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065B1 - 기록 매체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 매체로부터데이터를 재생하여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영역 및 기록가능한 영역 간의 경계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매체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 매체로부터데이터를 재생하여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영역 및 기록가능한 영역 간의 경계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065B1
KR100638065B1 KR1020000016422A KR20000016422A KR100638065B1 KR 100638065 B1 KR100638065 B1 KR 100638065B1 KR 1020000016422 A KR1020000016422 A KR 1020000016422A KR 20000016422 A KR20000016422 A KR 20000016422A KR 100638065 B1 KR100638065 B1 KR 10063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lock
boundary
packet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3067A (ko
Inventor
미사이즈다다유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11B2020/184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cyclic redundancy check [CR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된 영역과 기록 가능한 영역 사이의 경계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다. 데이터가 고정 길이의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된 패킷으로 기록될 때, 경계는 판독 에러가 발생하며 정수배의 패킷 길이로서 트랙 헤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놓여진 블록에 의해 결정된다. 대안적으로, 블록들이 복수의 블록 타입들 중에서 식별 가능할 때, 경계는 에러 블록(erroneous block)의 블록 타입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패킷, 트랙, 경계,블록타입

Description

기록 매체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여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영역 및 기록 가능한 영역 간의 경계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 장치 및 방법{Driv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and for detecting a boundary between a recorded region and a recordable region on a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 검출 방법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 검출 방법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례의 경계 검출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5는 CD-RW의 데이터 구조의 설명도.
도 6은 CD-RW의 패킷 구조의 설명도.
도 7은 CD-RW의 블록 구조의 설명도.
도 8은 CD-RW의 프레임 구조의 설명도.
도 9는 CD-RW의 서브코딩의 설명도.
도 10은 CD-RW의 서브 Q 데이터의 설명도.
도 11은 CD-RW의 논리적으로 소거된 부분의 서브 Q 데이터의 설명도.
도 12는 CD-RW의 TOC 구조의 설명도.
도 13은 논리적으로 소거된 경계 부분의 설명도.
도 14는 경계 검출 동작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픽업 2 대물렌즈
3 2개의 광축 기구 4 레이저 다이오드
5 광 검출기 6 스핀들 모터
7 턴테이블 8 스레드 부
9 RF 증폭기 10 시스템 제어기
11 2진화 회로 12 인코딩/디코딩 부
13 인터페이스 부 18 레이저 구동기
22 버퍼 메모리
본 발명은 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의 구동 장치와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영역과 기록 가능한 영역 사이의 경계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CD-R(기록 가능한) 및 CD-RW(CD-재기록 가능한)은 모두 CD 타입의 디스크와 쓰기가능한 기록 매체 패밀리에 속한다. CD-R은 기록 층에 있는 유기적 다이(organic dye)를 사용하는 1회 기록용 매체이며, CD-RW는 상변화 기술(phase change technology)을 이용한 재기록 가능한 매체이다. CD-RW에 대응하는 구동 장치(기록/재생 장치)는 기록된 데이터를 소거할 수 있고 소거된 영역에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CD-RW 구동 장치는 두가지 방법들, 즉 물리적 소거 및 논리적 소거 중 하나에 의해 데이터 소거를 수행할 수 있다. 물리적 소거는 디스크상에 기록된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소거됨으로써, 아무것도 기록된 것이 없는 상태로 디스크 표면을 재기록하는 방법이다. 논리적 소거는 특정 정보가 데이터에 서브코드로 중복기록되는 방법이다. 판독시 이러한 정보는 기록 매체상에 여전히 존재하는 기록된 데이터를 무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디스크가 장착되면, 구동 장치는 데이터가 기록되는 디스크 부분의 끝(데이터 끝)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 데이터 끝은 기록된 영역과 기록 가능한 영역 사이의 경계부에 대응한다. 기록 가능한 영역은 물리적으로 소거된 부분상에 사전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부분 또는 논리적으로 소거된 부분 중 어느 하나 일 수가 있다.
기록 영역과 기록 가능한 영역 사이의 경계가 발견되면, 구동 장치는 그 사실을 호스트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에 보고한다. 일단 호스트 장치가 디스크상의 경계로서 위치(어드레스)를 인식하면, 그 경계로부터 시작하여 디스크에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임의의 데이터 트랙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상에 기록되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적으로 소거되며, 새로운 데이터 트랙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적으로 소거된 영역에 기록된다고 가정한다. 도 13(c)의 상태에서 디스크가 구동 장치에 장착되면, 구동 장치는 도 13(c)에 도시한 경계를 검출하고 그 사실을 호스트 장치에 보고함으로써, 새로운 데이터가 현재의 데이터 끝 다음의 영역에 기록된다.
그러나, 논리적으로 소거된 영역이 재기록되지 않을 때는 정확한 검출이 수행될 수가 없다.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끝은 사전에 기록 또는 물리적으로 소거된 영역에 속하지 않는 영역과 기록 영역 사이의 경계이다. 경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구동 장치는 디스크의 기록된 영역 상에서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RF 신호가 기록된 이들 영역으로부터 복귀된다. 따라서 경계 위치는 재생 RF 신호가 복귀되지 않는 곳에서 시작하는 위치이다.
그러나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끝이 논리적으로 소거된 영역을 가진 경계인 경우에, 이러한 기술은 경계를 결정하는데 사용 불가능하다. 이는 데이터가 여전히 논리적으로 소거된 영역에 존재함으로써 재생 RF 신호가 그 영역까지 복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논리적으로 소거된 영역을 가진 경계는 서브코드 CRC 에러 검사를 이용해서 정상적으로 결정된다.
이후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CD-RW 데이터는 패킷 단위로 기록되고, 각각의 패킷은 복수의 블록들로 형성된다. 각 패킷의 헤드 블록은 링크 블록에 지정된다. 링크 블록은 패킷 단위의 기록 동작에서 최종 패킷 다음에 형성된다. 도 14(c)는 기록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도 14(b)에 도시한 경계 부분의 확대도이다. 각각의 블록은 BL(n), BL(n-1),...으로 표시된다.
기록 끝 포인트를 담고 있는 블록은 링크 블록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링크 블록(즉, 물리적 기록 동작이 종료되는 블록)은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리적으로 소거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블록에서의 서브코드 CRC 검사는 불가피하게 에러로 된다.
