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257B1 -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257B1
KR102071257B1 KR1020190123589A KR20190123589A KR102071257B1 KR 102071257 B1 KR102071257 B1 KR 102071257B1 KR 1020190123589 A KR1020190123589 A KR 1020190123589A KR 20190123589 A KR20190123589 A KR 20190123589A KR 102071257 B1 KR102071257 B1 KR 102071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mounting
shaped frame
small boa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김현동
서병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공간정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간정보(주) filed Critical 한국공간정보(주)
Priority to KR102019012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8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measuring depth of ope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가 비어있는 기다란 파이프 형태의 바형 프레임, 상기 바형 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며 측량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며 장착브라켓과 상호 협력하여 측량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손쉽게 측량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소형보트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는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STRUCTURE OF FRAME FOR MOUNTING SINGLE BEAM}
본 발명은 저수심 측량을 위한 소형보트에 측량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보트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고, 간단한 구조로 측량장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 다양한 크기의 소형보트에 탈부착이 가능한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수로측량은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한 해도 작성을 목적으로 바다, 하천, 호수 등의 수심, 지질, 지형, 지자기, 섬과 암초의 위치, 조류, 해류 등을 측정하는 일을 말한다. 대상 및 지역에 따라 항만측량, 항로측량, 연안측량, 해양측량 등으로 나뉘고, 하천·운하·항만 등을 건설하거나 개수 공사에 필요한 여러 가지 측량과 해안선과 연안의 자연환경 등을 조사하는 것도 포함된다.
주로 빛을 사용하는 땅 위나 하늘에서와 달리 해저 지형을 측정하는 데에는 주로 음파가 사용된다. 해양조사선에 장비된 음향측심기에서 발사된 음파가 해저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하여 바닷속 지형을 알 수 있다. 바닷속 지층을 조사하는 데는 음향측심기보다 더 강한 음파를 발사하는 탄성파탐지기를 사용한다. 또 중력계와 자력계를 사용하여 해저광물을 탐사할 수도 있다.
심해나 먼바다에서 해저의 지형이나 수심 등을 측정하는 해양조사작업은 주로 일정한 규모 이상의 선박을 이용하게 되고, 이때 사용되는 선박은 목재나 금속과 같은 견고한 재질의 난간에 거치 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음향측심기를 거치하는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천해(淺海)나 해안가 등의 얕은 바다에서 해양조사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이동이 간편하고 수심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소형보트(예를 들어, 고무보트, 콤비보트 등)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일반적으로 고무보트와 같은 소형보트에서 음향측심기는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수중으로 배치되는데, 소형보트의 가장자리가 원통형일 뿐만 아니라 신축성도 있어서 통상적인 선박에 사용하는 거치 프레임은 사용할 수가 없다.
다시 말하면, 소형보트는 신축성이 있으므로 거치 프레임이 처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가해지는 외부충격에 의해 자세를 계속해서 변경하게 된다. 거치 프레임이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면 음향측심기도 자세를 계속해서 변경되고, 그러면 음향측심기가 측정하는 데이터에 오차가 커지게 되고, 추후에 이를 보정하기도 어려워져서 측정된 데이터를 신뢰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7620호 "고무보트용 음향 측심 트랜스듀서 결합체 거치대 및 이를 장착한 고무보트"에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본체를 이용하여 트랜스듀서 결합체를 고정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아무리 소형보트라고 하여도 대략 100kg에 달하는 고무보트를 들고 사각통 형상의 본체를 끼워 넣거나 빼내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고무보트를 사각통 본체 내면에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작업이 쉽지 않으며, 사각통 본체로 인해 고무보트의 운전 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소형보트의 상부면에 거치 프레임을 얹어져 음향측심기를 고정시키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으나, 거치 프레임을 소형보트 상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작업 자체가 매우 어렵고, 다양한 크기의 소형보트에 맞추어 고정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형 프레임을 소형보트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거치하고 탄성벨트를 소형보트의 하부에 배치하여 손쉽게 측량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형 프레임을 소형보트 상부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소형보트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는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가 비어있는 기다란 파이프 형태의 바형 프레임; 상기 바형 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며 측량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며 장착브라켓과 상호 협력하여 측량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는, 상기 바형 프레임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의 장력을 가지는 탄성벨트;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형 프레임은 소형보트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탄성벨트는 소형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에서 상기 바형 프레임은, 바형 프레임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바형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조절홀; 바형 프레임의 일단에 바형 프레임과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다수의 벨트걸이홀과 다수의 위치고정홀이 형성되는 프레임연장부; 및 바형 프레임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며, 바형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의 너트홀;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에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내부가 