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203B1 -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203B1
KR101609203B1 KR1020160006010A KR20160006010A KR101609203B1 KR 101609203 B1 KR101609203 B1 KR 101609203B1 KR 1020160006010 A KR1020160006010 A KR 1020160006010A KR 20160006010 A KR20160006010 A KR 20160006010A KR 101609203 B1 KR101609203 B1 KR 101609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oupling
tube
echo sounder
rubber 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복
Original Assignee
(주)해양공간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양공간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해양공간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6000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18Sonar
    • B63B2739/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는, 고무보트(70)의 고무튜브(71)의 상면에 걸쳐지며, 일측에는 음향측심기(60)가 장착되는 음향측심기 장착부(50)가 설치되는 튜브걸이(11)를 구비하는 고무튜브 결합부(10);와 고무보트의 바닥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고무튜브 결합부(1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고무보트의 이음매 요부(72)로 삽입되는 바닥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지지부는, 하면이 개방된 제2 결합대(31)와 상기 제2 결합대(31)의 내부로 일부를 삽입 결합하는 제1 결합대(35)로 이루어지는 접이부(30);와 상기 접이부(30)에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는 분해 결합이 용이하고 휴대성이 좋으며, 미사용 시 보관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이부를 펴는 힘으로 고무보트의 이음매 요부에 강하게 밀착 결합시키므로, 거치대의 설치 후 안정성이 좋아진다.

Description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AN ECHO SOUNDER MOUNTING DEVICE FOR A RUBBER BOAT}
본 발명은 음향측심기를 설치 후 계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는 음향측심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보트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해양의 수심을 측정하기 위하여 음향측심기를 사용하고 있다.
음향측심기는 음파를 바다 또는 강바닥으로 쏘아 보낸 뒤 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으로 바다 또는 강의 깊이를 측정하게 되는 기기를 말하며, 보통 선박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래에는 음파의 송수신 범위 안에서 바다 밑 횡단면 전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다중빔 음향측심기(MULTI-BEAM ECHO SOUNDER)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음향측심기로 정밀한 측정을 하려면, 계측작업 중에 음향측심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선박에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음향측심기를 선박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제작된 거치대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거치대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646592호와 제1002037호를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 여러 가지 종래기술이 알려져 있다.
한편, 강이나 천해와 같이 5m 이내의 얕은 수심에서 측정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얕은 수심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암초 등에 대한 회피 기동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무보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의 거치대들은, 나무나 철 또는 FRP 같은 강성 재질로 만들어진 선박에 부착하기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재질이 부드러우며 탄성이 있는 고무보트에는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따라서 고무보트에는 특별히 고안된 고무보트 전용의 거치대를 사용하여 왔는데, 그 일례가 한국 등록특허 제112151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고무보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이 관통하여 개방되고, 상하좌우의 면이 폐쇄되는 튜브 수용부를 가지는 사각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클램프로 구성하되, 상기 튜브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는 음향 측심용 트랜스듀서를 지지하는 트랜스듀서 결합체가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튜브 수용부를 가지는 사각통으로 이루어진 음향측심기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고무보트는 크기에 따라 대략 50kg~150kg의 중량을 가지므로, 고무보트를 들고 사각통을 고무보트에 끼워 넣거나 빼내는 작업을 하기가 매우 힘들다.
둘째, 상기 사각통은 고무보트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형식이므로, 고무보트가 물 위에 떠있는 상태에서는 사각통을 고무보트에 끼워 넣거나 빼내는 작업을 하는 것이 곤란하다.
