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220B1 - 액재의 토출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액재의 토출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220B1
KR100633220B1 KR1020047005040A KR20047005040A KR100633220B1 KR 100633220 B1 KR100633220 B1 KR 100633220B1 KR 1020047005040 A KR1020047005040 A KR 1020047005040A KR 20047005040 A KR20047005040 A KR 20047005040A KR 100633220 B1 KR100633220 B1 KR 100633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valve
liquid material
meter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839A (ko
Inventor
이쿠시마카즈마사
Original Assignee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Abstract

맞닿게 연결한 플런저 및 밸브위치의 손상, 플런저 및 밸브위치의 교환, 손상된 부재등이 액재로 혼입ㆍ용해되는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액체의 토출방법 및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단면이 액재에 맞닿은 액체토출용 플러저를 고속전진시키고, 이후 플런저 구동수단을 급격정지시켜 액재에 관성력을 인가하고 액제를 토출시키는 액재의 토출방법. 관형상의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에 내접하는 플런저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노즐과, 상기 계량부와 상기 노즐과를 연통하는 제1 밸브와, 액재를 저류하는 저류용기와, 상기 저류용기와 상기 계량부를 연통하는 액재공급 밸브(제2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계량부의 내경과 상기 제1 밸브의 밸브디스크에 설치되는 통공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이다.
플런저, 밸브, 액재, 토출

Description

액재의 토출방법 및 그 장치{LIQUID MATERIAL DELIVER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액재를 노즐 토출구로부터 액체방울을 낙하 또는 액체방울을 분출하여 정량토출하는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성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액재를 클린(CLEAN)한 상태로 용이하게 토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액재를 분출하는 기술에는 후퇴동작 및 진출이동을 행할 수 있는 플런저를 이용하고, 급속전진하는 플런저를 밸브위치에 맞닿게 연결하여 급격하게 정지시키고, 플런저의 전방에 위치하는 액제에 관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관성력에 의해 액재를 분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발명의 개시>
그런데, 상기 장치에는, 액재가 분출하기 때문에 필요한 관성력을, 정지하는 고체의 밸브위치에 운동하는 고체의 플런저를 맞닿게 연결시키고, 플런저의 운동을 순간적으로 정지시켜서 얻기 때문에 상기 맞닿은 연결에 의한 플런저 및 밸브위치의 손상이 급격하고, 빈번하게 상기 플런저 및 벨브위치를 교환할 필요가 발생하는 문제와, 또한 손상한 부재등이 액재에 혼입ㆍ용해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토출하는 액재가 기능성 재료인 경우에는 상기 재료의 혼입ㆍ용해에 의해 액재가 갖는 기능효과가 얻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급속전지하는 플런저를 밸브위치에 맞닿게 연결시켜 급격하게 정지시키는 액재를 분출시켜서, 종래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액체의 토출방법 및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출방법의 발명에 있어서는, 선단면이 액재에 맞닿은 액재토출용 플런저를 고속전진시킨 다음, 플런저 구동수단을 급격하게 정지시켜 액재에 관성력을 인가하여 액재를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토출방법의 발명에 있어서는, 선단면이 재료에 맞닿은 액재토출용 플런저를 주기적으로 전진운동시켜서 연속적으로 액체방울을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출장치의 발명에 있어서는, 관형상의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에 내접하는 플런저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노즐과, 상기 계량부와 상기 노즐과를 연통하는 제1 밸브와, 액재를 저류하는 저류용기와, 상기 저류용기와 상기 계량부와를 연통하는 제2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계량부의 내경과 상기 제1 밸브의 밸브디스크에 설치되는 통공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저류용기는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플런저는 기포제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계량부는 상기 저류용기와 연통하는 연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공은 상기 계량부의 내경 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하고 상기 노즐의 토출구의 내경은 상기 계량부 및 상기 제1 밸브의 내경보다도 작은 직경이고, 상기 노즐토출구와 상기 플런저의 접액가압면은 대향하는 면이고,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와 상기 가압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토출장치의 발명에 있어서는, 관상부(管狀部)을 구비하고, 상기 관상부는 외벽면과 연통하는 기포제거기를 갖는 플런저로드와, 상기 플런저로드의 선단에 장착되고, 중심에 상기 플런저로드의 관상부와 연통하는 연통공을 구비하고, 외벽에 계량부내벽면과 밀착하는 실(SEAL)부를 갖는 플런저로드와, 상기 플런저로드의 관상부에 삽입되는 밸브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로드의 일단이 가압되면 상기 밸브로드의 타단이 상기 플런저헤드와 밀착하는 플런저를 특징으로 한다.