비어있는 바형 프레임의 일단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장착몸체; 장착몸체의 일단에 장착몸체와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다수의 회전홀이 형성되는 장착연장부; 및 장착연장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측정장치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장착수용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장착브라켓의 일측면에 맞닿아 접촉되는 고정몸체; 고정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양 단부가 모두 막혀있는 장홀로 형성되는 고정장홀; 고정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장홀로 형성되는 개방장홀; 및 고정몸체의 일단에 고정몸체와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고정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바형 프레임을 소형보트의 상부에 가로로 거치하고 탄성벨트를 이용하여 좌우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견고하고 간편하게 측량장치를 소형보트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형 프레임에 다수의 위치고정홀이 형성되고 장착브라켓에 다수의 회전홀이 형성되어 장착브라켓을 바형 프레임에 대해 축방향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장착브라켓에 결합된 측량장치를 원하는대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량장치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소형보트를 자유롭게 수상이나 육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바형 프레임에 다수의 조절홀 및 다수의 너트홀을 형성하고 장착브라켓에 다수의 장착홀을 형성하여 바형 프레임과 장착프레임의 상대적인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소형보트의 폭에 맞추어 견고하게 측량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가 실제 소형보트에 적용된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후미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가 실제 소형보트에 적용된 측면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의 각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형 프레임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장치가 소형보트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보트가 육지에 이동되었을 때의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장치가 소형보트에 설치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가 실제 소형보트에 적용된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후미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가 실제 소형보트에 적용된 측면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의 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는 바형 프레임(100), 장착브라켓(200), 고정브라켓(300) 및 탄성벨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형 프레임(100)은 내부가 비어있는 기다란 원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고무보트 또는 콤비보트 등과 같은 소형보트(A)의 상부에 횡방향(폭방향)으로 거치된다.
상기 장착브라켓(200)은 바형 프레임(100)의 일단(도 3에서 우측 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장착브라켓(200)에는 측량장치(500)가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바형 프레임(100)이 소형보트(A)의 상부에 거치되고 장착브라켓(200)에 측량장치(500)가 안착되므로 측량장치(500)는 소형보트(A)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량장치(500)는 상하로 긴 파이프 형상의 포스트(510)와 프스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수심이 낮은 지역을 측량하는 송수파기(520)로 구성된다(도 8 참조). 상기 포스트가 장착브라켓(200)에 안착되고, 송수파기(520)는 수중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00)은 장착브라켓(200)의 일단(도 3에서 우측 단부)에 결합된다. 고정브라켓(300)은 장착브라켓(200)과 상호 협력하여 측량장치(5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측량장치(500)의 포스트(510)는 장착브라켓(200)과 고정브라켓(300)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장착브라켓(200)과 고정브라켓(300)이 포스트(510)의 외측을 압박할 수 있도록 포스트(510)의 직경은 장착브라켓(200)과 고정브라켓(300)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벨트(400)는 바형 프레임(100)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의 장력을 가진다. 상기 바형 프레임(100)이 소형보트(A)의 상부에 횡으로 배치되고 탄성벨트(400)가 소형보트(A)의 하부에 배치되며, 탄성벨트(400)로 바형 프레임(100)의 양단을 연결시키므로 바형 프레임(10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벨트(400)의 일단은 후술되는 프레임연장부(120)의 벨트걸이홀(121)에 연결되고, 탄성벨트(400)의 타단은 후술되는 바형 프레임(100)의 너트홀(130)에 결합된 후크걸이부(131)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벨트(400)는 소정의 장력을 가져서 바형 프레임(100)이 소형보트(A)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며, 라쳇벨트(자동바) 등이 활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보트(A)의 상부에 바형 프레임(100)을 가로로 배치하고 하부에 끈과 같은 형태로 된 탄성벨트(400)를 배치하여 측량장치(500)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상당한 무게가 나가는 고무보트를 들고 사각통 형상의 본체를 끼워 넣는 작업이 쉽지 않고, 고무보트에 공기를 주입하여 고무보트를 사각통 본체 내면에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작업이 필요한 반면, 본 발명은 끈 형태의 탄성벨트(400)만 소형보트(A) 아래로 지나가면 되므로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바형 프레임(100)과 탄성벨트(400)가 소형보트(A)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울러, 고무보트와 같은 소형보트(A)는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이 주로 활용되므로 외면이 신축성 있고 굴곡이 많은 형태를 취하는데, 본 발명의 탄성벨트(400)는 이러한 소형보트(A)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형보트의 외면에 완전히 밀착 체결되므로 바형 프레임(1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형 프레임(100)의 중앙 부분에는 측량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량장치(500)가 측량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제어부(140)가 추가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의 설치를 위해 상기 바형 프레임(100)의 중앙 부분에는 판상의 제어안착부(141)가 결합되고, 제어안착부(141)의 상부에는 제어부(14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어보호부(142)가 결합된다.
