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661B1 - 스큐보정방법 및 스큐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큐보정방법 및 스큐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661B1
KR100644661B1 KR1020040104613A KR20040104613A KR100644661B1 KR 100644661 B1 KR100644661 B1 KR 100644661B1 KR 1020040104613 A KR1020040104613 A KR 1020040104613A KR 20040104613 A KR20040104613 A KR 20040104613A KR 100644661 B1 KR100644661 B1 KR 10064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skew
image signal
ligh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984A (ko
Inventor
이범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661B1/ko
Priority to US11/184,777 priority patent/US7382392B2/en
Publication of KR20060065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7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deskewing or alig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1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광주사기가 주주사 방향으로 광을 주사하여 형성된 주사선의 스큐(skew)를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사선을 형성하는 주사광을 0 에서 1 도트 이내의 범위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올려 주사하거나 내려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큐보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광주사기가 주주사 방향으로 광을 주사하여 형성된 주사선의 스큐(skew)를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주사선을 형성하는 주사광이 0 에서 1 도트 이내의 범위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올려 주사되거나 내려 주사되도록 상기 광주사기를 제어하는 광주사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큐보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큐보정방법 및 스큐보정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scanning skew}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광주사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용지의 사이드피딩(side feeding)과 센터피딩(center feeding)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주사선 스큐를 보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큐보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큐보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도 6은 용지가 센터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경우를, 도 7은 용지가 사이드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큐보정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은 용지가 센터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경우를, 도 9는 용지가 사이드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10,120,130,140 ...현상기
157, 167 ...감광드럼 159, 169 ...광주사기
170 ...중간전사벨트 200 ...레이저 다이오드
204 ...폴리곤미러 300 ...스큐보정장치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주사에 의해 감광매체에 형성되는 주사선의 스큐(skew)를 보정하는 방법, 및 스큐를 보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 또는 스캐너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일련의 화상형성 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인 인쇄용지에 화상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과정은 대전과정, 노광과정, 현상과정, 전사과정 및 정착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상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제어부(controller)와 엔진부로 나눌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에서 보내온 이미지 데이터를 해석하여 일단 프린터자체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엔진부에서 화상형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부와 통신한 후에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 형태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엔진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용지상에 실제로 인쇄하는 기계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상기 레이저 프린터의 경우, 상기 엔진부의 주요 구 성요소로는, 유기 감광체 드럼(Organic Photo Conductive Drum : 이하 "감광드럼"이라 함), 광주사기, 현상기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엔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칼라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칼라화상형성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칼라화상형성장치(100)는 케이스(101) 내부에 옐로우(Y;yellow) 색상 토너가 수용된 제1 현상기(110)와, 시안(C;cyan) 색상 토너가 수용된 제2 현상기(120)와, 마젠타(M;magenta) 색상 토너가 수용된 제3 현상기(130)와, 블랙(K;black) 색상 토너가 수용된 제4 현상기(140)를 구비한다. 또한, 2개의 감광드럼(157, 167)과,한 쌍의 광주사기(159, 169)와, 중간전사벨트(170)를 구비한다.
감광드럼들(157, 167)은 상기 광주사기(159, 169)가 주사하는 광에 노광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한 쌍의 감광드럼 중 상측에 있는 제1 감광드럼(157)은 제1 대전롤러(155)에 의해 대전되며, 옐로우(Y) 및 시안(C) 토너를 공급받아 화상을 현상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현상기(110, 120)와 접해 있다. 하측에 있는 제2 감광드럼(167)은 제2 대전롤러(165)에 의해 대전되며, 마젠타(M) 및 블랙(K) 토너를 공급받아 화상을 현상할 수 있도록 제3 및 제4 현상기(130, 140)에 접해 있다.
상기 중간전사벨트(170)는 모터 샤프트(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는 벨트구동롤러(171)와, 아이들 롤러인 전사백업롤러(172)와, 역시 아이들 롤러들인 제1 및 제2 지지롤러(173, 174)에 지지되어 시계방향으로 순환 주행한다. 상기 중간전사벨트(170)의 내측에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70)를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감 광매체(157, 167)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전사롤러(175, 176)가 구비된다.
