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043B1 -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 Google Patents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043B1
KR100987043B1 KR1020100013922A KR20100013922A KR100987043B1 KR 100987043 B1 KR100987043 B1 KR 100987043B1 KR 1020100013922 A KR1020100013922 A KR 1020100013922A KR 20100013922 A KR20100013922 A KR 20100013922A KR 100987043 B1 KR100987043 B1 KR 10098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allet
open
open dru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진
Original Assignee
박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진 filed Critical 박영진
Priority to KR102010001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25Finishing of the external surfaces
    • B65D2519/0083Anti-slip means
    • B65D2519/0084Separated elements, e.g. including in-mould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형드럼통 및 밀봉형드럼통을 화물차량의 한정된 탑재공간에 적재할 때, 도로법에서 정한 적재높이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최대로 적재시킬 수 있는 드럼통 운반용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면 및 수직면을 갖는 4개의 앵글플레이트들이 전후좌우로 배치되면서 각각의 끝단들이 직각으로 이어져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팔렛트프레임과, 상기 팔렛트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마감블록과, 상기 팔렛트프레임에 안착되는 개방형드럼통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수단과, 상기 팔렛트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의 큰마름이 상기 팔렛트프레임의 하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개방형드럼통의 상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수단과, 상기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앵글플레이트들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마름수용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교통법을 준수하면서 한정된 적재공간에 개방형드럼통을 최대한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Pallet For Transporting Drum}
본 발명은 개방형드럼통 및 밀봉형드럼통을 화물차량의 한정된 탑재공간에 적재할 때, 도로법에서 정한 적재높이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최대로 적재시킬 수 있는 드럼통 운반용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오일이나, 액상연료, 화학약품 등의 유체 또는 밀가루 등의 분말이 드럼통에 의해 보관 및 유통하게 된다.
이러한 드럼통은 구조적 강성 확보를 위해 대부분이 원통형 구조를 갖게 되어 자체 무게로 인한 하중을 견디면서도 이동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드럼통은 분말이 채워지는 개방형드럼통과 액체가 채워지는 밀봉형드럼통으로 구별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형드럼통(D)은 소재를 강판으로 하여 원판 상의 상판(D1), 바닥이 되는 원판 상의 하판(D2), 굽힘 성형 및 심(seam) 용접에 의해 원통 상의 통체로 되는 통판(D3)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 상의 통판 둘레에는 강성 확보를 위해 밖으로 돌출되는 윤대(Rolling Hoop)(D4)가 형성되어 있고, 상판(D1)과 하판(D2)의 테두리를 마감하는 작은마름(Seam Welding)(D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에는 분말이 채워지고 배출되도록 상판(Da1)이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판(D1)은 큰마름(D5)과 일체로 형성되어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되, 폐쇄시에 큰마름(D5)이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테두리를 마감하면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개방형드럼통(D)은 상판(D1)과 큰마름(D5)이 함께 개폐되므로, 개방형드럼통(D)의 하부에 형성되는 작은마름(D6)의 직경(L1)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큰마름(D5)의 직경(L2)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개방형드럼통(D) 하부의 작은마름(D6)은 개방형드럼통(D)의 하부의 밑면에 용접되어 형성되고,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은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를 덮어서 폐쇄하도록 상판(D1)의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은마름(D6)의 직경(L1)보다 큰마름(D5)의 직경(L2)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개방형드럼통(D)은 종래의 팔렛트에 의해 수평 되게 실장되어 안착된 상태로 화물차량에 적재되고, 개방형드럼통(D)들이 적재된 화물차량은 전국으로 운송하기 위해 국도 및 고속도로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화물차량은 적재공간에 개방형드럼통(D)들을 적재하여 운송하되, 도로교통법을 준수하면서 운송하여야 한다. 즉, 도로법 제54조 및 동법시행령 제28조3항에 의해 고속도로를 통행하는 화물차의 적재화물높이는 적재화물을 포함하여 4.2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과 연관되는 종래기술의 하나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290835호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팔레트의 상부에 드럼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지게차가 팔레트를 들어 올려서 화물차량에 상차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종래기술의 팔레트는 내구성을 위해 사각의 관형상으로 되어 팔레트의 상하두께에 의해 개방형드럼통(D)이 5층으로 적재되면 도로법의 적재화물높이 4.2m를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팔레트를 이용하면 5층으로 적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로교통법을 준수하면서 한정된 적재공간에 개방형드럼통을 최대한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팔렛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교통법을 준수하면서 화물차량의 한정된 적재공간에 