이러한 사실에 입각해서, 구동 장치는 기록 영역에서 재생 동작을 수행하고 어느 블록에서 CRC 에러가 발생하는 지를 결정한다. 이는 예를 들어 경계로서 도 14(c)에 도시한 블록 BL(n)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검출 방법은 CRC 에러가 다른 블록에서는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디스크 상의 오염 또는 기록 동작의 반복으로 인한 데이터 손상과 같은 이유에 대해서 CRC 에러가 경계가 아닌 블록에서 발생하면, 구동 장치는 경계를 검출하는데 에러를 일으키거나 경계를 식별하는데 실패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CRC 에러가 블록 BL(n-1)에 블록 BL(n)이 더해진 비경계 블록에서 발생하면, 어느 블록이 진정한 경계인지를 결정할 수가 없다. 이런식으로 경계가 정확하게 검출될 수가 없으므로 장치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매체상의 기록된 영역과 기록 가능한 영역 사이의 경계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상세 및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지고 분명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각의 패킷이 복수개의 블록으로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이 패킷 단위로 수행되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동 장치는 데이터가 기록 매체상에 특정 패킷 길이를 가진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킷 형태로 기록되는 상태에서 기록 매체상에서 데이터 판독을 수행하고, 판독 에러가 발생하고 데이터 기록 영역과 기록 가능한 영역 사이의 경계로서 특정의 패킷 길이의 정수배 만큼 트랙 헤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놓여져 있는 블록을 결정하는 경계 검출기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검출 기준으로서 고정된 패킷 길이에 검출된 판독 에러가 더해진 것을 이용하여 경계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이 패킷 단위로 수행되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구동 장치를 제공하며, 각각의 패킷이 복수개의 블록들로 형성되도록 규정되며, 블록의 특정 타입을 적어도 끝 블록으로서 포함하고, 구동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킷들의 형태로 기록 매체상에 데이터를 기록한 상태에서 기록 매체상에서 데이터를 판독하고 블록 판독 에러 상태와 블록 타입을 판단 기준으로서 이용하여 기록가능 영역과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사이의 경계를 결정하는 경계 검출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 타입과 검출된 판독 에러를 더한 것을 검출 기준으로서 이용하여 경계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더욱 완벽한 이해를 위해 다음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이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D-RW에 대응하는 구동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순서 즉, 1)구동 장치의 구성, 2)CD-RW 데이터 구조, 3)TOC 및 서브코드, 4)경계 판단 동작 순서로 설명하기로 한다.
CD-RW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CD-RW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CD-RW 디스크(90)가 턴테이블(7) 상에 장착되어 기록 또는 재생 동작에서 스핀들 모터(6)에 의해 정선속(constant linear velocity; CLV) 또는 정각속도(constant angular velocity; CAV)로 회전 구동된다. 엠보싱된 피트 또는 상변화 피트의 형태로 디스크(90)상에 기록된 데이터는 픽업(1)에 의해 판독 출력된다. 통상 CD-RW에 대응하는 구동 장치는 CD-R 과 CD-ROM 디스크 등과 같은 디스크를 재생 가능하다.
픽업(1)은 레이저 광원과 같은 레이저 다이오드(4), 반사 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기(5), 레이저 광을 출력하는 대물렌즈(2), 대물렌즈(2)를 거쳐 디스크 기록 표면에 레이저 광을 인가하여 최종의 반사광을 광검출기(5)로 안내하는 광학계를 포함한다. 대물 렌즈(2)는 트래킹 방향과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2개의 광축 기구(biaxial mechanism; 3)에 의해 고정된다. 픽업(1) 전체는 스레드 기구(8)에 의해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만들어졌다. 픽업(1)내의 레이저 다이오드(4)는 레이저 광을 방출하기 위해 레이저 구동기(18)에 의해 구동된다.
디스크(90)로부터 들어오는 반사된 광은 광검출기(5)에 의해 검출되고, 수용된 광량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RF 증폭기(9)에 공급된다.
RF 증폭기(9)에는 광검출기(5)와 같은 복수의 광검출 소자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변환하여 매트릭스 계산을 수행하여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매트릭스 계산/증폭 회로 및 전류-전압 변환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RF 증폭기(9)는 재생된 데이터의 RF 신호, 포커싱 에러 신호(FE), 서보 제어용 트래킹 에러 신호(TE)를 생성한다. RF 증폭기(9)로부터 출력된 재생 RF 신호는 2진화 회로(11), 포커싱 에러 신호(FE), 트래킹 에러 신호(TE)가 서보 프로세서(14)에 공급된다.
CD-RW 디스크(90)는 기록 트랙의 가이드로서 그루브(groove)와 함께 미리 형성된다. 그루브는 디스크상에서 절대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주파수 변조 시간 정보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에 따라서 워블(스네이크)된다. 그러므로 기록 동작에 있어서, 트래킹은 그루브 정보에 기초해 수행 가능하고 절대 어드레스는 그루브의 워블 정보(wobble information)에 의거해서 수행 가능하다. RF 증폭기(9)는 매트릭스 계산을 수행하여 워블 정보(WOB)를 추출하고 그것을 어드레스 디코더(20)에 공급한다. 어드레스 디코더(20)는 수신된 워블 정보(WOB)를 복조하여 절대치 어드레스 정보를 얻어서 그것을 시스템 제어기(10)에 공급한다.
또한, 어드레스 디코더(20)는 PLL 회로에 그루브 정보를 인가함으로써 스핀들 모터(6)의 회전 속도 정보를 발생하고, 기준 속도 정보와 회전 속도 정보를 비교해서 스핀들 에러 신호(SPE)를 발생해서 출력한다.
RF 증폭기(9)에 의해 얻어진 재생 RF 신호는 2진화 회로(11)에서 2진화되어 소위 EFM 신호(8-14 변조 신호)로 변환된다. EFM 신호는 인코딩/디코딩 부(12)에 공급된다. 인코딩/디코딩 부(12)는 재생동안 디코더로서 기능하는 기능부와 기록간 인코더로서 기능하는 기록부를 가진다. 재생동안, 인코딩/디코딩 부(12)는 디코딩 동작, EFM 복조, CIRC 에러 정정, 디인터리빙, CD-ROM 디코딩, 및 다른 동작들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그것을 CD-ROM 포맷으로 변환한다.
인코딩/디코딩 부(12)는 또한 디스크(90)로부터 판독 출력되는 데이터상에서 서브코드 추출 동작(나중에 설명)을 수행하여 서브코드로서 TOC 정보(Q 데이터, 어드레스 정보 등...)를 시스템 제어기(10)에 공급한다.
