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907B1 -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907B1
KR100640907B1 KR1020040094102A KR20040094102A KR100640907B1 KR 100640907 B1 KR100640907 B1 KR 100640907B1 KR 1020040094102 A KR1020040094102 A KR 1020040094102A KR 20040094102 A KR20040094102 A KR 20040094102A KR 100640907 B1 KR100640907 B1 KR 100640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system
pump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674A (ko
Inventor
김주원
오세기
송치우
장세동
정백영
박봉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907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3Pump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9On-of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와,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12)와,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부(13)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14)가 포함되는 제1차 냉매사이클(10);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냉매와 독립된 유로상의 냉매를 펌핑하는 펌프(21)와, 상기 펌핑된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기(22)와,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부(13)와, 상기 유로 제어부(13)에서 토출된 냉매를 저장하는 냉매 저장부(24)가 포함되는 제2차 냉매사이클; 그리고,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과 제2차 냉매사이클을 연결하여,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열원을 제2차 냉매사이클(20)에 열전달시키도록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의 가동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1차 냉매사이클 또는/및 제2차 냉매사이클의 펌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제1차 냉매사이클, 제2차 냉매사이클, 하이브리드 유닛

Description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ir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난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차 냉매사이클 11 : 압축기
12 : 실외 열교환기 13 : 유로 제어부
14 : 팽창장치 20 : 제2차 냉매사이클
21 : 펌프 22 : 실내기
22a : 온/오프 밸브 23 : 유로 제어부
24 : 냉매 저장부 25 : 가스 유동관
25a : 개폐밸브 26 : 스트레이너
27 : 분배기 30 : 하이브리드 유닛
본 발명은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배관 및 고층 건물에도 적용될 수 있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시키는 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및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는 통상적으로 압축기, 실내 열교환기, 팽창장치 및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매 사이클을 일방향으로만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만을 공급하도록 냉각 시스템과, 냉매 사이클을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냉난방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내기의 연결 개수에 따라, 1개의 실외기에 1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단순 공기조화 시스템과, 1개의 실외기에 다수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내기의 배열에 따라, 실내기가 직렬로 배열되는 직열형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과, 실내기가 병렬로 연결되는 병렬형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매를 유동시키는 구동원으로 압축기를 사용한다. 또한, 실외기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압축기를 사용한다. 이때, 압축기로는 일정한 주파수로 운전되는 정속 압축기 또는/및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인버터 압축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압축기의 오일이 부족하게 되면 실내기 나 냉매관에 있는 오일을 압축기로 회수하는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한다. 그런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외기와 실내기의 고저차가 크거나 냉매관의 전체 길이가 길 경우에는, 예컨데, 고저차가 50m 이상이 되는 경우나 배관의 전체 길이가 대략 100m 이상이 될 경우, 오일 회수 운전을 하더라도 회수율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부에 오일이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되어 압축기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내기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도를 조절하여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를 적용하므로, 상기 냉매 팽창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장배관 및 고층빌딩에도 적용할 수 있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층에 위치하는 실내기에 적합한 상태의 냉매를 공급할 수 있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부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가 포함되는 제1차 냉매사이클;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 냉매와 독립된 유로상의 냉매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핑된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기와,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부와, 상기 유로 제어부에서 토출된 냉매를 저장하는 냉매 저장부 및 상기 실내기의 흡토출 측 냉매관에 설치되어 냉매 유로를 개폐시키는 온/오프밸브가가 포함되는 제2차 냉매사이클; 그리고,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과 제2차 냉매사이클을 연결하여,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의 열원을 제2차 냉매사이클에 열전달시키도록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은,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의 팽창장치와 실외 열교환기 사이의 냉매관과, 상기 제2차 냉매사이클의 실내기와 유로 제어부 사이의 냉매관을 열접촉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기의 흡토출 측 냉매관에는 냉매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온/오프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 제어부와 펌프 사이에는 2개의 냉매관이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2개의 냉매관 중 어느 하나의 냉매관에 냉매 저장부가 설치된다.