<작용>
급속전진하는 플런저를 급격하게 정지시키는 액재에 큰 관성력을 부여하고, 계량부내의 액재는 플런저의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 등에 의해 분출량이 제어되고 미량으로 분출되어 토출된다.
또한, 플런저는 급속히 진출동작하고, 급속하게 진출동작을 정지하여 관형상의 계량부에 충진된 액재에 관성력을 부여하고, 노즐 선단으로부터 분출시켜 토출한다. 이러한 토출동작은, 1회의 충진동작에 의해 계량부에 충진된 액재를 복수회(複數回)의 급속전진ㆍ급속정지를 반복하여 토출한다.
부가하여 플런저의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1회의 충진동작으로 계량부에 충진한 액재를 1회 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액재를 분출시키기 위해서는 플런저의 가속도, 즉 속도차가 있어야 하고, 미리 플런저를 고속으로 이동시킨후 급속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플런저는 플런저구동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액재를 분출시키기 위해 필요한 속도까지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플런저가 가속하기 위해 필요한 가속이동거리가 필요하다.
또한, 분출토출량이 플런저의 이동거리에 의존되기 때문에 플런저의 이동거리가 짧으면, 분출에 필요한 플런저의 속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분출토출량과 분출된 액재에 적절한 플런저의 이동속도와의 관계로부터 플런저가 상기 속도를 얻기 위한 충분한 이동거리가 얻어지도록 계량 및 플런저의 제원(諸元)을 결정한다.
또한, 분출량을 미소화(微小化)하기 위해서는 플런저의 동작범위(이동거리)를 작게해야 하지만, 분출시키기 위한 플런저의 속도를 얻기 위해서는 플런저의 동작범위(이동거리)는 커야하므로 상반(相反)하는 사상(事象)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계량부를 작게하고 분출시키기 위한 플런저의 속도가 얻어지는 플런저 이동량을 확보하고 계량부를 작게하여 플런저가 큰 이동거리에도 이동체적량 즉 분출량을 미소량(微小量)으로 한다.
도1은 액체토출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2는 액체토출장치의 요부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토출방법은, 보다 상세하게는 액재토출용 플런저의 선단면을 액재에 맞닿게하는 제1 공정, 플런저를 고속전진시키는 제2공정, 플런저를 급격정지시키는 제3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정은 셋업시 또는 기포혼입이 인지되는 때에 이루어지는 공정에서 대부분의 토출작업이 제2의 공정 및 제3의 공정의 반복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2의 공정과 제3의 공정을 반복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플런저의 선단면이 액재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제1 공정과 같은 [맞닿게함] 이라는 행위는 아니다.
본 발명의 토출장치는, 보다 상세하게는 관형상의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에 내접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이동수단과, 토출구를 구비하는 노즐과, 상기 계량부와 상기 노즐과를 연통하는 제1의 밸브와, 액재를 저류하는 저류용기와, 상기 저류용기와 상기 계량부와를 연통하는 제2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동작에 의해 액재의 압력변화를 효율이 좋은 노즐선단까지 전파하기 위해서는 관내저항을 적게하도록 제1 밸브의 내경과 상기 계량부의 내경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한다.
