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090B1 - 식품 증숙시스템 - Google Patents

식품 증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090B1
KR100642090B1 KR1020040091504A KR20040091504A KR100642090B1 KR 100642090 B1 KR100642090 B1 KR 100642090B1 KR 1020040091504 A KR1020040091504 A KR 1020040091504A KR 20040091504 A KR20040091504 A KR 20040091504A KR 100642090 B1 KR100642090 B1 KR 100642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steaming
foo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739A (ko
Inventor
서강인
Original Assignee
서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인 filed Critical 서강인
Priority to KR1020040091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090B1/ko
Publication of KR2006004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증기에 의한 증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내부에 위치한 증기턴넬 및 증숙턴넬이 2 이상의 영역(A 및 B)을 구분하되, 식품이 투입되는 A 영역에는 증기턴넬의 하부에 물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는 물탱크의 수면 아래로 증기분사관이 설치되며, 출구의 B 영역에는 증기턴넬의 하부에 증기분사관이 설치되어, 상기 A 영역에서는 습증기가 B 영역에서는 건증기가 증기분사관의 상부에 위치한 다공판과 컨베이어벨트를 통과하여 식품을 증숙시키는 식품 증숙시스템을 제공한다.
증숙, 습증기, 건증기

Description

식품 증숙시스템{(STEAM AGING SYSTEM FOR FOOD}
도 1a 및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증숙시스템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증숙시스템을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1 : 턴넬 102, 112 : 컨베이어
160 : 증기 150 : 가공식품
110 : 증숙실 120 : 증기공급장치
122 : 보일러 124 : 증기파이프
130 : 배기장치 132 : 제1배기덕트
134 : 제2배기덕트 136 : 댐퍼
210 : 증기턴넬 212 : 증숙턴넬
214 : 곡선부 220 : 다공판
230 : 컨베이어벨트 242 : 덕트
244 : 댐퍼 246 : 팬기홴
250 : 물탱크 252 : 증기분사관
260 : 수위제어부 261 : 부력식포겟
262 : 고수위센서 263 : 저수위센서
264 : 급수전자변 265 : 오버플로우관
본 발명은 식품 증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면, 우동, 만두와 같은 제품을 연속식으로 이동시키며 증숙하는 습증기를 이용한 증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식품의 증숙시스템은 컨베이어를 타고 지나가는 가공 식품, 즉 라면, 도시락, 만두와 같이 1차 가공된 식품에 습증기를 가하여 이를 증숙하는 것으로, 도 1은 종래 가공식품용 증숙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종래 가공식품용 증숙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판과 단열재의 이중판넬로 구성된 턴넬(101)안에 금속망의 컨베이어(102)가 지나가고 컨베이어(102) 위에는 가공식품(150)이 운반되어지며 여기에 증기(160)를 분사하여서 제품을 익히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장치에 공급되는 증기는 보일러에서 발생되어 배관을 통하여 공급되므로 건조하고 압력이 높은 상태의 증기를 사용한다. 실제 식품에 사용시에 상기 증 기는 저압으로 변하면서 재증발로 인해 더욱 건조해지는 이유로 식품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열전달을 저해함으로서 표면과 내부의 호화도(익는 정도)가 다르게 된다. 즉 표면은 너무 호화되어 갈변현상이 일어나고 내부는 덜 호화되는 것이다.
상기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증숙기로 식품이 들어가기 건제 식품에 물을 분사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식 또한 분무량이 많을 경우나 분사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만큼의 열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오히려 개악된 방식이라 하겠다.
결국 가장 좋은 방식은 장치의 외부에서 습증기를 공급하는 방식일 수밖에 없고 스팀소프트너TM 라는 제품이 제안되었다. 상기 장치는 압력이 없는 습증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이에 대한 문제는 없으나 장치내부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증기의 흐름이 느려지므로 배관구경이 너무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습증기용 증숙장치는 증숙시키고자 하는 가공 식품이 지나가는 증숙실(110)과, 이 증숙실(110)의 하부에서 습증기를 가하기 위한 증기 공급장치(120)와, 증숙 작용을 마친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장치(130)를 구비한다. 증숙실(110)에는 컨베이어(112)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가공 식품은 컨베이어(112)를 타고 증숙실(110)을 지나가게 된다. 그리고 증기 공급장치(120)는 물을 가열하여 습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보일러(122)와, 가열 습증기를 증숙실(110)로 공급하는 증기 파이프(124)를 구비하여, 가열 습증기를 증숙실(110)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배기장치(130)는 증숙실(110)의 전방측에 배치된 제1배기덕트(132)와, 이의 후방측에 배치된 제2배기덕트 (134)를 포함하며, 제1,제2배기덕트(132)(134)에는 각각 댐퍼(1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라면, 우동 등과 같이 식품을 연속식으로 이동시키며 증기로 호화하는 과정에서 습증기를 공급하여 열의 내부침투가 빠르며 호화도가 우수한 식품의 증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숙시스템의 증기의 자연 배출량을 감소시켜 열효율이 높은 증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증기의 역류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증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증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습증기에 의한 증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내부에 위치한 증기턴넬 및 증숙턴넬이 2 이상의 영역(A 및 B)을 구분하되, 식품이 투입되는 A 영역에는 증기턴넬의 하부에 물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는 물탱크의 수면 아래로 증기분사관이 설치되며, 출구의 B 영역에는 증기턴넬의 하부에 증기분사관이 설치되어, 상기 A 영역에서는 습증기가 B 영역에서는 건증기가 증기분사관의 상부에 위치한 다공판과 컨베이어벨트를 통과하여 식품을 증숙시키는 식품 증숙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의 자연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증숙턴넬과 컨베이어벨트의 입구와 출구에 하향 경사진 파형의 곡선부가 형성된 증숙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되는 증기가 후드덕트에 의해서 배출하되, 증숙조건에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가변조절기가 부착된 배기홴이 상기 덕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증숙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영역의 하부에 위치한 물탱크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수위제어부를 설치하되, 상기 수위제어부는 부력식 포겟이 내려가 저수위센서에 감지되면 급수전자변이 개방되고 고수위센서에 감지될 때까지 물을 공급시키고, 물의 양이 많아지면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증숙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증숙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숙시스템에서 증기턴넬(210)은 A 및 B 영역으로 구분된다. 