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437B1 -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과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 Google Patents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과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437B1
KR100632437B1 KR1020050014754A KR20050014754A KR100632437B1 KR 100632437 B1 KR100632437 B1 KR 100632437B1 KR 1020050014754 A KR1020050014754 A KR 1020050014754A KR 20050014754 A KR20050014754 A KR 20050014754A KR 100632437 B1 KR100632437 B1 KR 100632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ensitive adhesive
pressure
film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093A (ko
Inventor
최현석
박상현
이연근
황인석
김정두
조현주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EP20050710865 priority Critical patent/EP1720918B1/en
Priority to US11/062,927 priority patent/US20050186421A1/en
Priority to DE602005025452T priority patent/DE602005025452D1/de
Priority to JP2006518556A priority patent/JP2007528504A/ja
Priority to CN2007101108742A priority patent/CN101074292B/zh
Priority to AT05710865T priority patent/ATE492576T1/de
Priority to TW094105487A priority patent/TWI303639B/zh
Priority to PCT/KR2005/000505 priority patent/WO2005080453A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6004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437B1/ko
Priority to US11/598,700 priority patent/US20070059522A1/en
Priority to US11/785,260 priority patent/US20070264499A1/en
Priority to JP2009068606A priority patent/JP2009215558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05Applying optical coatings or shielding coatings to the vessel of flat panel displays, e.g. applying filter layer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layers, anti-reflection coatings or anti-glar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8Near infrared shiel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과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및 근적외선 흡수염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다기능 점착제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및 네온-컷 염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다기능 점착제 필름을 제공하며, 상기 점착제 필름은 근적외 흡수 염료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점착제 필름은 고온 및 고온고습 조건에서의 투과율 변화가 적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근적외선 흡수 염료를 더 포함할 경우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동시에 가질 뿐 아니라, 또한 필름 자체가 우수한 점착력을 나타내어 별도의 점착제층 없이도 필름의 일체화가 가능하므로 단순한 공정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색보정 점착필름, 근적외선 흡수 점착필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Description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과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functionalizing the color compensation and the near infrared (NIR) ray blocking for plasma display filter}
도 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다기능 점착제 필름의 스펙트럼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다기능 점착제 필름의 스펙트럼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다기능 점착제 필름의 스펙트럼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비교예 1의 필름에 대한 고온에서의 내구성 테스트 후 스펙트럼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비교예 1의 필름에 대한 고온 및 고습에서의 내구성 테스트 후 스펙트럼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비교예 2의 필름에 대한 스펙트럼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의 구조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의 구조이다.
도 10은 비교예 3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의 구조이다.
본 발명은 네온-컷(Neon-cut)과 같은 색보정 기능 뿐 아니라, 근적외선 흡수 기능을 가지는 점착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 및 고온 고습에서의 투과율 변화가 적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점착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중, 대형 화면을 구현함에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이 각광 받고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대화면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미 70 인치 정도의 제품도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다. 참고로, 도 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의 일반적인 단면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11은 케이스이고, 12는 구동 회로 기판, 13은 패널 조립체이고, 1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15는 커버이다.
상기 PDP 필터는 패널에서 나오는 특유의 오렌지 스펙트럼(Orange spectrum)에 의한 레드 스펙트럼(Red spectrum)의 순도 저하를 보정하고, 리모컨 기기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근적외선과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 한 역할을 하기 위해 PDP 필터는 반사 방지층, 색 순도를 보정하는 색 보정층, 근적외 흡수층, 전자파 차폐층 등 각각의 기능을 가진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능들을 가진 층들은 일반적으로 필름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별도의 점착제를 사용하여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한 장의 필름에 색보정과 근적외선 흡수와 같은 모든 기능을 가지게 하거나 사용하는 필름의 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화시키면 적층 공정시 발생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 절감의 효과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필름의 양면에 각각 다른 기능을 가진 층을 형성시켜 한 장의 필름에 세 가지 기능을 가지게 함으로써 PDP 필터에 들어가는 층(layer)의 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다. 또는 필름의 적층시 반드시 사용되는 점착제에 위와 같은 기능을 가지게 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도 있다. 이중 근적외선을 차단하고 색보정을 위해서는 이들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물질이 필요한데 주로 염료가 쓰이고 있다. 상기 염료로는 특정 파장대를 흡수하는 네온-컷(Neon-cut) 염료 및 근적외선 흡수 염료가 있다. 염료들을 적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투명한 기재 위에 바인더 고분자(binder polymer)와 혼합한 염료 층을 코팅하는 방법이 있는데, 상기 방법은 염료 층이 코팅된 기재를 점착제를 사용하여 PDP 필터 내의 임의의 층에 삽입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점착제로는 고무계, 폴리 비닐에테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이 널리 사용되는데, 상기 고무계는 내 노화성이 떨어지고, 폴리비닐 에테르계는 내열성이 떨어지고, 실리콘계는 접착력에 있어 문제를 야기한다. 