또한, 인코딩/디코딩 부(12)는 PLL 동작을 통해 EFM 신호와 동기화된 재생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재생된 클럭 신호에 기초해 디코딩 동작을 수행한다. 인코딩/디코딩 부(12)는 재생 클럭 신호로부터 스핀들 모터(6)의 회전 속도 정보를 얻어서 그것을 기준 속도 정보와 비교하여 스핀들 에러 신호(SPE)를 출력할 수 있다.
재생동안, 인코딩/디코딩 부(12)는 버퍼 메모리(22)에 상기 방식으로 디코딩된 데이터를 누적한다. 그로부터 버퍼 메모리(22)에 의해 버퍼된 데이터가 판독 출력 가능하다.
인터페이스 부(13)가 외부 호스트 컴퓨터(80)에 연결되어 기록 데이터, 재생 데이터, 각종 명령 등을 호스트 컴퓨터(80)와 통신한다. 인터페이스 부(13)는 일반적으로 SCSI 인터페이스, ATAPI 인터페이스 등등이다. 재생동안, 디코딩되어 버퍼 메모리(22)에 저장된 재생 데이터가 변환되어 인터페이스 부(13)를 거쳐 호스트 컴퓨터(80)로 출력된다. 호스트 컴퓨터(80)로부터 들어오는 판독 정보, 기록 명령, 및 다른 신호들이 인터페이스 부(13)를 거쳐 시스템 제어기(10)에 공급된다. 역으로 기록동안, 기록될 데이터(오디오 데이터 또는 CD-ROM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부(13)를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80)로부터 버퍼 메모리(22)로 전달되어 버퍼 메모리(22)에 의해 버퍼된다.
인코딩/디코딩 부(12)는 버퍼된 기록 데이터의 인코딩, CD-ROM 포맷 데이터를 CD 포맷 데이터으로의 인코딩(수신된 데이터가 CD_ROM 데이터인 경우), CIRC 인코딩, 인터리빙 부가, EFM 변조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인코딩/디코딩 부(12)의 인코딩 동작에 의해 EFM 신호는 이퀄라이저(21)에서 기록 이퀄라이제이션이라 불리는 동작이 행해지고, 최종 신호는 기록 데이터(WDATA)로서 레이저 구동기(18)에 공급되어 디스크에 기록된다. 특히, 기록 데이터(WDATA)에 대응하는 상변화 피트는 기록 데이터(WDATA)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4 방출을 변조하는 레이저 구동기(18)에 의해 디스크(90)상에 형성된다.
APC(자동 전원 제어) 회로(19)는 온도와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레이저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시스템 제어기(10)로부터 레이저 출력 목표치가 주어지면, APC 회로(19)는 레이저 출력 전력을 모니터하여 레이저 출력 레벨이 목표치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레이저 구동기(18)를 제어한다.
서보 프로세서(14)는 RF 증폭기(9)로부터 공급된 트래킹 에러 신호(TE) 및 포커싱 에러 신호(FE), 인코딩/디코딩 부(12) 또는 어드레스 디코더(20)로부터 공급된 스핀들 에러 신호(SPE), 및 다른 신호들에 기초해 각종 서보 구동 신호들, 즉 포커싱, 스레드, 및 스핀들 구동 신호들을 발생함으로써 서보 동작을 수행한다.
서보 프로세서(14)는 포커싱 에러 신호(FE)와 트래킹 에러 신호(TE)에 기초해 포커싱 구동 신호(FD)와 트래킹 구동 신호(TD)를 생성하여 그 신호들을 2개의 광축 구동기(16)에 공급한다. 2개의 광축 구동기(16)는 픽업(1)의 2개의 광축 기구(3)의 트래킹 코일과 포커싱 코일을 구동한다. 이런 식으로, 트래킹 서보 루프 및 포커싱 서보 루프는 픽업(1), RF 증폭기(9), 서보 프로세서(14), 2개의 광축 구동기(16), 및 2개의 광축 기구(3)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서보 프로세서(14)는 스핀들 에러 신호(SPE)에 기초해 발생된 스핀들 구동 신호를 스핀들 모터 구동기(17)에 공급한다. 스핀들 모터 구동기(17)는 3상 구동 신호를 스핀들 구동 신호에 기초해 스핀들 모터(6)에 인가함으로써 스핀들 모터(6)의 CLV 회전을 야기시킨다. 또한 서보 프로세서(14)는 시스템 제어기(10)로부터 들어오는 스핀들 킥/브레이크 제어 신호에 기초해 스핀들 구동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스핀들 모터 구동기(17)로 하여금 스핀들 모터(6)상에서 작동, 정지, 가속, 감속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
서보 프로세서(14)는 또한 트래킹 에러 신호(TE)의 저주파 성분으로서 획득한 스레드 에러 신호, 시스템 제어기(10)에 의한 엑세스 실행 제어 등에 기초한 스레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레드 구동 신호를 스레드 구동기(15)에 공급한다. 스레드 구동기(15)는 스레드 구동 신호에 기초해 스레드 기구(8)를 구동한다. 픽업(1), 스레드 모터, 및 전달 기어를 지원하는 주축(main shaft)을 포함하는 기구(도시 안됨)를 가지면, 스레드 기구(8)에 의해 픽업(1)은 스레드 구동기(15)가 스레드 구동 신호에 기초해 스레드 모터(8)를 구동하는 식으로 필요한 슬라이드 움직임을 수행한다.
서보 시스템과 기록/재생 시스템의 동작들은 마이크로컴퓨터인 시스템 제어기(10)에 의해 제어된다. 시스템 제어기(10)는 호스트 컴퓨터(80)로부터 들어오는 명령들에 따라서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기(10)가 호스트 컴퓨터(80)로부터 디스크(90)상에 기록된 데이터의 전달을 요청하는 판독 명령을 수신하면, 목표로서 지정된 어드레스로 우선 수행된다. 서보 프로세서(14)에 명령을 공급함으로써, 시스템 제어기(10)는 픽업(1)으로 하여금 탐색 명령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가 목표로 하는 엑세스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이후 시스템 제어기(10)는 데이터가 디스크(90)로부터 판독, 디코딩, 버퍼되게 함으로써 지정된 데이터 부로부터 호스트 컴퓨터(80)로의 데이터 전달을 제어한다.
기록 명령이 호스트 컴퓨터(80)로부터 출력되면, 시스템 제어기(10)는 픽업(1)으로 하여금 기록이 행해지는 어드레스로 이동되도록 한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기(10)는 인코딩/디코딩 부(12)로 하여금 전달된 데이터를 인코딩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그것을 EFM 신호로 변환한다.
