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029B1 -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029B1
KR100641029B1 KR1020050027630A KR20050027630A KR100641029B1 KR 100641029 B1 KR100641029 B1 KR 100641029B1 KR 1020050027630 A KR1020050027630 A KR 1020050027630A KR 20050027630 A KR20050027630 A KR 20050027630A KR 100641029 B1 KR100641029 B1 KR 10064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ing
loaded
traveling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185A (ko
Inventor
정경자
Original Assignee
정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자 filed Critical 정경자
Priority to KR1020050027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029B1/ko
Priority to RU2007140411/11A priority patent/RU2371369C2/ru
Priority to US11/909,768 priority patent/US20100189534A1/en
Priority to PCT/KR2006/001112 priority patent/WO2006104329A1/en
Priority to EP06732709A priority patent/EP1863731A1/en
Priority to JP2008503938A priority patent/JP2008534406A/ja
Priority to CN2006800105810A priority patent/CN101151198B/zh
Publication of KR2006010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029B1/ko
Priority to HK08106433.4A priority patent/HK1111967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66C13/085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이 최단시간에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철골구조체의 내부로 적재할 컨테이너가 진입되면 이 컨테이너가 적재될 위치를 지정하는 적재위치 지정단계와; 상기 철골구조체의 승강로를 따라 트레블링으로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될 위치의 층까지 상승시키는 컨테이너 상승단계와;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될 층에 위치하면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될 층의 선단에 위치한 임시 적재장소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임시 적재단계와; 상기 임시 적재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적재될 층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트레블링을 통해 미리 지정된 적재 위치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컨테이너 적재단계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적재, 반출, 이적재, 설비

Description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적재 방법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적재 방법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적재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적재 장치의 요부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확대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트레블링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적재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전체 정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철골구조체
11 : 승강로 12 : 적재층 13 : 수평레일
14 : 임시적재공간 15 : 보조레일
20 : 케이지
21 : 트레블링
30 : 이송트레블링
31 : 본체
311 : 구동바퀴 312 : 구동모터
32 : 착탈프레임
321 : 후크
33 : 상하이동부
331 : 제1링크 332 : 제2링크 333 : 유압실린더
334 : 지지축 335 : 힌지축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이 최단시간에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화물을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자형 용기(容器)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길이와 높이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가 20ft이거나 40ft인 컨테이너를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터미널이라고 하는 특정한 장소적 설비에 적재되고, 이 장소는 항구 앞에 위치를 하고 여기에 대량의 컨테이너를 적재한 후에 선적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대량의 컨테이너를 터미널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터미널 자체가 매우 넓어야 하며, 이 넓은 부지를 적절히 확보하는데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지가 넓다 하더라도 효율적인 적재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가 넓은 부지에 산재하여 적재됨으로써, 적재된 컨테이너가 선박과 멀리 떨어져 있어 이 컨테이너를 선박으로 이동하기 위해 많은 이동설비와 인력이 부가적으로 소요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방법 및 시스템'(특허출원 제2004-16979호 2004.03.12)이 있고, 이를 도 9와 도 10에 도시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시스템은 다수의 철골구조체(100)가 결합되어 철골적재설비를 이루고, 상기 철골구조체(100)의 내부로 형성되는 수직의 승강로(101)의 양측에 각각 다수의 적재층(102)이 구비되며, 상기 철골구조체(100)의 내부로 각각 승하강되는 케이지(20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지(200)에서 상기 적재층(102)으로 수평이동되는 트레블링(30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철골적재설비의 양측으로 외부에서 이송된 컨테이너를 철골구조체(100)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컨테이너진입부(40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지(200)는 철골구조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브와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진 구동부에 의해 승강로(101)에 설치된 수직레일을 따라 승하강 되고, 상기 케이지(2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트레블링(300)은 자체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으로 적재실(102)의 내부 양측으로 설치된 수평레일(103)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진입부(400)에 의해 철골구조체(100)의 내부로 진입된 컨테이너는 트레블링(300)에 홀딩된 상태로 케이지(200)에 의해 상기 트레블링(300)과 함께 적재될 위치로 상승된 다음에 상기 트레블링(300)이 적재될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층(102)의 적재 위치로 수평이동하여 컨테이너의 적재가 이루어지게 되고, 반대의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의 반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트레블링이 적재층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상기 적재층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반출하는 동안에 케이지가 정지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장비의 