의 구조물로서, 박스부 아래쪽 및 다리부 사이 공간으로 작업자 또는 차량의 적재부 등이 왕래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는 그의 설치 면적이 종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공간 활용도를 갖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는 2개만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소형 곡블럭을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 블럭 적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는 그의 제작 비용이 개당 3천 4백만원이므로 종전(1억3만원)에 비해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선박의 조립 구조물을 적재하는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에 있어서,
    직선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있는 지면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한 쌍의 다리부(101, 102)와;
    상기 다리부(101, 102) 각각의 상단에서 교량 형상을 갖게 결합된 박스부(100)를 포함하고,
    'ㄷ'자 형상, 교량 형상, 양단 지지 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고, 복수개로 배열되어 곡블럭을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00)는 직사각형 상판(10)의 정면과 배면쪽 테두리변 아래에 각각 측면박스판(15)을 'ㄷ'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용접하고 있고, 상기 측면박스판(15)의 사이에서 상기 상판(10) 중앙 저면에는 직사각판 형상의 중앙박스판(16)이 'T'자 이음 방식으로 용접되어 있되,
    제1하판(11)과 제2하판(12)이 제1덧판(13) 및 제2덧판(14)을 이용하여 외측 및 내측 모서리 이음 방식과 싱글 스트랩 이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이음 방식에 의해 상기 중앙박스판(16)과 상기 측면박스판(15)의 아래쪽 부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00)의 내부에서 상기 제1하판(11), 상기 제2하판(12), 상기 측면박스판(15) 및 상기 상판(1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적소에는, 트랜스웹(19, 21, 22, 23, 24)이 상기 박스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열되어서 상기 박스부(100)의 내부 격막과 같은 구조로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01, 102)는 사각 박스 축 형상을 갖도록 제1다리판(25)과 제2다리판(26)을 모서리 이음 방식으로 용접하되, 축심에 일치되게 각각 다리판용 보강판(27)을 개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01, 102) 중 어느 하나에는 아래쪽부터 상기 박스부(100)까지 높이 방향으로 사다리(40)가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KR1020050064200A 2005-07-15 2005-07-15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KR100647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200A KR100647084B1 (ko) 2005-07-15 2005-07-15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200A KR100647084B1 (ko) 2005-07-15 2005-07-15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084B1 true KR100647084B1 (ko) 2006-11-23

Family

ID=3771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200A KR100647084B1 (ko) 2005-07-15 2005-07-15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0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21B1 (ko) 2009-01-23 2011-02-10 유영현 고하중물 이동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하중물 이동방법
KR101434491B1 (ko) * 2012-11-08 2014-08-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캐리어
KR200474543Y1 (ko) 2013-01-11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블록 캐리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8676A (en) 1975-10-28 1976-09-07 Hydranautics Ship lifting apparatus
JPS58211993A (ja) 1982-06-04 1983-12-09 Tomeshichi Matsumoto 船腹支持装置
JPS61193897U (ko) 1985-05-28 1986-12-02
JPH09254868A (ja) * 1996-03-26 1997-09-30 Mitsubishi Heavy Ind Ltd 浮函体の建造方法
JP2001239205A (ja) 2000-03-02 2001-09-0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塗装面保護方法及び離型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8676A (en) 1975-10-28 1976-09-07 Hydranautics Ship lifting apparatus
JPS58211993A (ja) 1982-06-04 1983-12-09 Tomeshichi Matsumoto 船腹支持装置
JPS61193897U (ko) 1985-05-28 1986-12-02
JPH09254868A (ja) * 1996-03-26 1997-09-30 Mitsubishi Heavy Ind Ltd 浮函体の建造方法
JP2001239205A (ja) 2000-03-02 2001-09-0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塗装面保護方法及び離型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21B1 (ko) 2009-01-23 2011-02-10 유영현 고하중물 이동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하중물 이동방법
KR101434491B1 (ko) * 2012-11-08 2014-08-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캐리어
KR200474543Y1 (ko) 2013-01-11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블록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7352B2 (en) Container with supports
US20140015279A1 (en) Truck Body For Mining Vehicle
US4342268A (en) Vertical storage rack
KR100647084B1 (ko)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US7992738B2 (en) Pallet container
CN114206739A (zh) 装运货盘和/或用于其的货板
EP2792617B1 (en) Holder and arrangement for holding a coil during transport
KR20160030083A (ko) 코일들과 같은 원통형 화물 물품들을 수송하기 위한 컨테이너형 화물 수송 유닛
US9080724B2 (en) Extruded elements
KR102240259B1 (ko) 릴과 같은 원통형 화물을 수송하기 위한 컨테이너형 화물 수송 유닛
JP2005035650A (ja) 輸送用パレット
US9988086B1 (en) Vehicle sub-frame structure and truck incorporating same
JP2007284069A (ja) 運搬用架台及びこれを備えた機能物品
US8172495B2 (en) Frame stacking methods and spacers
JP3226071U (ja) 貨物輸送用ラック
JP4487187B2 (ja) ラック
JP2931172B2 (ja) パレット
KR102608135B1 (ko)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JP5503226B2 (ja) テーブル状治具
JP3055881B2 (ja) 特殊λ形鋼
KR200305284Y1 (ko) 차체 적재용 펠릿
JP2012056766A (ja) 連結ラック用の連結棚
JP2023133386A (ja) 支柱連結構造
KR20210072890A (ko) 래싱 브리지
CN113978886A (zh) 一种用于船体的可拆式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