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824B1 - 공기조화 시스템 및 정압상승장치 그리고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 시스템 및 정압상승장치 그리고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824B1
KR100640824B1 KR1020050012319A KR20050012319A KR100640824B1 KR 100640824 B1 KR100640824 B1 KR 100640824B1 KR 1020050012319 A KR1020050012319 A KR 1020050012319A KR 20050012319 A KR20050012319 A KR 20050012319A KR 100640824 B1 KR100640824 B1 KR 100640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exhaust
fan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439A (ko
Inventor
최호선
김정용
최근형
정백영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824B1/ko
Priority to ES05010026T priority patent/ES2334676T3/es
Priority to EP05010026A priority patent/EP1691140B1/en
Priority to US11/132,189 priority patent/US20060199520A1/en
Priority to CN2005100729972A priority patent/CN1821668B/zh
Publication of KR2006009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46Fan casings comprising more than on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요구되는 풍량과 기외정압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와 정압상승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 공간으로 분지되는 덕트(100)와, 상기 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소정의 실내 공간과 외부로 급기 또는 배기시키거나 급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하는 환기 장치(200)와, 상기 덕트의 소정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를 통해 급배기되는 공기의 정압을 상승시키기 위한 팬(320 : 도 2 참조)을 가지는 정압상승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 공간으로 분지되는 덕트의 소정 부분에 연결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급기부(311)와 배기부(312)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부와 배기부에 덕트가 각각 연결되는 케이스(310);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됨에 의해 공기를 급배기시키는 팬(320); 그리고,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압상승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공기조화 시스템, 정압상승장치, 터보팬

Description

공기조화 시스템 및 정압상승장치 그리고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ing system and apparatus for raising air pressure and controll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중간분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중간분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중간분배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1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기외정압 및 풍량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덕트 110 : 급기 덕트
120 : 배기 덕트 200 : 환기장치
300 : 정압상승장치 310 : 케이스
311 : 급기부 312 : 배기부
320 : 팬 321 : 블레이드
322 : 쉬라우드 330 : 구동모터
340,350 : 댐퍼
본 발명은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요구되는 풍량과 기외정압을 증대시키기 위한 공기조화 시스템과 정압상승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상복합 아파트 혹은 일반 아파트는 다수개의 실내 공간이 방, 사무실 등으로 구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건물들에는 일반적으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된다. 상기 환기 시스템은 덕트와 환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환기장치는 베란다의 일측에 설치되고, 급배기 덕트는 천장에 설치되며, 상기 급배기 덕트에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급배기 할 수 있도록 급배기 디퓨져가 연결된다. 이러한 환기 시스템은 팬에 의해 공기를 급배기시키고, 전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외로 급배기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각 실내 공간에는 신선한 공기가 급기되거나 실내 공간의 탁한 공기가 배기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들이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환기 시스템이 덕트를 통해 실내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려면, 요구되는 풍량과 필요한 정압을 가져야 한다. 예컨대, 원형 덕트의 경우, 70평의 실내공간에 환기시스템의 환기량이 350CMH가 필요하다면, 이때의 정압은 약 300Pa이 필요하다. 이러한 풍량과 정압은 덕트에 의한 유동 저항을 감안하여 적절한 양의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덕트의 유동저항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는, 덕트의 길이, 유로 면적, 굴곡부 및 분지부(分枝部) 등이 있다. 이러한 유동 저항은 덕트의 정압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최근에는 각 실내 공간의 발코니나 베란다 구석에 기계실을 구비하여 상기 기계실 내에 실외기와 환기장치 등을 배치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큰 평수의 실내 공간일 경우에 상기 덕트의 길이가 현저히 길어질 수 밖에 없고, 각 방으로 구획된 공간이 많을 수록 덕트가 분지되므로 덕트의 총 길이는 더욱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를 급배기하는 환기장치의 용량을 크게 하더라도 상기 덕트 내에 충분한 정압이 형성되지 않고, 결국 공기의 토출량이 현저히 감소되거나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환기장치는 주상복합건물이나 아파트의 각 실내공간에 구비된 조그만 기계실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환기장치의 용량을 키우는데에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종래의 환기장치는 대형의 실내 공간에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덕트 내에 충분한 정압을 형성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와 정압상승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기장치의 용량을 키우지 않더라도 충분한 양의 공기를 급배기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과 정압상승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 공간으로 분지되는 덕트; 상기 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소정의 실내 공간과 외부로 급기 또는 배기시키거나 급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하는 배기시키는 환기장치; 그리고, 상기 덕트의 소정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를 통해 급배기되는 공기의 정압을 상승시키기 위한 팬을 가지는 정압상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정압상승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급기부와 