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493B1 - 대칭 짜임새의 접합을 가지는 비대칭 짜임새의 짜여진 밴드 - Google Patents

대칭 짜임새의 접합을 가지는 비대칭 짜임새의 짜여진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493B1
KR100634493B1 KR1020017010412A KR20017010412A KR100634493B1 KR 100634493 B1 KR100634493 B1 KR 100634493B1 KR 1020017010412 A KR1020017010412 A KR 1020017010412A KR 20017010412 A KR20017010412 A KR 20017010412A KR 100634493 B1 KR100634493 B1 KR 10063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end
loop
warp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262A (ko
Inventor
모리스 고띠에
쟝-루이 몬느리
Original Assignee
꼬프빠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꼬프빠 에스.아. filed Critical 꼬프빠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10111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4Endless fabric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54Seams thereof

Landscapes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ven Fabrics (AREA)
  • Paper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oom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짜여진 밴드는 씨실(11-15,17-24)과 밴드의 두개의 반대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날실(16)로 구성되는 비대칭 짜임새를 가진다. 상기 날실은 밴드의 각 단부에서 반대로 접혀져 재짜임 영역(B,B')에서 씨실과 중복 짜여지는데, 이와 같이 하여 밴드의 중간면(PM) 즉, 상기 중간면(PM)에 놓여 있는 밴드의 두개의 단부 사이의 접합선과 일치하는 중립면(PN)을 가지는 대칭 짜임새를 형성한다. 날실은 부분적으로 평평하고, 각 단부에서 밴드면과 수직으로 접혀진다. 재짜임 영역의 씨실(17-24)은 그 지름이 밴드의 나머지 영역의 씨실(11-15)의 지름보다 작아서 밴드는 저체 길이를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대칭 짜임새의 접합을 가지는 비대칭 짜임새의 짜여진 밴드{JUNCTION WITH SYMMETRICAL WEAVE FOR WOVEN BAND WITH ASYMMETRIC WEAVE}
본 발명은 짜여진 밴드, 특히 제지(製紙)업에서 사용되는 짜여진 밴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밴드는 그 양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날실과 씨실로 구성된 비대칭 짜임새를 가진다. 상기 날실은 밴드의 양 단부에서 반대로 접혀서 루프를 형성하도록 그 단부에 인접한 재짜임 영역에서 씨실과 다시 짜여진다.
예컨대, 제지 산업에서 제지 장치는 일반적으로 연속된 세개의 섹션(section)으로 나뉘는데, 이는 형성 섹션과, 물을 추출하기 위한 압축 섹션, 종이의 각 장을 말리기 위한 드라이어 섹션이 그것이다.
제지 장치의 드라이어 섹션에서, 종이는 가열 실린더로 이동된다. 이때 종이를 말리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짜여진 밴드(때때로 드라이어 와이어로 지칭됨)에 의하여 가열 실린더로 이동된다. 상기 짜여진 밴드는 정확하게 비대칭 짜임새를 가지고, 전체적으로 평평한 부분을 가지는 날실로 짜여지는 둥근 부분을 가지는 씨실로 구성되며, 상기 날실은 종이와 접촉하는 밴드의 전면에서 넓은 부사(浮絲, float)를 이룬다. 이러한 형태의 밴드는 제지 장치에서 두개의 수평열의 실린더에서 상기 밴드가 지속적으로 그 굴곡의 경로를 따라 종이와 접촉함에 있어 종이 가 날실에 의하여 자국이 남는 범위를 줄이도록 한다.
또한, 전면에 부사를 형성하는 날실로 구성되는 비대칭 짜임새의 짜여진 밴드에서는, 밴드의 중립면(밴드를 접었을 때 압축되지도 신장되지도 않는 면)은 밴드의 전면과 중간면 사이에 놓여진다. 결과적으로 종이와 접촉하는 밴드의 전면은 실린더를 따라 아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게 되는데, 즉 제지장치에서 밴드가 장치의 높은 실린더와 낮은 실린더 사이의 종이의 굴곡 경로를 따라 종이와 일정하게 접촉할 때 종이의 장력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오고, 따라서 종이의 드라이 단계가 상당해 졌을 때 밴드가 마모되는 위험을 줄여준다.
