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135B1 -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 Google Patents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135B1
KR102608135B1 KR1020210028378A KR20210028378A KR102608135B1 KR 102608135 B1 KR102608135 B1 KR 102608135B1 KR 1020210028378 A KR1020210028378 A KR 1020210028378A KR 20210028378 A KR20210028378 A KR 20210028378A KR 102608135 B1 KR102608135 B1 KR 102608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rame
frame
portions
frames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4556A (ko
Inventor
안기세
Original Assignee
안기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세 filed Critical 안기세
Priority to KR1020210028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1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08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2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 하부프레임(100, 200)과 그 사이에 기둥부재(300)가 구성되어 상호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일체화시켜 철재 프레임(10)을 구성하고, 그 철재 프레임(10)을 이용하여 대형 코일을 적재하기 위한 파렛트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나무재질의 파렛트 및 각파이프로 구성된 파렛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내구성을 가질 수가 있고, 무게를 더욱 경량화되면서도 원재료 절감을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파렛트를 구성할 시, 내구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적재적소의 위치(실질적으로 운반 시 가압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다수의 기둥부재(300)와 기타 상, 하부프레임(100, 200)을 추가적으로 더 구성시킨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Large coil pallet using steel frame}
본 발명은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기둥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다수개의 기둥부재를 구성하여 철재 프레임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철재 프레임을 경량화하여 구리재질의 대형 코일을 적재하여 보관, 운반 및 작업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파렛트(pallet)는 각종 적재물(동, 구리 재질의 대형 코일 등)이 지면에 긁히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보관용 받침대로 사용되고,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지게차로 운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파렛트는 용도에 따라 목재, 합성수지 및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파렛트에 적재물(동, 구리 재질의 대형 코일 등)이 적재될 시에 상기 적재물(동, 구리 재질의 대형 코일 등)의 무게에 대비하여 파렛트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재 프레임 및 그 철재 프레임이 포함된 파렛트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가변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 10-1598550호(특) 다수개의 상판과,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상판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판으로 이루어진 스틸 가드 우드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내측으로 상판이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자 형상의 제1보강부재와, 상기 하판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내측으로 하판이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자 형상의 제3보강부재와, 다수 개의 지지부재 중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지지부재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부와 상,하부를 커버함으로써 상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ㄷ"자 형상의 제2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판과 하판은 양측 끝단부가 각각 제1,3보강부재의 양측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3보강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부 충격 발생시 돌출된 상판과 하판의 양측 끝단부가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양측 끝단부가 제2보강부재의 양측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2보강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부 충격 발생시 돌출된 지지부재의 양측 끝단부가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상판과 하판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판 및 하판의 외측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3보강부재는 상판과 하판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일측부가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3보강부재의 서로 대응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부재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다수 개의 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 중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재는 "Ⅰ"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4보강부재의 양측부에 지지부재가 끼워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가드 우드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상판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지지부재에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파렛트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지지부재가 각파이프와 같은 솔리드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파렛트의 전체적인 무게가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제조 단가 상승 및 작업상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부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하부프레임의 상부를 상호 마주하게 배치하고, 그 사이에 다수의 기둥부재를 구성한 후, 상기 상, 하부프레임과 기둥부재가 인접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하나의 모듈화된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을 구성하여 철재임과 같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음과 동시에, 무게를 경량화 및 원재료를 절감시켜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며 재활용이 가능한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111, 211)가 형성되는 베이스부(110, 210)와, 상기 베이스부(110, 210)의 양측 단부에 일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절곡부(120, 220)와, 상기 각각의 제1절곡부(120, 2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130, 230)가 형성되되, 상기 제2절곡부(130, 230)가 상호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상, 하부프레임(100, 200)과, 전면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상기 요부(111, 211)에 대응되는 홈부(311)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320)와, 상기 각각의 제1연장부(3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330)가 형성되며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배치되며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 구성되는 기둥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쌍의 철재 프레임(10)이 상호 이격되며 X축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하부철재 프레임(1a)과, 상기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의 상부 양측에 Y축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다른 한 쌍의 철재 프레임(10)이 배치되는 제1상부철재 프레임(1b)을 포함하는 제1지지프레임(1)이 구성되고, 다수의 철재 프레임(10)이 상기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Y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상부철재 프레임(2b)과, 상기 제2상부철재 프레임(2b)의 하부에 각각의 철재 프레임이 배치되어 상기 제2상부철재 프레임(2b)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하부철재 프레임(2a)을 포함하는 제2지지프레임(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지지프레임(1, 2)이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철재 프레임(1b)은 제2상부철재 프레임(2b)의 양단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철재 프레임(2b)는 제1상부철재 프레임(1b)의 외측보다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철재 프레임(2a)의 하부는 상기 제1하부철재프레임(1a)의 하부와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이 상호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상기 제1상부철재 프레임(1b)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는 다수의 하부프레임(20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기둥부재(300)와 