상기 전사백업롤러(172)의 아래에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7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사백업롤러(172)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3 전사롤러(18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자사진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100)는 용지(P)에 전사된 칼라화상을 열과 압력에 의해 정착하는 정착기(185)와, 용지(P)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05)와, 상기 급지카세트(105)로부터 용지를 낱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82)와, 상기 픽업된 용지를 정렬하여 이송하는 용지정렬기(184)와, 칼라화상이 인쇄된 용지(P)를 케이스(101) 밖으로 배출하는 제1, 제2, 제3 배지롤러(186, 187, 188)를 구비한다.
상기 칼라화상형성장치(100)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을 중간전사벨트(170)에 중첩 전사하여 칼라화상을 형성하고, 이 칼라화상을 용지(P)로 전사한 후에 정착시킴으로써 칼라화상을 형성한다.
제1 광주사기(159)로부터 옐로우(Y) 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제1 감광드럼(157)에 주사되면, 광이 주사된 부분은 저항이 감소하면서 제1 감광드럼(157)의 외주면에 부착된 전하가 빠져나간다. 따라서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감광드럼(157)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때, 제1 현상기(110)에 의해 상기 제1 감광드럼(157)에 옐로우(Y) 토너가 공급되어 상기 정전잠상이 옐로우(Y) 화상으로 현상되고, 상기 제1 감광드럼(157)가 회전함에 따라 옐로우(Y) 화상이 중간전사벨트(170)로 전사된다.
중간전사벨트(170)에는 상기 옐로우(Y) 화상의 전사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감광드럼(167)으로부터 마젠타(M) 화상이 전사되어 중첩된다. 한 주기 순환 후 상기 중간전사벨트(170)에는 제1 감광드럼(157)으로부터 시안(C) 화상, 제2 감광드럼(167)으로부터 블랙(K) 화상이 차례로 중첩 전사되어 칼라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급지카세트(182)에 적재된 용지(P)는 픽업롤러(182)에 의해 낱장씩 픽업되고 용지정렬기(184)에 의해 정렬되며, 접촉된 제3 전사롤러(180)와 중간전사벨트(170) 사이를 통과하여, 칼라화상이 용지(P)로 전사된다. 상기 칼라화상이 전사된 용지(P)는 정착기(185)에서 열 및 압력에 의해 칼라화상이 용지(P)에 정착되고, 배지롤러들(186, 187, 188)에 의해 케이스(101) 외부의 배지대(102)로 배출된다.
도 2는 상기 제1 광주사기(159)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용지의 사이드피딩(side feeding)과 센터피딩(center feeding)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광주사기(159)는 레이저 다이오드(200), 폴리곤미러(204), 구동장치(202), 반사미러(206)로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00)는 광을 출사시킨다. 상기 구동장치(202)는 폴리곤미러(204)를 등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상기 폴리곤미러(204)는 화상신호에 대응하여 레이저 다이오드(200)에서 조사된 선형광을 스캐닝한다. 상기 반사미러(206)는 입사된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켜 결상면인 제1 감광드럼(157)의 표면에 입사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제1 광주사기(159)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 광주사기(169)도 제1 광주사기(159)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폴리곤미러(204)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00)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1 감광드럼(157)의 a지점부터 b까지 입사된다. 이하 상기 a지점부터 b지점까지를 광주사영역이라 칭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인쇄작업을 수행할 경우 상기 감광드럼(157)의 광주사영역을 모두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축소된 일부 영역만을 활용한다. 이에 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지의 급지방식은 센터피딩(center feeding)방식과 사이드피딩(side feeding)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센터피딩은 용지의 폭방향 중앙부가 상기 광주사영역의 중앙부분인 c를 통과하는 방식이며, 사이드피딩은 용지가 상기 광주사영역의 왼쪽으로 치우쳐 통과하는 방식이다. 도 3에서 용지 P1은 센터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용지를 나타내고, P2는 사이드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용지를 나타낸다.
