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178B1 - 부착 회로, 부착 회로 시트 및 부착 회로 시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부착 회로, 부착 회로 시트 및 부착 회로 시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178B1
KR100635178B1 KR1020040021682A KR20040021682A KR100635178B1 KR 100635178 B1 KR100635178 B1 KR 100635178B1 KR 1020040021682 A KR1020040021682 A KR 1020040021682A KR 20040021682 A KR20040021682 A KR 20040021682A KR 100635178 B1 KR100635178 B1 KR 10063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iring portion
layer
adhesive layer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0417A (ko
Inventor
히로시 야마모토
아키히코 나카조노
Original Assignee
게이요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이요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게이요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등에 설치했을 경우, 보기가 좋으며 시야를 차단하지 않는 부착 회로를 제공한다.
부착 회로 시트는 투명한 기재(基材)(3), 제 1 점착층(5), 흑색층(6)을 갖는 안테나 패턴의 배선부(2), 제 2 점착층(7), 및 기재와 동형인 박리 시트(4)가 적층된 구조이다. 사용 시에는 박리 시트(4)를 벗기고 부착 대상인 유리(11) 내측면의 원하는 위치에 배선부(2)의 위치를 결정하여 기재(3)를 부착시킨다. 기재(3)를 벗겨내면 유리(11)의 표면에 배선부(2)만 남는다. 유리(11)의 표면을 덮어 가리는 부재의 면적이 종래보다 훨씬 작아, 유리 너머로 밖을 보는 경우에도 시야를 방해받지 않으며, 깨끗하여 보기에도 좋다.

Description

부착 회로, 부착 회로 시트 및 부착 회로 시트 제조 방법{AN ATTACHMENT CIRCUIT, AN ATTACHMENT CIRCUIT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ATTACHMENT CIRCUIT SHEET}
도 1은 피부착체의 부착면에 부착 회로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착 회로 시트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재료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6a는 부착 회로 시트를 이용하여 부착면에 부착 회로를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며, 도 1의 B-B 절단선의 슬릿부를 벗겨내는 도중을 나타낸 단면도.
도 6b는 슬릿부를 벗겨내는 도중을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부착 회로 시트를 이용하여 부착면에 부착 회로를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며, 박리 시트를 벗겨낸 부착 회로 시트를 전면유리에 점착한 상태 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전면유리에 점착한 부착 회로 시트로부터 기재를 박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착 회로를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확대 단면도.
도 10a는 제 3 실시예에서의 시트 형상 도체층의 단면도.
도 10b는 제 3 실시예에서의 직사각형 시트인 기재의 단면도.
도 10c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 1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확대 단면도.
도 11a는 제 4 실시예의 시트 형상 도체층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1b는 상기의 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f는 제 4 실시예의 제조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제조 순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도 13a 내지 도 13d는 제 4 실시예의 제조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제조 순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도 14a 및 도 14b는 상기 제조 순서의 접합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5는 종래의 안테나 시트의 평면도.
도 16은 종래의 안테나 시트의 단면도.
도 17은 종래의 안테나 시트를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부착 회로 시트 2 : 배선부
3 : 기재 4, 9, 10 : 박리 시트
5 : 제 1 점착층 6 : 흑색층
7 : 제 2 점착층 8 : 도체층
11 : 부착 대상인 유리 12 : 제 3 점착층인 강점착층
13 : 수지 시트층 18 : 제 3 점착층
20 : 보호 시트
본 발명은 도체로 이루어진 회로를 평면에 부착시켜 설치할 수 있는 부착 회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부착 회로를 평면에 부착시켜 설치하기 위한 부착 회로를 구비한 부착 회로 시트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창문 유리, 가옥이나 빌딩 등의 창문 유리, 그 외의 대상(제품, 제품의 부품, 설비, 가옥 등의 구조물)의 부착면에 대해 소정 용도의 회로를 부착시켜 설치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회로는 가장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각종 용도의 안테나 외에, 히터나 스피커, 기타 모든 용도의 전 기·전자 회로가 포함된다.