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급기부와 배기부에 덕트가 각각 연결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됨에 의해 공기를 급배기시키는 팬; 그리고,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압상승장치는 급기부와 배기부를 개폐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평평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테두리부에 급기부와 배기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상하면은 원형태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천장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터보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급기부와 배기부는 터보팬의 회전 반경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부의 댐퍼는 개방될 때에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터보팬의 축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압상승장치는 덕트의 분지된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환기장치 또는 정압상승장치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소정의 입력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환기장치가 가동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압상승장치가 가동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소정의 댐퍼가 개방되어 덕트 내의 정압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송풍팬을 가지는 환기장치를 가동하는 단계; 그리고, 팬을 가지는 정압상승장치가 가동되고, 상기 정압상승장치의 댐퍼가 개방되어 덕트 내의 정압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덕트 내에 충분한 정압을 형성할 수 있고, 환기장치의 용량을 키우지 않더라도 충분한 양의 공기를 급배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중간분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중간분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중간분배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기외정압 및 풍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 공간으로 분지되는 덕트(100)와, 상기 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소정의 실내 공간과 외부로 급기 또는 배기시키거나 급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하는 환기 장치(200)와, 상기 덕트의 소정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를 통해 급배기되는 공기의 정압을 상승시키기 위한 팬(320 : 도 2 참조)을 가지는 정압상승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덕트(100)는 실내의 구획된 공간들에 실내외 공기를 급배기시킬 수 있도록 분지(分枝)된다. 이러한 덕트(100)는 급기 덕트(110)와 배기 덕트(120)로 구분된다. 도 1은 공기조화 시스템이 큰 평수의 실내 공간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며, 급기 덕트(110)는 실선, 배기 덕트(120)는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이때, 급기 및 배기 덕트(110,120)의 실내측 끝단부에는 급기 및 배기 디퓨져가 연결되는데, 상기 디퓨저는 급기 및 배기 덕트(110,120)의 끝단에 동그라미로 표시된 것이다. 또한, 상기 덕트는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급기 및 배기 덕트(110,120)로는 원형 덕트와 다각형 덕트를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정압상승장치(300)가 덕트(100) 내의 정압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로 저항이 큰 다각형 덕트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유로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원형 덕트가 유리하다. 이러한 덕트는 천장에 매립되게 배치된다.
상기 환기 장치(200)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상호 교차하면서 열교환되는 전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미도 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강제환기 장치(200)에는 전열교환기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열교환기에는 급기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필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압상승장치(300)는 급기 덕트(110)와 배기 덕트(120)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급기 및 배기 덕트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압상승장치(300)는 천장에 매립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압상승장치는 급기 및 배기 덕트에 2개 이상씩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정압상승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압상승장치(3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급기부(311)와 배기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급기부(311)와 배기부(312)에 덕트(110,120)가 각각 연결되는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됨에 의해 공기를 급배기시키는 팬(320)과, 상기 팬(3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310)는 평평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테두리부에 급기부(311)와 배기부(312)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310)를 평평하게 형성하는 것은 천장에 매립 설치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고, 상기 케이스(310)의 테두리부에 급기부(311)와 배기부(312)가 배치되는 것은 사방에서 덕트(110,1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310)는 상하면이 원형태를 가지며, 외주면에 소정 간격마다 급기부(311)와 배기부(312)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케이스(310)는 다각형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310)의 상하면을 원형태로 제작하면, 유로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팬(320)은 도 4와 같이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터보팬(3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보팬(320)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블레이드(321)와 상기 블레이드(321)의 일측(도 3에서는 상측)에 고정되는 도넛 형태의 쉬라우드(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흡입 공기는 쉬라우드(322)의 중심부를 통과한 후 상기 블레이드(321)들이 회전됨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토출되고,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는 정압이 크게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터보팬(320)은 정압을 상승시키는데 유리하므로, 상기 덕트(100)의 정압을 상승시키기 위해 터보팬(320)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터보팬(320)을 적용하면 상기 케이스(310)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천장에 매립시키기에도 용이하다.
