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309B1 -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309B1
KR100639309B1 KR1020040103155A KR20040103155A KR100639309B1 KR 100639309 B1 KR100639309 B1 KR 100639309B1 KR 1020040103155 A KR1020040103155 A KR 1020040103155A KR 20040103155 A KR20040103155 A KR 20040103155A KR 100639309 B1 KR100639309 B1 KR 10063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ng
long hole
plate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341A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이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호 filed Critical 이재호
Priority to KR1020040103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309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7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simultaneously tying two fac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2017/008Pin and hole connec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그 의 일부에는 어느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장공을 가지는 제1판부재와, 상기 제1판부재와 인접하여 그 제1판부재와 겹쳐지며, 상기 제1판부재와 겹쳐지는 부위에는 상기 제1판부재에 형성된 제1장공과 다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장공을 가지는 제2판부재와, 상기 제1장공과 제2장공에 각각 관통되며, 상기 제1장공 및 제2장공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연장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장공볼트 및 상기 장공볼트에 나사체결되는 장공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일방향에서 상기 장공볼트를 상기 제1장공과 제2장공에 각각 관통시키고, 상기 장공볼트를 장공들에 관통시킨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장공너트를 상기 장공볼트와 결합시켜 인접하는 판과 판을 용이하게 상호 결합시키며, 판재들이 상호 어긋나게 결합되어 그 결합오차가 있더라도 그 판재들을 용이하게 상호 결합시키며, 어느 한 판재와 네 방향에서 인접하여 겹쳐지는 다른 판재들을 일정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판재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그 판재들의 연결부위의 구조적인 취약함을 개선함으로써 국부적인 처짐이 발생하거나 콘크리트가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plate}
도 1은 종래의 판재와 판재의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구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구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6 내지 도 12은 도 5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사용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의 제1판재와 제2판재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판부재 12. 제1상부장공
14. 제1우측장공 16. 제1하부장공
18. 제1좌측장공 20. 제2판부재
22. 제2상부장공 24. 제2우측장공
26. 제2하부장공 28. 제2좌측장공
30. 장공볼트 40. 장공너트
본 발명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현장 등에서는 여러 곳에서 판재와 판재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를 시공할 때 철근 및 콘크리트로 슬라브 구조체를 구성하게 되는데, 여기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거푸집이 꼭 필요하다. 이러한 바닥거푸집은 합판으로 현장 기능 인력이 작업하던 목재 거푸집 공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닥거푸집은 현장에 맞도록 목수 등의 현장 인력이 일일이 치수를 재고 잘라야 하므로 그 제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그 합판과 합판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는 그 벌어진 틈새로 콘크리트가 누설되어 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강판 거푸집 공법이 시공현장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강판 거푸집의 경우에 행해졌던 강판과 강판이 겹치는 부분의 결합을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판재와 판재를 연결하는 방식은 제1판재(1)의 끝단부를 굴곡시켜 홈(3)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판재(1)에 인접하는 다른 판재인 제2판재(2)의 끝단을 굴곡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1판재(1)의 홈(3)에 상기 제2판재(2)의 굴곡된 끝단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판재(1)와 제2판재(2)를 상호 결합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판재와 판재를 연결시키는 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판재와 판재가 겹쳐지는 부위가 상면으로 많이 돌출됨으로 인하여, 그 겹쳐지는 부위의 상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도 2의 화살표 A로 표시)가 다른 부위의 두께(도 2의 화살표 B로 표시)보다 작게 됨으로써, 판재와 판재의 겹쳐지는 부위의 콘크리트의 강도가 취약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판재와 판재를 연결시키는 방식은, 그 판재와 판재가 겹쳐져서 결합되는 부위를 절곡시켜야 했으므로, 판재와 판재를 결합시키는데 소요되는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판재와 판재를 연결시키는 방식은, 복수개의 줄과 칸으로 판재들을 연결시킬 때 상술한 방식으로 판재와 판재를 굴곡시켜 결합을 시킬 수 없는 부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줄에 위치한 제1판재(1)의 좌,우측에 위한 인접한 제2판재(2)의 상호 겹쳐지는 부위(도 3에서 D로 표시된 부위)는 상술한 방식으로 판재의 좌, 우측 끝단을 굴곡시켜 판재와 판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 일단이 이미 굴곡됨으로 인하여, 각 줄의 제1판재(1)와 제2판재(2)의 상,하부에 위치된 다른 줄에 놓여지는 제1판재(1)와 제2판재(2) 상호간의 겹쳐지는 부위(도 3에서 E로 표시된 부위)는 그 제1판재(1)와 제2판재(2)의 상부 또는 하부 끝단을 