상기 제어보호부(142)는 소형보트(A)의 운항시 파도나 바람 등으로부터 제어부(1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어안착부(141)의 일측과 힌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어부(14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어부(140)가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형 프레임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형 프레임(100)은 다수의 조절홀(110), 프레임연장부(120) 및 다수의 너트홀(130)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소형보트(A)에 가로로 놓인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조절홀(110)은 바형 프레임(100)의 일측(도 4에서 우측)에 관통 형성되며, 바형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다.
다수의 조절홀(110)은 바형 프레임(100)을 상하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이에 직교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바형 프레임(100)을 좌우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한 쌍이 형성된다.
즉, 다수의 조절홀(110)은 바형 프레임(100)을 상하좌우 '십(十)'자로 관통하는 4개의 홀이 한 세트를 이루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 세트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연장부(120)는 바형 프레임(100)의 일단에 바형 프레임과 직교하도록 연장된다. 즉, 바형 프레임(100)이 소형보트(A)에 횡방형(폭방향)으로 배치되면, 프레임연장부(120)는 소형보트(A)에 종방향(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연장부(120)는 바형 프레임(100)의 상하좌우로 '십(十)'자 형태로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연장부(120)의 각 단부에는 벨트걸이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벨트걸이홀(121)과 프레임연장부(120)의 중심부 사이에는 다수의 위치고정홀(122)이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벨트걸이홀(121)은 4개가 형성되고, 위치고정홀(122)은 8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등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벨트걸이홀(121)은 상하로 배치된 벨트걸이홀(121) 한 쌍이 세트를 이루고, 좌우로 배치된 벨트걸이홀(121) 한 쌍이 세트를 이루어 각각 한 쌍의 탄성벨트(4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형 프레임(100)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스스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다수의 너트홀(130)은 바형 프레임(100)의 타측(도 4에서 좌측)에 관통 형성되며, 바형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다.
다수의 너트홀(130)은 바형 프레임(100)을 상하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이에 직교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바형 프레임(100)을 좌우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한 쌍이 형성된다.
즉, 다수의 너트홀(130)은 바형 프레임(100)을 상하좌우 '십(十)'자로 관통하는 4개의 홀이 한 세트를 이루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 세트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너트홀(130) 중 상하로 배치된 너트홀 한 쌍 또는 좌우로 배치된 너트홀 한 쌍은 세트를 이루며, 이러한 너트홀(130) 세트에는 한 쌍의 후크걸이부(131)가 마주보도록 체결될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후크걸이부(131)는 각각 한 쌍의 너트홀(130)에 체결되며, 이러한 후크걸이부(131)에 탄성벨트(400)의 한쪽 단부가 걸려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탄성벨트(400)는 일단이 후크걸이부(131)에 결합되고 소형보트(A)의 하부를 지나 타단이 프레임연장부(120)의 벨트걸이홀(121)에 결합되어 바형 프레임(100)을 소형보트(A)에 단단히 거치시킨다.