광주사기의 광주사에 의해 감광드럼의 광주사영역에 형성된 주사선의 기울어짐을 주사선의 스큐(skew)라고 한다. 상기 스큐는 광주사기나 감광드럼의 치수 오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칼라화상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4가지 색상의 화상이 중첩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주사선의 스큐가 허용오차범위 내의 스큐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각 주사선의 스큐방향과 정도가 서로 다르면 화상 중첩에 의해 형성된 칼라화상은 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허용오차범위 내에서 각 색상의 주사선의 스큐를 서로 일치시키는 스큐 보정이 필요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칼라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종래의 주사선 스큐보정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칼라화상형성장치(100)는 한 쌍의 광 주사기(159, 169) 및 한 쌍의 감광드럼(157, 167)을 구비하므로, 하나의 광주사기에서 주사되는 주사선을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광주사기에서 주사되는 주사선의 스큐를 보정한다. 이하에서는, 제1 광주사기(159)의 광주사에 의해 제1 감광드럼(157)에 형성된 주사선(이하 "제1 주사선"이라 한다)을 기준으로 제2 광주사기(169)의 광주사에 의해 제2 감광드럼(167)에 형성된 주사선(이하 "제2 주사선"이라 한다)의 스큐를 보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주사선과 제2 주사선은 스큐 없이 중첩되어야 하지만, 광주사영역을 통해 일 도트의 스큐가 발생되었다. 상기 한 도트 스큐를 보정하기 위해 광주사영역을 2등분하고, 제2 광주사기(169)는 오른쪽 영역에서 한 도트 올린 광을 출사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주사선과 제2 주사선 사이에는 두 도트의 스큐가 발생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광주사영역이 3등분되고, 제2 광주사기(169)는 두 번째 영역은 한 도트, 세 번째 영역은 두 도트 올린 광을 출사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1 주사선과 제2 주사선 사이에는 3 도트의 스큐가 발생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광주사영역이 4등분되고, 제2 광주사기(169)는 두 번째 영역은 한 도트, 세 번째 영역은 두 도트, 네 번째 영역은 세 도트 올린 광을 출사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큐보정방법은, 광주사영역이 분할된 경계부에서 제2 주사선의 단절로 인한 인쇄화상의 결함이 눈에 잘 보인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센터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용지에 대해서는 홀수 도트의 스큐가 발생한 경우 용지의 중앙부에서 주사선의 단절이 보이게 되고, 사이드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용지에 대해서는 짝수 도트의 스큐가 발생한 경우 용지의 중앙부에서 주사선의 단절이 보이 게 되어 인쇄 결함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사진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주사선 스큐를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화상인쇄시에 용지의 중앙부에서 화상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큐보정방법 및 스큐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광주사기가 주주사 방향으로 광을 주사하여 형성된 주사선의 스큐(skew)를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사선을 형성하는 주사광을 0 에서 1 도트 이내의 범위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올려 주사하거나 내려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큐보정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큐보정방법은, 상기 주사선을 형성하는 일 라인의 원본 화상신호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인접 영역 간에 화상신호가 부주사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일 도트씩 차이가 지도록, 상기 원본 화상신호를 변조(變調)하여 일 라인의 조합 화상신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합 화상신호를 광주사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터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용지에 대하여 상기 주사선의 도 트수로 나타낸 스큐의 크기를 S라 할 때, 2n-1 < S ≤ 2n+1 (단, n은 자연수)이면, 원본 화상신호의 분할 영역의 갯수가 2n+1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이드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용지에 대하여 상기 주사선의 도트수로 나타낸 스큐의 크기를 S라 할 때, 2n-1 ≤ S < 2n+1 (단, n은 자연수)이면, 원본 화상신호의 분할 영역의 갯수가 2n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광주사기가 주주사 방향으로 광을 주사하여 형성된 주사선의 스큐(skew)를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주사선을 형성하는 주사광이 0 에서 1 도트 이내의 범위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올려 주사되거나 내려 주사되도록 상기 광주사기를 제어하는 광주사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큐보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큐보정방법 및 스큐보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스큐보정방법 및 스큐보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칼라화상형성장치(100)의 제2 광주사기(169)의 광주사에 의해 제2 감광드럼(167)에 형성되는 제2 주사선을 제1 광주사기(159)의 광주사에 의해 제1 감광드럼(157)에 형성되는 제1 주사선에 소정 허용오차범위 내에서 일치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큐보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큐보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도 6은 용지가 센터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경우를, 도 7은 용지가 사이드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큐보정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은 용지가 센터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경우를, 도 9는 용지가 사이드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큐보정장치(300)는 스큐측정부(310)와, 화상신호처리부(320)와, 광주사기제어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스큐측정부(310)는 제1 주사선에 대한 제2 주사선의 스큐를 측정하고, 그 스큐의 크기를 저장한다. 상기 화상신호처리부(320)는 색상 중첩에 의해 칼라화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옐로우(Y), 시안(C), 마젠타(M), 블랙(K)의 4종류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4종류의 화상신호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스큐측정부(310)에서 스큐의 크기를 읽어들여, 그에 따라 제2 주사선에 대응하는 원본 화상신호를 변조(變調)하여 조합 화상신호를 형성한다. 상기 광주사기제어부(330)는 상기 조합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제2 광주사기(169)가 그에 대응하는 광을 제2 감광드럼(167)으로 주사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보다 정밀한 스큐 보정을 위해 주사광이 일 도트 이내의 범위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올려 주사되거나, 내려 주사되도록 상기 제2 광주사기(169)를 제어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용지가 상기 칼라화상형성장치(100)에 센터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경우에 스큐보정방법은, 먼저 광주사영역에서 스큐의 크기가 일 도트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상기 스큐의 크기 측정은 스큐측정부(310, 도 5 참조)에 의해 측정된다. 만약 상기 스큐의 크기가 일 도트보다 크면, 화상신호처리부(320)를 통해 제2 주사선에 대응하는 원본 화상신호를 변조(變調)하여 조합 화상신호를 형성한다(S12).