활용성이 떨어지면서 동시에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시간이 현저히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적재층의 상하폭이 낮아 중앙부위에 있는 컨테이너를 반출하기 위해서 그 전방에 있는 컨테이너들을 다른 위치로 이송시켜야 하는 등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작업의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이 최단시간에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비의 고장유무를 확인하여 사용 가능한 장비를 통해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이 보다 합리적이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이 최단시간에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층을 확장하여 적재 효율이 증진되면서 장비의 활용도가 증진되도록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적재층의 내부에서 컨테이너의 상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은 철골구조체의 내부로 적재할 컨테이너가 진입되면 이 컨테이너가 적재될 위치를 지정하는 적재위치 지정단계와; 상기 철골구조체의 승강로를 따라 트레블링으로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될 위치의 층까지 상승시키는 컨테이너 상승단계와;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될 층에 위치하면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될 층의 선단에 위치한 임시 적재장소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임시 적재단계와; 상기 임시 적재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적재될 층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트레블링을 통해 미리 지정된 적재 위치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컨테이너 적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시 적재단계의 다음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임시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임시적재 장소에 있는 트레블링을 다른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해 승강로를 통해 컨테이너가 진입되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트레블링 이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위치 지정단계의 다음으로 적재될 층의 내부에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이송트레블링의 고장 유무를 확인하는 고장유무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은 반출할 컨테이너가 지정되면 철골구조체의 내부로 반출할 컨테이너의 위치를 확인하는 반출위치 확인단계와; 상기 반출할 컨테이너가 적재된 층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트레블링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된 층의 선단에 위치한 임시 적재장소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임시 적재단계와; 상기 임시 적재장소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트레블링을 통해 철골구조체의 승강로를 따라 반출 위치로 하강시키는 컨테이너 하강단계와; 상기 컨테이너가 철골구조체의 승강로 하단에 있는 반출될 위치에 이르면 상기 컨테이너를 철골구조체의 외부로 반출시키는 컨테이너 반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시 적재단계의 이전에 이송트레블링을 제어하여 반출할 컨테이너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그 주변의 다른 컨테이너를 정리하는 임시적재 준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출위치 확인단계의 다음으로 반출될 컨테이너가 적재된 층의 내부에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이송트레블링의 고장유무를 확인하는 고장유무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는 승강로의 양측으로 다수의 적재층을 갖는 타워 형태의 철골구조체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로의 내부로 승하강되는 케이지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지에서 상기 적재층의 수평레일을 따라 수평이동되는 트레블링이 구비되는 컨테이너 이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층의 양단에 상기 트레블링을 통해 이송된 컨테이너가 임시로 적재되거나 상기 적재층의 내부에서 반출된 컨테이너가 임시로 적재되는 임시적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임시적재공간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층의 지정된 위치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적재층에 있는 반출될 컨테이너를 상기 임시적재공간으로 이송시키도록 각각의 상기 적재층에 구비되면서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트레블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층은 다수의 컨테이너가 상하로 적재되도록 상하폭이 확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송트레블링은, 상기 수평레일에 재치되는 구동바퀴를 갖고 상기 구동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가지며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로 구비되고 컨테이너를 착탈하는 후크를 갖는 착탈프레임과, 상기 본체와 착탈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착탈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본체의 하면 양단에 각각 상단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하단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착탈프레임의 상면 양단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중앙부위에 하단이 힌지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본체의 중앙부위에 힌지결합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를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그 중앙부위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의 하단과 상기 제2링크의 상단이 힌지결합되도록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힌지결합부위에 각각의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힌지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레일의 하부로 컨테이너의 상하 적재 개수에 맞추어 상기 트레블링이 이동되도록 상기 적재층에 다수의 보조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적재 방법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은 컨테이너의 적재될 위치를 지정하는 적재위치 지정단계(S10)와, 상기 지정된 적재위치로 컨테이너를 상승시키는 컨테이너 상승단계(S20)와,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될 층의 선단에 임시로 적재하는 임시 적재단계(S30)와, 상기 임시로 적재된 컨테이너를 미리 지정된 적재위치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컨테이너 적재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위치 지정단계(S10)는 철골구조체의 내부로 적재할 컨테이너가 진 입되면 이 컨테이너가 적재될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컨테이너 이적재 장치에 마련된 제어유닛을 통해 철골구조체의 내부에서 비어있는 곳을 찾아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될 