이때, 다수의 너트홀(130)은 바형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소형보트(A)의 폭에 맞추어 후크걸이부(131)를 체결한 후, 탄성벨트(400)를 소형보트(A)에 알맞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장치가 소형보트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보트가 육지에 이동되었을 때의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브라켓(200)은 장착몸체(210), 장착연장부(220) 및 장착수용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형 프레임(100)의 일단에 결합된다.
장착몸체(210)는 내부가 비어있는 바형 프레임(100)의 일단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동시에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장착몸체(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직경은 바형 프레임(10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조금 작게 형성된다.
장착몸체(210)의 측면에는 다수의 장착홀(211)이 형성된다. 다수의 장착홀(211)은 바형 프레임(100)에 형성된 다수의 조절홀(1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장착몸체(210)에 관통 형성되며, 장착몸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다.
다수의 장착홀(211)은 장착몸체(210)를 상하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이에 직교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몸체(210)를 좌우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한 쌍이 형성된다.
즉, 다수의 장착홀(211)은 장착몸체(210)를 상하좌우 '십(十)'자로 관통하는 4개의 홀이 한 세트를 이루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 세트만 표현되어 있으나, 바형 프레임(100)에 삽입된 장착몸체(210)의 나머지 부분에도 유사한 형태로 장착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수의 장착홀(211)은 다수의 조절홀(110)과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미도시) 등을 통해 한꺼번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장착몸체(210)를 바형 프레임(100)에 삽입할 때, 삽입되는 정도를 결정한 후, 장착홀(211)과 조절홀(110)을 체결하여 장착몸체(210)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장착몸체(210)와 바형 프레임(100)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소형보트(A)의 폭에 맞추어 바형 프레임(100)을 소형보트 상부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장착연장부(220)는 장착몸체(210)의 일단(도 7에서 우측 단부)에 연장되며, 장착몸체(210)와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즉, 장착브라켓(200)이 바형 프레임(100)에 결합되었을 때, 장착연장부(220)는 프레임연장부(12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장착연장부(220)에는 그 둘레를 따라 다수의 회전홀(221)이 형성된다. 다수의 회전홀(221)은 프레임연장부(120)에 형성된 다수의 위치고정홀(12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다수의 회전홀(221)은 다수의 위치고정홀(122)과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미도시) 등을 통해 한꺼번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장착몸체(210)를 바형 프레임(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축방향 회전시킨 후, 회전홀(221)과 위치고정홀(122)을 한번에 체결하면, 장착연장부(220)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측량장치(500)는 포스트(510)와 송수파기(520)로 구성될 수 있는데, 포스트(510)는 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포스트를 소형보트(A)에 장착한 상태 그대로는 소형보트(A)를 육지로 옮길 수 없다.
이에 따라, 종래 발명들은 측량장치를 소형보트 또는 거치장치로부터 떼어낸 후 육지로 옮기고, 측량작업을 위해 소형보트가 수중으로 들어갔을 때 다시 측량장치를 세로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장착브라켓(200)을 바형 프레임(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그대로 축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홀(221)과 위치고정홀(122)을 체결하는 볼트들만 풀어준 상태에서 포스트(510)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소형보트(A)가 육지에 배치될 때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포스트(510)를 회전시켜 소형보트(A)의 길이방향으로 두고, 측량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포스트(510)를 소형보트(A)에 직교하는 상하방향으로 둘 수 있으므로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장착수용부(230)는 장착연장부(220)의 일측에 결합된다. 장착수용부(230)에는 측량장치(500)의 포스트(510)가 수용되며, 장착수용부(230)는 후술되는 고정브라켓(300)과 협력하여 측량장치(500)를 고정시킨다.