종래에는, 라디오 전파, 텔레비전 전파 등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해 자동차의 창문 유리 표면에 접착제층을 갖는 안테나 시트를 부착시켰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안테나 시트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1-119219호 공보
이러한 안테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기재 시트(100)의 표면에 은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기를 이용하여 안테나 형상의 패턴으로 인쇄하여 안테나 소자(101)를 형성하고, 그 단부에는 단자부(102)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소자(101) 상에 그 선폭보다 큰 폭으로, 방수 및 절연을 목적으로 하는 보호층(103)을 형성한다. 또한, 안테나 소자(101), 단자부(102)를 덮어 기재 시트(100)의 표면을 보호용 필름(104)으로 피복한다. 그리고, 기재 시트(100)의 안테나 소자(10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강점착제층(105)을 통해 수지 시트(106)를 설치하고, 수지 시트(106)에는 점착층(107)을 통해 박리 시트(108)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의 안테나 소자가 부착된 기재 시트를 피부착체에 부착하려면, 박리 시트(108)를 벗겨내고 점착층(107)을 피부착체에 부착시키면 된다. 상기 점착층(107)을 적당한 재질의 점착물질로 구성하면, 안테나 소자가 부착된 기재 시트를 피부착체에 점착시킨 후에도 이것을 용이하게 피부착체로부터 박리하거나 또는 피부착체에 다시 점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안테나 소자가 부착된 기재 시트의 점착 위치가 어긋난 것을 수정하거나, 다른 자동차의 창문 유리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안테나 소자가 부착된 기재 시트에 의하면, 기재 시트(100)가 설사 투명하더라도 그 반사율은 창문 유리와 다르기 때문에, 기재 시트(100)의 외형을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어, 기재 시트(100)가 점착된 영역의 시야가 악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가령,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창문 유리(110)에 안테나 소자가 부착된 기재 시트를 설치하는 경우, 그 설치 위치에 따라 기재 시트(100) 부분을 통해 창문 밖을 관찰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리 표면의 설치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설치 후에도 보기가 좋으며, 특히 유리 표면에 설치했을 경우, 그 시야를 차단하지 않는 부착 회로, 상기 부착 회로를 설치하기 위한 부착 회로 시트, 및 상기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부착 회로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 재료로 이루어진 배선부와, 상기 배선부의 한쪽 면을 부착면에 부착시키는 점착층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부착 회로에 의하면, 배선 패턴 형상인 배선부 이외에는 부착면을 덮어 가리는 부재가 없으므로 보기가 좋으며, 특히 부착면이 유리 표면인 경우에는 유리 너머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는, 소정 형상의 도체 재료로 이루어진 배선부와, 상기 배선부의 한 면 쪽에 제 1 점착층을 통해 설치된 기재와, 상기 배선부의 다른 면 쪽에 제 2 점착층을 통해 설치된 박리 시트를 가지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배선 패턴 형상의 배선부를 기재와 박리 시트로 끼운 시트 형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취급이 편리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서, 상기 배선부의 부착면에 대한 상기 제 2 점착층의 점착력이 상기 배선부의 한 면 쪽에 대한 상기 제 1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사용 시에는 박리 시트를 벗겨내 배선부 측을 부착면에 부착시키고, 기재를 벗겨내 부착면에 배선부만 남김으로써, 상기 부착 회로를 간단히 부착면에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서, 상기 배선부가 길다란 형상(長體狀)을 가지며, 상기 기재 측의 표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배선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점착층을 통한 기재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 배선부와 기재와의 점착력이 작다. 따라서, 박리 시트를 벗기고 부착면에 부착시킨 후, 부착면에 점착한 배선부로부터 기재를 벗겨내는 조작을 작은 저항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서, 상기 배선부의 상기 기재 측 표면이 광반사율이 낮은 재료로 덮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기재는 제거해 버리기 때문에 보기에 좋을 뿐만 아니라, 배선부를 부착면 측에서 관찰했을 경우, 배선부로부터 오는 쓸모 없는 반사광이 적으므로 더욱 보기가 좋아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서 상기 기재가 광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박리 시트를 벗기고 부착면에 기재를 부착시킬 경우, 광투과성 기재 너머로 배선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부착면에 대한 배선부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서, 상기 배선부와 상기 박리재 사이에 제 3 점착층을 통해 수지 시트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배선부와 수지 시트를 제 3 점착층으로서의 강점착층으로 접착하고, 재박리성 및 재부착성을 갖는 제 2 점착층으로 수지 시트와 박리 시트를 부착시키면, 부착 회로 시트를 피부착체에 점착시킨 후에도 이것을 용이하게 피부착체로부터 박리하거나 또는 피부착체에 다시 점착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된 부착 회로 시트의 점착 위치가 어긋난 것을 수정하거나, 다른 자동차의 창문 유리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은, 도체층의 한쪽 면에 점착층을 통해 박리 시트가 설치된 도전체 시트를 펀칭함으로써 배선부를 형성하고, 다른 점착층을 갖는 투광성을 구비한 시트 형상의 기재를 상기 배선부의 도체층 측에 부착시키고, 상기 배선부의 박리 시트를 제거하는 동시에, 상기 배선부의 한쪽 면의 점착층과 상기 기재의 다른 점착층에 다른 박리 시트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2 내지 7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도체층과 