실질적 동일이라는 것은, 플런저의 이동에 의해 액재중을 전파하는 압력에 의해 노즐선단으로부터 액체방울을 토출하여 얻고 밸브부와 계량부의 내경차의 범위를 정의하는 것으로, 액체방울을 형성하기 어렵게 압력손실을 일으키는 밸브부와 계량부와의 내경차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노즐의 토출구와, 상기 플런저의 내접면과를 서로 떠 받치는 위치에 설치되고, 액재는 충진된 저류용기로부터 플런저를 후퇴동작하여 계량부에 액재를 충진한다. 재료에 의해서는 가압수단에 의해 저류용기내의 액재를 가압하여 계량부에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량부는, 상기 저류용기와 연통하는 연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공은 상기 관의 내경보다도 작은 직경으로서 토출동작에 의해 상기 계량부내의 압력을 상기 저류용기로 유입을 최소한으로해서 토출하는 압력으로서 손출하지 않는 이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의 토출구의 내경은, 상기 계량부의 내경 및 상기 토출밸브(제1 밸브)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류용기로부터 계량부에 충진된 액재에는, 기포가 혼입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기포를 계량부로부터 외부에 배출하는 기구를 플런저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런저는 관상부(管狀部)를 구비하고, 상기 관상부는 외벽면과 연통하는 기포제거공을 구비하는 플런저로드와, 상기 플런저로드의 선단에 장착되고 외벽에 계량부 내벽면과 밀착하는 실부를 갖는 플런저헤드와, 상기 플런저로드의 관상부내에 삽입되는 밸브로드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로드의 일단이 가압되면, 상기 밸브로드의 타단이 상기 플런저헤드와 밀착한다.
계량부에 설치된 저류용기와 연통하는 연통공은, 상기 계량부의 내경보다도 작은 직경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은 노즐에 전해지지만 연통공을 통해 저류용기 측에도 압력인가된다. 직경이 작아 유동저항은 커지지 때문에 노즐측으로 적용된 압력의 비율이 커진다.
또한, 노즐의 토출구의 내경이 상기 계량부의 내경 및 상기 밸브의 내경보다도 작은 직경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와, 상기 가압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를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를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굳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체구조>
첨부된 도1에서 도면부호 31은 프레임으로서, 플런저지지체(34)를 상하방향으로로 안내하는 안내로드(33), 상기 안내로드(33)와 프레임(31)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3)에 의해 회전되는 플런저지지체(3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사축(32) 과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토출밸브(제1 밸브,4)와, 액재공급밸브(제2 밸브, 10) 및 토출밸브(제1 밸브, 4)가 끼워진 계량부(1)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토출부(펌프)>
관상부재로 형성되는 계량부(1) 내에는, 플런저지지체(34)의 상하동에 의해, 계량부(1)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히움직이는 플런저(2)가 배치되며, 상기 계량부(1)의 선단은 토출밸브(제1 밸브,4)가 설치되고, 상기 토출밸브(제1밸브,4)의 타단은 노즐(7)이 설치된다. 토출밸브(제1 밸브,4)의 밸브디스크(5)에 설치되는 유로(6)의 내경을 상기 계량부(1)의 내경과 거의 비슷하게 하고, 토출밸브(제1 밸브,4)가 열림위치에 있어서는, 액재가 계량부(1)에서 토출밸브(제1밸브,4)로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토출밸브(제1 밸브,4)는 상기 계량부(1)와 노즐(7)을 연통하는 열림위치와 폐지(閉止)하는 닫힘위치와의 두위치를 얻는 로타리밸브를 채용하는데, 유로의 직경이 계량부(1)의 내경과 동일하면 슬라이드밸브를 이용해도 좋다.
<저류용기>
상기 계량부(1)의 중앙부 외벽에는 관이 연결되고 상기 계량부(1)의 내경과 비교하여 지극히 작은 직경의 공(孔,26)으로 상기 계량부(1)과 상기 관이 연통된다.
상기 관의 타단은 저류용기(8)과 연통되고, 상기 관과 상기 저류용기(8)와의 사이에 액재공급밸브(제2 밸브,10)가 설치된다. 상기 액재공급밸브(제2 밸브,10)는 상기 계량부(1)와 상기 저류용기(8)와를 연통하는 열림위치, 또는 폐지하는 닫힘위치의 두가지 위치를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저류용기(8)는 상기 액재공급밸브(제2 밸브,10)와, 상기 저류용기(8)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저류용기 연결구(9)에 의해 장치로부터 착탈가능하게 된다.
<기포제거>
상기 플런저(2)에는 기포제거기구가 설치된다.
즉, 플런저(2)는 관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상부는 외벽면과 연통하는 기포제거공(26)을 갖는 플런저로드와, 상기 플런저로드(21)의 선단에 장착되고, 중심에 상기 플런저로드(21)의 관상부와 연통하는 기포제거공(23)을 구비하고 외벽에 계량부내벽면과 밀착하는 실(SEAL)부를 구비하는 플런저헤드(22)와 상기 플런저로드(21)의 관상부에 삽입되는 밸브로드(25)로 구성된다.
