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269B1 -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 Google Patents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269B1
KR101591269B1 KR1020150146801A KR20150146801A KR101591269B1 KR 101591269 B1 KR101591269 B1 KR 101591269B1 KR 1020150146801 A KR1020150146801 A KR 1020150146801A KR 20150146801 A KR20150146801 A KR 20150146801A KR 101591269 B1 KR101591269 B1 KR 101591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er
buoy
wire
water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4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38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ater-covered areas
    • G01V1/3843Deployment of seismic devices, e.g. of strea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2Generating seismic energy
    • G01V1/04Details
    • G01V1/09Transporting arrangements, e.g.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8Receiving elements, e.g. seismometer, geophone or torque detectors, for localised single point measurements
    • G01V1/186Hydroph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38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ater-covered areas
    • G01V1/3843Deployment of seismic devices, e.g. of streamers
    • G01V1/3852Deployment of seismic devices, e.g. of streamers to the seab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2Signal generation
    • G01V2210/129Source location
    • G01V2210/1293Se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4Signal detection
    • G01V2210/142Receiver location
    • G01V2210/1423S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Oceanograph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해지역이나 연안지역에서 대형 탐사장비 없이 간소화된 장비로 탄성파 탐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부이의 부력을 통해 스트리머의 수진기를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동시에 부력에 대응하는 응력을 제공함으로써 수진기를 일정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형 선박의 후미에서 예인되면서 수중에서 해저면을 향해 탄성파 음원를 발생시키는 탄성파 발생기; 상기 탄성파 발생기와 이격된 상태로 소형 선박의 후미에 연결되어 일직선 형태를 이루면서 예인되며, 해저면에서 반사되는 탄성파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진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머; 상기 스트리머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는 부력체로 이루어져 수면에 부상한 상태로 스트리머와 함께 예인되면서 상기 스트리머를 부상시키는 복수의 부이; 상기 부이와 상기 스트리머를 연결하고, 길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부이와 상기 스트리머의 간격을 조절하는 부이커넥터; 및 상기 부이의 수량에 대응하면서 상기 스트리머에 설치되고, 상기 부이의 부력에 대항하는 응력을 상기 스트리머에 제공하여 상기 스트리머를 가라앉히면서 상기 스트리머와 상기 부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응력제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MARINE SEISMIC EXPLORATION APPARATUS WITH WATER DEPTH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탄성파 탐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해지역이나 연안지역에서 대형 탐사장비 없이 간소화된 장비로 탄성파 탐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부이의 부력을 통해 스트리머의 수진기를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동시에 부력에 대응하는 응력을 제공함으로써 수진기를 일정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탄성파탐사는 탐사선 후미에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음원과 기록수진기가 내장된 스트리머를 순차적으로 진수한 채로 일정속도로 항해하면서 주기적으로 음원을 발파하여 탄성파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발생한 탄성파가 해저 지층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를 수진기에 도달하면 이를 기록 분석하여 해양정보를 얻게 된다.
이러한 탄성파탐사는 사용하는 선박의 크기에 따라 대형선박탐사와 소형선박탐사로 나뉘게 되고, 사용되는 수진기배열인 스트리머가 1줄이면 2차원 탐사이고, 2줄 이상일 경우 3차원탐사라고 한다.
2차원탐사는 음원과 스트리머를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을 목적으로 2차원 단면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반면, 3차원 탐사는 자료취득 시부터 3차원적인 정보를 얻는다. 그러므로 3차원 탐사는 2차원탐사보다 훨씬 더 복잡한 구조도 영상화할 수 있으나, 많은 장비들을 해상으로 진수해야 하고 각 장비의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얻기 위해서 대형선박으로 주로 수행되어 왔다.
여기서, 탄성파탐사는 수중에서 스트리머가 일정한 수심에서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이동해야 정확한 탐사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3482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트리머의 수심을 유지시키기 위한 버드를 스트리머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버드는 스트리머의 외측에 설치되고, 원격 또는 자동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날개를 통해 스트리머의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버드를 이용한 탄성파탐사는 대형선박을 이용한 대양에서의 탐사에 적합할 뿐, 천해지역과 같이 수심이 얕거나 연안, 어업지역과 같이 어망, 어구, 쓰레기 등이 많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불가능하다.