각각의 짜여진 밴드는 장치에 설치되는 끝단없는 벨트로 사용되는데, 즉 밴드의 일단부에 형성된 루프와 밴드의 타단부에 형성된 루프가 서로 맞물려 진 후 함께 관통하는 단단한 막대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 끝단없는 밴드가 작업에 들어가 피동되는 동안 밴드에 작용하는 장력 때문에 막대로 연결된 밴드의 두 단부의 접합선이, 막대의 축이 밴드의 중립면에 위치하고 있어 밴드의 중간면으로부터 밴드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밴드 접합선의 밴드 두께 방향으로의 이동은 종이에 초과 압력을 가하여 자국을 남길 위험을 높이며, 밴드의 마모를 촉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씨실과 밴드의 두개의 반대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날실로 구성되는 비대칭 짜임새를 가지는 짜여진 밴드를 제공하는데, 상기 날실은 밴드의 각 단부에서 반대로 접혀져 루프를 형성할 수 있도 록 상기 단부에 인접한 재짜임 영역에서 씨실과 중복 짜여지며, 각각의 재짜임 영역은 대칭 짜임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조에 의하여 밴드의 양단부 사이의 접합선은 끝단없는 벨트로 사용될 때 장력을 받더라도 더이상 밴드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날실의 재짜임 영역에서 밴드의 중립면은 밴드 단부 사이의 접합선을 포함하는 중간면과 일치한다. 또한, 밴드 중립면의 기울기는 날실이 중복해서 짜여져 더 이상 밴드의 두 단부 사이의 접합선에 위치하지 않는 두 영역에 분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밴드의 단부에 인접한 대칭 짜임새의 재짜임 영역은 단부에서 반대로 접힌 날실이 재짜임 영역에 앞서 방해를 받는 인접한 날실을 대신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날실은 각 단부에서 밴드면에 직각으로 접히고, 재짜임 영역의 씨실은 그 지름이 나머지 영역의 씨실의 지름보다 작다.
날실이 각 단부에서 밴드면에 직각으로 접히므로써 씨실 방향의 루프의 크기는 작아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밴드 일단부의 각 날실은 접힌 후 재짜임 영역에서 초과 두께로 중복 짜여진다. 그러나, 각 재짜임 영역에서의 씨실의 지름의 감소는 밴드가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초과 두께의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즉, 씨실과 날실이 고온에서 단열 작동을 할때 씨실을 크레이핑(creping)하는 것은 재짜임 영역과 나머지 영역 사이의 두께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날실은 평평한 부분은 포함하고 있어 종이 에 자국이 남는 것을 줄일 수 있고, 밴드의 투과성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도 1은 단일면의 씨실을 가지는 본 발명의 짜여진 밴드의 일단을 세로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단면의 씨실을 가지는 본 발명의 짜여진 밴드의 일단을 세로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두개의 막대로 접합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짜여진 밴드의 두 단부에서 형성된 루프의 평면도.
도 4는 두개의 굴곡선에 의하여 접합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짜여진 밴드의 일단에서 형성된 루프의 평면도.
도 5내지 6은 하나의 굴곡선에 의하여 접합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짜여진 밴드의 일단에서 형성된 루프의 평면도.
도 1은 제지 장치에서 특히 드라이어 섹션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짜여진 밴드(10)의 일단의 세로 방향의 도면이다.