전술한 방식으로 이퀄라이즈된 기록 데이터(WDATA)를 레이저 구동기(18)에 공급함으로써 기록이 행해진다.
다음에, 도 5 내지 7를 참조하여 CD-RW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CD-RW 디스크의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 사이의 레이아웃을 도시하고 있다. PCA(전력 조정 영역)과 PMA(프로그램 메모리 영역)이라 불리는 영역들은 디스크의 최내주 영역들(innermost areas)로서 형성된다. 이들 영역들은 CD-RW에 대응하는 구동 장치에서만 사용된다(통상 CD-ROM 구동기는 이들 영역을 엑세스할 수 없다.)
PCA는 기록에 필요한 레이저 출력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영역이다. 즉, 구동 장치는 레이저 출력을 변경하는 동안에 더미 데이터를 PCA 영역에 기록하고, 이후 더미 데이터 기록부분을 재생함으로써 어떻게 피트들이 형성되는지를 검사함으로써 최적의 기록 상태를 제공하는 레이저 출력을 결정한다.
PMA는 기록 동안에 임시의 TOC 정보가 복사될 수 있는 영역이다. 디스크 내용 정보는 CD의 TOC 영역에 기록된다. 디스크의 전체 내용은 TOC 정보를 기록하기전에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부가 기록이 가능한 CD-RW 디스크에서, 디스크의 전체 내용은 나중에 보다 많은 데이터가 부가되어야만 할 때는 결정될 수 없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PMA를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TOC 정보를 저장한다. 기록될 부가 정보가 없다고 결정되면, PMA에서의 정보는 TOC 영역에 복사된다.
CD-RW 디스크에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세션들로 분할하여 기록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세션은 TOC 정보가 기록되는 리드인 영역, 메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도 5(b)는 각 세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세션의 헤드는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될 트랙들에 대한 TOC 정보(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리드인 영역이다. 하나 또는 복수개의 트랙들은 트랙 #1, 트랙#2, 및 트랙#3으로서 각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다. 트랙 기술자(track descriptor; TDC)는 각 트랙의 헤드 부분에서 형성되고, 트랙 데이터 기록 영역은 헤드 부분을 따른다.
도 5(c)는 하나의 트랙의 구조를 도시한다. 트랙 기술자 부분은 서브코드 Q 데이터(나중에 설명)의 인덱스(X)가 "00"인 부분이다. 트랙과 관련한 다양한 관리 정보는 트랙 기술자에서 기록된다. 인덱스(X)가 "01"(또는 "01 이상의 값)인 부분은 실제의 트랙 데이터 부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데이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패킷(PK)으로 형성된다. 패킷(PK)은 기록 동작의 최소 단위이다. 패킷(PK) 길이는 고정(고정된 패킷) 또는 가변(가변 패킷)일 수가 있다. 관련 트랙의 패킷(PK)이 고정 패킷 또는 가변 패킷인지에 관한 정보와 패킷 길이(고정 패킷의 경우)가 트랙 기술자에서 기술된다.
도 6(a)는 패킷(PK)의 구조를 도시한다. 복수개의 블록들(2,352 바이트의 데이터 유니트)로 하나의 패킷이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블록(LB)과 4개의 런인 블록(RIB #1 내지 RIB #4)이 헤드 부분에 제공되고 하나 또는 복수개의 유저 데이터 블록(UDB)(UDB #1 내지 UDB #(n))이 이어진다. 유저 데이터 블록(UDB)은 메인 데이터가 실제로 기록되는 블록들이다. 2개의 런아웃 블록들(ROB #1 및 ROB #2)은 패킷(PK)의 끝 부분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 블록들의 수(즉 패킷 크기, 이 예에서는 패킷의 크기가 패킷의 모든 블록의 수가 아니라 유저 데이터 블록의 수)가 32인 경우, 패킷(PK)은 총 39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하나의 링크 블록(LB)과 4개의 런인 블록(RIB #1 내지 RIB #4)이 32개의 유저 데이터 블록 UDB #1 내지 UDB #32의 정면에 제공되고, 2개의 런 아웃 블록(ROB #1과 ROB #2)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 데이터 블록 UDB #1 내지 UDB #32 다음에 제공되기 때문이다. 패킷 크기가 32이고 패킷들이 고정 패킷인 경우, 도 5(c)에 도시한 모든 패킷(PK)은 도 6(b)의 구조를 가진다.
패킷 단위로 기록이 수행되는데, 각각의 패킷은 상기 구조를 가진다. 기록 동작은 최종 패킷의 최종 블록 다음에 링크 블록을 형성함으로써 완료된다. 그러므로, 도 14와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가 논리적으로 소거된 부분에 기록될 때, 그의 경계를 포함하는 링크 블록은 논리적으로 소거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7은 블록 구조를 도시한다. 하나의 블록은 2,352 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CD-ROM 포맷에서, 각각의 블록은 모드(예를 들어 모드-0, 모드-1, 모드-2)로 지정된다. 각각의 모드에 대해, 헤드 12 바이트가 동기 패턴에 할당되고, 다음 4개의 바이트가 헤더에 할당된다. 도 7(a)에 도시한 모드-0에 있어서, 나머지 2,336 바이트는 제로 데이터로 만들어진다. 모드-0 블록은 실제 데이터가 TOC 영역과 같은 블록에 기록되지 않을 때이다.
도 7(b)에 도시한 모드-1에서, 2,048 바이트 데이터 영역과 288 바이트의 보조 데이터 영역은 헤더 다음에 이어진다. 모드-1에서 에러 정정 코드들은 보조 데이터로서 부가될 수가 있어, 에러 정정 능력이 증가한다.
도 7(c)에 도시한 모드-2에서, 헤더 다음에 이어지는 모든 2,336 바이트는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다. 그러므로, 모드-2는 데이터 기록 능력을 증대할 수가 있다.
헤더의 4 바이트 각각은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다. 특히, 3개의 바이트는 분/초/블록의 포맷으로 블록의 어드레스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나머지 바이트는 모드 바이트이며, 그의 비트들(비트 7 내지 비트 0)은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의된다. 비트 1과 비트 0이 상기한 블록 구조 모드들, 즉 모드-0, 또는 모드-1, 또는 모드-2 중 하나를 나타내는 값이 기술되는 모드 지시자에 할당된다.
블록 구조 모드는 비트 1과 비트 0이 "00"이면 모드-0 이고, "01"이면 모드-1이고, "10"이면 모드-2이며, "11" 이면 예약된다.