상기 냉매 저장부가 설치되는 냉매 배관은 냉매 저장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냉매 저장부는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저장 탱크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 탱크들의 상부에는 내부 압력차에 의해 가스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동관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 유동관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 제어부와 냉매 저장부 사이의 냉매관 구간과, 상기 냉매 저장부와 펌프 사이의 냉매관 구간에는 냉매를 여과하도록 스트레이너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의 가동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2차 냉매사이클의 펌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펌프의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1차 냉매사이클의 압축기의 가동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의 가동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1차 냉매사이클의 압축기의 가동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열원을 발생시키는 제1차 냉매사이클(10)과,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의 열원에 의해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제2차 냉매사이클(20)과,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과 제2차 냉매사이클(20)의 열교환을 매개하는 하이브리드 유닛(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와,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12)와,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부(13)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14)가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차 냉매사이클(20)은,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냉매와 독립된 유로상의 냉매를 펌핑하는 펌프(21)와, 상기 펌핑된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기(22)와,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부(23)와, 상기 유로 제어부에서 토출된 냉매를 저장하는 냉매 저장부(2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은,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과 제2차 냉매사이클(20)을 연결하여,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열원을 제2차 냉매사이클(20)에 열전달시키도록 설치된다. 이때, 하이브리드 유닛 내에서 제1,2차 냉매사이클의 냉매는 섞어지 않고 독립적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제2차 냉매사이클(20)에는 냉매 유동을 위한 구동원으로 압축기(11) 대신에 펌프(21)가 적용되고,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별도의 팽창장치(14)가 설치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2차 냉매 사이클은 압축기(11)의 구동을 위한 오일이 불필요하고, 결국, 냉매 회수운전도 할 필요가 없다.
상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은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팽창장치(14)와 실외 열교환기(12) 사이의 냉매관과, 상기 제2차 냉매사이크의 실내기(22)와 유로 제어부(13) 사이의 냉매관을 열접촉시키도록 설치된다. 가령,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은 다수개의 적층된 판형 열전도핀에 제1,2차 냉매사이클의 냉매관들이 열접촉되게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제1,2차 냉매사이클의 냉매관들이 열전도성 유체들에 의해 열교환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2차 냉매사이클 의 냉매관을 2중관 형태로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냉매 저장부(24)는 저장된 냉매를 펌프(21)에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차 냉매 사이클의 냉매는 냉방 및 난방 운전시에 공히 냉매 저장부(24)를 통과한 후 펌프(21)에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펌프(21)의 특성상 액냉매를 펌핑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펌프(21)는 펌핑 모터와 임펠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펌핑 모터로는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 모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일정한 회전수를 갖는 정속 모터를 적용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상기 제2차 냉매사이클에서 상기 유로 제어부와 펌프 및 냉매 저장부의 설치 구조의 일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로 제어부(13)와 펌프(21) 사이에는 2개의 냉매관이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2개의 냉매관 중 어느 하나의 냉매관에 냉매 저장부(2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로 제어부(13)는 4방향 밸브(4 way valve)를 적용한다.
상기 냉매 저장부(24)가 설치되는 냉매 배관은 냉매 저장부(24)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매 저장부(24)에 저장된 냉매 중 액냉매만이 펌프(21)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냉매 저장부(24)는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저장 탱크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냉매 저장부는 1개의 저장 탱크로 구성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장 탱크들의 상부에는 내부 압력차에 의해 가스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동관(25)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저장 탱크들의 압력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상기 펌프(21)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냉매 저장부(24)와 펌프(21) 사이의 냉매관 구간에서 냉매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유동관(25)에는 개폐밸브(25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로 제어부(23)와 냉매 저장부(24) 사이의 냉매관 구간과, 상기 냉매 저장부(24)와 펌프(21) 사이의 냉매관 구간에는 냉매를 여과하도록 스트레이너(26a,26b)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매관에 있는 슬러지와 같은 불순물이 펌프(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실내기(22)의 흡토출측 냉매관에는 냉매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온/오프 밸브(22a)가 설치된다. 이때, 실내기(22)에는 실내 열교환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로 제어부(13)와 실내기(22) 사이에는 상기 실내기(22)에 냉매를 분배할 수 있도록 분배기(27)가 설치된다.
상술한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매 사이클의 가동형태에 따라 냉방 및 난방 운전을 수행한다. 상기 냉난방 운전시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은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냉기 또는 열기를 제2차 냉매사이클(20)에 열전달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냉방 운전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냉매는 압축기(11)에서 압축된 후 유로 제어부(13)에 보내진다. 상기 유로 제어부(13)는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2)측으로 절환시킨 다. 이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12)에 유입된 냉매는 외기와 열교환됨에 따라 응측된다. 상기 응축된 냉매는 팽창장치(14)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으로 변환된다. 상기 저온 저압 냉매는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을 냉각시킨 후 상기 유로 제어부(13)를 거쳐 압축기(11)에 유입된다. 이러한 제1차 냉매사이클(10)에서는 압축기(11)가 냉매 유동의 구동원으로 작용한다.