이때, 상기 급기부(311)와 배기부(312)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터보팬(320)의 회전반경에 대하여 경사지게(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터보팬(320)의 특성상 급배기 공기가 팬(320)의 회전반경에 대하여 경사지게 유동하므로, 공기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상술한 정압상승장치(300)에는 급기부(311)와 배기부(312)를 개폐하도록 댐퍼(340,35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급기부(311)에 배치되는 댐퍼(340)는 개방될 때에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터보팬(320)의 축방향(터보팬의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댐퍼(34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단을 축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댐퍼(340)를 적용할 경우, 상기 터보팬(320)의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환기 장치(200) 또는 정압상승장치(300)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컨트롤러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어되거나 또는 유무선 통신과 같은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정압상승장치(300)는 환기 장치, 냉난방 장치 등과 같이 기체를 유동시키는 장치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정한 환기 모드가 시작된다. 이때, 급기 행정과 배기 행정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하나의 행정만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급배기 행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환기 장치(200)가 가동되면, 실외 공기는 급기 덕트(110)를 따라 유동하고, 실내의 탁한 공기는 환기 장치(200)의 송풍 압력에 의해 배기 덕트(120)를 따라 유동한다. 상기 실내외 공기는 덕트(110,120)를 유동하는 동안에 발생된 덕트의 유동 저항에 의해 상기 덕트 내에는 정압이 현저히 약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정압상승장치(300)는 도 4와 같이 소정의 댐퍼(340,350)를 개방시킴에 따라 실외 및 실내 공기를 분지된 덕트로 나누어 공급한 다. 이때, 급기부(311)에 설치된 댐퍼(340)는 급기부의 상면을 개방하도록 경사지게 개방된다. 따라서, 급기부에 유입된 공기는 급기부 댐퍼(340)의 안내에 의해 터보팬(320)의 중심부측으로 유도된다.
이렇게 유도된 공기는 터보팬(320)이 회전됨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유동하고, 이러한 터보팬(320)의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 테두리에는 공기의 유동 압력이 현저히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부(3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압력이 현저히 증가된 상태로 급기 덕트(110)와 배기 덕트(120)로 배출되므로, 상기 급기 및 배기 덕트(110,120)의 정압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70평의 실내 공간이 상술한 정압상승장치(300)를 설치할 경우 실험한 결과이다. 상기 정압상승장치를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급기 및 배기 덕트(110,120)의 정압은 대략 170Pa 정도(L1)인데 비해, 상기 정압장치를 설치한 경우는 급기 및 배기 덕트(110,120)의 정압이 대략 300Pa 정도(L2)로 약 2배 정도 상승한다. 따라서, 정압상승장치(300)를 설치함에 의해 실내 공간에 충분한 공기를 급배기 시킬 수 있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 및 정압 상승장치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정압상승장치에 의해 급배기 덕트 내에 충분한 정압을 높여 줄 수 있으므로, 넓은 평수의 실내 공간에 공기를 충분히 급배기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우기, 덕트의 총길이가 길어지고, 여러 갈래 분지되더라도 충분한 정압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덕트 내에 충분한 정압이 형성되므로, 환기장치의 용량을 증대시키지 않더라도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사적으로, 환기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아파트 등의 기계실이 작더라도 충분히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 공간으로 분지되는 덕트;
    상기 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소정의 실내 공간과 외부로 급기 또는 배기시키거나 급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하는 송풍팬을 가지는 환기장치; 그리고,
    상기 덕트의 소정 부분에 연결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급기부와 적어도 2개 이상의 배기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덕트를 통해 급배기되는 공기의 정압을 상승시키기 위한 팬 그리고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가지는 정압상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상승장치는 급기부와 배기부를 개폐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평평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테두리부에 급기부와 배기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하면은 원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천장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터보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와 배기부는 팬의 회전 반경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의 댐퍼는 개방될 때에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터보팬의 축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상승장치는 덕트의 분지된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상승장치는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 또는 정압상승장치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14. 송풍팬과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기장치를 가동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환기장치의 송풍팬과는 별도의 터보팬을 가지는 정압상승장치가 가동되고, 상기 정압상승장치의 흡입되는 공기를 터보팬의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댐퍼가 개방되어 덕트내의 정압(正壓)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 공간으로 분지되는 덕트의 소정 부분에 연결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급기부와 적어도 2개 이상의 배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부와 배기부에 덕트가 각각 연결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됨에 의해 공기를 급배기시키는 팬; 그리고,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압상승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상승장치는 급기부와 배기부를 개폐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상승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평평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테두리부에 급기부와 배기부가 배 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상승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하면은 원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상승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터보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상승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와 배기부는 팬의 회전 반경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상승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의 댐퍼는 개방될 때에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터보팬의 축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상승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상승장치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소정의 댐퍼를 개방시킬 수 있는 컨트롤러가 더 포함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상승장치.