장착수용부(230)는 측량장치(500)의 포스트(510)의 외주면과 대응될 수 있도록 'U'자 형태의 접촉부(231)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231)는 포스트(510)의 외면 형상에 따라 다소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부(231)는 폭은 포스트(5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조금 작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포스트(510)가 접촉부(231)에 수용되었을 때 포스트(510)의 일부는 접촉부(231)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노출된 부분을 고정브라켓(300)이 가압하여 측량장치(500)가 고정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장치가 소형보트에 설치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300)은 장착브라켓(200)의 일측면에 체결되며, 고정몸체(310), 고정장홀(320), 개방장홀(330) 및 고정파지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몸체(310)는 장착브라켓(200)의 장착수용부(230)에 맞닿아 접촉되며, 장착수용부(230)와 함께 측량장치(500)의 포스트(510) 외면을 가압하여 측량장치(500)를 소형보트(A)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장홀(320)은 고정몸체(310)의 일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에 형성되며, 양 단부가 모두 막혀있는 장홀로 형성된다. 개방장홀(330)은 고정몸체(310)의 타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우측)에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장홀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장홀(320)과 개방장홀(330)은 고정볼트(321, 331)가 관통 결합되어 장착브라켓(200)과 고정브라켓(300)을 체결시키며, 이때 고정볼트(321, 331)의 스크류 부분은 고정장홀(320)과 개방장홀(33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측량장치(500)를 장착브라켓(200) 및 고정브라켓(300) 사이에 단단히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볼트(321, 331)를 강하게 조여서 고정볼트(321, 331)의 헤드 부분과 그 반대편의 너트(미도시)가 협력하여 장착브라켓(200) 및 고정브라켓(300)을 강하게 압박하도록 한다.
만약, 사용자가 측량장치(500)를 장착브라켓(200) 및 고정브라켓(30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볼트(321, 331)를 살짝 풀어주고, 고정브라켓(300)을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으로 당겨주면, 개방장홀(330)의 개방된 부분으로 고정볼트(331)가 빠져나오게 되며, 고정브라켓(300)은 고정장홀(320)에 체결된 고정볼트(321)를 회전축으로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브라켓(300)에 의해 가로막혀 있던 측량장치(500)의 포스트(510)는 자유롭게 이탈 가능하고, 사용자는 측량장치(500)를 새로운 장치로 교체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고정몸체(310)의 일단(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 단부)에는 고정파지부(340)가 연장되어 고정브라켓(300)을 쉽게 당길 수 있도록 한다. 고정파지부(340)는 고정몸체(310)와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바형 프레임(100)은 소형보트(A)에 결합된 보조브라켓(150)과 추가로 더 결합될 수 있다. 도 8 등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브라켓(150)은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이 소형보트(A)의 상부에 거치되고, 측면이 소형보트(A)의 측부에 거치된다.
보조브라켓(150)의 상부면에는 클램프(151)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클램프(151)를 이용하여 바형 프레임(100)과 보조브라켓(150)이 연결될 수 있다. 보조브라켓(150)의 측면에는 프레임연장부(120)가 결합된다.
이러한 보조브라켓(150)은 소형보트(A)와 바형 프레임(100) 사이에서 소형보트(A)와 바형 프레임(100)을 상호 연결시키며, 바형 프레임(100)의 거치가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바형 프레임(100)의 수평을 맞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바형 프레임 110 : 조절홀
120 : 프레임연장부 121 : 벨트걸이홀
122 : 위치고정홀 130 : 너트홀
131 : 후크걸이부 140 : 제어부
141 : 제어안착부 142 : 제어보호부
150 : 보조브라켓 151 : 클램프
200 : 장착브라켓 210 : 장착몸체
211 : 장착홀 220 : 장착연장부
221 : 회전홀 230 : 장착수용부
231 : 접촉부 300 : 고정브라켓
310 : 고정몸체 320 : 고정장홀
321 : 고정볼트 330 : 개방장홀
331 : 고정볼트 340 : 고정파지부
400 : 탄성벨트 500 : 측량장치
510 : 포스트 520 : 송수파기

Claims (5)

  1. 내부가 비어있는 기다란 파이프 형태의 바형 프레임; 상기 바형 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며 측량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며 장착브라켓과 상호 협력하여 측량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브라켓은,
    장착브라켓의 일측면에 맞닿아 접촉되는 고정몸체; 고정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양 단부가 모두 막혀있는 장홀로 형성되는 고정장홀; 고정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장홀로 형성되는 개방장홀; 및 고정몸체의 일단에 고정몸체와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고정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프레임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의 장력을 가지는 탄성벨트;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형 프레임은 소형보트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탄성벨트는 소형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프레임은,
    바형 프레임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바형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조절홀;