개방형드럼통을 최대한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방형드럼통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서로 겹쳐지게 적재하여 최소한의 작은 높이로 적재시킬 수 있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방형드럼통 및 밀봉형드럼통도 적재가 가능한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수평면 및 수직면을 갖는 4개의 앵글플레이트들이 전후좌우로 배치되면서 각각의 끝단들이 직각으로 이어져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팔렛트프레임과, 상기 팔렛트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마감블록과, 상기 팔렛트프레임에 안착되는 개방형드럼통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수단과, 상기 팔렛트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의 큰마름이 상기 팔렛트프레임의 하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개방형드럼통의 상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수단과, 상기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앵글플레이트들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마름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지지수단은 상기 수평면에 고정되는 상부고정돌기와, 상기 상부고정돌기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형드럼통의 하부 외주면이 지지되는 상부경사면을 갖는 상부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형드럼통의 하부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가 서로 대칭되게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개방형드럼통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팔렛트프레임들이 상하로 적층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는 상기 수직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지지체는 상기마름수용홀에 개방형드럼통의 큰마름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경사면이 개방형드럼통의 하부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지지체는 상기 수직면에서 상기 개방형드럼통의 큰마름의 두께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지수단은 상기 보강프레임에 접촉되는 하부고정돌기와, 상기 하부고정돌기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턱과, 상기 하부고정돌기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형드럼통의 상부 외주면이 지지되는 상부경사면을 갖는 하부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형드럼통의 상부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지지체가 서로 대칭되게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팔렛트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개방형드럼통의 큰마름이 상기 보강프레임의 하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지지체 및 하부고정돌기의 전체높이는 상기 상부지지수단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마감블록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지수단은 상기 수평면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개방형드럼통의 큰마름 외주면이 상기 수평면의 하부에 접촉되지 않게 하면서, 개방형드럼통의 외주면이 지지되고 큰마름의 측면이 걸리도록 상기 수평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평면의 저면 끝단에서 상기 개방형드럼통의 큰마름의 두께만큼 이격되게 수평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블록은 상기 팔렛트프레임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팔렛트프레임의 하부면으로 상기 하부지지수단보다 높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블록은 상기 개방형드럼통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적층되도록 상부에 적층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 적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블록은 상기 마감블록의 하부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 및 양측에 지지되는 드럼통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통지지부는 상기 개방형드럼통의 큰마름이 지지되는 높은턱과, 상기 개방형드럼통의 작은마름이 지지되는 낮은턱과, 상기 개방형드럼통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름수용홀은 상기 개방형드럼통의 큰마름의 측면이 수용되는 장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교통법을 준수하면서 화물차량의 한정된 적재공간에 개방형드럼통을 최대한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개방형드럼통들을 지그제그로 적재시켜 큰마름 작은마름이 교차되게 하여 개방형드럼통들이 최소한의 작은 높이로 적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밀봉형드럼통도 적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방형드럼통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적층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개방형드럼통이 적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개방형드럼통이 적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개방형드럼통이 적재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면(11a) 및 수직면(11b)을 갖는 4개의 앵글플레이트(11)들이 전후좌우로 배치되면서 각각의 끝단들이 직각으로 이어져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팔렛트프레임(10)과, 상기 팔렛트프레임(10)의 각 모서리에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마감블록(20)과, 상기 팔렛트프레임(10)에 안착되는 개방형드럼통(D)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수단(50)과, 상기 팔렛트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이 상기 팔렛트프레임(10)의 하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수단(60)과, 상기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앵글플레이트(11)들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마름수용홀(70)을 포함한다.
