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721B1 -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721B1
KR100641721B1 KR1020050065966A KR20050065966A KR100641721B1 KR 100641721 B1 KR100641721 B1 KR 100641721B1 KR 1020050065966 A KR1020050065966 A KR 1020050065966A KR 20050065966 A KR20050065966 A KR 20050065966A KR 100641721 B1 KR100641721 B1 KR 10064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injection member
gas burner
gas
portabl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근호
Original Assignee
표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근호 filed Critical 표근호
Priority to KR102005006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4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eans for pressurising the gaseous fuel or the 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8/00Control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풍과 같은 야외 활동에서 많이 사용하는 휴대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서 미끄러지는 구동방식에 따른 주입부재를 포함하여, 가스통이 수납부의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는 그 내부에 형성된 형태를 보면, 크게 조절부(10)와, 이 조절부(10)의 조작에 의해 연동되는 작동부(20), 그리고 작동부(20)의 연동으로부터 실제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부(30)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캠에 의해 구동되며, 전진 및 후퇴가 자유로운 주입부재를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통의 탈착을 위한 레버나 가스통 수납부의 슬라이드플레이트 등과 같은 구성을 대체함으로써, 가스버너의 구성을 단순화시킴은 물론, 그에 따른 제조공정의 개선을 통한 생산성 제고 및 생산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레귤레이터, 조정기, 가스, 버너, 탈착, 장착

Description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REGULATOR OF PORTABLE GAS-BURN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의 일 실시형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의 다른 실시형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 장치를 적용한 휴대용 가스버너의 분해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인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가스통 1a : 머리 콕
2 : 수납부 10 : 조절부
11 : 조절부재 11a: 유량조절수단
12 : 조절노브 13 : 캠
20 : 작동부 21 : 격벽
22 : 탄지수단 30 : 구동부
31 : 설치면 40 : 주입부재
41 : 몸체 11b,41a: 밀봉수단
41b: 삽입구 41c,51: 가스유로(流路)
50 : 레귤레이터 60 : 고정 홈
본 발명은 소풍과 같은 야외 활동에서 많이 사용하는 휴대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서 미끄러지는 구동방식에 따른 주입부재를 포함하여, 가스통이 수납부의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실시되고 있는 휴대용 가스버너의 구성을 살펴보면, 가스통이 수납되는 수납부(2)와, 가스통의 장착상태나 화력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3)을 포함하는 것으로, 조절수단(3)의 탈착레버(4)를 조작하면 수납부(2) 내의 슬라이드플레이트(5) 등이 움직이면서 가스통을 탈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73560호(2005. 1. 7. 등 록, 이하 '종래기술1'라 함)와 공개특허공보 제26800호(2005. 3. 16. 공개, 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서 개시된 형태의 기술들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1은 화력 조절을 위한 가스의 유량을 전방 및 후방 양측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조절수단(3)에 해당하는 탈착레버(4)(4a) 및 조절노브(12)가 각각 양편으로 형성되고, 가스통이 들어가는 수납부(2)에는 탈착레버(4)(4a)로부터 연동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5)가 스프링(6)에 의해 레버 바(7)로 연결되며, 양 조절노브(12)의 연동을 위해 연결 바(8)가 형성되는 것에 기술적 구성의 특징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2는 화력의 조절이나 점화 및 소화는 물론, 가스통의 탈착까지 하나의 버턴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종래기술2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노브(12)에 