이 짜여진 밴드는 일단의 면을 이루는 둥근 부분을 갖는 씨실(11-15,17-24)과, 이 경우 평평한 부분을 가지고 밴드의 양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날실로 구성된다. 도 1에는 단지 하나의 날실(16)이 도시되어 있다. 제지 장치의 드라이어 부 분에서 종이와 접촉하는 밴드의 전면(25)에서, 참조 부호 (16)과 같은 각각의 날실은 씨실 전체에 넓은 부사(이 경우 세개의 연속되는 씨실을 커버하는 부사)를 형성하고, 따라서 밴드의 중립면(PN)이 중간면(PM)으로부터 떨어진 비대칭 짜임새를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의 전면(25)의 각 부사 후에 각 날실(16)이 하나의 씨실 둘레로 밴드의 후면을 따라 짜여지도록 씨실을 따라 지나가고, 다시 밴드의 다른 부사를 형성하도록 씨실의 면을 따라 지나간다. 물론 알려진 바와 같이 씨실 방향의 인접한 날실은 밴드를 따라 다른 위치에서 씨실면과 교차하는 것이다.
밴드의 각 단부에서 참조부호 (16)과 같은 각 날실은 반대로 접혀서 상기 단부에 인접한 재짜임 영역에서 날실(17-24)과 중복해서 짜여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재짜임 영역은 대칭의 짜임새를 형성하여 밴드의 중립면(PN)이 밴드의 중간면(PM)과 일치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실(17)둘레에서 접혀진 날실(16)은 밴드의 후면(26)에서 참조부호 (19-21)과 같은 연속된 세개의 씨실을 커버하여 부사를 형성하도록 중복 짜여진다. 결론적으로 반대로 접힌 후 각각의 날실은 밴드의 전면의 짜임새에 대칭인 짜임새로 밴드의 후면을 덮도록 중복해서 짜여진다. 밴드의 일단에서 날실의 대칭적 짜임새를 가지는 재짜임 영역의 경계는 화살표 B로 표시되는 반면, 화살표 A는 짜임새가 비대칭인 밴드의 나머지 부분의 경계를 표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날실(16)은 재짜임 영역(B)에서 씨실과 중복해서 짜여지는데, 이 영역의 씨실의 지름(d)는 밴드의 나머지 영역(A)의 씨실의 지름(D)보다 작으며, 날실(16)은 밴드의 단부에서 반대방향으로 밴드 평면에 수직으로 접혀서 중첩적으로 중복되도록 짜여진다. 본 발명의 짜여진 밴드의 제작도중에 재짜임 영역에서는 지름이 D인 씨실은 지름이 d인 씨실로 대체되기 때문에 날실은 밴드의 전면과 후면에 중복해서 짜여진 후 재짜임 영역(B)에서의 밴드의 두께(H')는 밴드의 주요부(A)의 두께(H)와 동일하다. 일단의 씨실면을 가지는 짜여진 밴드에서 밴드의 주요부(A)의 씨실의 지름과 재짜임 영역(B)에서의 씨실의 지름의 차이는 참조부호 (16)과 같은 평평한 날실의 두께의 두배와 같다. 날실의 재짜임 작업중 이러한 날실의 단부는 재짜임 영역에서 벤딩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문제의 날실에 의하여 형성된 짜임새 패턴에 따라 각각 밴드의 다른 위치에서 밴드의 후면을 따라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의 중립면(PN)의 기울기는 밴드의 재짜임 영역(B)과 주요부(A)가 만나는 밴드의 얼마간의 길이를 따라 분포된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짜여진 밴드를 도시한 것으로 두개의 씨실면을 가지고 있다. 이 도면은 참조부호 (16)과 같은 날실에 대하여 밴드의 주요부(A)에서의 비대칭 짜임새와 재짜임 영역(B)에서의 대칭 짜임새를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밴드의 중립면(PN)이 중간면(PM)에 대하여 떨어져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각각의 참조부호 (16)과 같은 평평한 날실이 밴드의 각 단부에서 밴드 평면에 수직하게 반대로 접히는데, 이때 참조부호 (27)과 같은 루프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밴드의 단부에서 형성된 인접한 두개의 접합 루프 사이에 빈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밴드의 단부에서 마지막 씨실(17)의 둘레를 여유없이 돌아 접합 루프를 만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루프의 밀도의 감소는 밴드의 두 단부가 더 쉽게 만나도록 해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짜여진 밴드의 두 단부에서 접합 루프들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은 각각 큰 루프, 무(無) 루프, 작은 루프, 무 루프를 형성하는 밴드의 일단(B)(재짜임 영역 B)의 연속된 네개의 날실(FC1-FC4)과, 각각 무 루프, 큰 루프, 작은 루프, 무 루프를 형성하는 밴드의 반대단부(B')(재짜임 영역 B')의 동일한 날실(FC1-FC4)을 나타내고 있다. 