먼저, 앵글플레이트(11)는 수평면(11a) 및 수직면(11b)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구조는 견고히 하면서 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앵글플레이트(11)들이 사각으로 연결될 때 각각의 수평면(11a)들이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수직면(11b)들은 외측으로 향하게 하여 마감블록(20)들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프레임(30)은 판재형상으로 되어 서로 마주되는 앵글플레이트(11)들의 중앙에 양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앵글플레이트(11)들과 보강프레임(30)은 철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팔렛트프레임(10)의 하부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부재(P)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면, 지게차를 이용하여 팔렛트프레임(1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마감블록(20)과 상부지지수단(50) 및 하부지지수단(60)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마감블록(20)과 상부지지수단(50) 및 하부지지수단(60)이 철재로 되는 개방형드럼통(D)의 표면에 접촉될 때 마찰을 최소화 하여 개방형드럼통(D)의 표면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부지지수단(50)인 상부고정돌기(51)가 수평면(11a)에 관통되게 억지끼움에 의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체결부재는 볼트일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상부지지체(53)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의 상부경사면(52)이 서로 마주되게 수평면(11a)에 설치되어야 한다. 즉, 복수개의 상부지지체(53)가 서로 마주되는 하나의 수평면(11a)에 설치되고, 다른 복수개의 상부지지체(53)가 서로 마주되는 다른 하나의 수평면(11a)에 설치되므로, 개방형드럼통(D)의 상단과 하단이 수평된 상태로 각각 지지되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부지지체(53)의 사이에는 마름수용홀(70)인 장홀형상으로 수평면(11a)에 형성된다. 즉, 복수개의 상부지지체(53)에 지지되는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이 장홀에 수용되게 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부지지체(53)는 마름수용홀(70)인 장홀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지지수단(60)인 하부고정돌기(61)가 보강프레임(30)에 지지되도록 지지턱(61a)이 보강프레임(30)에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복수개의 하부지지체(63)가 보강프레임(30)에 하부에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평면(11a)의 저면에 스토퍼(65)가 설치된다. 여기서, 스토퍼(65)는 마름수용홀(70)인 장홀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팔렛트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 중앙외측이 복수개의 하부지지체(63)에 지지되고,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 양단이 수평면(11a)의 저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토퍼(65)에 각각 지지되게 된다. 이때,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이 수평면(11a)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상부지지체(53) 및 하부지지체(63)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면(11a)의 상부에 상부지지체(53)가 설치될 때는 상부고정돌기(51)가 수평면(11a)에 삽입되게 설치되고, 수평면(11a)의 하부에 하부지지체(63)가 설치될 때는 지지턱(61a)이 수평면(11a)에 삽입되게 설치되면, 각각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지지체(53)는 수평면(11a)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 끝단이 수직면(11b)의 위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하부지지체(63)는 수평면(11a)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지지체(53)의 높이보다 상부고정돌기(51)의 높이만큼 더 높게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면, 상부지지체(53)에 지지되는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은 마름수용홀(70)인 장홀에 수용될 수 있고, 하부지지체(63)에 지지되는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은 마름수용홀(70)인 장홀에 수용되지 않으면서 수평면(11a)의 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된다.
그리고, 수평면(11a)의 상부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D)과 수평면(11a)의 하부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D)은 각각의 큰마름(D5)이 접촉되지 않도록 서로 엇갈리게 쌓아야 한다. 그러면, 엇갈리게 쌓인 개방형드럼통(D)들에 의해 층층이 쌓이는 개방형드럼통(D)들의 높이는 최소화 될 수 있다.
이때, 수평면(11a)의 저면과 이격되는 큰마름(D5)은 수평면(11a)과 마찰되지 않아서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에 상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마감블록(20)은 하부지지수단(60)보다 아래로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팔렛트프레임(10)이 지면에 지지될 때 하부지지수단(60)이 지면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개방형드럼통(D)이 없는 상태에서 팔렛트프레임(10)들이 층층이 적층되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마감블록(20)의 상부에 적층돌기(22)가 형성되고 하부에 적층홈(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렛트프레임(10)에 개방형드럼통(D)들이 적재되어도, 마감블록(20)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므로, 팔렛트프레임(10)의 일측에 앞뒤에 다른 팔렛트프레임(10)이 위치되어도 마감블록(20)들끼리 앞뒤로 접촉되어 팔렛트프레임(10)들에 각각 탑재된 개방형드럼통(D)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마감블록(20)은 팔렛트프레임(10)에 적재된 개방형드럼통(D)의 외주면보다 약간 돌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개방형드럼통(D)들이 팔렛트프레임(10)에 눕혀진 상태로 수용된 상태에서 개방형드럼통(D)들의 전후좌우 끝단이 팔렛트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다른 팔렛트프레임(10)에 수용된 개방형드럼통(D)들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렛트프레임(10)의 모서리마다 설치되는 마감블록(20)의 하부에는, 마감블록(20)의 하부에 위치된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 및 양측에 지지되는 드럼통지지부(2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마감블록(20)의 하부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D)은 상부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D) 및 팔렛트프레임(10)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통지지부(21)는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이 지지되는 높은턱(21a)과,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작은마름(D6)이 지지되는 낮은턱(21b)과,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지지면(21c)을 포함한다.