비트 7 내지 비트 5가 상기한 패킷 구조의 블록 타입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블록 지시자에 할당된다. 블록 타입과 비트 7 내지 비트 5의 값들 사이의 대응관계는 다음과 같다.
"000" ... 유저 데이터 블록
"001" ... 런인 블록 #4
"010" ... 런인 블록 #3
"011" ... 런인 블록 #2
"100" ... 런인 블록 #1
"101" ... 링크 블록
"110" ... 런아웃 블록 #2
"111" ... 런아웃 블록 #1
그러므로, 각 블록의 블록 타입은 헤더를 판독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다음에, 디스크(90)(CD-RW)상에 기록된 TOC 정보 및 서브코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CD 타입의 디스크에서, 데이터의 최소 단위는 하나의 프레임이다. 하나의 서브코딩 프레임은 98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하나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각각의 프레임은 588 비트이다. 헤 드 24 비트는 동기 데이터에 할당되고 다음의 14 비트는 데이터와 패리티 비트가 이어지는 서브코드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다.
도 9(a)에 도시한 서브코드 데이터는 상기 구조를 각각 가진 98 개의 프레임으로부터 취한 서브코드 데이터를 수집하여 형성된다. 이 서브코드 데이터 유니트는 상기한 블록 유니트에 대응한다. 즉,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코드 데이터의 하나의 유니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록에 대해서 얻어진다. 98 프레임의 2개의 헤드 프레임들(프레임 98n+1과 프레임 98n+2)로부터 취한 서브코드 데이터는 동기 패턴들을 위해 사용된다. 3번째 프레임 내지 98번째 프레임들(프레임 98n+3 내지 프레임 98n+98)로부터 취한 서브코드 데이터는 96 비트로 각각 표현된 P, Q, R, S, T, U, V, 및 W 채널 데이터이다. P 채널과 Q 채널은 엑세스 관리를 위해 사용된다. P 채널은 트랙들 사이의 정지를 나타내고, Q 채널(Q1 내지 Q96)에 의해 미세 제어들(finer controls)이 수행된다.
96 비트 Q 채널 데이터가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제 1 의 4 비트(Q1 내지 Q4)는 제어 데이터이며, 오디오 채널의 수, 엠파시스 유형, 및 CD-ROM 타입 등을 나타낸다. 특히, 4 비트 제어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00*0" ... 2 채널 오디오, 프리엠파시스 기능 없음
"10*0" ... 4 채널 오디오, 프리엠파시스 기능 없음
"00*1" ... 2 채널 오디오, 프리엠파시스 기능 있음
"10*0" ... 4 채널 오디오, 프리엠파시스 기능 있음
"01*0" ... 데이터 트랙(오디오 신호가 아님)
"**0" ... 디지탈 복사 불가능
"**1*" ... 디지탈 복사 가능
다음의 4개의 비트(Q5 내지 Q8)는 어드레스(ADR), 즉 서브 Q 데이터의 제어 비트이다. "0001"의 4 비트 어드레스(ADR)는 비트(Q9 내지 Q80)의 다음의 서브 Q 데이터는 오디오 Q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논리적으로 소거된 영역에서, 어드레스(ADR)는 "0000"으로 만들어진다. 비트(Q9 내지 Q80)는 72 비트의 서브 Q 데이터를 형성하고, 나머지 비트(Q81 내지 Q96)는 CRC 비트로 만들어진다.
리드인 영역에 기록된 서브 Q 데이터는 TOC 정보이다. 즉, 리드인 영역으로부터 판독되는 96 비트 Q 채널 데이터(Q1 내지 Q96)의 서브 Q 데이터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를 가진다. 어드레스(ADR)가 "0001"로 설정되면, 비트(Q9 내지 Q80)를 사용해서 이어지는 8 비트 데이터의 트랙 번호를 저장한다. 리드인 영역에서, 트랙 번호는 "00"으로 고정된다.
다음에 POINT, MIN(분), SEC(초), FRAME(프레임 번호)에 대한 값들이 기록되어 트랙에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PMIN, PSEC, 및 PFRAME은 POINT의 값에 따라서 결정되어 기록된다.
POINT의 값이 트랙 번호를 의미하는 "01" 내지 "99"중 하나이면, 그 트랙 번호를 갖는 트랙의 시작점(절대 시간 어드레스)은 분(PMIN), 초(PSEC), 프레임 번호(PFRAME)의 형태로 기록된다. POINT의 값이 "A0"이면, 제 1 트랙의 트랙 번호는 PMIN에 기록된다. POINT의 값이 "A1"이면, 최종 트랙의 트랙 번호는 PMIN에 기록된다. POINT의 값이 "A2"이면, 리드 아웃 영역의 시작점은 PMIN, PSEC, 및 PFRAME에서 절대 시간 어드레스의 형태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6개의 트랙이 기록되는 디스크의 경우(또는 도 5와 관련해서 기술한 세션), 서브 Q 데이터 형태의 TOC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트랙 번호(TNO)는 "00"이다. 블록 번호는 상기한 방식으로 98 프레임 블록 데이터로서 판독되는 1 유니트 서브 Q 데이터의 번호이다. 동일한 TOC 데이터는 3개의 블록상에 기록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POINT가 "01" 내지"06" 중 하나이면, 트랙 #1 내지 트랙 #6 각각의 시작점은 PMIN, PSEC, 및 PFRAME로 표시된다. PONIT가 "A0"이면, PMIN은 제 1 트랙 번호를 의미하도록 "01"로 만들어진다. 최종 트랙의 트랙 번호는 POINT의 값이 "A1"인 위치에서 PMIN에 기록되고, 리드 아웃 영역의 시작점은 POINT의 값이 "A2"인 위치에서 PMIN, PSEC, 및 PFRAME으로 표시된다.
블록들(n 내지 n+26)의 내용은 전방에 블록(n+27)에 대해서 반복해서 기록된다.
데이터가 디스크 1상에 기록되는 트랙(#1 내지 #n)에서와 리드 아웃 영역에서, 여기에 기록된 서브 Q 데이터는 "0001"로 설정된 어드레스(ADR)와 함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를 가진다. 트랙 번호는 서브 Q 데이터(Q9 내지 Q80)의 제 1 부분에 기록된다. 즉, 트랙들(#1 내지 #n) 각각은 값 "01" 내지 "99" 중 하나를 가진다. 리드 아웃 영역에서 트랙 번호는 "AA"로 만들어진다.