상기 기재의 제 1 점착층 사이에는, 제 3 점착층을 통해 상기 도체층보다 외형이 큰 보호 시트가 개재함으로써, 유리 표면 등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회로의 표면 및 측면이 보호 시트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고정되므로 회로를 보호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은, 도체층의 한쪽 면에 제 2 점착층을 통해 박리 시트가 설치된 도전체 시트를 펀칭함으로써 박리 시트 상에 배선부를 형성하고, 배선부의 표면에 제 3 점착층을 통해 보호 시트를 부착시키고,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배선부의 외형보다 큰 형상으로 펀칭하고, 상기 보호 시트의 상기 배선부에 대한 접합면 이외의 부분을 상기 박리지 상으로부터 박리하여 제거하고, 제 1 점착층을 갖는 투광성을 구비한 시트 형상의 기재를 상기 배선부측 면에 부착시키고, 박리지 상에 고정 부착된 배선부 및 보호 시트를 박리지 표면 또는 이것과 기재 사이에 끼운 상태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보호 시트의 배선부에 대해 돌출된 부분을 박리지 표면에 밀착시켜 탈포(脫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9에 기재된 보호 시트가 부착된 부착 회로 시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가압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도체층 주위에 틈새 없이 밀착시켜 기포 발생 등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체층의 한쪽 면에 제 2 점착층을 통해 박리 시트가 설치된 도전체 시트를 펀칭함으로써 박리 시트 상에 배선부를 형성하는 한편, 시트 형상 기재의 한쪽 면에 제 1 점착층을 통해 보호 시트의 비점착면을 점착시키고, 상기 배선부의 패턴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보호 시트를 펀칭함으로써 상기 기재 상에 보호 시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박리 시트와 상기 기재를 중첩시킴으로써, 배선부의 표면에 보호 시트를 제 3 점착층을 통해 일체로 점착시키고, 가압에 의해 상기 보호 시트의 배선부에 대해 돌출된 부분을 박리지의 표면에 밀착시켜 탈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탈포를 위한 가압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피부착체의 부착면에 부착 회로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착 회로 시트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재료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부착 회로 시트를 이용하여 부착면에 부착 회로를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7은 제 1 실시예의 부착 회로를 자동차의 창문 유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착 회로 시트(1)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착 회로 시트(1)는 도체 재료로 이루어진 소정 형상 ·패턴의 배선부(2)를, 투광성을 갖는 직사각형 시트인 기재(3), 및 상기 기재(3)와 동일한 외형의 박리 시트(4)에 의해 각각 점착층을 통해 끼운 구조의 시트 형상물이다. 박리 시트(4)의 중앙에는 짧은 변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평행한 절취선이 형성되어, 띠 형상의 슬릿부(15)와 띠 형상의 박리부(15a)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배선부를 자동차의 창문 유리 등에 부착시킬 때 취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부착 후에는 부착면에 배선부(2)만 부착한 채로 남고, 기재(3)와 박리 시트(4)는 박리되어 제거된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의 단면을 확대한 것이다. 기재(3)의 하부면에는 제 1 점착층(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점착층(5)은 투광성이다. 상기 제 1 점착층(5)에는 도전성 재료를 소정의 배선 패턴 형상으로 형성한 배선부(2)의 한쪽 면이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선부(2)의 한쪽 면에 광반사율이 낮은 재료가 층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흑색 도료가 도포된 흑색층(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흑색층(6)이 기재(3)의 제 1 점착층(5)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배선부(2)의 다른 면 쪽에는 제 2 점착층(7)을 통해 박리 시트(4)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점착층(7)은 광반사성이 낮은 흑색이다. 제 2 점착층(7)에 부착된 박리 시트(4)의 외형은 기재(3)와 거의 동일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 시트(4)의 중앙에는 짧은 변 방향으로 평행한 띠 형상의 슬릿부(15)와 띠 형상의 박리부(15a)가 구성되어 있어, 박리 시트(4) 중에서 띠 형상 박리부(15a)만 먼저 박리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선부(2)를 벗어난 위치에는 박리 시트(4)가 기재(3)의 제 1 점착층(5)에도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부착 회로 시트(1)의 제조 방법과 사용 재료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배선부(2)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 형상 도체층(8)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체층(8)의 한쪽 면(상기 도면 중 하측면)에는 점착층(7)을 통해 박리 시트(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체층(8)의 다른 면 쪽(상기 도면 중 상측면)에는 흑색층(6)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도전층은 연동(軟銅)이며 그 두께는 0.35mm이다. 펀칭 후의 배선부(2)의 가는 선 형상 부분의 폭은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안테나로서 사용하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예컨대 0.45mm이고, 그 길이는 도시한 패턴의 최장 부분에서 약 300mm 정도의 치수이다. 점착층(7)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빛을 반사하기 어려운 색채인 흑색으로 되어 있고, 두께는 0.02~0.0025mm이다.
또, 안테나가 되는 도전층의 재질 ·재료로서는 연동 외에 알루미늄박, 스테 인리스, 니켈 ·주석 ·금 등으로 도금한 도전성 재료 등이어도 무방하다.