여기서, 마감블록(20)의 하부 외측에 높은턱(21a)이 형성되고, 높은턱(21a)의 일측으로 낮은턱(21b)이 형성되며, 낮은턱(21b)의 일측으로 지지면(21c)이 형성된다.
이때, 마감블록(20)은 팔렛트프레임(10)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마감블록(20)의 하부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이 높은턱(21a)에 지지되면, 개방형드럼통(D)의 반대편의 작은마름(D6)은 반대편의 낮은턱(21b)에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팔렛트프레임(10)의 상하부에 두 개의 개방형드럼통(D)이 위치될 때, 상부 및 하부에 탑재되는 개방형드럼통(D)들은 큰마름(D5) 및 작은마름(D6)이 상하로 마주되게 되므로, 상하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D)들의 큰마름(D5)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도 8에서 확대된 도면을 참조하면, 큰마름(D5)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게 되어 큰마름(D5)들이 상하로 겹쳐져서 간격(d)이 확보되므로, 개방형드럼통(D)들이 높은 층으로 적재될수록 많은 수의 개방형드럼통(D)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적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및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렛트프레임(10)에 개방형드럼통(D)을 수평상태로 안착시킨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형드럼통(D)이 안착된 팔렛트프레임(10)에 다른 개방형드럼통(D)이 안착된 팔렛트프레임(10)을 적재시킨다. 이때,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부의 개방형드럼통(D)과 하부의 개방형드럼통(D)의 서로 엇갈리게 적재되어야 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형드럼통(D)을 팔렛트프레임(10)에 탑재시킨 상태로 층층이 적재시킬 수 있다. 즉, 상하로 층층이 적재되는 개방형드럼통(D)들의 큰마름(D5)과 작은마름(D6)이 상하로 위치되므로, 개방형드럼통(D)들은 상하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개방형드럼통(D)들을 적재시키는 방법으로 화물차에 적재시키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2개의 팔렛트프레임(10)을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위치시키고, 그 위에 4층으로 3개의 팔렛트프레임(10)을 적재시킬 수 있다. 여기서, 4층으로 적재되는 팔렛트프레임(10)들은 각각에 안착된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들이 상하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큰마름(D5)들이 상하로 엇갈리게 적재될 때, 큰마름(D5)들의 하부는 개방형드럼통(D)의 하부에 위치되는 마감블록(20)의 드럼통지지부(2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전체 5층으로 적재되는 개방형드럼통(D)들은 큰마름(D5)과 드럼통지지부(21)의 걸림에 의해 좌우로 분리되지 않고 결속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팔렛트프레임(10)을 이용하여 개방형드럼통(D)을 화물차량에 적재시킬 수 있다.
또한, 드럼통의 적재과정을 설명하면, 화물차량의 적재공간에 개방형드럼통(D)이 안착된 팔렛트프레임(10)들을 2열로 배열시킨다. 이때, 2열로 배열되는 팔렛트프레임(10)들의 좌우간격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킨다. 이어서, 개방형드럼통(D)이 안착된 팔렛트프레임(10)들을 2열로 배열되는 팔렛트프레임(10)들의 이격된 공간에 걸쳐지게 상부에 적층시킨다. 이때 적층되는 팔렛트프레임(10)들은 4층으로 적재된다.
이어서, 4층으로 적재된 팔렛트프레임(10)들의 좌측 및 우측에 다른 팔렛트프레임(10)들을 4층으로 적재시킨다. 이때, 팔렛트프레임(10)들이 3열로 되는 개방형드럼통(D)들의 큰마름(D5)들이 한쪽으로 향하도록 적재되고, 그 위에 3열로 적재되는 개방형드럼통(D)들의 큰마름(D5)들은 반대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적재된다. 이때, 큰마름(D5)들은 하부에 위치되는 마감블록(20)에 걸리게 되고 개방형드럼통(D)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면서 적재된다.