가압돌기(12a)가 형성되며, 힌지형태로 결합되어 가압돌기(12a)로부터 조절부재(12)의 조작에 따라 좌우로 회동되는 회동부재(9), 그리고 이 회동부재(9)로부터 슬라이드플레이트(5)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회동을 직선왕복 상태로 전환시켜 주는 전환부재(9a)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1 및 종래기술2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는 외형에서 드러나는 조절수단(3)의 형태가 달라졌을 뿐, 양자 모두 가스통이 들어가는 수납부 (2)를 형성하는 구성 즉, 가스통을 탈착시키기 위한 슬라이드플레이트(5)나 이를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해 연동 되는 구성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으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라 조립작업도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열거하자면, 제품의 복잡한 구성은 더 많은 공정을 요구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생산비용이 늘어나게 되고, 이것은 결국 제품의 생산성 저하는 물론, 채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채산성에 대한 문제점은 영세 사업장의 경영난과 직결되는 것으로, 휴대용 가스버너를 생산하는 사업장의 대부분이 영세하다는 사실을 고려해 볼 때, 사업장의 존립에 기반을 두고 있는 중차대한 해결과제인데 비해 상기한 종래기술들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캠 형태의 구동방식에 따라 슬라이딩 되는 주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스통의 탈착을 위한 구성을 획기적으로 단순화시키면서도 가스의 공급이나 화력의 세기조절 등 사용상의 불편이 전혀 없는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조절노브만으로 가스통의 탈착은 물론, 화력의 세기조절 등 제반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원 버턴식 가스버너의 제조가 용이한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는 가스통의 머리 콕이 가압에 의해 0.4㎜ 정도만 눌려도 그 내부의 가스가 원활하게 유출된다는 점에 착안된 것으로, 캠의 회동에 의해 전진 및 후퇴가 이루어지는 주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핵심적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는 가스통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내부에 형성된 주입부재가 구동되어 가스통의 탈착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는 그 내부에 형성된 형태를 크게 조절부(10)와, 이 조절부(10)의 조작에 의해 연동되는 작동부(20), 그리고 작동부(20)의 연동으로부터 실제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부(30)로 나눠볼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조절부(10)와 작동부(20) 및 구동부(30)가 형성되는 공간은 격벽(21)에 의해 분리된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한 조절부(10)는 원통형의 봉과 같은 조절부재(11)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 조절부재(11)의 일측 즉, 휴대용 가스버너의 외형으로부터 돌출되는 쪽의 끝단에는 조절노브(12)가 결합되고, 그 반대쪽 끝단에는 일면이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캠(13)이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재(11)의 봉 중간 소정의 위치 즉, 회동시 레귤레이터(50) 내의 가스유로(51)와 한번은 맞닿아 일치되는 위치에는 장공형태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관통된 유량조절수단(11a)이 구비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유량조절수단(11a)이 형성된 조절부재(11)의 외측 둘레에는 흐르는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밀봉수단(11b)이 마련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작동부(20)는 상기 조절부재(11)의 캠(13)과 주입부재(40)가 결합된 형태로써, 격벽(21)으로부터 지지된 코일 형태의 스프링 등과 같은 탄지수단(22)으로부터 주입부재(40)의 일측이 상기한 캠(13)의 경사면에 맞닿아 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캠(13)의 경사면과 맞닿는 주입부재(40)의 소정 부위는 반구(半求) 형태처럼 곡면으로 이루어져, 캠(13)의 회동시 경사면과의 마찰이 적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스프링과 같은 탄지수단(22)의 지지상태는 주입부재(40)의 일측에 단을 이루는 턱과 같은 형태를 마련하여, 턱과 격벽(21) 사이에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30)는 캠(13)과 탄지수단(22)으로부터 주입부재(40) 가 전진 및 후퇴하면서 고정된 가스통(1)의 머리 콕(1a)으로 탈착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주입부재(40)의 몸체(41)가 설치면(31)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형성된다. 