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592B1 -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592B1
KR100646592B1 KR1020060034882A KR20060034882A KR100646592B1 KR 100646592 B1 KR100646592 B1 KR 100646592B1 KR 1020060034882 A KR1020060034882 A KR 1020060034882A KR 20060034882 A KR20060034882 A KR 20060034882A KR 100646592 B1 KR100646592 B1 KR 100646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late
plate
support
coupling portion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교
박수문
임문수
정자헌
김승철
여정윤
김양은
구자훈
강제환
정동치
Original Assignee
지마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마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마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85Details related to the ultrasound signal acquisition, e.g. scan sequences
    • G01S7/5209Details related to the ultrasound signal acquisition, e.g. scan sequences using multibeam trans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42Simultaneous measurement of distance and other co-ordin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선체에 고정하기 위한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에 있어서 : 하부에 다중빔 음향 측심기가 결합되는 측심기 결합부가 형성되며,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방지용 바가 마련되는 깊이조절용 관 ; 선체 측부에 고정되기 위하여 "ㄱ"자 형태의 걸이판과 상기 걸이판의 일단에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기 걸이판과 함께 "h"자 형태를 이루는 수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체 결합부 ; 일측은 상기 깊이조절용 관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회전방지용 바가 삽입되는 바 삽입홈이 형성되는 관 결합부를 이루며, 타측은 상기 수직판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판 결합부를 이루며, 상기 깊이조절용 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각 부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그 조립이나 이동성이 증진되어, 그 소재하는 위치를 달리하는 다양한 선박에 매우 용이하게 이동된 후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그 크기를 달리하는 선체의 종류를 불문하고, 깊이조절용 관과 이에 결합되는 지지체들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어떠한 선박이든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적절한 깊이에 위치시킬 수 있ㅇ으며, 또한 깊이조절용 관의 높이를 자유롭게 변동시키면서도, 일단 깊이조절용 관이 조립된 상태가 되면 그 움직임이 불가능하도록 깊이조절용 관을 고정시키며, 또한 깊이조절용 관의 회전도 완벽하게 차단하여 다중빔 음향 측심기로부터 측정되는 측심값들에 대한 오류가 완전히 차단되며, 또한 그 조립 및 분리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작업성이 양호하여, 어떠한 선박이든 매우 편리하게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부착하여 측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중빔, 측심기, 음파, 수심, 프레임

Description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FRAME FOR MULTI BEAM ECHO SOUND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
도 3은 도 1의 깊이조절용 관과 지지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
도 4는 도 1의 선체 결합부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깊이조절용 관 110 : 측심기 결합부
120 : 회전방지용 바
200 : 선체 결합부 210 : 걸이판
220 : 수직판
300 : 제1지지체 340 : 제1조임판
400 : 제2지지체 440 : 제2조임판
500 : 제3지지체
본 발명은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선박의 선체 측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음파 수심 탐지기는 선박에 장착하여 수중에서 음파(초음파, 저주파 등)의 속도를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통상적으로 음파를 바다 또는 강 밑으로 쏘아 보낸 뒤 그것이 반사되어 오기까지의 시간으로 바다 또는 강의 깊이를 측정하게 된다.