그리고, 팔렛트프레임(10)들은 전체 5층으로 적층이 완료되게 된다. 즉, 최초의 1층은 2열이고, 이후의 4층은 3열이면서 전체 5층이 되게 적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물차량에 적재되는 화물(드럼통)의 높이는 최초에 2열로 배열되는 팔렛트프레임(10)의 1층높이와 이후에 적재되는 4층의 높이까지 모두 더하면 3,046.5cm의 높이가 된다. 또한, 지면에서 화물차량의 적재공간바닥까지의 높이가 1,100cm이므로, 3,046.5cm + 1,100cm = 4,156cm가 된다. 따라서, 도로교통법의 화물적재높이 4.2m를 초과하지 않게 된다.
또한, 최초에 2열로 배열되는 팔렛트프레임(10)들은 화물의 적재공간에 채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이후에 개방형드럼통(D)이 4층이면서 3열로 배열되는 이유는 3열로 되는 개방형드럼통(D)들의 좌우폭이 도로법 화물적재폭인 2.5m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최대로 적재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도로법에 저촉되지 않으면서 한정된 화물차량의 적재공간에 최대한 많은 수의 개방형드럼통(D)들을 적재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드럼통의 운송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개방형드럼통뿐만 아니라 밀봉형드럼통도 적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밀봉형드럼통은 큰마름이 없이 작은마름으로만 구성되므로, 팔렛트프레임에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팔렛트프레임 11 : 앵글플레이트
11a : 수평면 11b : 수직면
20 : 마감블록 30 : 보강프레임
50 : 상부지지수단 60 : 하부지지수단
70 :마름수용홀 D : 개방형드럼통

Claims (13)

  1. 수평면(11a) 및 수직면(11b)을 갖는 4개의 앵글플레이트(11)들이 전후좌우로 배치되면서 각각의 끝단들이 직각으로 이어져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팔렛트프레임(10)과,
    상기 팔렛트프레임(10)의 각 모서리에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마감블록(20)과,
    상기 팔렛트프레임(10)에 안착되는 개방형드럼통(D)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수단(50)과,
    상기 팔렛트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이 상기 팔렛트프레임(10)의 하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수단(60)과,
    상기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앵글플레이트(11)들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마름수용홀(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수단(50)은
    상기 수평면(11a)에 고정되는 상부고정돌기(51)와,
    상기 상부고정돌기(5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하부 외주면이 지지되는 상부경사면(52)을 갖는 상부지지체(53)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하부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53)가 서로 대칭되게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개방형드럼통(D)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팔렛트프레임(10)들이 상하로 적층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53)는 상기 수직면(11b)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상부지지체(53)는
    상기 마름수용홀(70)에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이 수용된 상태에서, 개방형드럼통(D)의 외주면이 상기 수평면(11a)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경사면(52)이 개방형드럼통(D)의 하부 외주면에 지지되게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53)는
    상기 수직면(11b)에서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의 두께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수단(60)은
    상기 팔렛트프레임(10)의 중앙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30)에 접촉되는 하부고정돌기(61)와, 상기 하부고정돌기(61)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프레임(30)에 고정되는 지지턱(61a)과, 상기 하부고정돌기(6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 외주면이 지지되는 상부경사면(62)을 갖는 하부지지체(63)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지지체(63)가 서로 대칭되게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팔렛트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이 상기 보강프레임(30)의 하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지지체(63) 및 하부고정돌기(61)의 전체높이는 상기 상부지지수단(50)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마감블록(20)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수단(60)은
    상기 수평면(11a)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 외주면이 상기 수평면(11a)의 하부에 접촉되지 않게 하면서, 개방형드럼통(D)의 외주면이 지지되고 큰마름(D5)의 측면이 걸리도록 상기 수평면(11a)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토퍼(6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65)는
    상기 수평면(11a)의 수평면(11a)의 저면 끝단에서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의 두께만큼 이격되게 수평면(11a)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블록(20)은
    상기 팔렛트프레임(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팔렛트프레임(10)의 하부면으로 상기 하부지지수단(60)보다 높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블록(20)은