상기 플런저로드(21)의 상부는 큰 직경을 갖는 통부(筒部)로 형성되고 부가하여 상단부에는 플런저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부에 의해 플런저로드(21)는 플런저지지체(34)에 고정된다.
상기 큰 직경을 갖는 통부(筒部)에는 밸브로드(25)의 상부의 큰 직경을 갖는 부분이 습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플런저지지체(34)에 삽착된 고정나사(11)가 맞닿게 연결된다. 통상 밸브로드(25)는 고정나사(11)에 의해 일단이 가압되고 밸브로드(21)의 타단은 플런저헤드(22)와 밀착된다.
<기포제거작용>
상기 고정나사(11)를 풀면, 상기 밸브로드(25)는 플런저로드(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밸브로드(25)가 상기 고정나사(11)와 맞닿게 연결할 때, 상기 밸브로드(25)와 플런저헤드(22)가 분리되어 플런저헤드(22)에 설치된 기포제거공(23)을 개방하고 밸브로드(25)와 플런저(22)와의 사이 공극을 끼워 상기 플런저로드(21)의 기포제거공(26)을 연통하여 외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나사(11)를 풀었을 때, 플런저헤드(22)는 플런저로드(21) 및 기포제거공(26)을 끼워 외벽과 연통가능하게 되고, 상기 경로에 의해 플런저로드(21)로부터 외부로 기포를 배출한다.
이하, 상기 구성의 재료토출장치를 이용한 액재토출작업을 설명한다.
<액재충진>
액재가 충진된 저류용기(8)을 저류용기 연결구(9)에 접속한다.
이 때, 플런저(2)는 상기 공(孔,13)이 노즐측으로 넘어가지 않게 공(孔,13)에 근접한 위치까지 근접한다.
액재공급밸브(제2 밸브,10)를 열림위치로하고 저류용기(8)과 계량부(1)을 연통시켜 상기 플런저(2)를 후퇴이동시키면, 상기 저류용기(8) 내의 액재는 상기 액재공급밸브(제2 밸브,10)를 통하여, 상기 계량부(1) 방향으로 유입한다. 이 때, 상기 계량부(1) 내에는, 상기 저류용기(8)과 상기 계량부(1)과의 사이를 채우는 공기가 충진되고 이후 액재가 유입한다.
<기포제거>
상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계량부(1) 내에 유입한 기체는, 기체의 압축성에 수반한 압력응답이 늦어지기 때문에 제거할 필요가 있다.
상기 액재공급밸브(제2 밸브,10)를 닫힘위치로 하고 상기 고정나사(11)를 풀어 플런저(2)를 진출이동시킨다. 상기 플런저(2)의 구성부재인 플런저로드(21)는 구동기구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에 연통하여 진출이동하지만 밸브로드(25)는 상기 플런저로드(21)와 상기 고정나사(11)에 의해 연결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11)를 푸는 것에 의한 구동기구의 진출동작할 때도 고정나사(11)에 맞닿아 연결했기 때문에 진출이 된다(밸브로드(25)는 자유상태로 된다). 따라서 밸브로드(25)와 플런저헤드(22)가 분리되어 플런저로드(21)와 기포제거공(23)이 연통한다.
또한, 플런저(2)를 진출이동시키면, 계량부(1) 내의 액재의 압력은 상승한다. 액체와 비교하여 비중이 가벼운 기체는 상부에 모이기 때문에 상기 계량부(1) 내의 공기는 플런저로드(21)을 통해 기포제거공(26)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된다. 상기 공기가 완전히 배출된 후, 상기 플런저(2)의 고정나사(11)를 조이고, 상기 밸브로드(25) 선단과 상기 플런저헤드(22)와를 밀착시켜 상기 플런저로드(21)와 상기 기포제거공(23)과의 연통을 폐지하고 기포제거작업을 종료한다. 부가하여 상기 설명은 작업개시시에 있어서 기포제거이지만 토출작업중에도 계량부에 기포혼입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빠르게 고정나사(11)를 풀어 토출밸브를 닫어 플런저를 전진시켜 기포제거작업을 한다. 기포제거작업의 종료후 고정나사(11)를 조여 토출밸브를 열고 토출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액재충진>
계량부(1) 내에 충진된 액재에는, 기포가 전혀 혼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여기서 다시 말하면, 액재공급밸브(제2밸브,10)을 열림위치로 하고 플런저(2)를 후퇴이동하여, 소정량의 액재를 계량부(1) 내에 충진하고 액재공급밸브(제2밸브,10)을 닫힘위치로 한다.