반면, 아크릴계 점착제는 다양한 응용특성에 있어 고기능을 나타내어 점착제 조성물 의 제조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아크릴계 점착제는 주로 상온에서 가벼운 압력을 가해주면 우수한 점착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점착제를 구성하는 폴리머 분자가 유동특성을 가지고 있어 압력에 민감하게 작용하여 피착제에 접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동특성 때문에 점착제 내에 포함시키는 색보정 또는 근적외선 차단 기능을 가지는 염료는 일반적인 바인더 고분자에 비해 내열성이나 내습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고온, 고온고습의 조건에서 견디는 점착제와 이에 맞는 고 내구성을 가지는 염료를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종래 상기 색보정 염료와 근적외선 염료를 이용한 방법들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1-248721호는 570-605nm의 아자포피린계 염료를 사용한 광학필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투명점착제(아크릴계 점착제)에 함유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긴 하나, 사용되는 점착제 구조 및 가교제, 커플링(coupling)제 등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으며, 초기 투과율이 584nm에서 15.9%이나, 내구성 테스트 전후의 투과율 변화에 대하여서는 언급된 바 없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02-0055410호는 투명기재 위에 550-620nm의 파장을 흡수하는 시아닌계 염료와 근적외선 염료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근적외선 흡수재료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04-0049280호는 아크릴계 점착수지, 근적외선 염료, 자외선 흡수제 및 힌더드아민계의 광안정화제를 사용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1-207142호는 아크릴계 점착수 지, 시아닌계 적외선 흡수제 및 다관능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적외선 흡수 점착제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4-107566호는 특정산가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메틴계 네온컷 염료를 사용한 점착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특허공개 제2002-0055410호는 구체적인 점착제 구조 및 조성에 관한 언급이 없거나, 상기 한국특허공개 제2004-48280호는 근적외선 흡수 필름으로서의 근적외선 차단 효율에 대한 언급이 없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2001-207142호 및 일본특허공개 2004-107566호는 각각 시아닌계 근적외선 흡수 색소 및 시아닌계 네온 컷 색소를 이용하고 있으나, 시아닌계 색소는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내열성 및 내광성이 취약하다.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색보정 필름과 근적외선 흡수 필름들은 바인더의 종류 및 코팅 조건 등에 따라 고온 및 고온 고습에서 내구성의 차이를 보인다. 또한 이들 필름들을 이용하여 PDP 필터의 제조시 여러 층의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공정수율의 저하 및 단가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네온-컷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층, 근적외선 차폐층을 포함한 점착제 층 등과 같이 다기능을 부여하는 점착제층의 개발이 시도는 되어 왔으나, 고온 및 고온ㆍ고습에서의 최적의 내구성을 얻지 못하였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 및 고온고습 조건에서의 투과율 변화가 적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장시간 후에도 가시영역의 투과율 유지능이 우수하고 근적외선 흡수율이 높으며 점착력을 가지는 색보정과 근적외선 흡수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점착제 필 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기능 점착제 필름을 포함하여,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능을 가지면서 별도의 점착제층 없이도 필름의 일체화가 가능하여 공정의 단순화를 실현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와,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및 근적외선 흡수염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다기능 점착제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및 네온-컷 염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다기능 점착제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제 필름은 근적외 흡수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의 상하부로 형성된 층의 적어도 어느 한 층에, 상기의 다기능 점착제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 점착제(PSA)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점착력 및 내구성이 뛰어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를 바인더 수지로 사용하고, 색보정 염료와 근적외선 염료를 이용하여 고내구성과 점착기능을 동시에 부여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다기능 점착제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에 대표적으로 요구되는 광학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 590nm 부근에서 발생하는 네온광을 차단하는 네온-컷 염료를 사용하고, 850nm, 950nm 근처에서 발생하는 NIR을 차단하기 위한 근적외선 염료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점착제 필름은 PDP 모듈(module)로부터 발광하는 570-600 nm부근의 네온 피크를 효율적으로 차단하고, 근적외 영역인 800-1100nm영역을 10% 이하로 차단하고, 또한 점착기능을 가지는 필름이다. 특히 이들 필름의 고온 및 고온 고습, 더 구체적으로 80 도에서 500시간 고온 테스트 후, 60 도의 90% RH 500시간 후의 필름의 가시영역과 근적외선 영역의 각 파장에서 염료 농도 변화율은 10% 이하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장의 필름에 색보정기능 또는 색보정과 근적외선 흡수 기능을 모두 가지게 하고, 사용하는 필름의 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점착제 필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PDP는 구동시 발생하는 전자파, 네온 발광 및 근적외선 등을 차단하고 그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는 필름(filter)을 패널 전면에 구성하게 된다. 이때 필름들을 구성 합판 하기 위하여 점착제(PSA)가 사용되는데 이 점착제는 점착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가시광 영역(380 내지 780 nm)에서 투과율이 뛰어나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은 아크릴계 점착제, 및 근적외선 흡수염료를 포함한 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아크릴계 점착제; 및 네온-컷 염료를 포함하고, 추가로 상기 근적외 흡수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인더수지로 사용되는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로서 Tg가 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75 내지 99.89 중량%와, 관능성 단량체인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0.1 내지 20 중량%, 또는 수산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0.01 내지 5 중량%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공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공중합 방법은 통상의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방법으로 구체적인 조건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 더 바람직하게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A: Buyl acrylate)/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hydroxy ethyl methacrylate)의 공중합체,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uyl acrylate)/아크릴산(AA: acrylic acid)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다른 아크릴계 점착제에 비해 필름의 가시영역과 근적외선 영역에서 우수한 흡수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흡수 염료는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디이오늄계 염료를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금속-착물 염료 또는 프탈로시아닌계 염료를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이모늄계 염료는 900 내지 1200 ㎚의 넓은 파장대의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것이다.