최근 음파 수심 탐지기로서 다중빔 음향 측심기(MULTI BEAM ECHO SOUNDER)가 개발되어, 음파의 송·수신 범위 안에서는 바다 밑 횡단면 전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중빔 음향 측심기가 바다의 깊이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하여는 다중빔 음향 측심기가 선체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는 선박에 고정된 다중빔 음향 측심기는, 파도 등에 의하여 선박과 함께 유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다중빔 음향 측심기에 의해 측정되는 측심량과 선박의 유동량을 동시에 계산하여 선박의 유동량을 보정하도록 하여 최종 측심량을 계산할 수 있지만, 만일 다중빔 음향 측심기 자체가 선박에 대하여 움직이게 된다면 이 값은 보정할 수 없는 값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때문에 종래에는 다중빔 음향 측심기가 영구히 고정되는 고가의 전용 선박이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종래의 고가의 전용 선박에 사용되는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여러가지 종류의 일반 선박에 조립식으로 탈부착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선체에 고정하기 위한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에 있어서 : 하부에 다중빔 음향 측심기가 결합되는 측심기 결합부가 형성되며,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방지용 바가 마련되는 깊이조절용 관 ; 선체 측부에 고정되기 위하여 "ㄱ"자 형태의 걸이판과 상기 걸이판의 일단에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기 걸이판과 함께 "h"자 형태를 이루는 수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체 결합부 ; 일측은 상기 깊이조절용 관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회전방지용 바가 삽입되는 바 삽입홈이 형성되는 관 결합부를 이루며, 타측은 상기 수직판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판 결합부를 이루며, 상기 깊이조절용 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관 결합부는 상기 수직판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 결합부와, 상기 내측 결합부에 대하여 볼트 체결됨으로써 상기 깊이조절용 관을 클램핑하는 외측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중 어느 하나는 제1지지체이며, 상기 제1지지체의 수직판 결합부는 제1원형파이프와 상기 제1원형파이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1원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체의 수직판 결합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수직판과 이격되어 상기 수직판에 평행하게 마련되어 상기 수직판에 볼트체결되며 상부가 개방된 반원 형태의 제1개방부가 형성된 제1조임판이 부가되며, 상기 제1원형판이 상기 수직판과 상기 제1조임판 사이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의 하부에 제2지지체가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체의 수직판 결합부는 제2원형파이프와 상기 제2원형파이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2원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지지체의 수직판 결합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수직판과 이격되어 상기 수직판에 평행하게 마련되어 상기 수직판에 볼트체결되며 일측이 개방된 반원 형태의 제2개방부가 형성된 제2조임판이 부가되며, 상기 제2원형판이 상기 수직판과 상기 제2조임판 사이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의 상부에 제3지지체가 위치하며, 상기 제3지지체의 수직판 결합부는 제3원형파이프와 상기 제3원형파이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플랜지판이며, 상기 플랜지판은 상기 수직판에 볼트체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의 깊이조절용 관과 지지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1의 선체 결합부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례는 크게 선체 결합부(200), 깊이조절용 관(100), 지지체들(300, 400, 5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선체 결합부(200)를 설명한다.
선체 결합부(200)는 본 프레임이 선박의 선체 측부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다.
선체 결합부(200)는 걸이판(210)과 수직판(220)으로 이루어지며, 대체적으로 "h"자 형태를 이룬다.
걸이판(210)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를 이루며, 수직판(220)은 상기 걸이판(210)의 일단에 수직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h"자 형태의 선체 결합부(200)는 3개의 지점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측부에 고정된다. 즉, 선체 측부의 상면과 양측면에서 고정된다. 선체 측부의 상면과 선체 결합부(200)를 먼저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하고, 선체 측부의 양측면에 대하여는 선체 결합부(200)에 형성된 볼트 등에 의하여 조임고정한다. 다중빔 음향 측심기의 사용후,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된 부위는 그 용접 부위를 제거함으로써,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된 부위는 그 볼트를 강제로 풀어 본 선체 결합부(200)는 선체로부터 다시 분리될 수 있다.
선체 결합부(200)에는 다수의 지지체(300, 400, 500)에 의하여 깊이조절용 관(100)이 결합된다.
깊이조절용 관(100)의 하부에는 다중빔 음향 측심기(10)가 결합되는 측심기 결합부(110)가 형성되며, 또한 깊이조절용 관(100)의 상부에는 깊이조절용 관(100)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도록 플랜지(1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깊이조절용 관(100)의 플랜지(130)에 다른 보조관의 플랜지를 볼트체결함으로써 깊이조절용 관은 그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깊이조절용 관(100)의 외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방지용 바(120)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방지용 바(120)는 후술하는 바 삽입홈(430)과 레일 결합되어 깊이조절용 관(10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각 지지체들을 설명한다.
각 지지체들(300, 400, 500)은 일측에 관 결합부(320, 420, 520)가 형성되며, 타측에 수직판 결합부(310, 410, 510)가 형성되어 있다.