셋째, 따라서 상기 사각통은 고무보트를 육상에 끌어올려 미리 장착되어야 하고, 이렇게 사각통이 장착된 상태에서 수상 운전에 들어가야 하는데, 이 경우 사각통이 물에 저항하므로 운전효율을 떨어뜨리고, 운전 조작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넷째, 상기 사각통은 고무보트의 고무튜브 상면을 가로질러 설치되므로, 설치 후 사각통의 상판이 바닥에서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무보트 위에서 작업을 할 때 거치적거리기 쉽고, 작업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물에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의 우려도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646592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2037호 한국 등록특허 제11215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고무보트의 구조를 이용하여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향측심기 거치대를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으며, 장착 시 고무보트의 구조나 운항 및 승선자의 활동에 아무런 영양을 주지 않는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는, 고무보트의 고무튜브의 상면에 걸쳐지며, 일측에는 음향측심기가 장착되는 음향측심기 장착부가 설치되는 튜브걸이를 구비하는 고무튜브 결합부;와 고무보트의 바닥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고무튜브 결합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고무보트의 이음매 요부로 삽입되는 바닥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지지부는, 하면이 개방된 제2 결합대와 상기 제2 결합대의 내부로 일부를 삽입 결합하는 제1 결합대로 이루어지는 접이부;와 상기 접이부에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는, 일단이 고무튜브 결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무보트의 이음매 요부로 삽입되되. 상기 이음매 요부로 삽입되는 타단에는 삽입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2 결합대와 제1 결합대에 각각 축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축구멍으로 상기 제2 결합대와 제1 결합대를 축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2 결합대와 제1 결합대가 상기 축구멍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길이조절부는, 일단이 고무튜브 결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이부에 고정되는 제1 길이조절부;와 일단이 고무보트의 이음매 요부로 삽입되고, 타단이 접이부에 고정되는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는 고무보트가 육상에 있거나 수상에 있거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측심기 거치대의 설치 위치가 고무보트의 바닥면과 고무튜브 상면으로 한정되므로 고무보트의 운항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음향측심기 거치대가 고무보트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는 분해 결합이 용이하므로, 휴대성이 좋고 미사용 시 보관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는 접이부를 펴는 힘으로 고무보트의 이음매 요부에 강하게 밀착 결합시키므로, 거치대의 설치 후 안정성이 좋아진다. 그리고 거치대의 안정성은 거치대에 장착된 음향측심기의 요동 현상을 막아주므로, 측정 정밀도의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의 주요부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의 설치 설명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앞', '뒤', '좌, '우', '선단', '전방', '후단', '후방'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향측심기 거치대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고무보트에 장착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음향측심기 거치대의 전체적인 구성과 바닥지지부 쪽의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례에 따른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100)를 이루는 구성은 크게 고부튜브 결합부(10)과 바닥지지부로 나눠진다.
상기 고부튜브 결합부(10)는 일측에는 수심을 측정하는 음향측심기(60)가 장착되는 음향측심기 장착부(50)가 설치되는 튜브걸이(11)로 이루어진다.
튜브걸이(11)는 고무보트(70)의 고무튜브(71) 상면에 끼워서 걸치는 부분이다. 도 1에 보이는 튜브걸이(11)의 전체적인 형상은 고무튜브(71) 상면의 형상을 따른 원호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튜브걸이(11)를 고무튜브(71)에 끼웠을 때, 둘 사이가 보다 밀착되어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브걸이(11)의 형상을 사각형상 등으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례의 튜브걸이(11)는 원호형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파이프를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한 후, 두 파이프 사이를 다수의 보강대(12)로 연결하여 형성한다. 튜브걸이(11)와 보강대(12)는 원형파이프나 각파이프 또는 봉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튜브걸이(11)의 바깥쪽, 즉 튜브걸이(11)를 고무튜브에 끼워 걸쳤을 때 수면을 향하는 쪽에는 음향측심기 장착부(50)가 설치된다. 음향측심기 장착부(50)는 결합구(51)과 장착판(52)으로 구성된다.
장착판(51)은 튜브걸이(11)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는 일종의 판자형 브래킷이다. 상기 장착판(51)의 바깥쪽 면에는 결합구(51)이 볼트(미도시) 체결 등의 방법으로 장착된다. 결합구(51)는 음향측심기(60)의 깊이조절관(61)을 잡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구(51)는 클램프와 같은 공지의 기술수단을 채용하여 구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례의 바닥지지부는 고무보트의 바닥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기다란 대 형상의 동일한 구조물 2개를 병렬로 배치하고, 각 구조물의 양단을 별도의 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프레임을 이루는 것이다. 이 바닥지지부는 상기 고무튜브 결합부(1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고무보트의 이음매 요부(72)로 삽입되게 된다.
바닥지지부는 크게 보아 길이조절부와 접이부(30)로 구성을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길이조절부는 다시 제1 길이조절부(20)와 제2 길이조절부(40)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 3의 도시를 보면, 본 실시례의 접이부(30)는 제1 결합대(35)와 제2 결합대(31)로 구분된다.