도 3b는 투광성을 갖는 직사각형 시트인 기재(3)의 단면을 나타낸다. 기재(3)의 한쪽 면(상기 도면 중 하측면)에는 점착층(5)을 통해 박리 시트(1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기재(3)는 투명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 두께는 0.05~0.10mm이다. 점착층(5)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투명하고 두께는 0.02~0.025mm이다. 박리 시트(10)는 단면(片面) 폴리 라미네이트 상질지(上質紙)에 박리 처리를 실시한 것이지만, 수지 시트에 박리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도 3a에 도시한 시트 형상의 도체층(8)을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소정 형상의 틀로 펀칭함으로써,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정 패턴의 배선부(2)를 제작한다. 본 실시예의 배선부(2)는 가는 선 형상의 배선(2a)과, 그 일단에 접속된 단자(2b)로 이루어지고, 배선(2a)이 서로 근접하게 2개 배치된 1세트의 배선부(2)가 구성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한 기재(3)로부터 박리 시트(10)를 박리하고, 도 4a에 도시한 펀칭된 배선부(2)의 흑색층(6)측에 상기 기재(3)의 점착층(5)을 중첩하여 접착한다. 다음에, 배선부(2)의 박리지(9)를 벗겨내고, 배선부(2) 뒤쪽의 점착층(7)과 기재(3)의 점착층(5)에 기재(3)와 동일한 외형(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으로 상술한 슬릿부(15) 및 띠 형상 박리부(15a)를 갖는 박리 시트(4)를 중첩하여 접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첩한 기재(3)와 박리 시트(4)를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롤러에 통과시킨다. 이로써, 기재(3)와 박리 시트(4) 사이에 배선부(2)가 끼워진 채로 지지된 시트 형상의 부착 회로 시트(1)가 얻어지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선부(2)의 부착면(예컨대, 유리 표면)에 대한 점착층(7)에 의한 점착력이 기재(3)의 배선부(2)에 대한 점착층(5)에 의한 점착력보다 크다. 따라서, 박리 시트(4)를 벗기고 유리 표면 등에 배선부(2)를 부착시킨 후, 배선부(2)를 유리 표면에 부착한 상태로 기재(3)를 유리 표면 상의 배선부(2)로부터 벗겨내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펀칭 몰드(12a, 12b)에 의해 시트 형상의 도체층(8)을 흑색층(6)측으로부터 폭이 좁은 가는 선 형상으로 펀칭하기 때문에, 펀칭 시에 도체층(8)이 변형되어,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흑색층(6)측이 볼록한 가운데가 볼록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흑색층(6)과 상기 기재(3)의 접촉은 선 접촉 또는 이것에 가까운 것이 되며, 점착층(5)에 의한 접착력은 원하는 값보다 작은 값이 된다. 이 점에서도 기재(3)의 배선부(2)에 대한 접착력은 배선부(2)의 부착면에 대한 접착력보다 작아진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부착 회로 시트(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인 부착 회로를 부착면인 자동차 전면유리의 내측면(실내측)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지(4)의 슬릿부(15)인 띠 형상 박리부(15a)만을 벗겨낸다. 기재(3)는 투명하기 때문에,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3)의 한쪽 면으로부터 기재(3)를 통해 기재(3)의 다른 면 쪽에 있는 배선부(2)의 흑색층(6)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선부(2)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기재(3)를 손에 들고 박리 시트(4)의 슬릿부(15)를 유리(11)를 향하게 하고, 그 표면의 소정 위치에 배선부(2)의 위치를 결정해서 슬릿부(15)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점착층(5, 7)을 부착시킨다.
다음으로, 박리 시트(4)의 슬릿부(15) 한쪽의 단면 부분을 슬릿부(15)에 인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벗겨내고, 제 1 및 제 2 점착층(5, 7)을 전면유리(11)에 점착시킨다. 그런 다음, 박리 시트(4)의 슬릿부(15)의 다른 쪽의 단면 부분을 슬릿부(15)에 인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벗겨내고, 제 1 및 제 2 점착층(5, 7)을 전면유리(11)에 점착시킨다. 이로써 박리 시트(4)는 모두 박리 ·제거되고, 나머지 부분이 전면유리(11)에 점착된 채로 남아,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박리 시트(4)의 중앙부에 슬릿부(15)와 띠 형상의 박리부(15a)를 설치해 두고, 먼저 상기 띠 형상 박리부(15a)만을 벗겨내고 이 부분을 통해 전면유리(11)에 점착시키고, 이어서 슬릿부(15) 좌우의 박리 시트(4)의 나머지 부분을 1장씩 벗겨내고 나머지 부분을 전면유리(11)에 점착하기 때문에, 점착성 시트물의 취급이 편리하고 부착에 실패할 확률이 적다.