밴드의 각 단부에서 큰 루프는 작은 루프에 상대적인 궤적을 이룬다. 밴드의 일단의 루프는 밴드의 타단의 루프와 맞물린다. 밴드의 일단(B)의 큰 루프는 제 2 로드(29)가 위치될 다른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밴드의 타단(B')의 작은 루프와 맞물린다. 이때 접합 영역의 강도는 밴드의 나머지 부분의 강도와 유사하다. 밴드의 단부(B,B')의 날실(FC4)에 의하여 형성된 빈 공간은 날실(FC1,FC2,FC3)에 의하여 형성된 루프가 덜 단단하도록 한다. 밴드 각 단부 루프의 이러한 형태는 루프 영역의 투과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고, 종이에 자국을 남기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밴드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최대 강도의 접합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밴드의 두 단부 사이의 접합 영역이 로드(28,29)중 하나 둘레의 회동 없이 밴드면에서 굽어질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재짜임 중 밴드의 두 단부에 형성된 루프가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면 루프는 그 초과 밀도 때문에 서로 맞물릴 수 없고, 강한 접합을 이룰수 없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짜여진 밴드의 두 단부에서의 접합 루프의 제 2 실시예로 서 두개의 굴곡선에 의하여 접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도면은 밴드의 일단(B)(재짜임 영역 B)에서 각각 무 루프, 작은 루프, 무 루프, 큰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연속된 네개의 날실(FC1-FC4)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굴곡선(30)의 굴곡은 상기 밴드의 단부에 형성된 루프와 맞물리고, 그들은 작은 루프와 굴곡선의 굴곡에 의하여 형성된 채널에 위치된 제 1 로드(31)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 2 로드(32)는 큰 루프와 굴곡선(30)의 굴곡에 의하여 형성된 채널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밴드의 다른 단부에서도 동일하다(도시되지 않음). 특히, 밴드의 다른 단부에서 밴드의 상기 단부의 크고 작은 루프는 제 2 굴곡선(33)의 굴곡과 맞물리는데, 제 2 굴곡선은 작은 루프와 그 굴곡에 의하여 형성된 제 3 채널에 위치된 제 3 로드와 큰 루프와 그 굴곡에 의하여 형성된 제 4 채널에 위치된 제 4 로드에 의하여 지지된다. 밴드의 각 단부에 이런식으로 위치된 두개의 굴곡선(30,33)은 그 두 굴곡선의 대응되는 굴곡에 지지된 로드(34)에 의하여 연결된다. 밴드의 각 단부에서 형성된 루프의 길이와 로드(31,32)의 지름은 이런식으로 형성되어, 밴드의 두 단부가 연결되고 밴드가 작용 장력 아래 놓였을 때 작은 루프의 단부는 큰 루프에 위치한 로드(32)에 대항하여 견디게 되고, 따라서 작은 루프와 큰 루프는 견인 장력을 제공함에 있어 함께 작용하게 된다. 그때 접합의 강도는 최대이고, 도 3에서 기술된 형태에 비교할 만 하다. 