식품 원재료가 투입되는 A 영역은 증기턴넬(210)의 하부에는 물탱크(250)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250)의 내부에는 증기분사관(252)이 설치된다. 증기분사관(252)은 물탱크(250)의 수면 아래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B 영역은 물탱크와 같은 설비 없이 증기분사관(252)만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증기분사관 들은 압력계(262)가 설치된 밸브(264)를 통하여 증기와 증기량이 조절된다.
상기 증기턴넬(210)의 하부와 증기분사관(252)의 상부에는 다공판(220)이 설치되고 다공판(220)의 상부에는 식품이 이동되도록 컨베이어 벨트(230)가 착설되어 있다. 이는 습증기가 식품에 균일한 조건으로 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식품은 컨베이어벨트(230)에 의해 A 영역으로 이동되고 A 영역의 물탱크(250)에 설치된 증기분사관(252)에서는 증기가 분사된다. 상기 A 영역에서 분사된 증기는 물탱크(250) 속에서 분사되므로 습한 증기로 변하게 되어 상승한다. 상기 습증기로 변환된 증기는 다공판(220)과 컨베이어벨트(230)를 통과하여 식품에 접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식품은 수분을 흡수하면서 1차 증숙과정이 이루어진다.
A 영역을 통과한 식품은 B 영역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B 영역은 증기분사관(252)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증기가 식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B 영역에서는 건증기가 다공판을 통과 한 후 식품에 접촉되고 이미 A 영역의 습증기에 의해 표면이 알맞게 젖은 식품을 마무리 증숙하는 제2 증숙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증숙턴넬(210)과 컨베이어벨트(230)를 입구와 출구에서 하향 경사진 파형의 곡선부(21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증기의 자연배출량을 감소시키기고 라면과 같이 밀착된 제품의 공간을 형성하여 증기접촉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자연압에 의해 배출되는 증기는 후드덕트(242)에 의해서 배출되며 댐퍼(244)를 조절하여 증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대기가 저기압인 경우(흐린 날이나 우천시) 증기가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증기 배출이 원활히 되지 않고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증숙장치 내의 증기비용적의 균형이 깨져 증숙조건에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배기홴(246)을 덕트의 상부에 위치시켜 강제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기홴(246)에는 가변조절기(미도시)에 의해 잔여배출에 가깝도록 흡입 및 배출력을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A 영역의 하부에 위치한 물탱크(250)에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수위제어부(26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위제어부(260)는 부력식 포겟(261)이 내려가 저수위센서(263)에 감지되면 급수전자변(264)이 개방되고 고수위센서(262)에 감지될 때까지 물을 공급시키고, 물의 양이 많아지면 오버플로우관(26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시스템의 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식품(290)은 A 영역을 통과하면서 물탱크(250)에서 증기분사관(252)에 의해 분사된 증기가 습증기로 변환되면서 상기 식품을 1차 증숙하고 B 영역을 통과하면서 다시 건증기로 2차 증숙되므로 표면 및 내부에 증숙도가 완전히 수행된다. 또한 상기 사 용된 증기는 팬기홴(246)이 착설된 덕트를 통하여 시스템 내부로 역류되지 않고 배출되며 상기 물탱크(250)의 수위는 수위제어부(260)에 의해 일정 수위가 항상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숙시스템은 습증기에 의해 1차 증숙이 이루어지고 다시 건증기로서 2차 증숙이 이루어져 제품의 호화도가 증가하여 품질이 향상되며, 다음 공정에서의 가공성도 좋아지기 때문에 불량품 발생이 감소한다.
또한 상기 습증기는 신속히 식품에 흡수되므로 불필요하게 과다한 증기의 소모가 억제되어 에너지 효율이 매우 유리하다.
또한 곡선부가 형성되어 증기의 자연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열효율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에 배기홰이 착설되어 배출되어야 할 증기가 시스템 내부로 유입되어 증숙조건에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습증기 발생에 대한 오류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습증기에 의한 증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내부에 위치한 증기턴넬 및 증숙턴넬을 2개의 영역(A 및 B)으로 구분되되, 식품이 투입되는 A 영역에는 증기턴넬의 하부에 물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는 물탱크의 수면 아래로 증기분사관이 설치되며, 출구의 B 영역에는 증기턴넬의 하부에 증기분사관이 설치되어,
    상기 A 영역에서는 습증기가 B 영역에서는 건증기가 증기분사관의 상부에 위치한 다공판과 컨베이어벨트를 통과하여 식품을 증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증숙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증기의 자연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증숙턴넬과 컨베이어벨트의 입구와 출구에 하향 경사진 파형의 곡선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되는 증기는 후드덕트에 의해서 배출하되, 증숙조건에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가변조절기가 부착된 배기홴이 상기 덕트의 상부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 영역의 하부에 위치한 물탱크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수위제어부를 설치하되, 상기 수위제어부는 부력식 포겟이 내려가 저수위센서에 감지되면 급수전자변이 개방되고 고수위센서에 감지될 때까지 물을 공급시키고, 물의 양이 많아지면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시스템.
KR1020040091504A 2004-11-10 2004-11-10 식품 증숙시스템 KR100642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504A KR100642090B1 (ko) 2004-11-10 2004-11-10 식품 증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504A KR100642090B1 (ko) 2004-11-10 2004-11-10 식품 증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739A KR20060042739A (ko) 2006-05-15
KR100642090B1 true KR100642090B1 (ko) 2006-11-10