다음으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3)를 벗겨내면, 전면유리(11) 표면에 배선부(2) 등만 남는다. 배선부(2)의 전면유리(11)에 대한 점착층(7)에 의한 점착력이 기재(3)의 배선부(2)에 대한 점착층(5)에 의한 점착력보다 크기 때문이 다. 부착 후, 2개의 단자부(2b, 2b)에 자동차 내부로부터 인출된 도시하지 않은 배선을 접속한다.
이상과 같은 간단한 순서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가 없는 배선부(2)만의 안테나를 전면유리(11)의 내측면에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전면유리(11)에 설치되는 것은 가는 선 형상의 배선부(2)뿐이므로, 전면유리(11)의 표면을 덮어 가리는 부재의 면적이 종래의 안테나 시트보다 훨씬 좁아, 도시한 바와 같이 2세트의 안테나를 전면유리(11)의 상방 좌우 양 모서리에 설치하더라도, 실내에서 유리 너머로 밖을 바라보는 경우에 시야를 방해받지 않는다. 단자(2b)에 접속하는 배선은 기둥에 끼워 넣으므로 눈에 띄지 않는다. 또한, 실내측에서는 배선부(2)의 흑색층(6)이 보이므로 빛을 반사하기 어려워 눈에 띄지 않는다. 실외 측에서는 흑색의 점착층(7)이 보이므로 빛을 반사하기 어려워 역시 눈에 띄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부착 회로인 배선부(2)는 본래 투명해야 하는 유리면에 큰 면적으로 반사광이 눈에 띄는 시일(seal)을 점착하는 보기 좋지 않은 종래의 시트 안테나와는 달리, 깨끗하여 보기가 좋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배선부(2)에 흑색층(6)을 설치하였지만, 본 실시예에는 흑색층(6)이 없다. 실내측에서 보았을 경우, 흑색인 경우보다 약간 눈에 띄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배선부(2)는 구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부착 대상이 구리와 비슷한 색채일 경우, 흑색층(6)을 설치하지 않는 쪽이 부착 대상 상에서 배선부(2)가 눈에 띄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본 실시예에서 배선부(2)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시트 형상의 도체층(8)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체층(8)의 한쪽 면(상기 도면 중 하측면)에는, 제 3 점착층인 흑색의 강점착층(12)을 통해 수지 시트층(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지 시트층(13)은 투명한 PET로 이루어지며 두께는 0.05mm이다. 흑색의 강점착층(12)은 두께가 0.02~0.025mm이다. 수지 시트층(13)에는 다른 흑색의 점착층(7)을 통해 박리 시트(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체층(8)의 다른 쪽 면(상기 도면 중 상측면)에는 흑색층(6)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시트 형상 도체층(8)은 흑색의 강점착층(12)을 통해 수지 시트층(13)이 설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a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 3a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b는 도 3b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투광성을 갖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의 기재(3)이다.
도 10c에 나타낸 부착 회로 시트(1a)의 제조 공정은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10a의 시트 형상 도체층(8)을 펀칭하여 가는 선 형상 부분과 단자부를 포함하는 배선부(2)를 만들고, 이것의 흑색층(6)측에 박리 시트(10)를 벗겨낸 기재(3)를 점착하고, 배선부(2)의 박리 시트(9)를 벗겨내 기재(3)와 동일한 외형으로 슬릿부가 형성된 다른 박리 시트(4)를 부착시킨다. 박리 시트(4)의 슬릿부를 제거한 후 부착시키고, 이후에는 박리 시트(4)의 그 외의 부분을 벗겨내어 부 착시키며, 마지막으로 기재(3)를 벗겨내 배선부(2)만을 전면유리(11)에 남기는 부착 방법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배선부(2)에 강점착층(12)을 통해 수지 시트층(13)을 점착하고, 수지 시트층(13)에는 반복적으로 부착 ·박리가 가능한 약한 점착층(7)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 이외에, 배선부(2)가 수지 시트층(13)으로 보강되어 부착시나 기재(3)의 박리시에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우선, 도 11a는 시트 형상으로 완성된 부착 회로 시트(1)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배선부(2)(도체층(8))는 박리 시트(4)에 제 2 점착층(7)을 통해 배치되는 동시에, 배선부(2)의 상부 및 그 주위를 덮는 제 3 점착층(18)을 통해 보호 시트(20)로 덮고, 또한 그 상부에 제 1 점착층(5)을 통해 시트 형상의 기재(3)로 덮은 구조로 되어 있다.
제 3 점착층(18)은 제 2 점착층(7)과 동등한 강점착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기재(3)를 벗겨낸 상태에서는 상기 보호 시트(20)는 배선부(2)의 표면에 남겨둔다.