또한, 큰 루프와 제 2 로드(32)는 굴곡선(30)이 제 1 로드(31)둘레를 회동하는 것을 막아주고, 굴곡선 영역의 공기 투과성을 줄이며, 따라서 제 1 로드의 마모와 종이에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각의 굴곡선의 두께는 밴드의 두께와 같고, 굴곡선의 각 굴곡을 이루는 단일섬유의 너비는 날실 너비의 80%를 넘지 않아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짜여진 밴드의 단부(B')에서 단일로 형성된 접합 루프의 제 3 실시예로서 하나의 굴곡선(35)에 의하여 밴드의 두 단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굴곡선(35)은 밴드 제조말 재짜임 과정중 타단(B)에 굴곡선의 굴곡의 단부와 로드(36) 양쪽 둘레에서 반대로 접힌 날실들(FC2,FC4)에 의하여 영구히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밴드의 단부(B')에서, 루프는 빈 공간에 의하여 쌍으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 도면에서 밴드의 상기 단부(B')를 형성하는 연속된 네개의 날실(FC1-FC4)이 각각 무 루프, 하나의 루프, 무 루프,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굴곡선의 굴곡(35)은 루프와 맞물려지고, 로드(37)는 루프와 굴곡에 의하여 형성된 채널에 위치된다. 굴곡선 내부의 빈 공간은 접합 영역의 투과성을 줄이기 위하여 참조부호 (38)과 같은 충진 로드로 채워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와 유사한 구조의 접합 영역을 도시하고 있으나, 루프가 쌍으로 그룹을 이루고 있고, 각 루프의 쌍은 빈 공간의 쌍에 의하여 떨어져 있다. 특히, 이 도면은 네개의 연속된 날실(FC1-FC4)이 각각 무 루프, 무 루프, 하나의 루프, 그리고 밴드 단부(B')의 또 다른 루프를 형성한다. 이러한 형태는 굴곡선(35)의 굴곡 횟수를 줄이고, 각 굴곡을 이루는 단일섬유의 너비를 증가할 수 있다.
도 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굴곡선의 굴곡은 씨실 방향으로 LS의 너비를 가져야 하는데, 이는 날실의 두께(LF)(도 5) 또는 두개의 날실 두께(LF)(도 6)의 80%보다 작다. 접합의 강도는 최대이고, 밴드의 강도와 유사한 강도의 골곡선이 제공되는 영역(B,B')에서 밴드의 강도와 같을 수 있다. 도 5와 도 6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굴곡선을 사용하는 장점은 밴드의 두 단부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의 접합으로 맞물릴 수 있다는 것인데, 따라서 종이에 자국이 남을 위험을 더 줄일 수 있다.
물론, 상기된 본 발명은 2 또는 그 이상의 씨실면을 가지는 짜여진 밴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짜여진 밴드는 예컨대 기저귀나 냅킨, 종이 타월, 지직물(geotextile)과 같은 짜여지지 않은 직물을 만드는 장치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씨실(11-15,17-24)과 밴드의 두개의 반대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날실(16)로 구성되는 비대칭 짜임새를 가지고, 상기 날실은 밴드의 각 단부에서 반대로 접혀져 루프(27)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단부에 인접한 재짜임 영역(B,B')에서 씨실과 중복 짜여지며, 각각의 재짜임 영역은 대칭 짜임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여진 밴드(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16)은 각 단부에서 밴드면에 직각으로 접혀지고, 재짜임 영역의 씨실(17-24)은 그 지름이 밴드의 나머지 영역의 씨실(11-15)의 지름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여진 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일단의 씨실면을 포함하고, 재짜임 영역의 씨실의 지름과 밴드의 나머지 영역의 씨실의 지름의 차이는 날실 두께의 두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여진 밴드.
  4. 제 2 항 또는 3항에 있어서,
    밴드의 각 단부의 날실은 작은 루프와 이 작은 루프에 상대적인 궤적의 큰 루프를 형성하고, 밴드의 일단부의 작은 루프는 제 1 로드(28)가 위치되는 제 1 채널을 형성하도록 밴드의 타단부의 큰 루프와 맞물리고, 밴드의 일단부의 큰 루프는 제 2 로드(29)가 위치되는 제 2 채널을 형성하도록 밴드의 타단의 작은 루프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여진 밴드.