위치로 지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상승단계(S20)는 지정된 적재위치로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해 철골구조체의 승강로를 따라 트레블링으로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될 위치의 층까지 상승시키는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철골구조체의 하단에 진입된 컨테이너를 상기 트레블링으로 홀딩한 상태로 지정된 적재위치가 있는 적재층까지 상기 트레블링을 케이지로 상승시켜 컨테이너가 적재될 층까지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임시 적재단계(S30)는 컨테이너가 적재될 층에 위치하면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될 층의 선단에 위치한 임시 적재장소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컨테이너를 홀딩하고 있는 트레블링이 적재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홀딩하고 있는 컨테이너를 항상 비어 있는 임시 적재장소에 곧바로 적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가 임시로 적재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를 내려 놓은 트레블링은 다른 임무를 위해 사용될 수 있어 상기 트레블링의 활용도가 증대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적재단계(S40)는 임시 적재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적재될 층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트레블링을 통해 미리 지정된 적재 위치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적재될 층의 내부에 상설되어 있는 이송트레블링을 통해 임시 적재장소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미리 지정된 적재위치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의 임시적인 적재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상승과 적재층 내부로의 적재를 위한 이송이 분리됨으로써, 승강로를 통해 상하로 이동되는 케이지 및 트레블링을 보다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적재위치로 컨테이너의 이송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임시 적재단계(S30)의 다음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임시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임시적재 장소에 있는 트레블링을 다른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해 승강로를 통해 컨테이너가 진입되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트레블링 이동단계(S31)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트레블링 이동단계(S31)는 임시적재가 완료된 다음에 트레블링을 곧바로 철골구조체의 하단에 설치된 컨테이너 진입장소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트레블링의 사용효율이 현저히 증진되고, 그에 따라 다량의 컨테이너가 보다 빠르게 적재된다.
또한, 상기 적재위치 지정단계(S10)의 다음으로 적재될 층의 내부에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이송트레블링의 고장 유무를 확인하는 고장유무 확인단계(S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장유무 확인단계(S11)는 컨테이너가 적재될 층의 이송트레블링에 대한 고장유무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컨테이너의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적재될 층의 이송트레블링이 고장난 것이 확인되면 트레블링에 홀딩된 컨테이너를 임시 적재장소에 적재하지 않고 상기 트레블링을 통해 곧바로 적재위치로 이송하여 적재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적재가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적재 방법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은 반출된 컨테이너의 위치를 확인하는 반출위치 확인단계(S100)와, 적재 층에 적재된 반출될 컨테이너를 이송하여 임시 적재장소에 적재하는 임시 적재단계(S200)와, 임시로 적재된 컨테이너를 트레블링으로 하강시키는 컨테이너 하강단계(S300)와, 하강된 컨테이너를 철골구조체의 외부로 반출하는 컨테이너 반출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반출위치 확인단계(S100)는 반출할 컨테이너가 지정되면 철골구조체의 내부로 반출할 컨테이너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작업자가 반출할 컨테이너를 선정하면 제어부가 이 컨테이너가 적재되어 있는 위치를 찾아 반출될 컨테이너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임시 적재단계(S200)는 반출할 컨테이너가 적재된 층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트레블링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된 층의 선단에 위치한 임시 적재장소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이송트레블링으로 적대된 컨테이너를 홀딩한 후에 적재층의 선단에 위치한 임시 적재장소로 이송하여 이 장소에 임시로 반출할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하강단계(S300)는 임시 적재장소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트레블링을 통해 철골구조체의 승강로를 따라 반출 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임시 적재장소에 적재된 반출할 컨테이너를 케이지의 내부로 구비된 트레블링으로 홀딩하여 승강로를 통해 철골구조체의 하단에 위치한 반출장소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반출단계(S400)는 컨테이너가 철골구조체의 승강로 하단에 있는 반출될 위치에 이르면 상기 컨테이너를 철골구조체의 외부로 반출시키는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승강로의 하단에 있는 반출위치에 배치된 컨테이너를 대차 및 트레일러 등을 사용하여 외부로 반출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임시 적재단계(S200)의 이전에 이송트레블링을 제어하여 반출할 컨테이너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그 주변의 다른 컨테이너를 정리하는 임시적재 준비단계(S10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임시적재 준비단계(S102)는 반출될 컨테이너가 다른 컨테이너에 의해 곧바로 이송하기 곤란한 경우에 주변의 다른 컨테이너를 정리 즉 재배치하여 상기 반출될 컨테이너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출위치 확인단계(S100)의 다음으로 반출될 컨테이너가 적재된 층의 내부에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이송트레블링의 고장유무를 확인하는 고장유무 확인단계(S101)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장유무 확인단계(S101)는 컨테이너가 반출될 층의 이송트레블링에 대한 고장유무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컨테이너의 반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반출될 컨테이너가 적재된 층의 이송트레블링이 고장난 것이 확인되면 이송트레블링을 사용하지 않고 곧바로 트레블링을 사용하여 에 반출될 컨테이너를 홀딩한 다음에 임시 적재장소에 적재하지 않고 곧바로 승강로를 통해 반 출위치로 이송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적재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정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는 승강로(11)의 양측으로 다수의 적재층(12)을 갖는 철골구조체(10)와, 상기 승강로(11)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내측에 트레블링(21)을 갖는 케이지(20)와, 각각의 상기 적재층(12)에 설치되는 이송트레블링(30)을 포함한다.