상기 제2 결합대(31)는 하면이 개방된 각파이프로 구성할 수 있으며, 측면에는 다수의 고정구 삽입공(32, 33)이 형성된다. 이때 하면의 개방은 후술할 제1 결합대(35)와 결합되는 부분에서만 이루어져도 좋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 삽입공(32)은 후술할 제2 길이조절부(40)의 간격조절공(42, 43)과 일치시킨 후 고정구(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 또는 핀 등의 기계요소를 말하며, 이하 '고정구'로 칭하기로 한다.)로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 삽입공(33)은 후술할 제1 결합대(35)의 고정구 삽입공(37)과 각각 고정구로 체결된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 결합대(31)를 직경이 작은 기본결합대(31a)와 이 보다 직경이 큰 확장결합대(31b)를 갖도록 구성한다. 확장결합대(31b)는 그 내부에 제1 결합대(35)의 일부가 삽입 수용되어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만일, 제2 결합대(31)를 기본결합대(31a)와 확장결합대(31b)로 구분되도록 제조하지 않고 동일 직경을 갖는 하나의 대로 제조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1 결합대(3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대(35)보다 직경의 크기를 크게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대(31)와 이에 삽입되는 제1 결합대(35)에는 측면에는 축구멍(34)을 형성한다. 제1 결합대(35)의 경우에는 축구멍(34)을 제2 결합대(31)로 삽입되는 쪽의 말단부에 형성하며, 제2 결합대(31)의 축구멍(34)은 접이부(30)를 꺾고자하는 부분에 형성한다.
상기 제2 결합대(31)에 제1 결합대(35)를 삽입하여 양쪽 축구멍(34)을 일치시킨 후, 축 역할을 할 수 있는 핀이나 볼트 같은 부재를 삽입하여 축결합시키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결합대(31)와 제1 결합대(35)는 축구멍(34)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 결합대(35)는 동일 직경을 갖는 하나의 대로 제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대(35)에 삽입 결합되는 부분에는 측면으로 축구멍(34)과 고정구 삽입공(37)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결합대(35)에 삽입되지 않고 노출되는 부분에는 고정구 삽입공(36)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1 길이조절부(20)의 간격조절공(22, 23)과 일치시킨 후 고정구로 결합시키게 된다.
도 2 및 도 3의 도시를 참조하여 길이조절부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의 길이조절부는 한 쌍의 각파이프를 나란히 배치하여 형성되고, 제1 길이조절부(20)와 제2 길이조절부(40)로 나눠져 접이부(30)의 양쪽으로 각각 연결되어 진다. 그러나 고무보트 크기가 작은 경우라면 제1 길이조절부(20)와 제2 길이조절부(40)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길이조절부(20)는, 일단이 고무튜브 결합부(10)의 튜브걸이(11)와 연결되고, 타단은 접이부(30)에 고정된다. 제1 길이조절부(20)의 측면에는 다수의 간격조절공(22, 23)이 형성되며, 제1 결합대(35)의 고정구 삽입공(36)과 일치시킨 후 고정구로 결합시키게 된다.
제1 길이조절부(20)의 일단에는 짧은 파이프 형태의 튜브걸이 결합구(24)를 세워 설치한다. 이 튜브걸이 결합구(24)에 튜브걸이(11)의 단부를 끼우고, 튜브걸이 결합구(24)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에 고정볼트(24)를 체결하여 제1 길이조절부(20)에 튜브걸이(11)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는 제1 길이조절부(20)의 튜브걸이(11) 쪽 단부에 쐐기 모양의 삽입날(21)을 형성하는데, 이 삽입날(21)은 병렬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길이조절부(20)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삽입날(21)은, 본 발명의 음향측심기 거치대를 고무보트에 설치할 때, 고무보트(70)의 이음매 요부(72)로 파고들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거치대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무보트에 결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길이조절부(40)는, 일단이 고무보트(70)의 이음매 요부(72)로 삽입되고, 타단은 접이부(30)에 고정된다. 제2 길이조절부(40)의 측면에는 다수의 간격조절공(42, 43)이 형성되며, 제2 결합대(31)의 고정구 삽입공(32)과 일치시킨 후 고정구로 결합시키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고무보트(70)의 이음매 요부(72)로 삽입되는 제2 길이조절부(40)의 일단에 쐐기 모양의 삽입날(41)을 형성한다. 이 삽입날(41)은 병렬로 배치된 한 쌍의 제2 길이조절부(40)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길이조절부(20)의 삽입날(21)과 마찬가지로, 고무보트(70)의 이음매 요부(72)로 삽입되어 거치대가 안정적으로 고무보트에 결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례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음향측심기 거치대(100)는 고무보트(70)에 장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향측심기 거치대(100)를 고무보트(70)에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지지부를 다음과 같이 조립한다.