  5. 제 2 항 또는 3항에 있어서,
    밴드의 각 단부의 상기 날실은 작은 루프와 이 작은 루프에 상대적인 궤적의 큰 루프를 형성하고, 밴드의 일단부의 상기 작은 루프와 큰 루프는 제 1 굴곡선(30)의 굴곡과 맞물리고, 상기 제 1 굴곡선은 작은 루프와 그 굴곡에 의하여 형성된 제 1 채널에 위치되는 제 1 로드(31)와 큰 루프와 그 굴곡에 의하여 형성된 제 2 채널에 위치되는 제 2 로드(32)에 의하여 지지되며, 밴드의 타단부의 작은 루프와 큰 루프는 제 2 굴곡선(33)의 굴곡과 맞물리고, 상기 제 2 굴곡선은 작은 루프와 그 굴곡에 의하여 형성된 제 3 채널에 위치되는 제 3 로드와 큰 루프와 그 굴곡에 의하여 형성된 제 4 채널에 위치되는 제 4 로드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 1 굴곡선(30)의 굴곡은 제 2 굴곡선(33)의 굴곡과 맞물리고, 이는 제 5 로드(34)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여진 밴드.
  6. 제 2 항 또는 3항에 있어서,
    밴드의 일단부의 상기 날실은 루프를 형성하고, 굴곡선(35)의 굴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밴드의 타단부에서 중복해서 짜여지며, 상기 굴곡선의 굴곡은 로드(37) 가 위치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루프와 맞물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여진 밴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들(16)은 평평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여진 밴드.
  8. 제지 장치의 드라이어 섹션에 제 1 항에 따른 밴드를 사용하는 방법.
  9. 짜여지지 않은 직물의 제조 장치에 제 1 항에 따른 밴드를 사용하는 방법.
KR1020017010412A 1999-02-16 2000-02-14 대칭 짜임새의 접합을 가지는 비대칭 짜임새의 짜여진 밴드 KR100634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1864A FR2789702B1 (fr) 1999-02-16 1999-02-16 Jonction a armure symetrique pour bande tissee a armure asymetrique
FR99/01864 1999-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262A KR20010111262A (ko) 2001-12-17
KR100634493B1 true KR100634493B1 (ko) 2006-10-16

Family

ID=954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412A KR100634493B1 (ko) 1999-02-16 2000-02-14 대칭 짜임새의 접합을 가지는 비대칭 짜임새의 짜여진 밴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450213B1 (ko)
EP (1) EP1155186B1 (ko)
JP (1) JP4564174B2 (ko)
KR (1) KR100634493B1 (ko)
CN (1) CN1114012C (ko)
AT (1) ATE264941T1 (ko)
AU (1) AU756877B2 (ko)
BR (1) BR0008247B1 (ko)
CA (1) CA2360842C (ko)
DE (1) DE60010051T2 (ko)
ES (1) ES2218125T3 (ko)
FR (1) FR2789702B1 (ko)
ID (1) ID30090A (ko)
MX (1) MXPA01008215A (ko)
NO (1) NO315861B1 (ko)
TW (1) TW508382B (ko)
WO (1) WO2000049223A1 (ko)
ZA (1) ZA2001058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1605B (de) * 2002-07-05 2004-03-25 Huyck Austria Gewebeband-einrichtung
CN1961114B (zh) * 2004-03-19 2010-06-16 阿斯顿约翰逊公司 干燥织物边缝
US7093621B2 (en) * 2004-12-15 2006-08-22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pin pin seam for an industrial fabric
GB2428693A (en) * 2005-08-02 2007-02-07 Brent Swaine Woven papermaking fabric with seam
DE102005056618A1 (de) * 2005-11-25 2007-05-31 Voith Patent Gmbh Gewebegefüge
GB2473039A (en) 2009-08-28 2011-03-02 Ian Gerald Lang Seam for a woven industrial fabric
DE102017127000A1 (de) * 2017-09-27 2019-03-28 Voith Patent Gmbh Bespann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8789A (en) * 1981-06-04 1984-03-27 Jwi Ltd. Woven pin seam in fabric and method
FR2578869B1 (fr) * 1985-03-12 1988-09-30 Binet Feutres Sa Dispositif de jonction pour feutre de presse humide et toile de papeterie.
JPH0129276Y2 (ko) * 1986-06-27 1989-09-06
DE553501T1 (de) * 1990-06-06 1998-03-12 Asten Group Papiermachergewebe mit flachen Längsfäden.