상기 조합 화상신호는 상기 원본 화상신호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인접 영역 간에 화상신호가 부주사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일 도트씩 차이가 지도록 만들어진 화상신호이다. 용지가 센터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경우, 도트수로 나타낸 상기 스큐의 크기를 S라 할 때, 2n-1 < S ≤ 2n+1 이면, 원본 화상신호의 분할 영역의 갯수는 2n+1 으로 정해진다. 단, 여기서 n은 자연수이다. 예컨데, S가 일 도트이면 원본 화상신호는 분할되지 않는다. S가 2 도트 또는 3 도트이면 원본 화상신호는 3개의 등간격 영역으로 분할된다. S가 4 도트 또는 5 도트이면 원본 화상신호는 5개의 등간격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로 인해 용지의 중앙부에 영역 분할로 인한 화상의 단절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인쇄 품질이 향상된다.
상기 조합 화상신호는 광주사기제어부(330, 도 5 참조)로 송신되고, 상기 광주사기제어부(330)는 일 도트 이내의 범위에서 상기 제2 주사선이 부주사방향으로 올려지거나 내려져 주사되도록, 상기 제2 광주사기(169. 도 5 참조)를 제어한다. 상기 제2 광주사선의 부주사방향 승강 크기는, 승강하지 않고 광을 주사할 때 발생하는 스큐 크기의 절반이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2 주사선이 부주사방향으로 올려지거나 내려져 주사되게 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레이저 다이오드(200, 도 2 참조)의 광조사 시간을 원래 예정된 시간보다 촉진시키거나 지연시키고, 폴리곤미러(204, 도 2 참조)도 광조사에 동조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00)에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촉진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용지가 센터피딩방식으로 급지될 때 스큐보정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광주사영역을 통해 제2 주사선(L2)이 제1 주사선(L1)에 비해 부주사방향(Y)의 아래로 일 도트의 스큐가 발생하고 있다. 스큐의 크기가 1보다 크지 않으므로, 제2 주사선(L2)용 원본 화상신호는 조합 화상신호로 변조되지 않는다. 단지 이전에 비해 0.5 도트만큼 부주사방향(X) 위로 광을 주사하도록, 제2 광주사기(169, 도 5 참조)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1 주사선(L1)과 수정된 제2 주사선(L2')이 이전에 비해 많은 부분이 중첩되어 용지(P1)에 인쇄되는 칼라화상의 품질이 개선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광주사영역을 통해 제2 주사선(L2)이 제1 주사선(L1)에 비해 부주사방향(Y)의 아래로 2 도트의 스큐가 발생하고 있다. 스큐의 크기가 1보다 크므로 제2 주사선(L2)용 원본 화상신호는 조합 화상신호로 변조된다. 구체적으로 스큐의 크기가 1 도트보다 크고 3 도트 이하이므로 상기 원본 화상신호는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왼쪽으로부터 두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일 도트씩 상승 배치되고, 왼쪽으로부터 세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2 도트식 상승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변조된 조합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변조된 제2 주사선(L2')은, 광주사영역의 우측 말단에서 제1 주사선(L1)과 스큐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이 부주사방향(Y)으로 소정폭 승강하여 주사되도록 상기 제2 광주사기(169)를 제어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스큐 보정된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센터피딩방식으로 용지(P1)가 급지되면, 보정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1 주사선(L1)과 제2 주사선(L2')이 많은 부분 중첩되고, 주사선의 영역분할 로 인한 단절부가 그 용지(P1)의 중앙부를 회피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인쇄되는 칼라화상의 품질이 개선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광주사영역을 통해 제2 주사선(L2)이 제1 주사선(L1)에 비해 부주사방향(Y)의 아래로 3 도트의 스큐가 발생하고 있다. 스큐의 크기가 1보다 크므로 제2 주사선(L2)용 원본 화상신호는 조합 화상신호로 변조된다. 