관 결합부(320, 420, 520)는 깊이조절용 관(100)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의 관 결합부(320, 420, 520)는 수직판 결합부(310, 410, 5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 결합부(321, 421, 521)와 상기 내측 결합부(321, 421, 521)에 대하여 볼트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외측 결합부(322, 422, 522)로 이루어진다. 또한 내측 결합부(321, 421, 521)와 외측 결합부(322, 422, 522)는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중앙에 깊이조절용 관(100)이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며, 볼트 조임에 의하여 깊이조절용 관(100)을 클램핑하게 된다.
관 결합부(320, 420, 520)에는 깊이조절용 관(100)의 회전방지용 바(120)가 삽입되는 바 삽입홈(330, 430, 53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 결합부(320, 420, 520)는 깊이조절용 관(100)이 이동되지 않도록 클램핑하는 동시에, 레일 결합에 의하여 깊이조절용 관(1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각 지지체들(300,400,500)의 수직판 결합부(310, 410, 510)를 설명한다.
지지체들(300, 400, 500) 중 중앙에 위치한 제1지지체(300)를 먼저 살핀다.
제1지지체(300)의 수직판 결합부(310)는 제1원형파이프(311)와 제1원형파이프(311)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1원형판(312)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지지체(300)의 수직판 결합부(310)가 수직판(220)에 결합되기 위하여, 수직판(220)에 제1조임판(340)이 마련된다.
제1조임판(340)은 상부가 개방된 반원 형태의 제1개방부(341)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220)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상기 수직판(220)에 평행하게 마련되며, 또한 수직판(200)에 볼트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조임판(340)이 수직판(220)에 마련되어 있으며, 깊이조절용 관(100)에 제1지지체(3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1지지체(300)의 제1원형파이프(311)와 제1원형판(312)을 상부에서 제1원형판(312)은 제1조임판(340)과 수직판(220)사이에 삽입되는 한편, 제1원형파이프(311)는 제1개방부(341)에 삽입되도록 밀어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원형파이프(311)와 제1원형판(312)이 제1조임 판(340)과 수직판(220) 사이에 위치하면, 제1지지체(300)에 결합된 깊이조절용 관(100)은 제1지지체(300)의 제1원형파이프(311)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1조임판(340)의 볼트 체결을 조이면 제1원형판(312)은 제1조임판(340)과 수직판(220) 사이에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지지체(400)를 설명한다.
제2지지체(400)의 수직판 결합부(410)는 제2원형파이프(411)와 제2원형파이프(411)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1원형판(412)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2지지체(400)의 수직판 결합부(410)가 수직판(220)에 결합되기 위하여, 수직판(220)에 제2조임판(440)이 마련된다.
제2조임판(440)은 일측이 개방된 반원 형태의 제2개방부(441)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220)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상기 수직판(220)에 평행하게 마련되며, 또한 수직판(200)에 볼트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조임판(340) 및 제2조임판(440)이 수직판(220)에 마련되어 있으며, 깊이조절용 관(100)에 제1지지체(300) 및 제2지지체(400)가 조립된 상태에서, 깊이조절용 관(100)을 제1지지체(300)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제2지지체(400)의 제2원형파이프(411)와 제2원형판(412)은 제2조임판(440)의 측부에서 제2조임판(440)과 수직판(220)사이에 삽입되는 한편, 제2원형파이프(411)는 제2개방부(441)에 삽입되도록 밀어넣을 수 있다. 물론 깊이조절용 관(100)을 제1지지체(300)를 중심으로 반대로 회전시키면 제2지지체(400)는 상기 제2조임판(44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체(400)의 제2원형판(412)이 제2조임판(4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조임판(440)의 볼트 체결을 조이면 제2원형판(412)은 제2조임판(440)과 수직판(220) 사이에서 견고히 고정된다.
다음으로 제3지지체(500)를 설명한다.