굴곡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판재와 판재를 연결시키는 방식은 그 판재의 연결이 불가능한 부위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판재와 판재를 연결시키는 방식은 위와 같은 불완전한 결합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그 판재연결부가 국부적으로 쳐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국부적인 처짐이 생기는 경우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출과 이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에 문제점이 야기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판재와 판재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각 판재에 원형의 관통공을 형성한 후에, 그 원형의 관통공을 중첩시켜서 통상의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은, 각 판재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공이 서로 동심원이 일치되도록 중첩시켜야 하므로 복수개의 판재를 결합시킬 때 각 관통공을 중첩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려서 판재와 판재를 결합시키는 작업시간이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볼트와 너트를 체결시키는 방식은 하부에 놓여지는 판재를 들어서 땅바닥과 이격을 시킨 뒤에, 볼트의 머리부를 땅바닥을 향하게 한 뒤 볼트의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몸체부를 그 판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하고, 이어서 겹쳐지는 인접된 다른 판재의 관통공에 다시 몸체부를 마저 관통시킨 뒤, 상기 볼트의 몸체부를 삽입하였던 반대방향에서 너트를 체결하여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볼트와 너트로 판재와 판재를 연결시키는 방식은 먼저 판재를 들어서 땅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야 그 판재와 판재의 연결이 가능하였으므로 복수개의 판재들을 일일이 땅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야 하므로 그 판재와 판재의 연결 작업에 더욱 장시간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볼트와 너트로 판재와 판재를 연결시키는 방식은, 판재와 판재가 겹쳐지는 부위에서 하부에 놓여진 판재를 들어올려 바닥면과 이격시킬 수 없는 제약적인 장소에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볼트의 몸체부를 삽입시키는 방향과 너트를 체결하는 방향이 결합되는 판재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서로 반대 방향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5)의 상부에 제3판재(6)가 위치되고, 그 제3판재(6)와 일부가 겹쳐지도록 제4판재(7)를 위치시킨 뒤, 상기 기판(5)과 제3판재(6)와 제4판재(7)를 결합시키는 경우를 설명한다. 물론 상기 기판(5)과 제3판재(6)와 제4판재(7)에는 각각 원형의 관통공(5a, 6a, 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상기 기판(5)의 하부, 즉 상기 제3판재(6)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도 4의 화살표 F 방향)으로 볼트의 머리부가 위치될 수 없고, 또한 그 방향(도 4의 화살표 F 방향)으로부터 볼트의 몸체부를 상기 각각의 원형의 관통공(5a, 6a, 7a)을 삽입시킬 수 없는 장소에서는, 상기 종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판재와 판재를 연결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판재와 판재를 연결시키는 방식은 상기 원형의 관통공이 서로 동심원이 일치되도록 중첩을 시켜야 하므로, 판재와 판재의 결합이 상호 조금만 어긋나서 관통공이 동심원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를 삽입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판재와 판재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판재와 판재를 결합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판재와 판재의 결합이 다소 어긋나서 그 결합에 오차가 있더라도 정확하고 견고하게 판재와 판재의 결합이 가능하며, 상하좌우로 판재와 판재가 연결될 때에도 결합되지 않는 부위가 없이 모든 방향에서 결합이 가능하며, 거푸집으로 사용될 때에도 그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가 균일하여 콘크리트의 취약점이 없으며, 콘크리트의 누설이 없으며, 같은 방향에서 볼트와 너트를 삽입함으로써 볼트를 삽입시킬 수 없는 방향을 가지는 제약된 장소에서도 판재와 판재를 연결, 결합시킬 수 있는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는, 그 의 일부에는 어느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장공을 가지는 제1판부재와, 상기 제1판부재와 인접하여 그 제1판부재와 겹쳐지며, 상기 제1판부재와 겹쳐지는 부위에는 상기 제1판부재에 형성된 제1장공과 다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장공을 가지는 제2판부재와, 상기 제1장공과 제2장공에 각각 관통되며, 상기 제1장공 및 제2장공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연장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장공볼트 및 상기 장공볼트에 나사체결되는 장공너트를 구비하여, 일방향에서 상기 장공볼트를 상기 제1장공을 관통시킨 뒤, 상기 장공 볼트를 상기 제2장공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장공볼트가 상기 제2장공을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장공볼트를 상기 제1장공 및 제2장공에 삽입시킨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장공너트를 상기 장공볼트와 결합시켜 인접하는 판과 판을 용이하게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는, 상부에 마련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상부장공과, 우측에 마련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우측장공과, 하부에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하부장공과, 좌측에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좌측장공을 가지며, 판 형상을 가지는 제1판부재와, 상부에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상부장공과, 좌측에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좌측장공과, 하부에 마련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하부장공과, 우측에 마련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우측장공을 가지며,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판부재와 인접하여 그 제1판부재와 일부가 겹쳐져서 결합되는 제2판부재와, 상기 장공들에 각각 