이어, 제2차 냉매 사이클의 냉매는 하이브리드 유닛(30)과 열교환됨에 따라 냉각된다. 이렇게 냉각된 냉매는 유로 제어부(23)의 제어에 의해 냉매 저장부(24)에 유입된다. 이때, 냉매는 스트레이너(26)를 거치면서 여과된 후 냉매 저장부(24)에 유입된다. 상기 냉매 저장부(24)의 하측에는 액냉매가 존재하고 상측에는 기체 냉매가 존재한다. 따라서, 냉매 저장부(24)의 액냉매가 펌프(21)로 유입된다. 상기 펌프(21)는 액냉매를 펌핑하여 유로 제어부(23)로 토출하고, 상기 유로 제어부(13)는 액냉매를 절환하여 분배기(27) 측으로 보내고, 상기 분배기의 냉매는 실내기(22)에 분배된다. 이때, 상기 온/오프 밸브(22a)를 개방시킴에 따라 소정의 실내기(22)를 가동 또는 정지시킨다. 즉, 실내 공간을 냉방시킬 경우, 제어부에서는 해당 실내기(22)의 온/오프 밸브(22a)를 개방시킨다. 또한, 실내 공간이 설정 온도를 만족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에서는 온/오프 밸브(22a)를 폐쇄시킨다. 상술한 실내기(22)의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후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으로 유입되어 다시 냉각된다. 이러한 제2차 냉매사이클(20)에서는 펌프(21)가 냉매 유동의 구동원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제2차 냉매사이클(20)에는 오일이 전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압축기(11)가 있는 냉매사이클과는 달리 냉매 회수 운전을 실시하지 않 는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난방 운전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냉매는 압축기(11)에서 압축된 후 유로 제어부(13)에 보내진다. 상기 유로 제어부(13)는 냉매를 하이브리드 유닛(30) 측으로 절환시킨다. 이때,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에 유입된 냉매는 하이브리드 유닛(30)을 가열하면서 응축된다. 상기 응축된 냉매는 팽창장치(14)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으로 변환된 후 상기 유로 제어부(13)를 거쳐 압축기(11)에 유입된다.
이어, 제2차 냉매 사이클의 냉매는 하이브리드 유닛(30)과 열교환됨에 따라 가열된다. 이렇게 가열된 냉매는 실내기(22)에 유입되어 실내 공간을 난방시키면서 자신은 응축된다. 이때, 상기 온/오프 밸브(22a)를 개방시킴에 따라 소정의 실내기(22)를 가동 또는 정지시킨다. 즉, 실내 공간을 난방시킬 경우, 제어부에서는 해당 실내기(22)의 온/오프 밸브(22a)를 개방시킨다. 또한, 실내 공간이 설정 온도를 만족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에서는 온/오프 밸브(22a)를 폐쇄시킨다. 상기 실내기(22)에서 토출된 냉매는 유로 제어부(23)의 제어에 의해 냉매 저장부(24)에 유입된다. 이때, 냉매는 스트레이너(26)를 거치면서 여과된 후 냉매 저장부(24)에 유입된다. 상기 냉매 저장부(24)에서 토출된 액냉매는 펌프(21)로 유입된다. 상기 펌프(21)는 냉매를 펌핑하여 유로 제어부(13)를 거쳐 하이브리드 유닛(30) 측으로 보낸다.
상술한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 다.
상기 실내기(22)의 가동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2차 냉매사이클(20)의 펌프(21)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차 냉매사이클(20)의 냉매 유동량을 증가시켜 동일한 온도의 냉매로도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펌프(21)의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압축기(11)의 가동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차 냉매사이클(20)의 냉매 유동량이 증가됨에 대응하여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냉매 유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층 건물에서 낮은 층에 배치된 실내기(22)를 위주로 가동될 때에는 상기 펌프(21)의 회전수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층 건물에서 높은 층에 배치된 실내기(22)를 위주로 가동될 때에는 상기 펌프(21)의 회전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차 냉매시스템에서는 높이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펌핑력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층 건물의 높은 층이라 함은 고층 건물 높이의 1/3, 또는 1/2에 해당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높은 층은 사용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되어질 수 있다.