동일선상에 각각 배치되어 용접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에 포함되는 기둥부재(300)와,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의 제2하부철재 프레임(2a)에 포함된 기둥부재(300)는, 상기 제1, 2상부철재 프레임(1b, 2b)에 포함된 기둥부재(300)보다 상, 하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요부(111, 211)와 홈부(311)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부(111, 211)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고, 상기 홈부(311)는 상기 요부(111, 211)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부재(300)는, 각각의 상기 제1연장부(320)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굴곡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제2절곡부(130, 230)는 마주하는 면이 상호 맞닿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에 의하면, 파렛트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파렛트를 구성하는 철재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종래의 각파이프와 같이 완전히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 하부프레임과 그 사이에 다수의 기둥부재를 구성한 후 용접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각파이프로 구성된 프레임과 유사 또는 나무재질의 파렛트와 동일한 또는 더 뛰어난 내구성을 가질 수가 있어 장기간 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파렛트를 구성할 시, 각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가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렛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지지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
도 3은 본 발명의 제2지지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둥부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확대도
도 7는 본 발명의 파렛트용 철재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분해도
도 8는 도 7의 a-a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둥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기둥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및 기둥부재(300)를 이용하여 상호 용접으로 결합시키되,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 다수개의 기둥부재(300)를 구성하여 철재 프레임(10)의 전체적인 강도(내구성)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철재 프레임(10)을 종래의 각파이프로 구성된 프레임보다 경량화하여 동, 구리 재질의 대형 코일을 적재하여, 보관, 운반 및 작업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111, 211)가 형성되는 베이스부(110, 210)와, 상기 베이스부(110, 210)의 양측 단부에 일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절곡부(120, 220)와, 상기 각각의 제1절곡부(120, 2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130, 230)가 형성되되, 상기 제2절곡부(130, 230)가 상호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상, 하부프레임(100, 200)와, 전면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상기 요부(111, 211)에 대응되는 홈부(311)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320)와, 상기 각각의 제1연장부(3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330)가 형성되며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배치되며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 구성되는 기둥부재(300)로 구성된 철재 프레임(10)을 구성하여, 상기 철재 프레임(10)을 이용하여 대형 코일 파렛트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대형 코일 파렛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철재 프레임(10)이 상호 이격되며 X축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하부철재 프레임(1a)과, 상기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의 상부 양측에 Y축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다른 한 쌍의 철재 프레임(10)이 배치되는 제1상부철재 프레임(1b)을 포함하는 제1지지프레임(1)이 구성되고, 다수의 철재 프레임(10)이 상기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Y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상부철재 프레임(2b)과, 상기 제2상부철재 프레임(2b)의 하부에 각각의 철재 프레임이 배치되어 상기 제2상부철재 프레임(2b)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하부철재 프레임(2a)을 포함하는 제2지지프레임(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지지프레임(1, 2)이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되다.
이때,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은 한 쌍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2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가 있고, 상기 제1상부철재 프레임(1b)도 한 쌍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상부철재 프레임(1b)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의 제2상부철재 프레임(2b) 양단부 길이 보다 조금 짧게 형성하여, 초기 제작 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상부철재 프레임(1b)의 길이 및 구조는 적재되는 동 또는 구리 재질의 대형 코일이 원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그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조를 제공하여, 제작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1)의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이 상호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상기 제1상부철재 프레임(1b)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는 다수의 하부프레임(20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기둥부재(300)와 동일선상에 각각 배치되어 용접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높일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에 구성되는 하부프레임(200)의 구성을 통해, 각각의 철재 프레임(10)의 하부를 일체화시키고, 상기 제1상부철재 프레임(1b)로 상부를 일체화시켜 하나의 모듈화된 제1지지프레임(1)을 구성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에 포함되는 기둥부재(300)와,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의 제2하부철재 프레임(2a)에 포함된 기둥부재(300)는, 상기 제2하부철재 프레임(2a)의 하부는 상기 제1하부철재프레임(1a)의 하부와 동일면상에 배치되는 되도록 하여, 지면에 파렛트를 위치시킬 때, 파렛트의 수평을 유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의 제1하부철재 프레임(2a)의 내측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의 외측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추후 구리 또는 동 재질의 대형 코일의 적재된 파렛트의 운반을 위한 기타 장비의 일부분이 인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간의 경우 필요에 따라 초기제작 시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제1,2지지프레임(1, 2)을 구성하는 철재 프레임(10)을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111, 211)가 형성되는 베이스부(110, 210)와, 상기 베이스부(110, 210)의 양측 단부에 일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절곡부(120, 220)와, 상기 각각의 제1절곡부(120, 2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130, 230)가 형성되되, 상기 제2절곡부(130, 230)가 상호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상, 하부프레임(100, 200); 전면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상기 요부(111, 211)에 대응되는 홈부(311)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320)와, 상기 각각의 제1연장부(3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330)가 형성되며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배치되며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 구성되는 기둥부재(300); 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나무재질로 형성된 파렛트 또는 각파이프로 형성된 프레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내구성을 가질 수가 있으면서도, 나무 또는 금속재질의 프레임보다 무게를 경량화시키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가 있다.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의 하부와 하부프레임(200)의 상부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절곡부(130, 230)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구성되고, 그 사이에 상기 기둥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 구성하되, 상측과 하측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베이스부(110, 210)와 맞닿게 배치되고, 양측면이 상기 제2절곡부(130, 230)와 끝단과 맞닿게 배치된 후, 상기 제2절곡부(130, 230)와 기둥부재(300)의 인접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용접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일체화된다.