다음으로, 각 트랙이 분할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는 인덱스(X)로서 기록된다. 도 5(c)와 관련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인덱스(X)는 트랙 기술자 부분에서 "00"이고, 트랙 데이터 부분에서 다른 값이다.
트랙에서 경과 시간은 MIN(분), SEC(초), FRAME(프레임 번호)로 표시된다. 또한, 절대 시간 어드레스는 분(AMIN), 초(ASEC), 프레임 번호(AFRAME)의 형태로 기록된다.
TOC 데이터 및 서브코드는 전술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디스크 상에서 어드레스 즉, AMIN, ASEC, 및 AFRAME는 98 프레임 기초로 기록됨을 이해한다. 98 프레임들(1 블록)은 하나의 서브코딩 프레임이라 불리며, 75 서브코딩 프레임들은 오디오 데이터의 1초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절대 어드레스 부로서 "AFRAME"은 값 "0" 내지 "74"를 가진다.
논리적으로 소거된 부분에서, 서브 Q 데이터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첫째로, 어드레스(ADR)는 관련 부분이 논리적으로 소거됨을 나타내도록 "0000"으로 만들어진다. 서브 Q 데이터(Q9 내지 Q80)는 트랙 번호(TNO)와 "FF"인 인덱스(X)를 포함한다. 트랙에서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분(AMIN), 초(ASEC), 프레임 번호(AFRAME)는 각각 "00"으로 만들어진다. AMIN, ASEC, 및 AFRAME는 절대 시간 어드레스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는 경계가 기록된 부분과 논리적으로 소거된 부분(도 14와 관련해서 전술한 경우) 사이의 경계를 가진 디스크(90)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서브코드 CRC 에러는 서브코드 데이터 CRC 에러가 발생한 블록들이 검색되는 경계에 있는 링크 블록에서 발생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는 경계로서 링크 블록 이외의 블록에서 CRC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라도 경계로서 블록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한 두 경계 검출 방법중 하나가 경계 결정을 위한 방법으로서 이용된다.
도 2에 도시한 경계 검출 방법은 기록된 트랙들 #(m)(즉, 도 14(b)에 도시한 기록된 부분의 트랙)이 고정된 패킷들로 구성될 때 적용된다.
트랙 #(m)이 패킷 크기 x를 가진 고정된 패킷으로 구성되는 경우, 도 2(a)에 도시한 각각의 패킷은 (7+x) 블록, 즉 x 유저 데이터 블록과 7개의 다른 블록(링크 블록, 런인 블록, 및 런아웃 블록)으로 형성된다. 트랙 #(m)이 y 패킷으로 형성되면, 총 트랙 길이는 y(7+x) 블록이다. 즉, 트랙 #(m)의 데이터 끝Q 바로 다음의 블록은 정수배의 패킷 길이 7+x에 의해 트랙 헤드 P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반드시 놓여진다.
블록 BL(n)이 실제의 경계라고 가정한다(경계 부분은 도 2(b)에서 확대 도시되고 있다). 또한 블록들(BL(n-1) 및 BL(n))에서 CRC 에러가 발견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정수배의 패킷 길이 7+x 에 의해 트랙 헤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놓여진 블록은 한 경계이어야 한다.
예를 들면, 트랙 #(m)의 헤드 블록의 어드레스가 "100"이고, 패킷 길이는 39(=7+32) 블록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링크 블록 BL(n)의 어드레스는 하나의 기준으로서 어드레스 "100"을 갖는 39의 정수배, 즉 39z + 100(z:정수)인 값을 가져야만 한다. 블록 BL(n-1)이 어드레스 "177"을 가지며, 블록 BL(n)이 어드레스 "178"을 가지면, 블록 BL(n)의 어드레스는 상기 형식을 만족함으로써 블록 BL(n)이 경계이어야 만 한다.
이처럼, 관련 트랙이 고정된 패킷으로 형성됨을 트랙 기술자에 기초해(도 5와 관련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인식될 때, 정확한 경계는 패킷 크기를 이용한 계산을 통해 결정되어야 만 한다. 이러한 방법은 고정된 패킷이 사용될 때 유익하게 이용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3에서의 경계 검출 방법은 기록된 트랙 #(m)이 고정 패킷 또는 가변 패킷으로 구성되었는지의 여부(즉, 도 14(b)에 도시한 기록된 부분의 트랙)와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다. 이것은 트랙 #(m)을 구성하는 각각의 패킷이 도 6에서 도시한 각종 블록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특히, 최종의 2개의 블록들이 런아웃 블록들(ROB #1 및 ROB #2)로서 식별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블록 BL(n)이 실제의 경계(경계 부분은 도 3(b)에서 확대되어 도시되고 있다)라고 가정한다. 또한 CRC 에러는 블록들 BL(n-1), BL(n) 양측에서 발견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블록 BL(n-1)은 그의 헤더(도 7에 도시됨)에 기초해 런아웃 블록 ROB #2로서 인식 가능하다. 그러므로, 블록 BL(n-1)은 경계가 아니고, 다음 블록 BL(n)이 정확한 경계라고 결정할 수 있다.
블록 BL(n-1)의 헤더를 판독할 수 없다는 가정하에서도, 블록 BL(n-1)은 경계가 아니며 블록 BL(n)은 이전 블록 BL(n-2)이 런아웃 블록 ROB #1 임을 인식하면 정확한 경계라고 결정할 수 있다.
CRC 에러가 블록 BL(n-2)과, BL(n)에서 검출되는 경우에도, 블록 BL(n-2)이 런아웃 블록 ROB #1인 블록 BL(n-2)의 헤더에 기초해 인식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경계이고, 블록 BL(n-2)이 경계가 아님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경계 검출은 블록 타입을 판단 기준에 결합시켜서 정확하게 수행될 수가 있다.
이러한 두 방법에 있어서, CRC 에러의 검출과 함께 기록된 정보를 이용함으 로써 정확한 경계 검출이 가능함에 따라, 구동 장치와 호스트 컴퓨터(80)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시스템의 신뢰성을 증대한다.
도 4에서 개략 도시된 프로세스는 이러한 경계 검출 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첫째, 단계(F101)에서, 판독 동작이 디스크(90)상에서 수행되고 서브코드 CRC 에러 상태가 검사된다. 이 단계에서 오직 하나의 CRC 에러 블록이 검출되고, 그 블록이 경계라고 결정되면, 질의(F102)에 대해 긍정으로 답해져서 단계(F106)로 진행하고, 여기서 시스템 제어기(10)는 경계 위치를 저장하고 그것을 호스트 컴퓨터(80)로 보고한다. 이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80)는 시작 위치로서 경계 위치를 이용해서 기록 동작을 지령한다.