<액재토출>
토출은, 토출밸브(제1 밸브,4)를 열림위치로하고 플런저(2)를 소정 토출량에 맞춰 진출이동한다. 따라서 소정 토출량과 계량부(1)의 내경에 의해 플런저(2)의 진출이동량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런저(2)의 진출이동은, 급속히 가속한 후에, 플런저를 밸브위치에 맞닿게 연결시키지 않고 플런저 구동수단을 급격하게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플런저(2)는 급속하게 이동이 정지하고 계량부(1) 내의 액재는 상기 플런저(2)의 급속이동 및 급격한 정지에 따라 전달되는 관성력에 의한 노즐(7) 선단으로부터 토출된다. 상기 관성력이 커질수록 상기 액재를 분출한다.
따라서 상기 계량부(1) 내의 직경과 토출밸브(제1 밸브,4)의 직경과는 비슷하기 때문에 압력손실은 적고, 액재에 전달되는 힘을 효과적으로 액재에 토출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런저(2)가 최하단까지 이동한 후에는, 토출밸브(제1 밸브,4)를 담힘위치로 하고, 액재공급밸브((제2 밸브,10)를 열림위치로하여 플런저(2)를 후퇴이동하여 액재를 공급한다. 이 때 저류용기(8)에 가압수단을 접속하여 저류용기(8) 내의 액재를 가압하여 계량부(1) 방향으로의 유입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적합한 계량부(1)에 재료를 저류용기(8)로부터 흡입하고 상기 계량부(1) 내의 액재를 노즐(7)로부터 토출하고, 반복으로 토출작업을 행한다. 한편, 계량부(1) 내에 저류된 재료는 계량부(1) 내의 액재가 없어질 때까지 여러번에 걸쳐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토출작업의 크기 등의 작업성을 고려하면 계량부(1) 내에 저류하는 액재의 양을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플런저의 진출이동에 의해 액체방울분출시키기 때문에 밸브위치와 플런저와의 맞닿은 연결을 불필요로하고, 액재를 분출시키기에 필요한 힘을 전달하는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손상한 부재가 액재에 혼입ㆍ용해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액재를 클린(CLEAN)한 상태로 토출할 수 있다, 부가하여 밸브위치와 플런저로드의 맞닿은 연결에 의한 손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부재의 교환빈도를 줄일 수 있다.
부가하여, 압력손실이 없기 때문에, 정도(精度)가 좋은 토출이 가능하고 특히 조금의 압력도 손실하는 것이 없이 액재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미량의 정도가 좋은 토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토출액재중에 기포를 배제하기 때문에 플런저의 선단면을 액재에 맞닿게하여 플런저의 이동이 액재에 정확하게 전달되고 정도(精度)가 좋은 토출이 행해질 수 있음과 동시에 토출된 액체방울중에 기포가 혼입할 수 없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Claims (10)

  1. 관형상의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에 내접하는 액재토출용플런저와, 상기 계량부에 연통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노즐을 구비하되 상기 노즐의 토출구의 내경은 상기 계랑부 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액재토출장치에 있어서,
    선단면이 액재에 맞닿은 상기 액재토출용 플런저를 고속전진시킨 후, 플런저 구동수단을 급격하게 정지시켜 액재에 관성력을 인가하여 액재를 토출시키는 액재의 토출방법.
  2. 관형상의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에 내접하는 액재토출용플런저와, 상기 계량부에 연통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노즐을 구비하되 상기 노즐의 토출구의 내경은 상기 계랑부 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액재토출장치에 있어서,
    선단면이 액재에 맞닿은 상기 액재토출용 플런저를 주기적으로 전진운동시켜서, 상기 관형상의 계량부에 지지된 액재에 주기적으로 관력력을 인가하여 연속적으로 액체방울(液滴)을 토출시키는 액재의 토출방법.