상기 철골구조체(10)는 그 내부에 수직으로 다수의 승강로(11)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로(11)의 양측에 수평으로 연통된 다수의 적재층(12)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층(12)의 내부에 수평레일(13)이 설치된다.
상기 적재층(12)은 다수의 컨테이너가 상하로 적층되게 배치되어 적재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레일(13)은 트레블링(21)이 적재층(12)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로이면서 동시에 상기 적재층(12)의 내부에 상설된 이송트레블링(30)이 이동되는 이동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케이지(20)는 승강로(11)를 따라 승하강되고 그 내측에는 수평이동 가능하게 트레블링(21)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블링(21)은 케이지(20)의 내부에서 재치된 상태로 수평레일(13)을 따라 적재층(12)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는 승강로(11)의 하단으로 컨테이너가 진입되면 트레블링(21)이 진입된 컨테이너를 홀딩한 상태로 케이지(20)가 상기 승강로(11)를 따라 적재될 위치까지 상승한 다음에 상기 트레블링(21)이 홀딩한 컨테이너를 수평레일(13)을 따라 이동하여 적재층(12)의 선단에 임시로 적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임시로 적재된 컨테이너는 적재층(12)의 내부에 상설된 이송트레블링(30)이 홀딩하여 미리 지정된 적재위치로 수평레일(13)을 따라 이송한 후에 적재를 하게 된다.
반대로, 컨테이너를 반출할 때는 반출위치에 있는 이송트레블링(30)이 반출할 컨테이너를 적재층(12)의 선단으로 이송하여 임시로 적재하게 되고, 이 임시로 적재된 컨테이너를 케이지(20)의 트레블링(21)이 홀딩한 후에 상기 케이지(20)와 함께 승강로(11)의 하단으로 하강하여 컨테이너를 반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적재 장치의 요부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는 승강로(11)의 양측으로 다수의 적재층(12)을 갖는 철골구조체(10)와, 상기 승강로(11)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내측에 트레블링(21)을 갖는 케이지(20)와, 각각의 상기 적재층(12)에 설치되는 이송트레블링(30)을 포함한다.