    바형 프레임의 일단에 바형 프레임과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다수의 벨트걸이홀과 다수의 위치고정홀이 형성되는 프레임연장부; 및
    바형 프레임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며, 바형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의 너트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내부가 비어있는 바형 프레임의 일단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장착몸체;
    장착몸체의 일단에 장착몸체와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다수의 회전홀이 형성되는 장착연장부; 및
    장착연장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측정장치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장착수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5. 삭제
KR1020190123589A 2019-10-07 2019-10-07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KR102071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589A KR102071257B1 (ko) 2019-10-07 2019-10-07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589A KR102071257B1 (ko) 2019-10-07 2019-10-07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257B1 true KR102071257B1 (ko) 2020-01-30

Family

ID=6932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589A KR102071257B1 (ko) 2019-10-07 2019-10-07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615A (ko) * 2020-06-12 2021-12-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조사장비용 거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592B1 (ko) * 2006-04-18 2006-11-23 지마텍 주식회사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KR101609203B1 (ko) * 2016-01-18 2016-04-05 (주)해양공간정보기술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US9814299B2 (en) * 2013-08-08 2017-11-14 Ivan L. Nakamoto Inflatable carrying device of watercraft by person
KR200485103Y1 (ko) * 2016-06-08 2017-12-28 박웅순 보트용 다용도 홀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592B1 (ko) * 2006-04-18 2006-11-23 지마텍 주식회사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US9814299B2 (en) * 2013-08-08 2017-11-14 Ivan L. Nakamoto Inflatable carrying device of watercraft by person
KR101609203B1 (ko) * 2016-01-18 2016-04-05 (주)해양공간정보기술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KR200485103Y1 (ko) * 2016-06-08 2017-12-28 박웅순 보트용 다용도 홀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615A (ko) * 2020-06-12 2021-12-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조사장비용 거치 장치
KR102347118B1 (ko) * 2020-06-12 2022-01-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조사장비용 거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89540A1 (en) Marine seismic surveying in icy or obstructed waters
AU2007269339B9 (en) Method and system of underwater acoustic positioning of seismic streamers based on modulated acoustic signals
AU2001278596B2 (en) A housing for a seismic sensing element and a seismic sensor
CN108445542A (zh) 一种可调方位的海底地震仪投放装置
KR102071257B1 (ko)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AU2001278596A1 (en) A housing for a seismic sensing element and a seismic sensor
FR2575556A1 (fr) Flute marine verticale
KR101033111B1 (ko) 멀티빔 음향측심기 구조물을 장착한 해양지형조사선
KR101302177B1 (ko) 틸팅수단을 구비한 듀얼 멀티빔 측심장치
US20180106921A1 (en) Removable fastening mechanism for marine deployment of autonomous seismic nodes
KR20110090680A (ko) 수심 측량기의 선박 설치용 장치
KR101475700B1 (ko) 수중 암반 고정용 해양관측장비 프레임
US5616059A (en) Tailbuoy with self-deploying mast
KR101591741B1 (ko) 9채널 접이식 고정체 소형선박 3차원 탄성파탐사장치 및 그 방법
JP2997635B2 (ja) 水中曳航器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探査装置
KR200469633Y1 (ko) 해안 수심 측량 장치
KR101605406B1 (ko) 소형 선박용 레고형 3차원 탄성파 탐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947326B1 (ko) 자체부력형 탄성파 탐사 모듈을 포함하는 탄성파 탐사 장치 및 그 방법
CA2513569A1 (en) Improved sensors and an improved data sensing and recording apparatus
KR101591269B1 (ko)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KR101008880B1 (ko) 멀티빔 음향 측심기 트랜스듀서 장착구
KR102073646B1 (ko) 해저면의 굴곡을 확인하여 해저의 지형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는 수로조사시스템
CN216248331U (zh) 一种海洋地震勘探用检波器海底固定装置
JP2001174259A (ja) 海面変位計測装置
KR101121511B1 (ko) 고무보트용 음향 측심 트랜스듀서 결합체 거치대 및 이를 장착한 고무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