구체적으로 스큐의 크기가 1 도트보다 크고 3 도트 이하이므로 상기 원본 화상신호는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왼쪽으로부터 두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일 도트씩 상승 배치되고, 왼쪽으로부터 세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2 도트식 상승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변조된 조합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변조된 제2 주사선(L2')은, 광주사영역의 우측 말단에서 제1 주사선(L1)과 부주사방향 아래로 일 도트의 스큐가 발생한다. 따라서, 광이 부주사방향(Y) 위로 0.5 도트만큼 올려져 주사되도록 상기 제2 광주사기(169)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스큐 보정된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센터피딩방식으로 용지(P1)가 급지되면, 최종 보정된 제2 주사선(L2'')은 제1 주사선(L1)과 많은 부분 중첩되고, 주사선의 영역분할로 인한 단절부가 그 용지(P1)의 중앙부를 회피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인쇄되는 칼라화상의 품질이 개선된다.
도 8d를 참조하면, 광주사영역을 통해 제2 주사선(L2)이 제1 주사선(L1)에 비해 부주사방향(Y)의 아래로 4 도트의 스큐가 발생하고 있다. 스큐의 크기가 1보다 크므로 제2 주사선(L2)용 원본 화상신호는 조합 화상신호로 변조된다. 구체적으로 스큐의 크기가 3 도트보다 크고 5 도트 이하이므로 상기 원본 화상신호는 5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왼쪽으로부터 두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일 도트씩 상승 배치되고, 왼쪽으로부터 세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2 도트식 상승 배치되고, 왼쪽으로부터 네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 방향(Y)으로 3 도트식 상승 배치되며, 왼쪽으로부터 다섯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4 도트씩 상승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변조된 조합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변조된 제2 주사선(L2')은, 광주사영역의 우측 말단에서 제1 주사선(L1)과 스큐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이 부주사방향(Y)으로 소정폭 승강하여 주사되도록 상기 제2 광주사기(169)를 제어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스큐 보정된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센터피딩방식으로 용지(P1)가 급지되면, 보정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1 주사선(L1)과 제2 주사선(L2')이 많은 부분 중첩되고, 주사선의 영역분할로 인한 단절부가 그 용지(P1)의 중앙부를 회피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인쇄되는 칼라화상의 품질이 개선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용지가 상기 칼라화상형성장치(100)에 사이드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경우에 스큐보정방법은, 먼저 광주사영역에서 스큐의 크기가 일 도트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 상기 스큐의 크기 측정은 스큐측정부(310, 도 5 참조)에 의해 측정된다. 만약 상기 스큐의 크기가 일 도트 이상이면, 화상신호처리부(320)를 통해 제2 주사선에 대응하는 원본 화상신호를 변조(變調)하여 조합 화상신호를 형성한다(S22).
상기 조합 화상신호는 상기 원본 화상신호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인접 영역 간에 화상신호가 부주사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일 도트씩 차이가 지도록 만들어진 화상신호이다. 용지가 사이드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경우, 도트수로 나타낸 상기 스큐의 크기를 S라 할 때, 2n-1 ≤ S < 2n+1 이면, 원본 화상신호의 분할 영역의 갯수는 2n 으로 정해진다. 단, 여기서 n은 자연수이다. 예컨데, S가 1 도트보다 작으면 원본 화상신호는 분할되지 않는다. S가 일 도트 또는 2 도트이면 원본 화상신호는 2개의 등간격 영역으로 분할된다. S가 3 도트 또는 4 도트이면 원본 화상신호는 4개의 등간격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로 인해 사이드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용지의 중앙부에 영역 분할로 인한 화상의 단절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인쇄 품질이 향상된다.