    상기 개방형드럼통(D)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적층되도록 상부에 적층돌기(22)가 형성되고, 하부에 적층홈(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블록(20)은
    상기 팔렛트프레임(10)에 적재된 상태의 개방형드럼통(D) 큰마름(D5)의 측면 끝단보다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11. 제 1항, 제 8항, 제 9항 및 제 10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블록(20)은
    상기 마감블록(20)의 하부에 위치되는 개방형드럼통(D)의 상부 및 양측에 지지되는 드럼통지지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통지지부(21)는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이 지지되는 높은턱(21a)과,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작은마름(D6)이 지지되는 낮은턱(21b)과,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지지면(21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름수용홀(70)은
    상기 개방형드럼통(D)의 큰마름(D5)의 측면이 수용되는 장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KR1020100013922A 2010-02-16 2010-02-16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KR100987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922A KR100987043B1 (ko) 2010-02-16 2010-02-16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922A KR100987043B1 (ko) 2010-02-16 2010-02-16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043B1 true KR100987043B1 (ko) 2010-10-11

Family

ID=4313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922A KR100987043B1 (ko) 2010-02-16 2010-02-16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0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401B1 (ko) 2013-06-14 2016-05-26 김석염 개선된 코일 컨테이너
KR20170008005A (ko) 2015-07-13 2017-01-23 (주)대송하이텍 드럼 적재용 파렛트
KR20220124556A (ko) * 2021-03-03 2022-09-14 안기세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KR20230013302A (ko) 2021-07-19 2023-01-26 김창현 구형 물품용 파렛트
KR102531274B1 (ko) 2022-10-21 2023-05-11 정성균 화학물질 충진드럼 이송용 컨베이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5477U (ko) * 1983-03-19 1984-10-20 장억근 다단식 드럼 보관고의 레일
JPS61166915U (ko) 1985-04-04 1986-10-16
KR100932062B1 (ko) 2009-08-20 2009-12-15 박영진 드럼통 운반용 파렛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5477U (ko) * 1983-03-19 1984-10-20 장억근 다단식 드럼 보관고의 레일
JPS61166915U (ko) 1985-04-04 1986-10-16
KR100932062B1 (ko) 2009-08-20 2009-12-15 박영진 드럼통 운반용 파렛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401B1 (ko) 2013-06-14 2016-05-26 김석염 개선된 코일 컨테이너
KR20170008005A (ko) 2015-07-13 2017-01-23 (주)대송하이텍 드럼 적재용 파렛트
KR20220124556A (ko) * 2021-03-03 2022-09-14 안기세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KR102608135B1 (ko) 2021-03-03 2023-11-29 안기세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KR20230013302A (ko) 2021-07-19 2023-01-26 김창현 구형 물품용 파렛트
KR102531274B1 (ko) 2022-10-21 2023-05-11 정성균 화학물질 충진드럼 이송용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043B1 (ko) 드럼통 운반용 팔렛트
US20100251940A1 (en) Drum Pallet
CA2912481C (en) Supporting structure and loading-transporting method of storage and transport container
US20080251403A1 (en) Storage container, pocket end opening cover thereof and method of forming the storage container
LV13036B (en) Loading member
CN108466676B (zh) 运输船及其集装箱船货舱
KR100932062B1 (ko) 드럼통 운반용 파렛트
CA2711062C (en) Method for transporting concentrated mass loads by container
WO2011108833A2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CN211224315U (zh) 一种可重复使用的沥青周转箱
KR20150053875A (ko) 빗물 저류 적층 구조체에 사용하는 구조 부재
CN213324402U (zh) 一种水平分隔装置及具有该装置的托盘箱
WO2022009183A1 (en) Modular goods-carrying system
JP3187246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US3839970A (en) Pallet
US8070402B2 (en) Frame stacking methods and spacers
CN203006137U (zh) 托盘
CN219008418U (zh) 一种防倾翻托盘
CN108639596B (zh) 一种可用双20英尺吊具的40英尺多纵底梁重载集装箱
US20050224386A1 (en) Lightweight interlocking container
GB2581814A (en) Tessellatable container, system and method
CN218506402U (zh) 一种托盘
JP3236520U (ja) 航空貨物用のパレット
CN110127218A (zh) 侧开门集装箱及具有其的车辆装载系统
CN206502154U (zh) 一种可承载重型货物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