Family

ID=3714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504A KR100642090B1 (ko) 2004-11-10 2004-11-10 식품 증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785B1 (ko) 2010-10-22 2012-11-09 임철한 떡 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344Y1 (ko) * 1982-07-15 1984-08-04 서흥산업주식회사 취 반 관
US5609095A (en) 1993-07-01 1997-03-11 Stein, Inc. High performance cooking oven with steam chamber
US6035764A (en) 1998-08-14 2000-03-14 Showa Sangyo Co., Ltd. Rice processing apparatus with continuously steaming and boiling
JP2000228970A (ja) 1999-02-10 2000-08-22 Ikeda Shokken Kk 乾燥具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1198013A (ja) 2000-01-24 2001-07-24 Arusu:Kk 食品蒸し機
JP2003070645A (ja) 2001-09-06 2003-03-11 Seta Giken:Kk 過熱蒸気による食品類加工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344Y1 (ko) * 1982-07-15 1984-08-04 서흥산업주식회사 취 반 관
US5609095A (en) 1993-07-01 1997-03-11 Stein, Inc. High performance cooking oven with steam chamber
US6035764A (en) 1998-08-14 2000-03-14 Showa Sangyo Co., Ltd. Rice processing apparatus with continuously steaming and boiling
JP2000228970A (ja) 1999-02-10 2000-08-22 Ikeda Shokken Kk 乾燥具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1198013A (ja) 2000-01-24 2001-07-24 Arusu:Kk 食品蒸し機
JP2003070645A (ja) 2001-09-06 2003-03-11 Seta Giken:Kk 過熱蒸気による食品類加工装置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785B1 (ko) 2010-10-22 2012-11-09 임철한 떡 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739A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2481A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KR102069210B1 (ko) 연속식 취반 장치
JPH04211338A (ja) 澱粉を含む製品、特に米を熱水作用で処理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2008161559A (ja) 蒸気による加熱方法及び装置
JP6647714B2 (ja) 蒸し機
KR100642090B1 (ko) 식품 증숙시스템
US3791049A (en) Drying methods with moisture profile control
WO2015186157A1 (ja) 多段式蒸煮装置
KR101435131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열풍발생장치
US2607698A (en) Product steriliz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4024322A (ja) 食品調理装置
FI123037B (fi) Menetelmä ja laite kaasun poistamiseksi hakkeesta
WO2000008985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cuisson de riz a la vapeur en continu
US5275666A (en) Auxiliary apparatus for producing maple syrup
WO2015186156A1 (ja) 多段式蒸煮装置
KR101808133B1 (ko) 나물 증숙 장치
JP2019205518A (ja) 蒸し機及び加熱処理方法
KR100651771B1 (ko) 석탄 수분 처리 장치
JP2002085045A (ja) 加熱空気による予備加熱を伴う穀類の蒸煮方法及び装置
KR100439064B1 (ko) 스팀 오븐기의 스팀공급장치
KR930004054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RU212891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зерна в кипящем слое
RU2764336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инфракрасно-конвективная суш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CN114344953B (zh) 一种水-蜡乳化液的破乳化干燥装置及方法
CN216777921U (zh) 一种乳化蜡的水分分离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