  3. 관형상의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에 내접하는 플런저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노즐과, 상기 계량부와 상기 노즐과를 연통하는 제1 밸브와, 액재를 저류하는 저류용기와, 상기 저류용기와 상기 계량부와를 연통하는 액재공급 밸브(제2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계량부의 내경과 상기 제1 밸브의 밸브디스크에 설치되는 통공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으며,
    상기 노즐 토출구의 내경은 상기 계량부 및 상기 제1 밸브의 내경 보다도 작은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용기는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기포제거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6. 관형상의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에 내접하는 플런저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노즐과, 상기 계량부와 상기 노즐과를 연통하는 제1 밸브와, 액재를 저류하는 저류용기와, 상기 저류용기와 상기 계량부와를 연통하는 액재공급 밸브(제2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계량부의 내경과 상기 제1 밸브의 밸브디스크에 설치되는 통공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으며,
    상기 계량부는 상기 저류용기와 연통하는 연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공은 상기 계량부의 내경 보다도 작은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토출구의 내경은 상기 계량부 및 상기 제1 밸브의 내경 보다도 작은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토출구와, 상기 플런저의 접액가압면은, 대향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와, 상기 가압수단 및 상기 플런저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관상부(管狀部)을 구비하고, 상기 관상부는 외벽면과 연통하는 기포제거공을 갖는 플런저로드와, 상기 플런저로드의 선단에 장착되고, 중심에 상기 플런저로드의 관상부와 연통하는 연통공을 구비하고, 외벽에 계량부내벽면과 밀착하는 실(SEAL)부를 갖는 플런저로드와, 상기 플런저로드의 관상부에 삽입되는 밸브로드로 구성되고,
    기포제거기구는 상기 밸브로드의 일단이 가압되면 상기 밸브로드의 타단이 상기 플런저헤드와 밀착하고 상기 플러저로드의 일단의 가압이 이완되면 상기 밸브로드의 타단은 상기 플런저헤드와 분리되는 것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KR1020047005040A 2001-10-17 2002-10-16 액재의 토출방법 및 그 장치 KR100633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19074 2001-10-17
JP2001319074 2001-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839A KR20050036839A (ko) 2005-04-20
KR100633220B1 true KR100633220B1 (ko) 2006-10-12

Family

ID=1913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040A KR100633220B1 (ko) 2001-10-17 2002-10-16 액재의 토출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35695B2 (ko)
EP (1) EP1437181B1 (ko)
KR (1) KR100633220B1 (ko)
CN (1) CN100457290C (ko)
AT (1) ATE556786T1 (ko)
HK (1) HK1070317A1 (ko)
TW (1) TWI231774B (ko)
WO (1) WO20030331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6431B2 (ja) * 2001-10-25 2008-01-23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材の吐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TWI665022B (zh) * 2005-10-21 2019-07-11 武藏工業股份有限公司 液材排出裝置及使用其之液體塗佈裝置
WO2007080911A1 (ja) * 2006-01-12 2007-07-19 Musashi Engineering, Inc. 液材吐出装置
JP4898778B2 (ja) * 2006-02-21 2012-03-21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脱泡機構を備える液材吐出装置
KR101499597B1 (ko) * 2007-03-08 2015-03-06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액적 토출 장치 및 방법
TWI610824B (zh) * 2007-05-18 2018-01-11 Musashi Engineering Inc 液體材料之吐出方法及裝置
US9162249B2 (en) * 2008-10-01 2015-10-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aste dispenser for applying paste containing fillers using nozzle with pin and appl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502867B1 (ko) * 2008-10-30 2015-03-1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JP5465936B2 (ja) * 2009-07-01 2014-04-09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419616B2 (ja) * 2009-09-25 2014-02-19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気泡混入防止機構および該機構を備える液体材料吐出装置並びに液体材料吐出方法
EP3117909A4 (en) * 2014-03-10 2017-10-25 Musashi Engineering, Inc. Application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CN105537025B (zh) * 2016-01-25 2017-12-01 长春理工大学 直接充电式电喷雾绝缘推进装置
JP6778426B2 (ja) * 2016-09-20 2020-11-04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装置
CN107144676A (zh) * 2017-06-12 2017-09-08 山东龙发环保科技有限公司 检测设备及计量管、计量装置及其计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7096A (en) * 1966-03-21 1967-08-22 White Lab Inc Pump-type dispenser
FR2389104A1 (fr) * 1977-04-27 1978-11-24 Marteau D Autry Eric Pipette reglable de distribution d'echantillons liquides
DE2937066A1 (de) * 1979-09-13 1981-03-26 Clinicon International Gmbh, 6800 Mannheim Dosiervorrichtung
JPS61185569A (ja) 1985-02-13 1986-08-19 Mitsubishi Chem Ind Ltd 水溶性染料の精製法
JPS61185569U (ko) * 1985-05-09 1986-11-19
US4861340A (en) * 1988-10-17 1989-08-29 Cordis Corporation Hand-held pneumatic power assisted syringe
FI87740C (fi) * 1990-05-04 1994-04-08 Biohit Oy Pipett
FI84790B (fi) * 1990-05-04 1991-10-15 Biohit Oy Foerfarande foer behandling av vaetska medelst pipett.