상기 보호 시트(20)는 투명한 수지 시트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부(2)의 패턴 형상에 따라 이것의 상면을 덮도록 도체층(8)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고, 기재(3)를 벗겨낸 상태에서 유리 표면 등에 부착시킨 상태에서는 배선부(2)의 노출면 측 주위 전체를 덮으며, 이러한 상태로 보호 시트(20)의 주위도 유리 표면에 점착되어 배선부(2)를 보호하게 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은 보호 시트(20)가 부착된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 12a 내지 도 12f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 시트(4)에 제 2 점착층(7)을 통해 도체층(8)을 한 면에 부착하고, 절단에 의해 배선부(2)를 소정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은 상기 각 실시예와 다르지 않다.
이후, 배선부(2) 및 박리 시트(4)의 표면 전체에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점착층(18)을 통해 보호 시트(20)를 전면에 점착하고, 이어서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부(2)의 패턴 상부를 덮은 상태로 이것보다 폭이 넓게 절단한다.
또, 도 12d에서 부호 22는 펀칭 몰드의 절단날로서, 절단 깊이가 박리 시트(4)의 절단 깊이까지 도달하지 않으면서 보호 시트(20) 자체는 완전히 절단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절단 후에는 보호 시트(20)의 배선부(2)에 대한 부착 부분 이외의 부분, 즉 박리 시트(4)에 대한 점착 부분을 벗겨내어 제거하고, 그 후에는 도 12e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등에 의한 전압(輾壓)작용을 반복함으로써, 배선부(2)의 측면과 보호 시트(20)간의 틈새가 매립되고, 밀착되면서 탈포된다.
배선부(2)의 측면과 보호 시트(20) 사이에 기포가 남아 있으면, 투명도가 저하되어 사용 시에 보기가 나빠질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부착시킨 경우 등에는 시야를 방해하게 되며, 또한 벗겨짐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배선부(2)의 측면과 보호 시트(20) 사이로부터 기포를 충분히 제거하 면 이러한 문제점은 생기지 않는다.
그 후, 도 1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점착층(5)을 통해 시트 형상 기재(3)를 부착하면 부착 회로 시트(1)가 완성된다.
또, 롤러에 의한 아이어닝(ironing) 작업은 보호 시트(20)의 패턴 형성 후에 행해도 되고, 이에 이어 기재(3)의 부착 작업 후에 행해도 무방하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길이 방향을 따라 롤러 등에 의해 전압을 행함으로써, 배선부(2)의 측면과 보호 시트(20)간의 틈새가 매립되고, 밀착되면서 탈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보호 시트(20)가 부착된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도 13 및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배선부(2)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도 12a 및 도 12b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보호 시트(20)의 제 3 점착층(18)에는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박리지(24)가 부착되어, 상기 박리지(24)를 접착면 측으로 하여 기재(3)에 제 2 점착층(5)을 통해 부착된다.
이후 도 13b에 도시한 절단 공정에 의해, 기재(3) 상에 상기 배선부(2) 주위를 덮는 형태의 패턴으로 절단된다. 이러한 경우의 패턴은 상기 배선부(2)의 형성 패턴과는 거울형 대칭이 된다. 즉, 기재(3)측과 박리지(4)를 대면시킨 상태로 접착시키기 때문에 형성 패턴이 거울형 대칭이 되기 때문이다.
배선부(2) 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3)와의 점착면으로부터 박리지(24)째 제거하는 동시에, 배선부(2)의 위치에 부착된 박리지(24)도 제거하여 상기 도 12a 및 도 12b의 공정을 거쳐 가공된 배선부(2)와 대향되게 위치 결정하여 점착함으로써,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부(2)의 표면에 보호 시트(20)가 제 3 점착층(18)을 통해 점착되게 된다.