버드가 어망이나 쓰레기와 충돌할 경우 버드의 날개가 파손되거나 버드 자체가 스트리머에서 분리되어 유실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버드는 고가의 장비로서 파손되거나 유실될 경우 비용적으로 큰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천해지역이나 연안지역에서는 대형 선박보다는 소형 선박을 이용하여 탄성파탐사를 수행하면서 버드와 같은 고가의 장비 없이도 스트리머의 수평 및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348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천해지역이나 연안지역에서 소형선박에 의한 탐사가 가능하도록 버드와 같은 장비가 없이도 스트리머를 통해 탐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스트리머에 부력을 제공하면서 부력에 대응하는 응력을 제공함으로써 스트리머의 수진기를 일정 수면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는, 소형 선박의 후미에서 예인되면서 수중에서 해저면을 향해 탄성파 음원를 발생시키는 탄성파 발생기;상기 탄성파 발생기와 이격된 상태로 소형 선박의 후미에 연결되어 일직선 형태를 이루면서 예인되며, 해저면에서 반사되는 탄성파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진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머; 상기 스트리머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는 부력체로 이루어져 수면에 부상한 상태로 스트리머와 함께 예인되면서 상기 스트리머를 부상시키는 복수의 부이; 상기 부이와 상기 스트리머를 연결하고, 길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부이와 상기 스트리머의 간격을 조절하는 부이커넥터; 및 상기 부이의 수량에 대응하면서 상기 스트리머에 설치되고, 상기 부이의 부력에 대항하는 응력을 상기 스트리머에 제공하여 상기 스트리머를 가라앉히면서 상기 스트리머와 상기 부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응력제공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응력제공부재는, 상기 스트리머의 양측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물살을 가르면서 상기 스트리머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하향 경사로 설치되어 상기 스트리머를 가라앉히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하향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제공부재는, 상기 하향날개를 상시 스트리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하향날개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틸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틸터는, 상기 스트리머의 양측에 돌출되고, 원주방향에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축; 상기 하향날개의 일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각도조절공이 형성된 날개슬리브; 및 상기 날개슬리브의 각도조절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축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파 발생기는, 수중에서 전기를 방전시켜 음파를 발생시키는 스파커음원 발생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부이 및 상기 응력제공부재는, 상기 스트리머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진기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이커넥터는, 상기 스트리머에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단부에 나사부를 갖는 제1 와이어; 상기 부이에 고정되어 하부로 연장되고, 단부에 나사부를 갖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제1 와이어의 나사부와 상기 제2 와이어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를 이격상태로 연결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턴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부이커넥터는, 상기 스트리머에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제1 밴드; 상기 부이에 고정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제2 밴드; 및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속시키는 밴드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에 의하면, 부이의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는 스트리머가 응력제공부재에서 제공되는 응력에 의해 가라앉으면서 스트리머와 부이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고 유지됨에 따라 스트리머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일정수면 아래에서 탄성파를 수신하므로 버드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정확한 탐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응력제공부재를 구성하는 하향날개의 각도가 틸터에 의해 조절되므로 부이의 부력이나 현장 상황에 따라 하향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 스트리머와 부이를 연결하는 부이커넥터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므로 스트리머의 수면 아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부이커넥터가 한 쌍의 와이어와, 이 와이어들을 이격상태로 연결하는 턴버클로 구성될 경우에는 부이와 스트리머가 좀 더 견고하게 연결되면서 턴버클의 회전을 통해 용이하게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응력제공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부이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파 발생기(100), 스트리머(200), 부이(300), 부이커넥터(400) 및 응력제공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파 발생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의 후미에서 스트리머와 이격된 상태로 예인되면서 수중에서 탄성파 음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탄성파 발생기(100)는 예컨대, 스파커 음원 발생기로 구성될 수 있다.
스파커(sparker) 음원 발생기는 알려진 바와 같이 음파 탐지기의 하나로서, 전기 에너지를 수중에서 순간적으로 방전시켜 음파를 발생시키는 기기이며, 해양자원 탐사, 지반조사, 퇴적환경연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기기이다.