상술한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다른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내기(22)의 가동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압축기(11)의 가동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차 냉매사이클(20)의 펌프(21)는 실내기(22)의 가동 개수에 관계없이 동일한 회전수로 가동되고,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압축기(11)의 가동 주파수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실내기(22)의 가동 개수가 증가할 경우, 제2차 냉매사이클(20)의 냉매 유동량이 증가하는 만큼 필요한 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이 불필요한 펌프를 구동원으로 하여 실내기에 냉매를 공급하므로, 상기 제2차 냉매사이클에는 오일 회수 운전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펌프의 펌핑력이 허용하는 한 고층 건물의 높이에 제한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매관이 길어지더라도 펌프의 펌핑력이 허용하는 한 종래보다 장배관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결국, 종래에 비해 대략 2배 높은 건물(가령, 100m 높이의 건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종래 냉매관의 2배 길이의 장배관(가령, 200m 길이의 장배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기에 종래와 같이 팽창장치를 적용하지 않고 온/오프 밸브를 적용하므로, 냉매 팽창 소음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차 냉매사이클에 압축기와 팽창장치가 적용되지만, 이들은 실외기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 가동에 의한 소음과 냉매 팽 창 소음이 발생되더라도 사용자들은 이러한 소음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차 냉매 사이클에 펌프로 냉매를 펌핑하고, 냉매의 유동저항으로 작용하는 팽창장치가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스템 내에서 냉매 유동저항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차 냉매사이클은 하이브리드 유닛과 연결되므로, 냉매배관의 길이가 건물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항상 짧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냉매 회수율이 현저히 상승되므로, 냉매 회수율 저하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차 냉매사이클의 냉매는 거의 액냉매 상태로 유동하므로, 사이클 내에서 냉매의 상태변화가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된다. 따라서, 냉매의 상태 변화에 의한 소음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펌프 또는/및 압축기의 회전수 및 가동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냉매의 필요 유동량에 다른 열에너지를 최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부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가 포함되는 제1차 냉매사이클;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 냉매와 독립된 유로상의 냉매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핑된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기와,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부와, 상기 유로 제어부에서 토출된 냉매를 저장하는 냉매 저장부 및 상기 실내기의 흡토출 측 냉매관에 설치되어 냉매 유로를 개폐시키는 온/오프밸브가 포함되는 제2차 냉매사이클; 그리고,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과 제2차 냉매사이클을 연결하여,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의 열원을 제2차 냉매사이클에 열전달시키도록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실내기의 가동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2차 냉매사이클의 펌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1차 냉매사이클의 압축기의 가동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고층 건물에서 낮은 층에 배치된 실내기를 위주로 가동될 때에는 상기 펌프의 회전수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고층 건물에서 높은 층에 배치된 실내기를 위주로 가동될 때에는 상기 펌프의 회전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실내기의 가동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1차 냉매사이클의 압축기의 가동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제어부와 펌프의 사이에는 냉매가 상기 펌프로부터 유로 제어부로 흐르는 냉매관과 상기 유로 제어부로부터 펌프로 흐르는 냉매관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2개의 냉매관 중 어느 하나의 냉매관에 냉매 저장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저장부가 설치되는 냉매 배관은 냉매 저장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저장부는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저장 탱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들의 상부에는 내부 압력차에 의해 가스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동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동관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제어부와 냉매 저장부 사이의 냉매관 구간과, 상기 냉매 저장부와 펌프 사이의 냉매관 구간에는 냉매를 여과하도록 스트레이너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KR1020040094102A 2004-11-17 2004-11-17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40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102A KR100640907B1 (ko) 2004-11-17 2004-11-17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102A KR100640907B1 (ko) 2004-11-17 2004-11-17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674A KR20060053674A (ko) 2006-05-22
KR100640907B1 true KR100640907B1 (ko) 2006-11-02

Family

ID=3715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102A KR100640907B1 (ko) 2004-11-17 2004-11-17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907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426374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674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70584B (zh) 制冷循环装置及制冷循环控制方法
JP4999529B2 (ja) 熱源機および冷凍空調装置
JP3977835B2 (ja) マルチ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4499733B2 (ja) マルチ形空気調和装置
KR100758902B1 (ko)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653348B2 (ja) 空気調和機
US8424333B2 (en) Air conditioner
KR20070119839A (ko) 지열공조 시스템
JP5414638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4298990B2 (ja) 二酸化炭素を冷媒として用いた冷凍装置
EP2541170A1 (en) Air-conditioning hot-water-supply system
JP5145026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166385B1 (ko) 수열원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973441B2 (ja) 空気調和装置
CN100443833C (zh) 冷冻装置
KR101372146B1 (ko) 난방능력이 향상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640907B1 (ko)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21545B1 (ko) 공기조화기
KR20110062457A (ko) 히트 펌프 시스템
JP4434821B2 (ja) 空気調和装置
WO2005083335A1 (fr) Installation de refrigeration modulaire dotee d'un systeme de vaporisation de trop-plein
JP2009047389A (ja) 冷凍サイクル装置本発明は、冷凍サイクル装置に関する。
KR20050043089A (ko) 히트 펌프
JP2016102598A (ja) 給湯空調システム
KR101642437B1 (ko) 난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난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