도 14a는 이러한 대향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b는 부착상태를 나타내며, 박리지(4)와 기재(3)는 동일한 외형 치수이고, 배선부(2) 및 보호 시트(20)의 패턴 형성 위치를 정밀하게 일치시킴으로써, 배선부(2)가 보호 시트(20)의 중앙 위치에 점착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 기재(3)로서 화지(일본 종이) 등과 같은 유연한 반투명 시트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2장을 겹친 후에는 롤러 전압작업에 의해 간단히 보호 시트(20)가 배선부(2)의 측부에 밀착되므로 작업이 보다 간단해진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는, 부착 회로로서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설치하는 안테나를 예시하였지만, 부착 대상은 자동차의 전면유리가 아닌 다른 유리창이어도 되고 유리 표면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부착 대상으로는 자동차 이외의 공업제품이나 그 부품, 이동식 또는 설치형 설비, 구조물,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조물이나 그 일부분이어도 무방하다. 이들 부착 대상의 부착면으로는, 점착층에 의한 부착이 가능한 면이라면 금속면이거나, 나무 재질의 면이어도 되고 유리 이외의 무기질면이어도 되며, 평면이나 곡면을 불문한다. 또한, 부착 회로의 기능으로는 안테나에 한하지 않고, 소정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소정의 패턴으로 한 도전선으로 이루어진 회로이면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회로에는, 예를 들면 각종 용도의 안테나 이외에, 히터, 스피커 등 기타 모든 용도의 전기 ·전자회로가 포함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부착 회로에 의하면, 배선 패턴 형상인 배선부 이외에는 부착면을 덮어 가리는 부재가 없으므로 보기가 좋으며, 특히 부착면이 유리 표면인 경우에는 유리 너머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배선 패턴 형상의 배선부를 기재와 박리 시트로 끼운 시트 형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취급이 편리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사용 시에는 박리 시트를 벗겨내 배선부 측을 부착면에 부착시키고, 기재를 벗겨내 부착면에 배선부만 남김으로써 상기 부착 회로를 간단히 부착면에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배선부가 볼록한 형상이므로 제 1 점착층을 통한 기재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 배선부와 기재와의 점착력이 작다. 따라서, 박리 시트를 벗기고 부착면에 부착시킨 후, 부착면에 점착된 배선부로부터 기재를 벗겨내는 조작을 작은 저항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기재는 제거해 버리기 때문에 보기에 좋을 뿐만 아니라, 배선부를 부착면 측에서 관찰했을 경우, 배선부로부터 오는 쓸모 없는 반사광이 적으므로 더욱 보기가 좋아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박리 시트를 벗겨내고 부착면에 기재를 부착시킬 경우, 광투과성 기재 너머로 배선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부착면에 대한 배선부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배선부와 수지 시트를 제 3 점착층인 강점착층으로 접착하고, 재박리성 및 재부착성을 갖는 제 2 점착층으로 수 지 시트와 박리 시트를 부착시키면, 부착 회로 시트를 피부착체에 점착시킨 후에도 이것을 용이하게 피부착체로부터 박리하거나 또는 피부착체에 다시 점착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 회로 시트의 점착 위치가 어긋난 것을 수정하거나, 다른 자동차의 창문 유리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2 내지 7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에 의하면, 도체층과 상기 기재의 제 1 점착층 사이에는 제 3 점착층을 통해 상기 도체층보다 외형이 큰 보호 시트가 개재함으로써, 유리 표면 등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회로의 표면 및 측면이 보호 시트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고정되므로, 회로를 보다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9에 기재된 보호 시트가 부착된 부착 회로 시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가압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도체층 주위에 틈새 없이 밀착시켜 기포 발생 등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탈포를 위한 가압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1)

  1.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 재료로 이루어진 배선부와, 상기 배선부의 한쪽 면을 부착면에 부착시킨 점착층을 구비하는 부착 회로로서,
    상기 배선부는 길다란 형상(長體狀)을 가지며, 상기 점착층과 반대의 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회로.
  2. 소정 형상의 도체 재료로 이루어진 배선부, 상기 배선부의 일면(一面) 측에 제 1 점착층을 통해 설치된 기재(基材), 및 상기 배선부의 다른 면 측에 제 2 점착층을 통해 설치된 박리 시트를 갖는 부착 회로 시트로서,
    상기 배선부가 길다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재 측의 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회로 시트.
  3. 소정 형상의 도체 재료로 이루어진 배선부, 상기 배선부의 일면 측에 제 1 점착층을 통해 설치된 기재(基材), 및 상기 배선부의 다른 면 측에 제 2 점착층을 통해 설치된 박리 시트를 갖는 부착 회로 시트로서,
    도체층과 상기 기재의 제 1 점착층 사이에는 제 3 점착층을 통해 상기 도체층보다 외형이 큰 보호 시트가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회로 시트.
  4. 제 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의 부착면에 대한 상기 제 2 점착층의 점착력은 상기 배선부의 일면 측에 대한 상기 제 1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회로 시트.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의 상기 기재 측의 면은 광반사율이 낮은 재료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회로 시트.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광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회로 시트.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와 상기 박리시트 사이에, 제 3 점착층을 통해 수지 시트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회로 시트.