상기 근적외선 흡수염료로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디이모늄(diimmonium)계 염료,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화학식 6으로 표 시되는 나프탈로시아닌계 염료, 화학식 7 및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금속-착물(metal-complex)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05009446271-pat00001
[화학식 5]
Figure 112005009446271-pat00002
[화학식 6]
Figure 112005009446271-pat00003
[화학식 7]
Figure 112005009446271-pat00004
[화학식 8]
Figure 112005009446271-pat00005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내지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아릴기이며, X 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산 음이온, 또는 1가 또는 2가의 무기산 음이온이고,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릴옥시기, 불소치환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원자를 1개 이상 가지는 오각환이고, M은 2개의 수소원자, 2가의 금속 원자, 3가 또는 4가의 치환 금속 원자 및 옥시 금속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 M은 니켈, 플라티늄, 팔라듐 또는 구리이며,
상기 화학식 7 및 8에서, R 및 R1 내지 R4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6 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콕시기, 페녹시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16 의 알킬 아미노기, 아릴 아미노기, 트리플루오르 메틸기, 탄소수 1 내지 16 의 알킬 티오기, 아릴 티오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상기 화학식 4에서, 유기산 1가 음이온은 유기 카복실산 이온, 유기 설폰산 이온, 유기 붕산 이온 등이 있다. 유기카복실산 이온으로는 아세테이트 이온, 락테이트 이온,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이온, 프로피오네이트 이온, 벤조에이트 이온, 옥살레이트 이온, 숙시네이트 이온 또는 스테아레이트 이온이 있다. 또한, 유기 설폰산 이온으로는, 메탈설포네이트 이온, 톨루엔 설포테이트 이온, 나프탈렌 모노설포네이트 이온, 클로로벤젠 설포네이트 이온, 니트로벤젠 설포네이트 이온,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이온, 벤존 설포베이트 이온, 에탄 설포네이트 이온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포네이트 이온이 있다. 유기 붕산 이온은, 테트라페닐보레이 트 이온 또는 부틸트리페닐보레이트 이온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에서, 무기 1가 음이온은 할로게나이트 이온이 있으며, 예를 들면 플루오라이드 이온, 클로라이드 이온, 브로마이드 이온, 요오다이드 이온, 티오시아네이트 이온, 헥사플루오로안티모노네이트 이온, 퍼클로레이트 이온, 퍼요오데이트 이온, 니트레이트 이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이온, 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이온, 몰리브데이트 이온, 텅스테이트 이온, 티타네이트 이온, 바나데이트 이온, 포스페이트 이온, 보레이트 이온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가 음이온으로는 나프탈렌-1,5-디설폰산, 나프탈렌-1,6-디설폰산, 나프탈렌 디설폰산 유도체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네온-컷 염료는 최대흡수파장이 570-600 nm이고, 핼프 밴드폭(Half Band Width)이 50 nm 이하인 염료로서, 분자내 또는 분자간 금속-착물(Metal-complex) 형태를 갖는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온-컷 염료의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내 금속-착물 형태를 갖는 포피린계(porphyrin) 염료; 하기 화학식 2 및 3으로 표시되는 분자간 금속-착물 형태를 갖는 시아닌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온 컷 염료는 포피린계인 것이 더 좋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09446271-pat00006
[화학식 2]
Figure 112005009446271-pat00007
[화학식 3]
Figure 112005009446271-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릴옥시기, 불소치환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원자를 1개 이상 가지는 오각환이고;
M은 수소 원자, 산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2가 내지 4가의 금속원자로 배위자를 갖는 금속이며,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 탄화수소,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고,
X 및 Y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탄소수 2 내지 8의 알콕시기, 페녹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시레이트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 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 의 아릴기이다.