상기 조합 화상신호는 광주사기제어부(330, 도 5 참조)로 송신되고, 상기 광주사기제어부(330)는 일 도트 이내의 범위에서 상기 제2 주사선이 부주사방향으로 올려지거나 내려져 주사되도록, 상기 제2 광주사기(169. 도 5 참조)를 제어한다. 상기 제2 광주사선의 부주사방향 승강 크기는, 승강하지 않고 광을 주사할 때 발생하는 스큐 크기의 절반이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2 주사선이 부주사방향으로 올려지거나 내려져 주사되게 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레이저 다이오드(200, 도 2 참조)의 광조사 시간을 원래 예정된 시간보다 촉진시키거나 지연시키고, 폴리곤미러(204, 도 2 참조)도 광조사에 동조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00)에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촉진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용지가 사이드피딩방식으로 급지될 때 스큐보정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광주사영역을 통해 제2 주사선(L2)이 제1 주사선(L1)에 비해 부주사방향(Y)의 아래로 일 도트의 스큐가 발생하고 있다. 스큐의 크기가 1 이상이므로, 제2 주사선(L2)용 원본 화상신호는 조합 화상신호로 변조된다. 구체적으로 스큐의 크기가 1 도트 이상이고 3 도트보다 작으므로 상기 원본 화상신호는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왼쪽으로부터 두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일 도트씩 상승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변조된 조합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변조된 제2 주사선(L2')은, 광주사영역의 우측 말단에서 제1 주사선(L1)과 스큐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이 부주사방향(Y)으로 소정폭 승강하여 주사되도록 상기 제2 광주사기(169)를 제어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스큐 보정된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사이드피딩방식으로 용지(P2)가 급지되면, 보정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1 주사선(L1)과 제2 주사선(L2')이 많은 부분 중첩되고, 주사선의 영역분할로 인한 단절부가 그 용지(P2)의 중앙부를 회피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인쇄되는 칼라화상의 품질이 개선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광주사영역을 통해 제2 주사선(L2)이 제1 주사선(L1)에 비해 부주사방향(Y)의 아래로 2 도트의 스큐가 발생하고 있다. 스큐의 크기가 1 도트 이상이므로 제2 주사선(L2)용 원본 화상신호는 조합 화상신호로 변조된다. 구체적으로 스큐의 크기가 1 도트 이상이고 3 도트보다 작으므로 상기 원본 화상신호는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왼쪽으로부터 두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일 도트씩 상승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변조된 조합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변조된 제2 주사선(L2')은, 광주사영역의 우측 말단에서 제1 주사선(L1)과 부주사 방향 아래로 일 도트의 스큐가 발생한다. 따라서, 광이 부주사방향(Y) 위로 0.5 도트만큼 올려져 주사되도록 상기 제2 광주사기(169)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스큐 보정된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사이드피딩방식으로 용지(P2)가 급지되면, 최종 보정된 제2 주사선(L2'')은 제1 주사선(L1)과 많은 부분 중첩되고, 주사선의 영역분할로 인한 단절부가 그 용지(P2)의 중앙부를 회피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인쇄되는 칼라화상의 품질이 개선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광주사영역을 통해 제2 주사선(L2)이 제1 주사선(L1)에 비해 부주사방향(Y)의 아래로 3 도트의 스큐가 발생하고 있다. 스큐의 크기가 1 도트 이상이므로 제2 주사선(L2)용 원본 화상신호는 조합 화상신호로 변조된다. 구체적으로 스큐의 크기가 3 도트이상이고 5 도트보다 작으므로 상기 원본 화상신호는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왼쪽으로부터 두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일 도트씩 상승 배치되고, 왼쪽으로부터 세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2 도트식 상승 배치되고, 왼쪽으로부터 네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 방향(Y)으로 3 도트식 상승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변조된 조합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변조된 제2 주사선(L2')은, 광주사영역의 우측 말단에서 제1 주사선(L1)과 스큐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이 부주사방향(Y)으로 소정폭 승강하여 주사되도록 상기 제2 광주사기(169)를 제어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스큐 보정된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사이드피딩방식으로 용지(P2)가 급지되면, 보정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1 주사선(L1)과 제2 주사선(L2')이 많은 부분 중첩되고, 주사선의 영역분할로 인한 단절부가 그 용지(P2)의 중앙부를 회피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인쇄되는 칼라화상의 품질이 개선된다.