상기 철골구조체(10)는 그 내부에 수직으로 다수의 승강로(11)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로(11)의 양측에 수평으로 연통된 다수의 적재층(12)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층(12)의 내부에 수평레일(13)이 설치되고, 상기 적재층(12)의 양단에 임시적재공간(14)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레일(13)의 하부로 다수의 보조레일(15)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적재층(12)은 다수개의 컨테이너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적재되도록 그 상하폭이 확장되고, 적층되는 컨테이너의 개수에 맞추어 수평레일(13)의 하부로 보조레일(15)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상기 보조레일(15)은 이송트레블링(30)이 고장난 경우에 케이지(20)의 트레블링(21)이 직접 상기 보조레일(15)을 따라 적재층(12)의 내부로 이동하면서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반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임시적재공간(14)은 적재층(12)의 양단에 빈공간으로 형성되어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적재된 컨테이너를 반출하는 경우에 트레블링(21) 및 이송트레블링(30)을 통해 이송되는 컨테이너를 임시로 보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임시적재공간(14)에 의해 적재 또는 반출되는 컨테이너가 임시로 보관됨으로써, 승강로(11) 따라 케이지(20)에 의한 컨테이너의 상하 이동과 이송트레블링(30)에 의한 컨테이너의 수평이동이 상호 분리되어 상기 케이지(20)와 이송트레블링(30)이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활용도가 증진되면서 컨테이너의 이적재 속도가 향상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케이지(20)에 의해 컨테이너가 운반되는 중에 이송트레블링(30)은 다른 임무를 수행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이송트레블링(30)이 작동되는 중에도 상기 케이지(20)가 다른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장비의 활용도가 증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트레블링(30)은 수평레일(13)에 재치되는 구동바퀴를 갖고 상기 구동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가지며 상기 수평레일(13)을 따라 이동되 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하부로 구비되고 컨테이너를 착탈하는 후크(321)를 갖는 착탈프레임(32)과, 상기 본체(31)와 착탈프레임(3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착탈프레임(3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착탈프레임(32)은 후크(321)에 의해 컨테이너를 홀딩하거나 그 홀딩을 해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이동부(33)는 본체(31)의 하면 양단에 각각 상단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1링크(331)와, 상기 제1링크(331)의 하단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하단이 착탈프레임(32)의 상면 양단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2링크(332)와, 상기 제1링크(331)의 중앙부위에 하단이 힌지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본체(31)의 중앙부위에 힌지결합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333)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이동부(33)는 본체(31)의 하부에서 착탈프레임(32)을 상하로 이동시켜 다수개의 컨테이너가 적재층(12)의 내부에 손쉽게 적층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부(33)는 제1링크(331)를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그 중앙부위에 힌지결합되고 유압실린더(333)의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축(334)과, 상기 제1링크(331)의 하단과 제2링크(332)의 상단이 힌지결합되도록 상기 제1링크(331)와 제2링크(332)의 힌지결합부위에 각각의 상기 제1링크(331) 및 제2링크(332)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힌지축(33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축(334)과 힌지축(335)은 제1링크(331)와 제2링크(332)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트레블링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는 구동모터(312)의 구동에 의해 구동바퀴(311)가 회전하면서 적재층(12)의 내부에서 수평레일(13)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31)와 제1링크(331)의 사이에 힌지결합된 유압실린더(333)가 작동을 하면서 상기 제1링크(331)와 이에 힌지결합된 제2링크(332)가 상기 본체(31)의 하면을 향해 접히거나 풀리면서 상기 제2링크(332)의 하단에 힌지결합된 착탈프레임(32)이 상하로 이동된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333)의 작동에 따라 제1링크(331)와 제2링크(332)가 접히면서 컨테이너(C)를 홀딩하고 있는 착탈프레임(32)이 본체(31)의 하면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C)가 상승된 상태가 된다.
반대로, 상기 유압실린더(333)의 작동에 따라 제1링크(331)와 제2링크(332)가 풀리면서 컨테이너(C)를 홀딩하고 있는 착탈프레임(32)이 본체(31)의 하면에서 그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C)가 하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333)에 의해 제1링크(331)와 제2링크(332)가 접히거나 풀림으로써, 적재층(12)의 내부에 다수의 컨테이너(C)를 적층하거나 적층된 컨테이너(C)를 반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이 최단시간에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다 량의 컨테이너가 손쉽게 처리되고 적재 및 반출작업 효율이 현저히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의 고장유무를 확인하여 사용 가능한 장비를 통해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이 보다 합리적이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적재 및 반출작업의 효율이 보다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층을 확장하여 적재 효율이 증진되면서 장비의 활용도가 증진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적재 및 반출이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적재된 컨테이너의 관리 및 취급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적재층의 내부에서 컨테이너의 상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이송작업의 효율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2)