제3지지체(500)의 수직판 결합부(510)는 제3원형파이프(511)와 제3원형파이프(511)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플랜지판(5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직판(220)에는 상기 플랜지판(512)에 볼트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깊이조절용 관(100)과 선체 결합부(200)와 각 지지체(300,400,500)들은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제1조임판(340)과 제2조임판(440)은 항상 선체 결합부(2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은, 본 실시례의 각 구성요소들을 이동시키기에 매우 편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례는 육상 운송수단을 통하여 혹은 이동용 선박을 통하여 다중빔 음향 측심기가 설치될 선박이 위치한 곳까지 매우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분리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는 것은 작업자의 작업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실시례가 다중빔 음향 측심기가 설치될 선박으로 이동되면, 먼저 선체 결합부(200)가 선체의 측부에 조립되어 고정된다.
또한 깊이조절용 관(100)에는 각 지지체들(300, 400, 500)이 조립된다.
이때 각 지지체들(300, 400, 500)이 조립되는 위치는, 다중빔 음향 측심기가 설치되는 선체의 높이가 고려되어, 다중빔 음향 측심기가 수면에서 일정 깊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각 지지체들(300, 400, 500)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되, 깊이조절용 관(100)에 결합되는 위치는 선박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이후 제1지지체(300)의 수직판 결합부(310)를 제1조임판(340)과 수직판(220) 사이에 삽입한다. 이때 제1조임판(340)에는 상부가 개방된 제1개방부(34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삽입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체(300)의 수직판 결합부(310)의 위치가 고정되면, 깊이조절용 관(100)을 수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하여 다중빔 음향 측심기(10)를 측심기 결합부(110)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깊이조절용 관(100)이 수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으므로, 상당한 중량(약 50kg 상당)을 가지는 다중빔 음향 측심기(10)을 선체의 바로 옆에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도 5의 상부 그림 참조)
다중빔 음향 측심기(10)가 결합되면, 깊이조절용 관(100)을 제1지지체(300)의 수직판 결합부(31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직하게 세운다. 이때 제2지지체(400)의 수직판 결합부(410)가 제2조임판(440)과 수직판(220)사이에 삽입된다. 이는 제2조임판(440)에 일측이 개방된 반원형태의 제2개방부(44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5의 하부 그림 참조)
이 상태에서 제1조임판(340) 및 제2조임판(440)을 수직판(220)에 대하여 볼트 조임하며, 동시에 제3지지체(500)의 플랜지판(512)을 수직판(220)에 볼트 체결한다. 이로써, 본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및 다중빔 음향 측심기는 선체에 견고히 고정되어,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통하여 해저면의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및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해체하는 순서는 상기의 조립하는 순서와 반대로 진행된다.
상기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각 부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그 조립이나 이동성이 증진되어, 그 소재하는 위치를 달리하는 다양한 선박에 매우 용이하게 이동된 후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크기를 달리하는 선체의 종류를 불문하고, 깊이조절용 관과 이에 결합되는 지지체들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어떠한 선박이든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적절한 깊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깊이조절용 관의 높이를 자유롭게 변동시키면서도, 일단 깊 이조절용 관이 조립된 상태가 되면 그 움직임이 불가능하도록 깊이조절용 관을 고정시키며, 또한 깊이조절용 관의 회전도 완벽하게 차단하여 다중빔 음향 측심기로부터 측정되는 측심값들에 대한 오류가 완전히 차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조립 및 분리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작업성이 양호하여, 어떠한 선박이든 매우 편리하게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부착하여 측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5)

  1. 삭제
  2.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선체에 고정하기 위한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에 있어서 :
    하부에 다중빔 음향 측심기가 결합되는 측심기 결합부가 형성되며,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방지용 바가 마련되는 깊이조절용 관 ;
    선체 측부에 고정되기 위하여 "ㄱ"자 형태의 걸이판과 상기 걸이판의 일단에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기 걸이판과 함께 "h"자 형태를 이루는 수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체 결합부 ;