이 때, 주입부재(40)의 몸체(41)는 가스통(1)의 머리 콕(1a)이 탈착될 수 있는 홈 형태의 삽입구(41b)를 포함하며, 이 삽입구(41b)로부터 몸체(41) 외부로 형성되는 가스유로(41c)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주입부재(40)의 몸체(41) 즉, 설치면(31)과 접하는 외주면 상에는 상기한 유량조절수단(11a)이 형성된 조절부재(11)의 외측 둘레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스의 누출방지를 위한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 형태의 밀봉부재(41a)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4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레귤레이터 장치는 휴대용 가스버너에 있어서, 가스통(1)을 담는 수납부(2)가 가스통(1)의 고정을 위한 최소한의 구성 즉, 가스통(1)이 어느 한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는 고정 홈(60)만이 형성된 형태로도 가능하므로 그 구성을 획기적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가스버너의 경우, 가스통(1)이 정위치에 비치되었을 때, 가스통(1) 의 몸통이 고정된 상태에서 머리 콕(1a)이 구동부(30) 속으로 소정 깊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것이 곧 사용 전의 대기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 장치를 적용한 휴대용 가스버너를 점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조절노브(12)를 점화 쪽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부(10)의 조절부재(11)와 더불어 캠(13)이 조절노브(1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작동부(20)에서는 캠(13)에 접촉되어 있는 주입부재(40)가 캠(13)의 경사면을 따라 밀리면서 지지하고 있던 탄지수단(22)을 압축시키게 된다. 동시에 구동부(30)에서는 주입부재(40)의 몸체(41)가 설치면(31)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몸체(41)의 삽입구(41b)가 가스통(1)의 머리 콕(1a)을 누르게 된다. 여기서, 가스통(1)의 머리 콕(1a)이 0.4㎜ 정도 눌러졌을 때 즉, 가스통(1)의 가스 유출이 원활한 상태에 도달했을 때, 주입부재(40)의 몸체(41)에 형성된 가스유로(41c)가 레귤레이터(50)에 형성된 가스유로(51)와 일치되어 가스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조절부재(11)에 마련된 장공형태의 유량조절수단(11a)도 주입부재(40)의 몸체(41)에 형성된 가스유로(41c)에서처럼 최초 사용대기상태에서는 레귤레이터(50)에 마련된 가스유로(51)와 크로스 상태에 있게 되며, 사용자가 조절노브(12)를 회전시켜 점화상태에 왔을 때, 비로소 가스의 흐름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유량조절수단(11a)은 장공형태로 길게 천공되고, 캠(13) 또한 최고점과 최저점에서 소정범위 경사면의 기울기가 없는 평탄면을 형성하므로, 점화 후 조절노브(12)를 소화방향으로 적당히 되돌리는 조작으로 가스버너의 화력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레귤레이터(50)에 형성된 가스유로(51)와 주입부재(40)의 몸체(41)에 형성된 가스유로(41c) 및 조절부재(11)의 유량조절수단(11a)이 각각 일체되어 가스통(1)의 가스가 원활하게 흐르게 될 때, 구동부(30)의 설치면과 주입부재(40)의 몸체(41) 사이 그리고, 조절부재(11)의 유량조절수단(11a)이 형성된 둘레에 마련된 밀봉수단(11b)(41a)은 흐르는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 장치를 적용한 휴대용 가스버너의 사용을 중단하기 위해 소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절노브(12)를 소화 쪽 즉, 최초 사용대기상태 위치로 완전히 되돌려 놓는다. 그러면 조절부재(11)에 일체된 캠(13)이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도 4a와 같은 상태로 전환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주입부재(40)는 격벽(21)에 지지된 탄지수단(22)의 복원력으로부터 몸체(41)의 삽입구(41b)가 가스통(1)의 머리 콕(1a)에서 이격되어 떨어지게 된다. 즉, 최초 사용대기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한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기재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캠에 의해 구동되며, 전진 및 후퇴가 자유로운 주입부재를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통의 탈착을 위한 구성 즉, 레버나 가스통 수납부의 슬라이드플레이트 등을 대체함으로써, 가스버너의 구성을 단순화시킴은 물론, 그에 따른 제조공정의 개선을 통한 생산성 제고 및 생산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또, 조절노브만으로도 가스통의 탈착은 물론, 화력조절 등과 같은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원 버턴식 가스버너에 따른 사용상의 편의 도모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발명이다.