DE4014760A1 (de) * 1990-05-08 1991-11-14 Electronal Ges Fuer Elektronik Dispenserkopf zum aufbringen kleiner mengen einer pastoesen masse fuer die oberflaechenmontage elektronischer bauteile
JPH0657461A (ja) 1991-03-29 1994-03-01 Rasa Ind Ltd スマット除去液
JP2591745Y2 (ja) * 1993-01-21 1999-03-10 ノード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用ディスペンサ
DE4440243A1 (de) * 1994-11-11 1996-05-15 Schwerdtel Ludwig Gmbh Dosier-Gerät für viskose Materialien
DE19536623C1 (de) * 1995-09-30 1996-10-0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osieren von Dickstoffen
US6267266B1 (en) * 1995-11-16 2001-07-31 Nordson Corporation Non-contact liquid material dispenser having a bellows valve assembly and method for ejecting liquid material onto a substrate
US5765729A (en) * 1996-02-08 1998-06-16 Liquid Control Corporation Dispenser for flowable materials
CN100381213C (zh) 1998-12-28 2008-04-16 武藏工业株式会社 液体定量排出方法及设备
US6138720A (en) * 1999-05-26 2000-10-31 Zeigler; Edward William Reduced volatile emissions pneumatic aerosol can filling machine
JP2001113212A (ja) 1999-10-20 2001-04-24 Noiberuku Kk 液体吐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57290C (zh) 2009-02-04
WO2003033168A3 (fr) 2003-06-26
EP1437181B1 (en) 2012-05-09
ATE556786T1 (de) 2012-05-15
CN1571703A (zh) 2005-01-26
EP1437181A4 (en) 2008-05-07
HK1070317A1 (en) 2005-06-17
EP1437181A2 (en) 2004-07-14
US20050067438A1 (en) 2005-03-31
TWI231774B (en) 2005-05-01
WO2003033168A2 (fr) 2003-04-24
US7735695B2 (en) 2010-06-15
KR20050036839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220B1 (ko) 액재의 토출방법 및 그 장치
TWI516312B (zh)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id material
WO2013051697A1 (ja) 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方法
KR20090125162A (ko) 액재 토출 장치 및 액재 토출 방법
JP2002282740A (ja) 液滴の形成方法および液滴定量吐出装置
KR20090119770A (ko) 액적 토출 장치 및 방법
JP2004518106A (ja) 正確に制御された少量の液体の分配装置
JP4225461B2 (ja) 液材の吐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187153B1 (ko) 액적조정방법, 액적토출방법 및 액적토출장치
JP2009154123A (ja) 高粘度流体吐出装置および高粘度流体吐出方法
JP4036431B2 (ja) 液材の吐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647229B2 (ja) 液体材料の吐出装置
JP2007000832A (ja) 液体吐出方法及び液体吐出装置
JP4618739B2 (ja) 液材の吐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282056B2 (ja) 液体材料の吐出装置
JP6285510B2 (ja) 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方法
JP4282057B2 (ja) 液材の吐出装置
JP2749151B2 (ja) 高い定量吐出精度をもつディスペンサー
JP2018094735A (ja) 液体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