JPH0596109A (ja) * 1991-10-01 1993-04-20 Nippon Filcon Co Ltd ベルトプレス型汚泥脱水機用加圧ベルト端部の連結用ループ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のベルト端部の連結方法
ATE161298T1 (de) * 1993-03-19 1998-01-15 Jwi Ltd Naht mit hoher schlingendichte
GB9703297D0 (en) * 1997-02-18 1997-04-09 Scapa Group Plc Modified spiral seam arrangement
US5769131A (en) * 1997-05-16 1998-06-23 Albany International Corp. Seam design for a dryer fabric
US6079454A (en) * 1997-11-24 2000-06-27 Astenjohnson, Inc. Loop/tie-back woven loop seam press 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56877B2 (en) 2003-01-23
JP2002537497A (ja) 2002-11-05
ATE264941T1 (de) 2004-05-15
MXPA01008215A (es) 2004-11-12
BR0008247A (pt) 2001-10-30
JP4564174B2 (ja) 2010-10-20
ES2218125T3 (es) 2004-11-16
KR20010111262A (ko) 2001-12-17
BR0008247B1 (pt) 2010-02-09
US6450213B1 (en) 2002-09-17
CN1340122A (zh) 2002-03-13
FR2789702B1 (fr) 2001-03-30
NO315861B1 (no) 2003-11-03
NO20013783D0 (no) 2001-08-01
EP1155186B1 (fr) 2004-04-21
ID30090A (id) 2001-11-01
FR2789702A1 (fr) 2000-08-18
NO20013783L (no) 2001-08-01
CA2360842C (fr) 2008-04-22
DE60010051D1 (de) 2004-05-27
ZA200105871B (en) 2002-09-17
DE60010051T2 (de) 2004-12-09
WO2000049223A1 (fr) 2000-08-24
CA2360842A1 (fr) 2000-08-24
TW508382B (en) 2002-11-01
EP1155186A1 (fr) 2001-11-21
CN1114012C (zh) 2003-07-09
AU2676700A (en) 200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6233C2 (ru) Полноразмерная по ширине ткань, полученная плоским тканьем и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сшивания при установке
JP2573000B2 (ja) 製紙機の紙層形成部における張り布
US3858623A (en) Papermakers fabrics
US3885602A (en) Woven fourdrinier fabric
CN101790612B (zh) 用于制造具有接缝的压榨毛毯的方法、压榨毛毯以及底布
US6431221B1 (en) Fabric and seam construction
US9404218B2 (en) Press felt base fabric exhibiting reduced interference
KR20000022001A (ko) 제지기 상에서 이음가능한 다축 프레스 패브릭
KR100634493B1 (ko) 대칭 짜임새의 접합을 가지는 비대칭 짜임새의 짜여진 밴드
US20110253334A1 (en) Triple papermaking fabric use of the fabric and papermaking method
MXPA04002666A (es) Filtro continuo de prensa papelera, cosido con pasador, con hilos en direccion transversal a la maquina tejidos en tejido de vuelta en bucles de costura.
JP6192945B2 (ja)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
JP3926689B2 (ja) 工業用二層織物
RU2446241C2 (ru) Тканевая лента для машины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ос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частности бумаги или картона
JP3938511B2 (ja) 工業用多層織物
JP4005382B2 (ja) 工業用多層織物
US5167262A (en) Join length for endless flat woven papermakers fabric
RU2009134276A (ru) Прессовая лента
KR20190139888A (ko) 핀 심의 프레스 펠트 및 그 제조 방법.
JP4584398B2 (ja) 製紙用2層織物
CN108457118B (zh) 干燥网、干燥部件以及干燥网在该干燥部件中的使用
JP4005381B2 (ja) 工業用多層織物
JP2000170083A (ja) 製紙面側織物に補助緯糸を配置した製紙用2層織物
GB2325881A (en) Seam construction for papermaking fabric
JPH03199481A (ja) 無端状製紙用織物及び抄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