여기서,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베이스부(110, 210)에는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111, 211)가 형성되는데, 상기 요부(111, 211)는 기둥부재(300)의 홈부(311)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부(111, 211)와 홈부(311)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10, 210)에는 상, 하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부(110, 21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게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굴곡지게 형성된 상, 하부에 상기 요부(111, 211)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요부(111, 211)가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시, 상기 홈부(311)도 그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부(111, 211)가 반원호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시, 상기 홈부(311)도 그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요부(111, 211)와 홈부(311)의 맞물려지는 구조는 상기 상,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기둥부재(300)가 끼워짐에 있어서 안정적인 고정력을 가질 수가 있음과 더불어, 상기 요부(111, 211)를 형성함으로써, 상, 하부프레임(100, 200)에 자체적인 내구성을 가질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요부(111, 211)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고, 상기 홈부(311)는 상기 요부(111, 211)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요부(111, 211)와 홈부(311)가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시 두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고, 상기 요부(111, 211)와 홈부(311)가 반원호형상이 아닐 시,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필요에 따라서 삼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상기 기둥부재(3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 사이에 형성되고 전면 상, 하부에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요부(111, 211)와 맞닿으며 끼워지는 홈부(311)이 형성되는 베이스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10)의 양측에서 후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320)와, 상기 제1연장부(320)의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꺾임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부(330)가 형성되어,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배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둥부재(300)가 사이에 구성되어 하나의 철재프레임(10)을 구성할 시,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제2절곡부(130, 230)는 사로 맞닿지 않고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간이 마련되는데, 상기 공간의 경우 추후 용접의 편리성을 위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제2절곡부(130, 230)는 본 발명에서는 전체적으로 서로 맞닿지 않고 상하부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2절곡부(130, 230)의 전체적으로 맞닿게 형성하여, 제2절곡부(130, 230)가 인접하는 부분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용접할 수가 있으며, 제2절곡부(130, 230)의 일부분만 맞닿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재(300)는, 각각의 상기 제1연장부(320)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굴곡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제2절곡부(130, 230)는 마주하는 면이 상호 맞닿지 않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굴곡부(321)는 기둥부재(30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300)는 제2절곡부(330)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되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재(300)의 후방에 자연스레 개방된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둥부재(300)의 구조는 내부공간과 더불어 일측을 절개하여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안정적 지지와 더불어 무게 경량화와 원재료 절감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에 의하면, 파렛트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파렛트를 구성하는 철재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종래의 각파이프와 같이 완전히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 하부프레임과 그 사이에 다수의 기둥부재를 구성한 후 용접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각파이프로 구성된 프레임과 유사 또는 나무재질의 파렛트와 동일한 또는 더 뛰어난 내구성을 가질 수가 있어 장기간 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파렛트를 구성할 시, 각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가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유용한 발명이다.