그러나, 단계(F101)에서 CRC 에러 검사로 경계가 결정되지 않으면, 즉 복수의 블록에서 CRC 에러가 발생되면, 질의(F102)에 대해 부정으로 답해져서 프로세스는 단계(F103)로 진행하며, 여기서 트랙이 고정된 패킷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를 검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검사는 트랙 기술자 정보에 기초해 행해질 수 있다. 트랙이 고정된 패킷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질의(F103)에 대해서 긍정으로 답해진 다음, 단계(F104)에서 제 1 경계 검출 방법에 따라서 경계 판단이 수행된다. 즉, 패킷 길이의 정수배 만큼 트랙 헤드로부터 떨어진 블록이 CRC 에러가 발생되는 복수개의 블록중에서 선택된다. 경계가 정확하게 검출되기 때문에, 프로세스는 단계(F106)로 진행하며, 여기서 블록 위치가 저장되어 호스트 컴퓨터(80)로 보고된다.
트랙이 고정된 패킷을 이용하고 있지 않음을 질의(F103)에서 판단하면, 프로세스는 단계(F105)로 진행하며, 여기서 제 2 경계 검출 방법에 따라서 경계 판단이 수행된다. 단계(F101)에서의 검색으로 CRC 에러를 발견하면 복수의 블록중 블록 타입은 블록들의 헤더에 기초해 인식되며, 그에 따라 경계 블록이 결정된다. 다음에 프로세스는 단계(F106)로 진행하고 여기서 경계 위치가 저장되어 호스트 컴퓨터로 보고된다.
비록 이 실시예에서 제 2 의 경계 검출 방법은 트랙이 고정된 패킷을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기술되고 있지만, 이 방법은 트랙이 고정된 패킷으로 구성될 때에도 사용 가능하다.
비록 구동 장치가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기술되었지만, 구동 장치의 구성, 경계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 등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구동 장치가 CD-RW 기술과 관련해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사용 가능한 기술은 CD-RW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기록된 데이터 구조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다른 재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구동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의 임의의 양호한 실시예들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첨부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많은 변형과 수정이 가능함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다음의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모든 일반적이고 명확한 특징들 및 언어로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범위의 모든 설명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음을 이해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판독은 블록들로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킷들의 형태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서 수행되며, 각각의 패킷은 특정의 패킷 길이를 가지며, 판독 에러가 발생하고 특정의 패킷 길이의 정수배 만큼 트랙 헤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놓인 블록은 데이터 기록된 영역과 기록 가능한 영역 사이의 경계로 정해진다. 이러한 판단에 의해, 데이터가 특정의 패킷 길이로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서, 상기한 경계가 정확하게 검출되어 연속 동작의 신뢰성이 증대될 수가 있다.
판독 에러 상태가 단지 검출 기준이 아니므로, 판독 에러는, 많은 중복 기록 동작으로 인해 신호 품질이 저하된 기록 매체 또는 오염 또는 흠집을 가진 기록 매체와 같은 경계 이외의 위치에서 발생하기 쉬운 기록 매체일지라도 정확하게 결정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데이터 판독은 블록들로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킷들의 형태로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와, 데이터 기록된 영역과 기록 가능한 영역 사이의 경계가 판독 에러 상태와 블록 타입을 기준으로서 이용하여 결정되는 경계에서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는 패킷 단위로 기록되고, 각각의 패킷은 끝 블록일 수 있는 블록의 특정 유형을 포함하도록 규정된다. 그러므로, 경계는 끝 블록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될 수가 있고, 그에 따라 연속 데이터 기록 동작의 신뢰성이 증대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경계 검출이 판독 에러 상태에만 의존하지 않으므로, 판독 에러는 오염 또는 흠집을 가진 기록 매체나 저하된 신호 품질을 갖는 기록 매체와 같은 경계 이외의 위치에서 발생하기 쉬운 기록 매체에서도 정확하게 결정될 수가 있다.

Claims (21)

  1.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구동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는 트랙에서 패킷들로 기록되고, 각각의 패킷은 복수의 블록들로 형성되는, 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기,
    상기 재생기에 의해 재생된 블록에서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기, 및
    새로운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기록 가능한 영역과 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타 기록 영역 사이의 경계를 결정하는 경계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계 검출기는, 데이터가 고정된 패킷 길이를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패킷들의 형태로 상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될 때, 상기 고정된 패킷 길이의 정수배 만큼 트랙 헤드로부터 떨어진 위치와 상기 에러가 발생한 블록의 위치의 함수로서 상기 경계를 결정하는,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각각의 패킷의 패킷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패킷의 패킷 타입을 검출하는 패킷 타입 검출기를 더 포함하는, 구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패킷 길이 정보에 기초해 패킷 길이를 검출하는 패킷 길이 검출기를 더 포함하는, 구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기는 CRC 에러 검출기인, 구동 장치.
  5. 데이터가 패킷들로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구동 장치로서, 각각의 패킷은 복수개의 블록들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끝 블록인, 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기,
    상기 재생기에 의해 재생된 블록에서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블록 타입 정보에 기초해 각 블록의 블록 타입을 검출하는 블록 타입 검출기, 및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가능한 영역과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 사이의 경계를 검출된 에러와 상기 검출된 블록 타입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경계 검출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킷은 복수의 끝 블록들을 포함하는, 구동 장치.
  7.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구동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는 트랙에서 패킷들로 기록되며, 각각의 패킷은 복수개의 블록들로 형성되는, 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기,
    상기 재생기에 의해 재생된 블록에서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패킷 정보에 기초해 패킷 타입을 검출하는 패킷 검출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블록 타입 정보에 기초해 각 블록의 블록 타입을 검출하는 블록 타입 검출기, 및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가능한 영역과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 사이의 경계를 결정하며, 상기 패킷들이 고정된 패킷 길이를 가질 때 제 1 검출 방법에 의해 상기 경계를 결정하고, 상기 패킷들이 가변 패킷 길이를 가질 때 제 2 검출 방법에 의해 상기 경계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경계 검출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방법은 상기 에러가 발생되는 블록의 위치와 상기 고정된 패킷 길이의 정수배 만큼 트랙 헤드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함수로서 경계를 결정하는, 구동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출 방법은 검출된 에러와 상기 검출된 블록 타입의 함수로서 상기 경계를 결정하는, 구동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각각의 트랙에서 상기 패킷들의 타입을 검출하는 패킷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고정 길이를 가진 패킷들과 가변 길이를 가진 패킷들의 별개의 트랙을 포함하는, 구동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패킷에서 상기 블록들의 적어도 하나는 끝 블록인, 구동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광학 디스크인, 구동 장치.