우선 접이부(30)의 제1 결합대(35)에 형성된 고정구 삽입공(37)과 제2 결합대(31)에 형성된 고정구 삽입공(37) 사이에는 고정구를 체결하지 않고, 제1 결합대(35)와 제2 결합대(31)의 양 축구멍(34)을 이용하여 축결합시킨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접이부(30)의 제1 결합대(35)와 제2 결합대(31)는 축구멍(34)에 삽입되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도 3의 도시와 같이 접이부(30)가 소정각도로 꺾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길이조절부(20)와 제2 길이조절부(40)는 각각 접이부(30)에 좌우로 결합시킨다. 이 때 보트 바닥의 폭을 고려하여 각 길이조절부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간격조절공 중 적합한 조절공을 선택한 후, 접이부(30)의 고정구 삽입공 들과 일치시킨 후 고정구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바닥지지부의 총 길이를 보트 바닥의 폭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고무튜브 결합부(10)와 바닥지지부의 연결은 다음과 같이 한다.
제1 길이조절부(20)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튜브걸이 결합구(24)에 튜브걸이(11)의 단부를 끼운다. 이때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음향측심기장착부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한다.
이후 튜브걸이 결합구(24)의 측면 구멍을 관통시켜 고정볼트(24)를 체결하면 고정볼트가 튜브걸이 결합구(24)에 삽입되어 있는 튜브걸이(11) 단부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 이로써 고무튜브 결합부(10)와 바닥지지부가 연결되어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음향측심기 거치대(100)를 고무보트에 장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1에 도시된 것처럼, 고무튜브(71) 상에 적절한 위치에 튜브걸이(11)에 건다. 이때 음향측심기 거치대(100)의 접이부(30)는 도 3과 같이 꺾여있는 상태이다.
그 다음, 꺾여있는 접이부(30)를 위에서 눌러 곧게 펴준다. 이에 따라 삽입날(21, 41)은 각각 고무보트(70)의 이음매 요부(72)로 파고들며 삽입된다. 고무보트(70)의 이음매 요부(72)는 고무튜브(71)가 강한 팽창압력으로 고무보트바닥을 누르고 있는 부분이므로, 이 부분에 삽입날(21, 41)을 삽입하면 거치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꺾여있던 접이부(30)가 완전히 펴져서, 제2 결합대(31)의 고정구 삽입공(33)과 제1 결합대(35)의 고정구 삽입공(37)이 일치하게 되면, 고정구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후 고무보트(70)를 운전하여 작업 위치에 도착하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음향측심기(60)의 깊이조절관(61)을 음향측심기 설치부에 장착하고 송수파기(62)를 작동시켜 소정의 계측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파악되어야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고무튜브 결합부
11: 튜브걸이 12: 보강대
20: 제1 길이조절부
21: 삽입날 22, 23: 간격조절공
24: 튜브걸이 결합구 25: 고정볼트
30: 접이부
31: 제2 결합대 31a: 기본결합대
31b: 확장결합대 32, 33, 36, 37: 고정구 삽입공
34: 축구멍
40: 제2 길이조절부
41: 삽입날 42, 43: 간격조절공
50: 음향측심기 장착부
51: 결합구 52: 장착판
60: 음향측심기
61: 깊이조절관 62: 송수파기
70: 고무보트
71: 고무튜브 72: 이음매 요부
100: 음향측심기 거치대

Claims (4)

  1. 고무보트(70)의 고무튜브(71)의 상면에 걸쳐지며, 일측에는 음향측심기(60)가 장착되는 음향측심기 장착부(50)가 설치되는 튜브걸이(11)를 구비하는 고무튜브 결합부(10);와
    고무보트의 바닥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고무튜브 결합부(1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고무보트의 이음매 요부(72)로 삽입되는 바닥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지지부는,
    하면이 개방된 제2 결합대(31)와 상기 제2 결합대(31)의 내부로 일부를 삽입 결합하는 제1 결합대(35)로 이루어지는 접이부(30);와
    상기 접이부(30)에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부는,
    일단이 고무튜브 결합부(10)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무보트(70)의 이음매 요부(72)로 삽입되되.