이러한 스파커 음원 발생기는 음원 조절부와 기록계 및 후술되는 수진기(210)와 함께 하나의 탄성파 탐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탄성파 발생기(100)는 에어건으로 구성되어 압축공기의 공급을 통해 탄성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스트리머(200)는 케이블 형태로 제작되어 탄성파 발생기(100)와 이격된 상태로 선박(S)에 의해 예인되면서 해저면에서 반사 또는 굴절되는 탄성파를 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트리머(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진기(210)를 통해 탄성파를 수신하여 탐사시스템에 제공하며, 탐사 규모에 서로 다른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부이(300)는 스트리머(200)를 수평상태로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되는 부이커넥터(400)에 의해 스트리머(200)에 연결되어 스트리머(200)를 부상시킨다.
이러한 부이(300)는 예컨대 스티로폼과 같이 부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튜브형태로 제작되어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부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부이(300)는 직진성을 높이기 위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부이(300)는 부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중량체가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즉, 부이(300)의 일측에는 금속재와 같은 중량체가 부착되는 미도시된 중량체 부착고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부착고리에 중량체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면서 부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부이커넥터(400)는 부이(300)와 스트리머(200)를 연결하면서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여 부이(300)와 스트리머(200)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부이커넥터(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밴드(450), 제2 밴드(460) 및 밴드버클(4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밴드(450)는 스트리머(200)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부로 연장되고, 제2 밴드(460)는 부이(300)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타단부가 하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1 밴드(450) 및 제2 밴드(460)는 내식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면서 스트리머(200) 및 부이(300)에 각각 마련된 미도시된 결속고리에 제각기 결속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밴드버클(470)은 제1 밴드(450)와 제2 밴드(460)를 결속시켜 고정하면서 결속길이의 조절을 허용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밴드버클(470)은 예컨대, 허리띠의 양단부를 결속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밴드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속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한편, 부이커넥터(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이커넥터(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410), 제2 와이어(420) 및 턴버클(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와이어(410)는 스트리머(200)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부로 연장되고, 내식성을 갖는 플랙시블와이어로 구성되면서 타단의 일부분에 나사부가 형성된다.
제2 와이어(420)는 제1 와이어(410)와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부이(300)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타단부가 하부로 연장되며, 제1 와이어(410)와 동일하게 내식성을 갖는 플랙시블와이어로 구성되면서 타단의 일부분에 나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와이어(410) 및 제2 와이어(420)는 도시된 바와 달리 나사부가 분리구성되어 각각의 나사부에 결속되면서 고정될 수도 있다.
턴버클(4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410)의 나사부 및 제2 와이어(420)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제1 와이어(410) 및 제2 와이어(420)를 이격상태로 연결한다.
이러한 턴버클(430)은 정회전에 의해 제1 와이어(410) 및 제2 와이어(420)의 이격거리를 좁히고, 역회전에 의해 제1 와이어(410) 및 제2 와이어(420)의 이격거리를 넓히면서 부이(300)와 스트리머(200)의 간격을 조절한다.
응력제공부재(500)는 부이(300)에 대응하는 응력을 통해 스트리머(200)와 부이(300)의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스트리머(200)가 수면 위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스트리머(200)는 선박(S)에 의해 예인되는 과정에서 부이커넥터(400)를 구성하는 와이어 또는 밴드가 플랙시블한 소재로 구성됨에 따라 조류에 의해 부이(300) 측으로 부상하면서 이동하며, 나아가 심한 조류나 파도에 의해 수면 밖으로 부상하게 됨에 따라 탄성파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즉, 응력제공부재(500)는 부이(300)의 부력에 대응하는 응력을 스트리머(200)에 제공하여 스트리머(200)를 가라앉힌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트리머(200)의 부상을 방지하고, 스트리머(200)와 부이(30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응력제공부재(5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리머(200)의 양측에 돌출되는 하향날개(510)로 구성될 수 있다.
하향날개(510)는 스트리머(200)의 양측에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각각 돌출되어 스트리머(200)와 함께 이동하고, 물살을 가르면서 스트리머(200)를 가라앉히는 방향으로 안내하여 스트리머(200)와 부이(300)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즉, 스트리머(200)는 부이(300)에 매달린 상태로 이동하면서 하향날개(510)에 의해 가라앉는 방향으로 안내되어 부이(300)에 대응하는 응력을 받음에 따라 부이(300) 측으로 부상하지 않고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중에서 이동한다.