  14.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영역과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가능한 영역 사이의 경계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영역들은 고정된 길이의 패킷들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 매체상의 트랙에 배치되며 각각의 패킷은 복수개의 블록들로 형성되는, 상기 경계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서 에러를 검출하고 상기 에러가 검출된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록 매체상의 트랙 헤드로부터 상기 검출된 에러를 담고 있는 상기 블록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이 상기 트랙 헤드로부터 고정 길이의 패킷들의 정수배로 놓여져 있는 지의 함수로서 상기 경계를 포함하고 있는 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계 검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광학 디스크인, 경계 검출 방법.
  16.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영역과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가능한 영역 사이의 경계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영역들은 데이터가 패킷들로 저장되는 기록 매체상에 배치되며 각각의 패킷은 각각이 복수개의 블록들 타입 중에서 식별 가능한 복수개의 블록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패킷의 제 1 블록은 링크 블록 타입의 블록인, 상기 경계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서 에러를 검출하여 상기 에러가 발생한 블록과 블록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에러가 상기 링크 블록 타입의 블록에서 발생하면 상기 경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계 검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 타입들은 끝 블록 타입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패킷의 최종의 2개의 블록들은 상기 끝 블록 타입 블록들이며, 상기 경계는 상기 검출된 에러가 2개의 끝 블록 다음이 블록에서 발생하면 결정되는, 경계 검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광학 디스크인, 경계 검출 방법.
  19.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영역과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가능한 영역 사이의 경계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영역들은 각각의 포맷들의 패킷들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 매체상의 트랙에 배치되며, 각각의 패킷은 복수개의 블록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블록은 복수개의 블록 타입들 중에서 식별 가능하며, 각 패킷의 제 1 블록은 링크 블록 타입의 블록인, 상기 경계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서 에러를 검출하여 상기 에러를 포함하고 있는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패킷들의 포맷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에러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블록의 블록 타입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들의 포맷이 고정 길이일 때는 제 1 프로세스로, 상기 포맷이 가변 길이일 때는 제 2 프로세스로 상기 경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프로세스는 트랙 헤드로부터 고정 길이 패킷들의 정수배로 놓여진 블록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에러의 함수로서 상기 경계를 결정하며,
    상기 제 2 프로세스는 상기 링크 블록 타입의 블록에서 발생하는 상기 검출된 에러의 함수로서 상기 경계를 결정하는, 경계 검출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트랙에서 상기 패킷들의 포맷을 검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계 검출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고정 길이를 가진 패킷들과 가변 길이를 가진 패킷들의 별개의 트랙들을 포함하는, 경계 검출 방법.
KR1020000016422A 1999-03-30 2000-03-30 기록 매체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 매체로부터데이터를 재생하여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영역 및 기록가능한 영역 간의 경계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638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88328 1999-03-30
JP08832899A JP4016169B2 (ja) 1999-03-30 1999-03-30 ドライ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067A KR20000063067A (ko) 2000-10-25
KR100638065B1 true KR100638065B1 (ko) 2006-10-25

Family

ID=1393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422A KR100638065B1 (ko) 1999-03-30 2000-03-30 기록 매체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 매체로부터데이터를 재생하여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영역 및 기록가능한 영역 간의 경계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94214B1 (ko)
JP (1) JP4016169B2 (ko)
KR (1) KR100638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3812A3 (en) 1999-12-28 2008-10-29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Data erase methods for use in an optical recording medium
JP4348851B2 (ja) * 2000-09-21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ディスク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方法
JP4174967B2 (ja) * 2000-12-18 2008-11-05 船井電機株式会社 追記型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
JP3886729B2 (ja) * 2001-01-26 2007-02-2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オーディオ装置、楽曲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楽曲再生方法
KR100716962B1 (ko) * 2001-09-29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JP3795382B2 (ja) * 2001-11-21 2006-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再生装置および方法
US7149164B2 (en) * 2002-03-18 2006-12-12 Sanyo Electric Co., Ltd. Optical disc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according to different optical disc standards to achieve higher recording density
JP2004127387A (ja) * 2002-09-30 2004-04-22 Mitsum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イニシャライズ方法
TWI236006B (en) * 2002-11-08 2005-07-11 Mediatek Inc Optical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of gathering track information from an optical storage medium
US7624021B2 (en) 2004-07-02 2009-11-24 Apple Inc. Universal container for audio data
US7583458B2 (en) * 2004-07-28 2009-09-01 Agere Systems Inc. Channel optimization metrics
US20080285397A1 (en) * 2007-05-17 2008-11-20 Te-Wang Tseng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information recorded in a boundary area on an optical disc
WO2017135000A1 (ja) * 2016-02-05 2017-08-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0576B2 (ja) * 1994-10-24 2004-04-19 ソニー株式会社 誤り訂正方法
JPH0982039A (ja) * 1995-09-18 1997-03-28 Sony Corp 情報記録方法および追記型光ディスク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85463A (ja) 2000-10-13
JP4016169B2 (ja) 2007-12-05
KR20000063067A (ko) 2000-10-25
US6594214B1 (en) 200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0054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KR100638065B1 (ko) 기록 매체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 매체로부터데이터를 재생하여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영역 및 기록가능한 영역 간의 경계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 장치 및 방법
US7543217B2 (en) Method of determining suitability of a recording medium for being recorded to and/or reproduced from by an apparatus
KR100547530B1 (ko) 광 디스크 장치
JPH08329469A (ja) データ記録装置
JP4889853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媒体
KR20020006427A (ko) 기록장치, 기록매체, 재생장치, 기록매체의 판별방법
JP2001006293A (ja) ディスク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243722A (ja) ディスク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RU2274912C2 (ru) Способ записи и/ил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ля носителя запис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носителя записи и способ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использующего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JP2001028170A (ja) ディスク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941834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再生方法
JP2002050110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記録媒体
JP2002117613A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判別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3346428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2216346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アドレス取得方法
JP2001236770A (ja) ディスク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
JP2005129179A (ja)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判別方法
JP2002216352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データ記録方法
JP2005129148A (ja)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判別方法
JP2002298370A (ja) 再生装置、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