구체적으로 스큐의 크기가 1 도트보다 크고 3 도트 이하이므로 상기 원본 화상신호는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왼쪽으로부터 두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일 도트씩 상승 배치되고, 왼쪽으로부터 세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2 도트식 상승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변조된 조합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변조된 제2 주사선(L2')은, 광주사영역의 우측 말단에서 제1 주사선(L1)과 부주사방향 아래로 일 도트의 스큐가 발생한다. 따라서, 광이 부주사방향(Y) 위로 0.5 도트만큼 올려져 주사되도록 상기 제2 광주사기(169)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스큐 보정된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센터피딩방식으로 용지(P1)가 급지되면, 최종 보정된 제2 주사선(L2'')은 제1 주사선(L1)과 많은 부분 중첩되고, 주사선의 영역분할로 인한 단절부가 그 용지(P1)의 중앙부를 회피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인쇄되는 칼라화상의 품질이 개선된다.
도 8d를 참조하면, 광주사영역을 통해 제2 주사선(L2)이 제1 주사선(L1)에 비해 부주사방향(Y)의 아래로 4 도트의 스큐가 발생하고 있다. 스큐의 크기가 1보다 크므로 제2 주사선(L2)용 원본 화상신호는 조합 화상신호로 변조된다. 구체적으로 스큐의 크기가 3 도트보다 크고 5 도트 이하이므로 상기 원본 화상신호는 5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왼쪽으로부터 두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일 도트씩 상승 배치되고, 왼쪽으로부터 세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2 도트식 상승 배치되고, 왼쪽으로부터 네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 방향(Y)으로 3 도트식 상승 배치되며, 왼쪽으로부터 다섯번째 영역의 원 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4 도트씩 상승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변조된 조합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변조된 제2 주사선(L2')은, 광주사영역의 우측 말단에서 제1 주사선(L1)과 스큐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이 부주사방향(Y)으로 소정폭 승강하여 주사되도록 상기 제2 광주사기(169)를 제어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스큐 보정된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센터피딩방식으로 용지(P1)가 급지되면, 보정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1 주사선(L1)과 제2 주사선(L2')이 많은 부분 중첩되고, 주사선의 영역분할로 인한 단절부가 그 용지(P1)의 중앙부를 회피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인쇄되는 칼라화상의 품질이 개선된다.
도 9d를 참조하면, 광주사영역을 통해 제2 주사선(L2)이 제1 주사선(L1)에 비해 부주사방향(Y)의 아래로 4 도트의 스큐가 발생하고 있다. 스큐의 크기가 1 도트 이상이므로 제2 주사선(L2)용 원본 화상신호는 조합 화상신호로 변조된다. 구체적으로 스큐의 크기가 3 도트 이상이고 5 도트보다 작으므로 상기 원본 화상신호는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왼쪽으로부터 두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일 도트씩 상승 배치되고, 왼쪽으로부터 세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2 도트씩 상승 배치되고, 왼쪽으로부터 세번째 영역의 원본 화상신호는 부주사방향(Y)으로 3 도트씩 상승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변조된 조합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변조된 제2 주사선(L2')은, 광주사영역의 우측 말단에서 제1 주사선(L1)과 부주사방향 아래로 일 도트의 스큐가 발생한다. 따라서, 광이 부주사방향(Y) 위로 0.5 도트만큼 올려져 주사되도록 상기 제2 광주사기(169)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스큐 보정된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사이드피딩방식으로 용지(P2)가 급지되면, 최종 보정된 제2 주사선(L2'')은 제1 주사선(L1)과 많은 부분 중첩되고, 주사선의 영역분할로 인한 단절부가 그 용지(P2)의 중앙부를 회피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인쇄되는 칼라화상의 품질이 개선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광주사기가 4개 구비된 칼라화상형성장치에서 스큐를 보정하는 방법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스큐보정방법 및 스큐보정장치는, 칼라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되는 스큐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특히, 보정 대상이 되는 주사선을 부주사방향으로 소정폭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기준이 되는 주사선과 보다 많은 부분이 중첩되도록 할 수 있어, 인쇄화상의 품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의 단절부가 급지되는 용지의 중앙부를 회피하여 형성되므로, 인쇄화상의 품질이 더욱 향상된다.