  23. 삭제
KR1020050012319A 2005-02-15 2005-02-15 공기조화 시스템 및 정압상승장치 그리고 그 제어방법 KR100640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319A KR100640824B1 (ko) 2005-02-15 2005-02-15 공기조화 시스템 및 정압상승장치 그리고 그 제어방법
ES05010026T ES2334676T3 (es) 2005-02-15 2005-05-09 Sistema de ventilacion y procedimiento de control asociado.
EP05010026A EP1691140B1 (en) 2005-02-15 2005-05-09 Ventil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132,189 US20060199520A1 (en) 2005-02-15 2005-05-19 Ventilation system and pressure intensifying apparatus
CN2005100729972A CN1821668B (zh) 2005-02-15 2005-05-25 通风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319A KR100640824B1 (ko) 2005-02-15 2005-02-15 공기조화 시스템 및 정압상승장치 그리고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439A KR20060091439A (ko) 2006-08-21
KR100640824B1 true KR100640824B1 (ko) 2006-11-06

Family

ID=3649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319A KR100640824B1 (ko) 2005-02-15 2005-02-15 공기조화 시스템 및 정압상승장치 그리고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99520A1 (ko)
EP (1) EP1691140B1 (ko)
KR (1) KR100640824B1 (ko)
CN (1) CN1821668B (ko)
ES (1) ES233467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802B1 (ko) * 2005-11-14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0756441B1 (ko) * 2007-06-11 2007-09-07 (주) 스카이시스템 주택 내부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S2427831T3 (es) * 2008-12-10 2013-11-0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ampana de succión
ES2343161B1 (es) * 2009-01-22 2011-06-15 SOLER & PALAU VENTILATION GROUP, S.L. Sistema de ajuste automatico de la presion de un ventilador en funcion del caudal requerido.
ES2662074T3 (es) 2009-07-08 2018-04-05 Daikin Industries, Ltd. Sistema de ventilación
WO2014113877A1 (en) * 2013-01-23 2014-07-31 Rev-Air Innovations Inc. Air diffuser
GB2511333B (en) * 2013-02-28 2019-02-27 Greenwood Air Man Limited Commissioning system for ventilation system
KR102057957B1 (ko) * 2013-04-19 2019-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JP5679012B2 (ja) * 2013-07-29 2015-03-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装置
JP6311377B2 (ja) * 2014-03-17 2018-04-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空調システム
US9975354B1 (en) 2017-02-28 2018-05-22 Ricoh Company, Ltd. Concentric duct system for a dryer for printing system
CN112361486B (zh) * 2020-11-16 2024-05-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增压装置及其控制方法和空调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1205A (en) 1972-08-18 1976-04-20 Brandt Engineering Co. Air-conditioning apparatus
US4942921A (en) * 1988-01-29 1990-07-24 Staefa Control Systems, Inc. Forced air ventilation system
JP2714220B2 (ja) 1990-03-31 1998-02-16 株式会社東芝 換気装置
US5236393A (en) 1991-08-28 1993-08-17 Metal Industries, Inc. Bypass damper in series-type ventilation fan
US5705734A (en) * 1996-07-17 1998-01-06 Landis & Staefa, Inc. Automated branch flow calibration in a HVAC distribution system
US5976010A (en) 1997-06-27 1999-11-02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air quality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US6119463A (en) * 1998-05-12 2000-09-19 Amerigon Thermoelectric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34676T3 (es) 2010-03-15
KR20060091439A (ko) 2006-08-21
CN1821668B (zh) 2010-06-16
CN1821668A (zh) 2006-08-23
EP1691140A1 (en) 2006-08-16
US20060199520A1 (en) 2006-09-07
EP1691140B1 (en)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824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정압상승장치 그리고 그 제어방법
JP5525312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101658644B1 (ko)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JP5504015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100628042B1 (ko) 환기시스템
KR20150106135A (ko) 실내 주차장용 환기팬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JP6041844B2 (ja) 空調システム
JP3608548B2 (ja) 換気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KR101101201B1 (ko) 양방향 송풍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JP2004360943A (ja) エレベータシャフトを利用した空気循環機構
JP4760410B2 (ja) 送風装置
KR20070051220A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4720333B2 (ja) 空調装置
JP2017009259A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US201603130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irflow to a Room
JP5489794B2 (ja) 送風装置
JP2004003837A (ja) 空気調和装置
JPH10325565A (ja) 空気調和装置
JP6093617B2 (ja) 蓄電池の設置構造
JP3024909B2 (ja) 換気装置
JP2005090885A (ja) 建物
JP3454191B2 (ja) 換気装置
JP2805673B2 (ja) 床面吹出し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二重床パネル
JP2006046243A (ja) シロッコファン、換気装置および換気装置付き空気調和機
KR20200000761A (ko) 화장실의 환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