Claims (3)

  1. 일측으로는 조절노브, 타측으로는 캠이 체결된 조절부재가 설치되는 조절부와;
    격벽으로부터 탄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주입부재가 상기 캠의 경사면에 맞닿아 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작동부;
    그리고 상기 주입부재의 몸체가 설치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조절부재에는 장공형태로 천공된 유량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의 유량조절수단 및 상기 주입부재의 몸체에는 기밀성 유지를 위한 밀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
KR1020050065966A 2005-07-20 2005-07-20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 KR100641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66A KR100641721B1 (ko) 2005-07-20 2005-07-20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66A KR100641721B1 (ko) 2005-07-20 2005-07-20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721B1 true KR100641721B1 (ko) 2006-11-10

Family

ID=3765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966A KR100641721B1 (ko) 2005-07-20 2005-07-20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7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91B1 (ko) 2007-05-30 2008-07-23 이상우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용기 착탈장치
KR101949083B1 (ko) * 2018-06-21 2019-02-18 신윤은 레귤레이터 바디의 산소가스 라인 가공방법
KR101949084B1 (ko) * 2018-06-21 2019-02-18 신윤은 레귤레이터 바디의 오목부 가공방법
WO2024090799A1 (ko) * 2022-10-28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레귤레이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339Y1 (en) * 1984-09-25 1986-07-02 An Byong Yol Portable gas range
KR200199096Y1 (ko) 2000-05-01 2000-10-02 오창종 원터치식 점화 스위치를 가지는 휴대용 가스 버너
KR200197962Y1 (ko) 2000-04-22 2000-10-02 오창종 원터치식 점화 스위치를 가지는 휴대용 가스 버너
KR20010001690U (ko) * 1999-06-30 2001-01-26 홍승덕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용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339Y1 (en) * 1984-09-25 1986-07-02 An Byong Yol Portable gas range
KR20010001690U (ko) * 1999-06-30 2001-01-26 홍승덕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용기 고정장치
KR200197962Y1 (ko) 2000-04-22 2000-10-02 오창종 원터치식 점화 스위치를 가지는 휴대용 가스 버너
KR200199096Y1 (ko) 2000-05-01 2000-10-02 오창종 원터치식 점화 스위치를 가지는 휴대용 가스 버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91B1 (ko) 2007-05-30 2008-07-23 이상우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용기 착탈장치
KR101949083B1 (ko) * 2018-06-21 2019-02-18 신윤은 레귤레이터 바디의 산소가스 라인 가공방법
KR101949084B1 (ko) * 2018-06-21 2019-02-18 신윤은 레귤레이터 바디의 오목부 가공방법
WO2024090799A1 (ko) * 2022-10-28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레귤레이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147461U (zh) 一种开水机用的环绕按钮发光的控制装置
JP5080484B2 (ja) 締結具駆動工具用の打込深さ調節機構
TWI273955B (en) Dual mode pneumatic fastener actuation mechanism
US7213733B1 (en) Nail gun switch mechanism for switching dual actuation modes
KR100641721B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레귤레이터 장치
JP4701204B2 (ja) 引き金のシフトレバー切り換え構造
CN101123148B (zh) 开关
MY131042A (en) Multi-mode lighter
CN205582789U (zh) 一种墙壁开关
JP4824706B2 (ja) パイロット形電磁弁
KR101728484B1 (ko)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가스점화기
JP2015226952A (ja) 打込機
JP2009030316A (ja) 水栓装置
CN107772741A (zh) 手持器具
KR20170022510A (ko) 의자 높이 조절 장치
KR100594722B1 (ko) 회전식 가스밸브장치
US20080213711A1 (en) Lighter or Lighting Gun with a Safety Switch
JP2012097973A (ja) ビルトイン式のガスコンロ
KR200444095Y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
CN218267322U (zh) 一种燃气控制阀
JPH10266663A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KR101712091B1 (ko) 푸쉬록 스위치
JP4242714B2 (ja) 水栓
KR100625527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200193825Y1 (ko) 캐비넷 히터의 점화 버튼 조작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