관통되며 상기 장공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연장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장공볼트 및 상기 장공볼트에 나사체결되는 장공너트를 구비하여, 일방향에서 상기 장공볼트를 상기 장공들에 각각 관통시키고, 상기 장공볼트를 장공들에 관통시킨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장공너트를 결합시켜 인접하는 판과 판을 용이하게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를, 도 6 내지 도 12은 도 5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사용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의 제1판재와 제2판재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100)는 제1판부재(10)와, 제2판부재(20)와, 장공볼트(30)와 장공너트(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판부재(10)는 판형상을 가지며, 제1상부장공(12)과 제1우측장공(14)과 제1하부장공(16)과 제1좌측장공(1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상부장공(12)은 상기 제1판부재(10)의 상부에 마련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우측장공(14)은 상기 제1판부재(10)의 우측에 마련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하부장공(16)은 상기 제1판부재(10)의 하부에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좌측장공(18)은 상기 제1판부재(10)의 좌측에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판부재(20)는 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판부재(10)와 인접하여 그 제1판부재(10)와 일부가 겹쳐져서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2상부장공(22)과 제2우측장공(24)과 제2하부장공(26)과 제2좌측장공(2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상부장공(22)은 상기 제2판부재(20)의 상부에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우측장공(24)은 상기 제2판부재(20)의 우측에 마 련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하부장공(28)은 상기 제2판부재(20)의 하부에 마련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좌측장공(28)은 상기 제2판부재(20)의 좌측에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볼트(30)는 상기 장공(12,14,16,18,22,24,26,28)들에 각각 관통되며, 상기 장공(12,14,16,18,22,24,26,28)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머리부(32)와, 상기 머리부(32)에서 연장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34)를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장공볼트(30)의 머리부(32)는 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장공너트(40)는 상기 장공볼트(30)에 나사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제1판부재(10)와 제2판부재(20)를 서로 겹치도록 하여 위치시킨다. 즉, 상기 제1판부재(10)의 우측 부위와 상기 제2판부재(20)의 좌측 부위가 서로 겹치도록 위치시킨다. 이 때, 상기 제2판부재(20)가 제1판부재(10) 보다 상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장공볼트(30)의 머리부(32)를 상기 제2좌측장공(28)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위치시켜 상기 머리부(32)를 제2좌측장공(28)을 통과시킨다. 이의 단면도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공볼트(30)를 90ㅀ(도) 회전시킨 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공볼트(30)의 상기 머리부(32)가 다 시 상기 제1우측장공(14)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공볼트(30)를 약간 회전시켜, 상기 머리부(32)가 상기 제1우측장공(14)에 대해서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공너트(40)를 상기 장공볼트(30)의 나사부(34)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를 위에서 본 평면도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1판부재(10)의 상부와 인접하는 다른 판부재의 하부를 겹치도록 하고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공볼트(30)와 장공너트(40)를 결합시킨다. 또한, 그 외의 부위도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판재(10)의 우측과 제2판재(20)의 좌측이 조금 어긋나게 중첩되어, 상기 제2좌측장공(28)과 제1우측장공(14)이 조금 어긋나는 경우에도, 먼저 상기 장공볼트(30)의 머리부(32)를 제2좌측장공(28)에 통과시킨 뒤, 상기 장공볼트(30)를 도 12의 왼쪽으로 조금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장공볼트(30)의 나사부(34)가 상기 제2좌측장공(28) 내에서 이동이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장공볼트(30)를 회전시켜 그 머리부(32)가 상기 제1우측장공(14)을 통과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상부장공(12)과 제1우측장공(14)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판재(210)의 각 장공들은 각기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단지, 도 13에 도시된 제1판재(210)의 우측과 겹쳐 지는 도 14에 도시된 제2판재(220)의 좌측에 형성된 장공들의 방향이 상기 도 13에 도시된 제1판재(210)의 우측에 형성된 장공들의 방향과 교차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겹쳐지는 장공들이 서로 직교하도록 교차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겹쳐지는 장공들에서 하부에 위치된 장공과 상부에 위치된 장공이 서로 직교로 교차되지 않고 경사지게 교차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공볼트를 각 장공들에 관통시킨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장공너트를 체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장공볼트의 나사부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각 장공들을 통과하도록 한 뒤, 상방에서 하방으로 장공너트를 체결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각 판재들이 위치된 상태에서 편리하게 장공볼트와 장공너트를 체결하여 각 판재들을 서로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는,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판재와 판재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판재와 판재를 결합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판재와 판재의 결합이 다소 어긋나서 그 결합에 오차가 있더라도 정확하고 견고하게 판재와 판재의 결합이 가능하며, 상하좌우로 판재와 판재가 연결될 때에도 결합되지 않는 부위가 없이 모든 방향에서 결합이 가능하며, 거푸집으로 사용될 때에도 그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가 균일하여 콘크리트의 취약점이 없으며, 콘크리트의 누설이 없으며, 기존의 볼트체결방식인 경우 판재를 중 심으로 양쪽에서 결합시켜야 했던 것과는 달리, 같은 방향에서 볼트와 너트를 삽입함으로써 볼트를 삽입시킬 수 없는 방향을 가지는 제약된 장소에서도 판재와 판재를 연결,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그 테두리의 일부에는 어느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장공을 가지는 제1판부재;