    상기 이음매 요부(72)로 삽입되는 타단에는 삽입날(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30)는,
    상기 제2 결합대(31)와 제1 결합대(35)에 각각 축구멍(34)이 형성되고, 상기 축구멍(34)으로 상기 제2 결합대(31)와 제1 결합대(35)를 축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2 결합대(31)와 제1 결합대(35)가 상기 축구멍(34)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일단이 고무튜브 결합부(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이부(30)에 고정되는 제1 길이조절부(20);와
    일단이 고무보트(70)의 이음매 요부(72)로 삽입되고, 타단이 접이부(30)에 고정되는 제2 길이조절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KR1020160006010A 2016-01-18 2016-01-18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KR101609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010A KR101609203B1 (ko) 2016-01-18 2016-01-18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010A KR101609203B1 (ko) 2016-01-18 2016-01-18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203B1 true KR101609203B1 (ko) 2016-04-05

Family

ID=5580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010A KR101609203B1 (ko) 2016-01-18 2016-01-18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2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03Y1 (ko) * 2016-06-08 2017-12-28 박웅순 보트용 다용도 홀딩장치
KR101931590B1 (ko) 2018-09-17 2018-12-21 김영권 보트용 사이드스캔소나 장착장치
KR102071257B1 (ko) * 2019-10-07 2020-01-30 한국공간정보(주)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25Y1 (ko) 2003-04-23 2003-07-23 백승국 고무보트용 낚시대 받침
KR100646592B1 (ko) 2006-04-18 2006-11-23 지마텍 주식회사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KR101396578B1 (ko) 2012-05-22 2014-05-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형선박용 해양 조사장비 투입 및 인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25Y1 (ko) 2003-04-23 2003-07-23 백승국 고무보트용 낚시대 받침
KR100646592B1 (ko) 2006-04-18 2006-11-23 지마텍 주식회사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KR101396578B1 (ko) 2012-05-22 2014-05-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형선박용 해양 조사장비 투입 및 인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03Y1 (ko) * 2016-06-08 2017-12-28 박웅순 보트용 다용도 홀딩장치
KR101931590B1 (ko) 2018-09-17 2018-12-21 김영권 보트용 사이드스캔소나 장착장치
KR102071257B1 (ko) * 2019-10-07 2020-01-30 한국공간정보(주) 저수심 측량용 소형보트 싱글빔 거치 프레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592B1 (ko) 다중빔 음향 측심기용 프레임
KR101609203B1 (ko)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US6962018B1 (en) Dual fishing pole holder
US7658140B2 (en) Portable rifle or shotgun aiming seat apparatus and kit
US8505867B2 (en) Portable, lightweight mount for a satellite antenna system
US7309054B2 (en) Universal clamp
US5918613A (en) Detachable tee-top for boat center consoles
US20070044367A1 (en) Accessory ready assembly
KR100945876B1 (ko) 다중빔 음향 측심기 거치 시스템
JP5038903B2 (ja) 無人の水中航走体
US7418913B2 (en) Extendable retractable portable watercraft mooring system
US20050103816A1 (en) Grill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US20090250563A1 (en) Equipment mount for waterborne vessels
US4409907A (en) Portable tree table
US8286572B1 (en) Fishing rod holding system
US20060231723A1 (en) Universal clamp for fishing rod holders
US7185865B1 (en) Tissue paper supporting assembly
US10555847B2 (en) Multi-function chair attachment for disabled persons
US7746727B2 (en) Fish finder mounting bracket
US20020104470A1 (en) Water craft mooring device
US8899609B2 (en) T-bar mounting system for mounting an accessory to a hitch receiver
US9604700B2 (en) Wake modify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stern mounted platform
US7555993B2 (en) Portable mooring system
JP2001074840A (ja) 魚群探知機用アタッチメント
US5957419A (en)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for boat se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