여기서, 부이(300)와 응력제공부재(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진기(210)에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수진기(210)기에 제각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응력제공부재(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터(5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틸터(520)는 전술한 하향날개(510)를 스트리머(200)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하향날개(510)의 경사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틸터(520)는 조류나 파도의 세기에 따라 하향날개(510)의 각도를 조절시킴으로써 부이(300)의 부력에 대한 응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틸터(520)는 예컨대,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521), 날개슬리브(522) 및 고정볼트(5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축(521)은 스트리머(200)의 수진기(210) 양측에 돌출형성되며, 원주방향의 일부분에 체결공(521a)이 형성된다.
날개슬리브(522)는 하향날개(510)의 단부에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고정축(52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각도조절공(522a)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가 고정축(521)의 체결공(521a)에 연통된다.
고정볼트(523)는 복수의 각도조절공(522a) 중 하나를 관통한 상태로 고정축(521)의 체결공(521a)에 체결되면서 하향날개(510)를 각도조절된 상태로 고정축(521)에 고정한다.
즉, 하향날개(510)는 날개슬리브(522)를 통해 고정축(521)에 끼워져 회전하면서 각도가 조절되고, 이때 고정축(521)의 체결공(521a)과 연통된 날개슬리브(522)의 각도조절공(522a)을 고정볼트(523)로 고정함으로써 각도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는, 부이(300)의 부력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이동하는 스트리머(200)가 하향날개(510)의 가이드에 의해 가라앉는 방향의 응력을 받으면서 이동하므로 조류나 파도에 의해서도 수면으로 부상하지 않고 부이(300)와의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버드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천해지역에서 소형선박을 이용하여 정확한 탐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탄성파 발생기
200 : 스트리머
210 : 수진기
300 : 부이
400 : 부이커넥터
410 : 제1 와이어
420 : 제2 와이어
430 : 턴버클
450 : 제1 밴드
460 : 제2 밴드
470 : 밴드버클
500 : 응력제공부재
510 : 하향날개
520 : 틸터
521 : 고정축
521a : 체결공
522 : 날개슬리브
522a : 각도조절공
523 : 고정볼트

Claims (8)

  1. 소형 선박의 후미에서 예인되면서 수중에서 해저면을 향해 탄성파 음원를 발생시키는 탄성파 발생기;
    상기 탄성파 발생기와 이격된 상태로 소형 선박의 후미에 연결되어 일직선 형태를 이루면서 예인되며, 해저면에서 반사되는 탄성파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진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머;
    상기 스트리머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는 부력체로 이루어져 수면에 부상한 상태로 스트리머와 함께 예인되면서 상기 스트리머를 부상시키는 복수의 부이;
    상기 부이와 상기 스트리머를 연결하고, 길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부이와 상기 스트리머의 간격을 조절하는 부이커넥터; 및
    상기 부이의 수량에 대응하면서 상기 스트리머에 설치되고, 상기 부이의 부력에 대항하는 응력을 상기 스트리머에 제공하여 상기 스트리머를 가라앉히면서 상기 스트리머와 상기 부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응력제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응력제공부재는,
    상기 스트리머의 양측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물살을 가르면서 상기 스트리머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하향 경사로 설치되어 상기 스트리머를 가라앉히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하향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력제공부재는,
    상기 하향날개를 상시 스트리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하향날개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틸터는,
    상기 스트리머의 양측에 돌출되고, 원주방향에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축;
    상기 하향날개의 일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각도조절공이 형성된 날개슬리브; 및
    상기 날개슬리브의 각도조절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축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파 발생기는,
    수중에서 전기를 방전시켜 음파를 발생시키는 스파커음원 발생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이 및 상기 응력제공부재는,
    상기 스트리머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진기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이커넥터는,
    상기 스트리머에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단부에 나사부를 갖는 제1 와이어;
    상기 부이에 고정되어 하부로 연장되고, 단부에 나사부를 갖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제1 와이어의 나사부와 상기 제2 와이어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를 이격상태로 연결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턴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이커넥터는,
    상기 스트리머에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제1 밴드;