    일측은 상기 깊이조절용 관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회전방지용 바가 삽입되는 바 삽입홈이 형성되는 관 결합부를 이루며, 타측은 상기 수직판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판 결합부를 이루며, 상기 깊이조절용 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관 결합부는 상기 수직판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 결합부와, 상기 내측 결합부에 대하여 볼트 체결됨으로써 상기 깊이조절용 관을 클램핑하는 외측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중 어느 하나는 제1지지체이며,
    상기 제1지지체의 수직판 결합부는 제1원형파이프와 상기 제1원형파이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1원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체의 수직판 결합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수직판과 이격되어 상기 수직판에 평행하게 마련되어 상기 수직판에 볼트체결되며 상부가 개방된 반원 형태의 제1개방부가 형성된 제1조임판이 부가되며,
    상기 제1원형판이 상기 수직판과 상기 제1조임판 사이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의 하부에 제2지지체가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체의 수직판 결합부는 제2원형파이프와 상기 제2원형파이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2원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지지체의 수직판 결합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수직판과 이격되어 상기 수직판에 평행하게 마련되어 상기 수직판에 볼트체결되며 일측이 개방된 반원 형태의 제2개방부가 형성된 제2조임판이 부가되며,
    상기 제2원형판이 상기 수직판과 상기 제2조임판 사이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의 상부에 제3지지체가 위치하며,
    상기 제3지지체의 수직판 결합부는 제3원형파이프와 상기 제3원형파이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플랜지판이며,
    상기 플랜지판은 상기 수직판에 볼트체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KR1020060034882A 2006-04-18 2006-04-18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KR100646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882A KR100646592B1 (ko) 2006-04-18 2006-04-18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882A KR100646592B1 (ko) 2006-04-18 2006-04-18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592B1 true KR100646592B1 (ko) 2006-11-23

Family

ID=3771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882A KR100646592B1 (ko) 2006-04-18 2006-04-18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592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876B1 (ko) * 2009-10-06 2010-03-05 지마텍 주식회사 다중빔 음향 측심기 거치 시스템
KR101002037B1 (ko) 2010-02-09 2010-12-17 (주)해양공간정보기술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
KR101008880B1 (ko) 2009-03-19 2011-01-17 마린리서치(주) 멀티빔 음향 측심기 트랜스듀서 장착구
KR101073943B1 (ko) 2011-06-28 2011-10-17 (주)해양정보기술 수직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멀티빔 고정장치
KR101121511B1 (ko) * 2009-03-26 2012-03-06 마린리서치(주) 고무보트용 음향 측심 트랜스듀서 결합체 거치대 및 이를 장착한 고무보트
KR200468945Y1 (ko) * 2013-07-22 2013-09-09 안성 음향측심기 수심봉 거치대
KR101352141B1 (ko) 2012-11-28 2014-01-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천해 해저지형조사용 프레임장치
KR101355390B1 (ko) * 2011-07-15 2014-01-28 한국원자력연구원 다중 조사를 위한 수중 계측기 고정 장치
KR101593201B1 (ko) * 2015-09-07 2016-02-11 (주)미래해양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KR101609203B1 (ko) 2016-01-18 2016-04-05 (주)해양공간정보기술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JP2019519780A (ja) * 2016-06-17 2019-07-11 オルステッド・ウィンド・パワー・エー/エスOrsted Wind Power A/S 沖合潜水調査を行うための装置
KR102071257B1 (ko) * 2019-10-07 2020-01-30 한국공간정보(주)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KR20210154615A (ko) 2020-06-12 2021-12-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조사장비용 거치 장치
JP7014386B1 (ja) 2021-09-03 2022-02-14 株式会社アーク・ジオ・サポート 震源ユニット及び海底地質探査システム
CN116125477A (zh) * 2023-04-13 2023-05-16 中交天津港湾工程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动校正的水下声学测深仪系统及其校正方法
CN116215744A (zh) * 2023-04-24 2023-06-06 山东科技大学 一种无人船多波束设备升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2523A (ja) * 1994-09-12 1996-03-26 Toa Harbor Works Co Ltd 水深測定装置