  1. 철골구조체의 내부로 적재할 컨테이너가 진입되면 이 컨테이너가 적재될 위치를 지정하는 적재위치 지정단계(S10)와;
    상기 철골구조체의 승강로를 따라 트레블링으로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될 위치의 층까지 상승시키는 컨테이너 상승단계(S20)와;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될 층에 위치하면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될 층의 선단에 위치한 임시 적재장소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임시 적재단계(S30)와;
    상기 임시 적재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적재될 층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트레블링을 통해 미리 지정된 적재 위치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컨테이너 적재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적재단계(S30)의 다음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임시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임시적재 장소에 있는 트레블링을 다른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해 승강로를 통해 컨테이너가 진입되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트레블링 이동단계(S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위치 지정단계(S10)의 다음으로 적재될 층의 내부에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이송트레블링의 고장 유무를 확인하는 고장유무 확인단계(S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4. 반출할 컨테이너가 지정되면 철골구조체의 내부로 반출할 컨테이너의 위치를 확인하는 반출위치 확인단계(S100)와;
    상기 반출할 컨테이너가 적재된 층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트레블링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된 층의 선단에 위치한 임시 적재장소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임시 적재단계(S200)와;
    상기 임시 적재장소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트레블링을 통해 철골구조체의 승강로를 따라 반출 위치로 하강시키는 컨테이너 하강단계(S300)와;
    상기 컨테이너가 철골구조체의 승강로 하단에 있는 반출될 위치에 이르면 상기 컨테이너를 철골구조체의 외부로 반출시키는 컨테이너 반출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적재단계(S200)의 이전에 이송트레블링을 제어하여 반출할 컨테이너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그 주변의 다른 컨테이너를 정리하는 임시적재 준비단계(S10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위치 확인단계(S100)의 다음으로 반출될 컨테이너가 적재된 층의 내부에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이송트레블링의 고장유무를 확인하는 고장유무 확인단계(S10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7. 승강로(11)의 양측으로 다수의 적재층(12)을 갖는 타워 형태의 철골구조체(1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로(11)의 내부로 승하강되는 케이지(20)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지(20)에서 상기 적재층(12)의 수평레일(13)을 따라 수평이동되는 트레블링(21)이 구비되는 컨테이너 이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층(12)의 양단에 상기 트레블링(21)을 통해 이송된 컨테이너가 임시로 적재되거나 상기 적재층(12)의 내부에서 반출된 컨테이너가 임시로 적재되는 임시적재공간(14)이 형성되고;
    상기 임시적재공간(14)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층(12)의 지정된 위치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적재층(12)에 있는 반출될 컨테이너를 상기 임시적재공간(14)으로 이송시키도록 각각의 상기 적재층(12)에 구비되면서 상기 수평레일(13)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트레블링(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층(12)은 다수의 컨테이너가 상하로 적재되도록 상하폭이 확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송트레블링(30)은, 상기 수평레일(13)에 재치되는 구동바퀴(311)를 갖고 상기 구동바퀴(31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12)를 가지며 상기 수평레일(13)을 따라 이동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하부로 구비되고 컨테이너를 착탈하는 후크(321)를 갖는 착탈프레임(32)과, 상기 본체(31)와 착탈프레임(3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착탈프레임(3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33)는, 상기 본체(31)의 하면 양단에 각각 상단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1링크(331)와, 상기 제1링크(331)의 하단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착탈프레임(32)의 상면 양단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2링크(332)와, 상기 제1링크(331)의 중앙부위에 하단이 힌지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본체(31)의 중앙부위에 힌지결합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331)를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그 중앙부위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333)의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축(33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331)의 하단과 상기 제2링크(332)의 상단이 힌지결합되도록 상기 제1링크(331)와 제2링크(332)의 힌지결합부위에 각각의 상기 제1링크(331) 및 제2링크(332)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힌지축(33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일(13)의 하부로 컨테이너의 상하 적재 개수에 맞추어 상기 트레블링(21)이 이동되도록 상기 적재층(12)에 다수의 보조레일(1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장치.