Claims (5)

  1.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광주사기가 주주사 방향으로 광을 주사하여 형성된 주사선의 스큐(skew)를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사선을 형성하는 주사광을 0 에서 1 도트 이내의 범위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올려 주사하거나 내려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큐보정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을 형성하는 일 라인의 원본 화상신호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인접 영역 간에 화상신호가 부주사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일 도트씩 차이가 지도록, 상기 원본 화상신호를 변조(變調)하여 일 라인의 조합 화상신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합 화상신호를 광주사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큐보정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센터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용지에 대하여 상기 주사선의 도트수로 나타낸 스큐의 크기를 S라 할 때, 2n-1 < S ≤ 2n+1 (단, n은 자연수)이면, 원본 화상신호의 분할 영역의 갯수가 2n+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큐보정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사이드피딩방식으로 급지되는 용지에 대하여 상기 주사선의 도트수로 나타낸 스큐의 크기를 S라 할 때, 2n-1 ≤ S < 2n+1 (단, n은 자연수)이면, 원본 화상신호의 분할 영역의 갯수가 2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큐보정방법.
  5.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광주사기가 주주사 방향으로 광을 주사하여 형성된 주사선의 스큐(skew)를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주사선을 형성하는 주사광이 0 에서 1 도트 이내의 범위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올려 주사되거나 내려 주사되도록 상기 광주사기를 제어하는 광주사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큐보정장치.
KR1020040104613A 2004-07-20 2004-12-11 스큐보정방법 및 스큐보정장치 KR100644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613A KR100644661B1 (ko) 2004-12-11 2004-12-11 스큐보정방법 및 스큐보정장치
US11/184,777 US7382392B2 (en) 2004-07-20 2005-07-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scanning ske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613A KR100644661B1 (ko) 2004-12-11 2004-12-11 스큐보정방법 및 스큐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984A KR20060065984A (ko) 2006-06-15
KR100644661B1 true KR100644661B1 (ko) 2006-11-10

Family

ID=3716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613A KR100644661B1 (ko) 2004-07-20 2004-12-11 스큐보정방법 및 스큐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6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2873A (ja) * 1990-03-22 1991-12-04 Tokyo Electric Co Ltd 印刷装置の印刷傾斜の補正方法
JPH05233819A (ja) * 1992-02-19 1993-09-10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H1142803A (ja) * 1997-07-29 1999-02-16 Brother Ind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0272168A (ja) 1999-03-26 2000-10-03 Nec Niigata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2120390A (ja) 2000-10-13 2002-04-23 Fuji Xerox Co Ltd 画像書き込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2873A (ja) * 1990-03-22 1991-12-04 Tokyo Electric Co Ltd 印刷装置の印刷傾斜の補正方法
JPH05233819A (ja) * 1992-02-19 1993-09-10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H1142803A (ja) * 1997-07-29 1999-02-16 Brother Ind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0272168A (ja) 1999-03-26 2000-10-03 Nec Niigata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2120390A (ja) 2000-10-13 2002-04-23 Fuji Xerox Co Ltd 画像書き込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984A (ko)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23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scanning skew
EP2738617B1 (en) Optical writing control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tical writing device
JP5100174B2 (ja) 画像形成装置
JP5803268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11200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ne correction method using tone patches and alignment marker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a tone correction program using tone patches and alignment markers
US1037945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143192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311459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EP2611130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17100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868345B2 (ja) 画像形成装置
US109085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lor registration correction
US74407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capable of effectively adjusting respective phases of image bearing members
JP200007152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08639A (ja) 画像形成装置、プリンタ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複写機
JP5639917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5565217B2 (ja) 光書き込み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光書き込み制御方法
KR100644661B1 (ko) 스큐보정방법 및 스큐보정장치
JP3619332B2 (ja) 画像形成装置
US110192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sition correcting method
JP2014021357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790738B2 (ja) プリンタ出力機能を有する複合複写装置
US2019009477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39739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ontrols primary fixing temperature and secondary fixing temperature
JP5773040B2 (ja) 光書き込み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光書き込み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