JPH10325871A (ja) * 1997-05-26 1998-12-08 Kokusai Kogyo Kk ナローマルチビーム深浅測量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2523A (ja) * 1994-09-12 1996-03-26 Toa Harbor Works Co Ltd 水深測定装置
JPH10325871A (ja) * 1997-05-26 1998-12-08 Kokusai Kogyo Kk ナローマルチビーム深浅測量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082523
10325871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80B1 (ko) 2009-03-19 2011-01-17 마린리서치(주) 멀티빔 음향 측심기 트랜스듀서 장착구
KR101121511B1 (ko) * 2009-03-26 2012-03-06 마린리서치(주) 고무보트용 음향 측심 트랜스듀서 결합체 거치대 및 이를 장착한 고무보트
KR100945876B1 (ko) * 2009-10-06 2010-03-05 지마텍 주식회사 다중빔 음향 측심기 거치 시스템
KR101002037B1 (ko) 2010-02-09 2010-12-17 (주)해양공간정보기술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
KR101073943B1 (ko) 2011-06-28 2011-10-17 (주)해양정보기술 수직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멀티빔 고정장치
KR101355390B1 (ko) * 2011-07-15 2014-01-28 한국원자력연구원 다중 조사를 위한 수중 계측기 고정 장치
KR101352141B1 (ko) 2012-11-28 2014-01-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천해 해저지형조사용 프레임장치
KR200468945Y1 (ko) * 2013-07-22 2013-09-09 안성 음향측심기 수심봉 거치대
KR101593201B1 (ko) * 2015-09-07 2016-02-11 (주)미래해양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KR101609203B1 (ko) 2016-01-18 2016-04-05 (주)해양공간정보기술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JP2019519780A (ja) * 2016-06-17 2019-07-11 オルステッド・ウィンド・パワー・エー/エスOrsted Wind Power A/S 沖合潜水調査を行うための装置
KR102071257B1 (ko) * 2019-10-07 2020-01-30 한국공간정보(주)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KR20210154615A (ko) 2020-06-12 2021-12-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조사장비용 거치 장치
JP7014386B1 (ja) 2021-09-03 2022-02-14 株式会社アーク・ジオ・サポート 震源ユニット及び海底地質探査システム
JP2023037548A (ja) * 2021-09-03 2023-03-15 株式会社アーク・ジオ・サポート 震源ユニット及び海底地質探査システム
CN116125477A (zh) * 2023-04-13 2023-05-16 中交天津港湾工程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动校正的水下声学测深仪系统及其校正方法
CN116125477B (zh) * 2023-04-13 2023-07-14 中交天津港湾工程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动校正的水下声学测深仪系统及其校正方法
CN116215744A (zh) * 2023-04-24 2023-06-06 山东科技大学 一种无人船多波束设备升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592B1 (ko)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KR100945876B1 (ko) 다중빔 음향 측심기 거치 시스템
US6695540B1 (en) Vortex induced vibration suppression device and method
KR20190043523A (ko) 해양 수중 측량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20090051090A1 (en) Pipe welding holding device and method for holding pipes with flanges in place during welding to vessel walls and other structures
CN107554694B (zh) 一种水面无人艇水下三维地形探测系统
KR101073943B1 (ko) 수직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멀티빔 고정장치
JP2016500608A (ja) サイドスキャンソナー搭載用接続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002037B1 (ko)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
KR101609203B1 (ko)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CN201834190U (zh) 一种侧扫声纳的船舷安装装置
CN212623064U (zh) 船载超声波回声测深仪换能器与gps同位固定系统
KR101352141B1 (ko) 천해 해저지형조사용 프레임장치
KR101008880B1 (ko) 멀티빔 음향 측심기 트랜스듀서 장착구
CN216887157U (zh) 一种水下地形测量单波束测深仪的固定装置
CN106945783B (zh) 便携式多波束测深仪基阵安装装置
CN209683941U (zh) 一种水下探测仪器舷侧吊放装置
KR102071257B1 (ko)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CA1120788A (en) Underwater craft for acoustic inspection of pipelines for leaks
KR20140001764U (ko) 탐촉자용 거리조절장치
KR101593201B1 (ko)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CN210690816U (zh) 一种回声探测仪换能器的固定装置
CN206750077U (zh) 便携式多波束测深仪基阵安装装置
KR100775667B1 (ko) 다회선 유량계 설치장치 및 방법
CN207937599U (zh) 一种水下声呐换能器与船舷固定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