KR1020050027630A 2005-04-01 2005-04-01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및 장치 KR10064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630A KR100641029B1 (ko) 2005-04-01 2005-04-01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및 장치
RU2007140411/11A RU2371369C2 (ru) 2005-04-01 2006-03-27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еремещения контейнеров (варианты)
US11/909,768 US20100189534A1 (en) 2005-04-01 2006-03-27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ing and transferring containers
PCT/KR2006/001112 WO2006104329A1 (en) 2005-04-01 2006-03-27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ing and transfering containers
EP06732709A EP1863731A1 (en) 2005-04-01 2006-03-27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ing and transfering containers
JP2008503938A JP2008534406A (ja) 2005-04-01 2006-03-27 コンテナ処理方法及び装置
CN2006800105810A CN101151198B (zh) 2005-04-01 2006-03-27 用于存放和输送集装箱的方法和设备
HK08106433.4A HK1111967A1 (en) 2005-04-01 2008-06-11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ing and transfering contain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630A KR100641029B1 (ko) 2005-04-01 2005-04-01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185A KR20060105185A (ko) 2006-10-11
KR100641029B1 true KR100641029B1 (ko) 2006-11-06

Family

ID=3763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630A KR100641029B1 (ko) 2005-04-01 2005-04-01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1029B1 (ko)
CN (1) CN1011511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4587B1 (de) * 2011-09-30 2014-06-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Zielposition für ein Containergeschirr und Containergeschirr
SG2014009849A (en) * 2013-03-27 2014-08-28 Yeow Khoon Tan A frame structure for a multi-level container handling and storage facility
SG11201811224WA (en) * 2016-06-16 2019-01-30 Cs Engineering Co Ltd Storehouse in which containers are to be loaded
CN107857044A (zh) * 2017-12-11 2018-03-30 机科(山东)重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物流系统的交互方法和交互装置
CN111319909B (zh) * 2018-12-13 2022-04-26 菜鸟智能物流控股有限公司 一种基于物流对象承载设备的管理系统及方法
CN114302854B (zh) * 2019-04-09 2023-11-28 Urbx股份有限公司 物流塔
CN113678648B (zh) * 2021-08-24 2022-10-04 东至县富东粮贸有限公司 谷物储存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326A (ko) * 1992-01-11 1993-08-26 이종윤 콘테이너 적재장치
JPH06115608A (ja) * 1992-09-30 1994-04-26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ッカーコンテナーの段積み格納システム
KR950013928A (ko) * 1993-11-24 1995-06-15 우. 시피스, 하. 베젠스 다층 창고에 상품 운반기를 입고 또는 재 적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091503A (ko) * 2004-03-12 2005-09-15 정경자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1304A (ko) * 2004-05-21 2005-11-24 정경자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63839A (en) * 1979-11-29 1981-06-10 Idc Group Ltd Apparatus for loading goods into storage racks and for unloading goods therefrom
CN1090247A (zh) * 1993-01-11 1994-08-03 年兴国际股份有限公司 自动化立体储物系统
US5540532A (en) * 1993-11-12 1996-07-30 Transact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marine cargo container handling and stor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326A (ko) * 1992-01-11 1993-08-26 이종윤 콘테이너 적재장치
JPH06115608A (ja) * 1992-09-30 1994-04-26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ッカーコンテナーの段積み格納システム
KR950013928A (ko) * 1993-11-24 1995-06-15 우. 시피스, 하. 베젠스 다층 창고에 상품 운반기를 입고 또는 재 적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091503A (ko) * 2004-03-12 2005-09-15 정경자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1304A (ko) * 2004-05-21 2005-11-24 정경자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1198B (zh) 2010-12-08
CN101151198A (zh) 2008-03-26
KR20060105185A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029B1 (ko)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및 장치
RU2371369C2 (ru)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еремещения контейнеров (варианты)
WO2019007318A1 (zh) 集装箱扭锁自动拆装系统
JP5480902B2 (ja) 特にisoコンテナを荷役するためのブリッジまたはガントリクレーン
JP2007320727A (ja) コンテナ用ガントリークレーン、コンテナ輸送用パレット、コンテナ搬送車、および、コンテナ輸送方法
KR100474103B1 (ko) 겐트리크레인
CN113859337B (zh) 一种土木工程施工砖块装卸设备
US9415933B2 (en) Article storage device and article transfer method
JPH07215665A (ja) パレタイザーおよび空パレット供給装置
JP3892976B2 (ja) 隧道構築用覆工材の搬送システム
CN110654986B (zh) 一种集装箱吊装方法
JP6234867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JPH0225779Y2 (ko)
KR101011208B1 (ko) 그린타이어 운반장치
JP2012001894A (ja) 連続揚重装置
JP4951013B2 (ja) 大型機械の生産移送設備
JP3629092B2 (ja) コンテナ格納庫のコンテナ搬出入設備
KR100624007B1 (ko) 수평 수직 순환이 가능한 컨테이너 크레인
JPH079156B2 (ja) セグメント搬送装置
CN111689390B (zh) 轨道吊转场的方法
JPH0818648B2 (ja) トンネルセグメントの一時保管・搬入設備
KR100707994B1 (ko)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설비
JP2002019916A (ja) コンテナ貯蔵装置
JP3298488B2 (ja) コンテナクレーン
JP2001193400A (ja) 立体自動倉庫の出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