1 : 제1지지프레임
1a : 제1하부철재프레임 1b : 제1상부철재프레임
2 : 제2지지프레임
2a : 제2하부철재프레임 2b : 제2상부철재프레임
10 : 철재 프레임
100 : 상부프레임
110 : 베이스부 111 : 요부
120 : 제1절곡부 130 : 제2절골부
200 : 하부프레임
210 : 베이스부 211 : 요부
220 : 제1절곡부 230 : 제2절골부
300 : 기둥부재
310 : 몸체부 311 : 홈부
320 : 제1연장부 321 : 절곡부
330 : 제2연장부

Claims (6)

  1.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111, 211)가 형성되는 베이스부(110, 210)와, 상기 베이스부(110, 210)의 양측 단부에 일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절곡부(120, 220)와, 상기 각각의 제1절곡부(120, 2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130, 230)가 형성되되, 상기 제2절곡부(130, 230)가 상호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상, 하부프레임(100, 200)과, 전면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상기 요부(111, 211)에 대응되는 홈부(311)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320)와, 상기 각각의 제1연장부(3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330)가 형성되며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배치되며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 구성되는 기둥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쌍의 철재 프레임(10)이 상호 이격되며 X축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하부철재 프레임(1a)과, 상기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의 상부 양측에 Y축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다른 한 쌍의 철재 프레임(10)이 배치되는 제1상부철재 프레임(1b)을 포함하는 제1지지프레임(1)이 구성되고, 다수의 철재 프레임(10)이 상기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Y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상부철재 프레임(2b)과, 상기 제2상부철재 프레임(2b)의 하부에 각각의 철재 프레임이 배치되어 상기 제2상부철재 프레임(2b)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하부철재 프레임(2a)을 포함하는 제2지지프레임(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지지프레임(1, 2)이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철재 프레임(1b)은 제2상부철재 프레임(2b)의 양단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철재 프레임(2b)은 제1상부철재 프레임(1b)의 외측보다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철재 프레임(2a)의 하부는 상기 제1하부철재프레임(1a)의 하부와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이 상호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상기 제1상부철재 프레임(1b)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는 다수의 하부프레임(20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기둥부재(300)와 동일선상에 각각 배치되어 용접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제1하부철재 프레임(1a)에 포함되는 기둥부재(300)와,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의 제2하부철재 프레임(2a)에 포함된 기둥부재(300)는,
    상기 제1, 2상부철재 프레임(1b, 2b)에 포함된 기둥부재(300)보다 상, 하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111, 211)와 홈부(311)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부(111, 211)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고,
    상기 홈부(311)는 상기 요부(111, 211)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300)는,
    각각의 상기 제1연장부(320)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 굴곡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제2절곡부(130, 230)는 마주하는 면이 상호 맞닿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KR1020210028378A 2021-03-03 2021-03-03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KR102608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378A KR102608135B1 (ko) 2021-03-03 2021-03-03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378A KR102608135B1 (ko) 2021-03-03 2021-03-03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556A KR20220124556A (ko) 2022-09-14
KR102608135B1 true KR102608135B1 (ko) 2023-11-29

Family

ID=8327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378A KR102608135B1 (ko) 2021-03-03 2021-03-03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1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850Y1 (ko) * 2000-01-31 2000-07-15 주식회사태경파레트 철재파렛트의 받침구
JP2004123201A (ja) * 2002-10-04 2004-04-22 Ishii Sangyo Kk 金属製パレット
JP2005219811A (ja) 2004-01-09 2005-08-18 Kambara Kisen Co Ltd 重量物搬送台及びそれを用いた重量物搬送方法
KR100987043B1 (ko) 2010-02-16 2010-10-11 박영진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KR101222932B1 (ko) * 2010-09-30 2013-01-31 이희만 조립식 팔레트
US20150266614A1 (en) * 2009-12-04 2015-09-24 Robert A. Edwards Method for transporting concentrated mass loads by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543A (ja) * 1994-12-27 1996-07-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用パレット
JP3522145B2 (ja) * 1998-03-30 2004-04-26 豊田スチールセンター株式会社 輸送容器用重量物搬出入ステージ及び重量物搬出入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850Y1 (ko) * 2000-01-31 2000-07-15 주식회사태경파레트 철재파렛트의 받침구
JP2004123201A (ja) * 2002-10-04 2004-04-22 Ishii Sangyo Kk 金属製パレット
JP2005219811A (ja) 2004-01-09 2005-08-18 Kambara Kisen Co Ltd 重量物搬送台及びそれを用いた重量物搬送方法
US20150266614A1 (en) * 2009-12-04 2015-09-24 Robert A. Edwards Method for transporting concentrated mass loads by container
KR100987043B1 (ko) 2010-02-16 2010-10-11 박영진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KR101222932B1 (ko) * 2010-09-30 2013-01-31 이희만 조립식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556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239B2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US7992738B2 (en) Pallet container
KR102608135B1 (ko)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JPH0113075Y2 (ko)
KR102536239B1 (ko)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JP2007126251A (ja) 積み重ね可能な棚構造
KR20220124553A (ko)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형 코일용 파렛트
KR102151311B1 (ko) 조립식 스태킹 랙
KR100647084B1 (ko) 선박의 곡블럭 적재용 캐리어 구조
JP5060379B2 (ja) パレット用支持棚
KR20220124559A (ko)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US8172495B2 (en) Frame stacking methods and spacers
JP4931140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100714398B1 (ko) 조립식 플라스틱 팔레트
JP2563753B2 (ja) 運搬容器
JP4326354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101250298B1 (ko) 화물적재용 금속제 파레트
JP3052478U (ja) 金属製平パレット
JP5303512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2021109658A (ja) パレット
KR102161919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JP6101301B2 (ja) 角柱パイプを用いた支持棚
KR200235387Y1 (ko) 하물수송용 팔레트
JP3509570B2 (ja) パレット
KR100252149B1 (ko) 특수∧ 형강 및 이것을 사용한 네스팅식 래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