  8.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도체층의 한쪽 면에 점착층을 통해 박리 시트가 설치된 도전체 시트를 펀칭함으로써 소정 패턴의 배선부를 형성하고,
    다른 점착층을 갖는 투광성을 구비한 시트 형상의 기재를 상기 소정 패턴의 배선부의 도체층 쪽에 부착시키고,
    상기 소정 패턴의 배선부의 박리 시트를 제거하는 동시에, 상기 배선부의 한쪽 면의 점착층과 상기 기재의 다른 점착층에 상기 기재와 동일한 외형의 다른 박리 시트를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기재와 상기 다른 박리 시트 사이에 상기 소정 패턴의 배선부가 끼워지지된 시트 형상의 부착 회로 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도체층의 한쪽 면에 제 2 점착층을 통해 박리 시트가 설치된 도전체 시트를 펀칭함으로써 박리 시트 상에 배선부를 형성하고,
    배선부의 표면에 제 3 점착층을 통해 보호 시트를 부착시키고,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배선부의 외형보다 큰 형상으로 펀칭하고,
    상기 보호 시트의 상기 배선부에 대한 접합면 이외의 부분을 상기 박리지 상으로부터 박리하여 제거하고,
    제 1 점착층을 갖는 투광성을 구비한 시트 형상의 기재를 상기 배선부측 면에 부착시키고,
    박리지 상에 고정 부착된 배선부 및 보호 시트를 박리지 표면 또는 이것과 기재 사이에 끼운 상태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보호 시트의 배선부에 대해 돌출된 부분을 박리지의 표면에 밀착시켜 탈포(脫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
  11.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도체층의 한쪽 면에 제 2 점착층을 통해 박리 시트가 설치된 도전체 시트를 펀칭함으로써 박리 시트 상에 배선부를 형성하는 한편,
    시트 형상 기재의 한쪽 면에 제 1 점착층을 통해 보호 시트의 비점착면을 점착시키고, 상기 배선부의 패턴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보호 시트를 펀칭함으로써 기재 상에 보호 시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박리 시트와 상기 기재를 중첩시킴으로써, 배선부의 표면에 보호 시트를 제 3 점착층을 통해 일체로 점착시키고,
    가압에 의해 상기 보호 시트의 배선부에 대해 돌출된 부분을 박리지 표면에 밀착시켜 탈포(脫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회로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040021682A 2003-04-16 2004-03-30 부착 회로, 부착 회로 시트 및 부착 회로 시트 제조 방법 KR100635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1728 2003-04-16
JPJP-P-2003-00111728 2003-04-16
JP2003299959A JP3746500B2 (ja) 2003-04-16 2003-08-25 貼付回路シート及び貼付回路シートの製造方法
JPJP-P-2003-00299959 2003-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417A KR20040090417A (ko) 2004-10-22
KR100635178B1 true KR100635178B1 (ko) 2006-10-16

Family

ID=3351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682A KR100635178B1 (ko) 2003-04-16 2004-03-30 부착 회로, 부착 회로 시트 및 부착 회로 시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46500B2 (ko)
KR (1) KR100635178B1 (ko)
TW (1) TW2004234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1911B2 (ja) * 2004-05-19 2007-12-12 原田工業株式会社 フィルムアンテナ
JP4260782B2 (ja) * 2005-07-19 2009-04-30 株式会社慶洋エンジニアリング 貼付回路及び貼付回路シート
JP2007274528A (ja) * 2006-03-31 2007-10-18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フィルムアンテナ
JP5052573B2 (ja) * 2009-08-24 2012-10-17 株式会社慶洋エンジニアリング フィルムアンテナの製造方法
JP2014220392A (ja) * 2013-05-08 2014-11-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配線シート貼着構造体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5665A (ja) 1998-04-27 1999-11-05 Sunrise:Kk ステッカ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5665A (ja) 1998-04-27 1999-11-05 Sunrise:Kk ステッカ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923283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417A (ko) 2004-10-22
TWI318478B (ko) 2009-12-11
TW200423474A (en) 2004-11-01
JP3746500B2 (ja) 2006-02-15
JP2004336698A (ja) 200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426B1 (ko) 표면 평탄성이 뛰어난 터치입력기능을 가진 보호패널 및 당해 보호패널을 가진 전자기기
JP4621814B2 (ja) 電子機器表示窓のタッチ入力機能付き保護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CN101180764B (zh) 车辆用透明天线以及带天线的车辆用玻璃
KR101266712B1 (ko)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와 이에 이용되는실장용 시트
JP2006287729A (ja) 建築物窓用透明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付き建築物窓用透光性部材
KR100635178B1 (ko) 부착 회로, 부착 회로 시트 및 부착 회로 시트 제조 방법
JP2005223470A (ja) 転写式銅箔アンテナ
CN210325859U (zh) 一种显示面板母板及显示面板
JP4260782B2 (ja) 貼付回路及び貼付回路シート
JP2008287670A (ja) 電子機器表示窓のタッチ入力機能付き保護パネル
JP5015031B2 (ja) アンテナ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アンテナ封入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4777375B2 (ja) メッシュシート
JP3104382U (ja) 貼付アンテナシート
CN114678334A (zh) 一种窄边框显示面板及显示设备
JPH11288641A (ja) 可動接点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17777B2 (ja) 保護シート付きタッチパネル
JP2000151061A (ja) 電子回路用基板、電子回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93295B2 (ja) 回路の形成方法
CN210469854U (zh) 柔性电路板及含有该柔性电路板的电子装置
CN113809445B (zh) 一种电池盖背胶结构、电池盖背胶装配方法及移动终端
JP4455296B2 (ja) アンテナ転写用具及びアンテナの配設方法
JP4257915B2 (ja) 絶縁性薄膜体の製造方法
CN115472089A (zh) 一种支撑结构和显示装置
JP2005294746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およびこの製造方法
CN115035814A (zh) 支撑组件、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