    상기 제1판부재와 인접하여 그 제1판부재와 겹쳐지며, 상기 제1판부재와 겹쳐지는 부위에는 상기 제1판부재에 형성된 제1장공과 다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장공을 가지는 제2판부재;
    상기 제1장공과 제2장공에 각각 관통되며, 상기 제1장공 및 제2장공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연장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장공볼트; 및
    상기 장공볼트에 나사체결되는 장공너트;를 구비하여,
    일방향에서 상기 장공볼트를 상기 제1장공을 관통시킨 뒤, 상기 장공볼트를 상기 제2장공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장공볼트가 상기 제2장공을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제1장공과 제2장공이 형성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장공볼트를 회전시킨 후, 상기 장공볼트를 상기 제1장공 및 제2장공에 삽입시킨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장공너트를 상기 장공볼트와 결합시켜 인접하는 판과 판을 용이하게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
  2. 상부에 마련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상부장공과, 우측에 마련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우측장공과, 하부에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 성된 제1하부장공과, 좌측에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좌측장공을 가지며, 판 형상을 가지는 제1판부재;
    상부에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상부장공과, 좌측에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좌측장공과, 하부에 마련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하부장공과, 우측에 마련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우측장공을 가지며,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판부재와 인접하여 그 제1판부재와 일부가 겹쳐져서 결합되는 제2판부재;
    상기 장공들에 각각 관통되며, 상기 장공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연장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장공볼트; 및
    상기 장공볼트에 나사체결되는 장공너트;를 구비하여,
    일방향에서 상기 장공볼트를 상기 장공들에 각각 관통시키고, 상기 장공볼트를 장공들에 관통시킨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장공너트를 결합시켜 인접하는 판과 판을 용이하게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
KR1020040103155A 2004-12-08 2004-12-08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 KR10063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55A KR100639309B1 (ko) 2004-12-08 2004-12-08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55A KR100639309B1 (ko) 2004-12-08 2004-12-08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41A KR20060064341A (ko) 2006-06-13
KR100639309B1 true KR100639309B1 (ko) 2006-10-26

Family

ID=3715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155A KR100639309B1 (ko) 2004-12-08 2004-12-08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775B1 (ko) * 2020-07-28 2023-02-13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패널마감구조체
KR102645101B1 (ko) * 2023-11-30 2024-03-06 이민석 목재 연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41A (ko) 200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7176A1 (en) Masonry wall system
WO2019016979A1 (ja) 柱固定金具
JP2006348543A (ja) 既存建物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金具
JP6417377B2 (ja) 木造建築物の構造躯体の接合構造
JP2005048537A (ja) 部材同士のボルト連結構造
JP7187188B2 (ja) 木質軸部材の接合構造
KR100639309B1 (ko) 판재와 판재의 연결장치
US10829926B2 (en) Metal joint and panel joining method
JP7252795B2 (ja) 梁床接合構造
JP3661794B2 (ja) 構造用接合金物
JP6886722B2 (ja) 固定具
JP4703226B2 (ja) 型枠の施工方法
US20220195685A1 (en) CLT Structure
JP5171552B2 (ja) 柱と梁の接合部構造
JP7339865B2 (ja)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KR101974888B1 (ko)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JP4350580B2 (ja) 建築用木材の継合具
US10961697B2 (en) Metal reinforcement fitting and method for reinforcing wooden building component
JP3828641B2 (ja) 柱と梁の結合構造
JP4656460B2 (ja) 建物の補強構造
KR102356035B1 (ko) 포스트 텐션이 적용된 모듈러 유닛 체결 구조
JP4091706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7063564B2 (ja) 床パネル構成体、乾式床構造および乾式床構造作製方法
JP4319769B2 (ja) 接合金物
JP2015194051A (ja) 木造建築物の水平架構の補強部材および木造建築物の水平架構の補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