    상기 부이에 고정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제2 밴드; 및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속시키는 밴드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KR1020150146801A 2015-10-21 2015-10-21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KR101591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01A KR101591269B1 (ko) 2015-10-21 2015-10-21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01A KR101591269B1 (ko) 2015-10-21 2015-10-21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269B1 true KR101591269B1 (ko) 2016-02-03

Family

ID=5535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801A KR101591269B1 (ko) 2015-10-21 2015-10-21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2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801B1 (ko) 2017-11-24 2019-03-12 (주) 에이에이티 심해용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해저탄성파 탐사용 수신기
KR102184139B1 (ko) 2020-07-09 2020-11-27 (주)유에스티21 측면주사음향탐사기용 디프레셔
WO2023159406A1 (zh) * 2022-02-24 2023-08-31 滨州学院 一种浅剖地震数据采集辅助设备及其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344A (ko) * 2007-07-25 2009-02-02 지하정보기술(주) 해양 탄성파 탐사 송신원 발생장치
KR101039146B1 (ko) * 2011-01-19 2011-06-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양 탄성파탐사용 부머
KR20130134822A (ko) 2012-05-31 2013-12-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탄성파 탐사장치
KR101446065B1 (ko) * 2013-07-10 2014-10-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탄성파 탐사용 음원 발생장치
KR101521857B1 (ko) * 2014-11-04 2015-05-21 주식회사 지오뷰 3d 탄성파 탐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344A (ko) * 2007-07-25 2009-02-02 지하정보기술(주) 해양 탄성파 탐사 송신원 발생장치
KR101039146B1 (ko) * 2011-01-19 2011-06-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양 탄성파탐사용 부머
KR20130134822A (ko) 2012-05-31 2013-12-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탄성파 탐사장치
KR101446065B1 (ko) * 2013-07-10 2014-10-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탄성파 탐사용 음원 발생장치
KR101521857B1 (ko) * 2014-11-04 2015-05-21 주식회사 지오뷰 3d 탄성파 탐사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801B1 (ko) 2017-11-24 2019-03-12 (주) 에이에이티 심해용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해저탄성파 탐사용 수신기
KR102184139B1 (ko) 2020-07-09 2020-11-27 (주)유에스티21 측면주사음향탐사기용 디프레셔
WO2023159406A1 (zh) * 2022-02-24 2023-08-31 滨州学院 一种浅剖地震数据采集辅助设备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1492C (en) Marine seismic survey systems and methods using autonomously or remotely operated vehicles
KR101521857B1 (ko) 3d 탄성파 탐사장치 및 방법
US102488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distance measurement
US20130083622A1 (en) Underwater node for seismic surveys
AU200626864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cquisition of marine seismic data
GB2436457A (en) Deriving the shape of marine seismic cables from measured characteristics of steering devices
AU2013201350B2 (en) Steering submersible float for seismic sources and related methods
EA025769B1 (ru) Способ сейсморазведки с поперечным разнесением сейсмических источников
CA292044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rveying
EA024525B1 (ru) Способ сбора морских геофизических данных (варианты)
WO2023050697A1 (zh) 海底四分量节点地震数据采集系统及其数据采集方法
KR101591269B1 (ko)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EP2743736A1 (en) Tail device connectable to a tail of a towed acoustic linear antenna cooperating with a set of at least one depth control means.
KR101591741B1 (ko) 9채널 접이식 고정체 소형선박 3차원 탄성파탐사장치 및 그 방법
EP3072805A1 (en) Submerged front end buoy
US20140269179A1 (en) Streamers without tailbuoys
KR101947326B1 (ko) 자체부력형 탄성파 탐사 모듈을 포함하는 탄성파 탐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46984B1 (ko) 분리형 3차원 해양 탄성파 탐사를 위한 베인 탈부착식 디플렉터 시스템
WO2013055847A1 (en) Marine seismic variable depth control method and device
EP2778719A2 (en) Automated lateral control of seismic streamers
KR101656860B1 (ko) 분리형 3차원 해양 탄성파 탐사를 위한 베인 각도조절식 디플렉터 시스템
KR102023343B1 (ko)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를 위한 수신기 거리 유지장치
RU2607076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ейсмоакустическими коса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120134235A1 (en) Areal Marine Seismic Exploration Method
KR102389049B1 (ko) 분리형 3차원 해양 탄성파 탐사를 위한 베인이 부착된 수로조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