상기 화학식 1의 정의에서, M의 2가의 금속원자로는 Cu, Zn, Fe, Co, Ni, Ru, Rd, Pd, Mn, Sn, Mg, Ti 등이 있고, 3가의 1치환된 금속원자로는 Al-Cl, Ga-Cl, In-Cl, Fe-Cl, Ru-Cl 등과 같이 금속에 할로겐 원자, 수산기, 알콕시기가 1치환될 수 있고, 4가의 2치환 금속으로는 SiCl2, GaCl2, TiCl2, SnCl2, Si(OH)2, Ge(OH)2, Mn(OH)2, Sn(OH)2 등과 같이, 금속원자에 할로겐, 수산기, 알콕시기가 치환될 수 있고, 옥시 금속으로 VO, MnO, TiO 등과 같이 금속에 산소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와 근적외선 흡수 염료의 중량비는 10: 1 내지 10000: 1이다. 이때, 그 중량비율은 점착제 용액의 용매에 대한 무게비, 점착제 용액의 점도, 사용되는 근적외선 흡수 염료의 몰흡광계수와 차단하고자 하는 투과율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네온-컷 염료를 포함하는 필름의 경우도,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와 네온-컷 염료의 중량비는 10: 1 내지 10000: 1이다. 이때, 그 중량비율은 점착제 용액의 용매에 대한 무게비, 점착제 용액의 점도, 사용되는 네온-컷 염료의 몰흡광계수, 차단하고자 하는 투과율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은 다기능 점착필름 제조시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로는 범용 유기용매가 사용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MEK),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톨루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점착제 필름들은 모두 가교제 및 커플링제를 추가로 더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또는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고, 그 예로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는 실란계 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는 특히 고온 고습하에서 장시간 방치되었을 경우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실란계 커플링제는 비닐실란, 에폭시실란, 메타크릴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이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실란계 커플링제의 함량은 아크릴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첨가된 염료와 바인더를 혼합하고, 여기에 일정량의 가교제와 커플링제를 첨가한 후 코팅액을 제조하고 이를 이형필름에 코팅하여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코팅면의 두께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방법으로는 스프 레이코팅, 롤코팅, 바코팅, 스핀코팅 등 여러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다기능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는 기재필름, 반사방지필름(AR 필름), 본 발명의 근적외선 필름, 색보정 또는 색보정과 근적외선 흡수 기능을 동시에 갖는 다기능 점착 필름, 전자파 차폐 필름(EMI 필름), 흑화면 처리층 등을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의 제조방법은 글래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투명 기재 위에 상기 필름들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적층시켜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는 근적외선 필름, 색보정 필름, 색보정과 근적외선 흡수능을 동시에 갖는 필름들을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름들은 기재를 중심으로 상하부의 어느 층에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기재위에 상기 다기능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직접 적층하는 경우 별도의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만일, 상기 다기능 필름이 사용되지 않는 층을 형성할 경우, 통상의 감압접착제(PSA)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전자파 차폐필름과 흑화면 처리필름은 통상의 방법으로 점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은 당해 분야에 널리 알려진 바이고,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내용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패널 조립체 상부에 본 발명의 점착제 필름을 포함하는 필터를 부 착하여, 고온 및 고온고습 조건에서의 투과율 변화가 적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가시영역의 투과율도 높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은 바인더 수지로 점착력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또한 색보정 염료 또는 색보정 염료와 근적외선 흡수염료를 포함하여, 고온 및 고온고습 조건에서의 투과율 변화가 적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가시영역의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근적외선 흡수율이 우수하다. 특히, 필름 자체에 점착력을 가지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제조시 종래와 같은 별도의 점착제의 사용이 불필요하여, 공정 단순화를 이룰 수 있으며, 필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점착제 필름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다기능 점착제 필름에 대한 물성 시험 조건은 하기와 같다.
<필름 제조 방법>
1. 코팅액 제조: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수지로 부틸아크릴레이트(BA)/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공중합체,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A)/아크릴산 (AA)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네온-컷 염료, 제 1 근적외선 흡수 염료, 제 2 근적외선 흡수 염료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다기능 점착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2. 코팅: 상기 코팅액을 사용하여 이형필름의 이형면에 15 ㎛의 두께로 코팅하고, 120 도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이형필름으로 코팅면을 합판하였다.
3. 숙성: 상온에서 3일간 숙성(Aging)하였다.
<내구성 테스트 조건>
고온 조건: 80 도의 챔버에서 500시간 방치 전, 후의 파장대별 투과율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1)
근적외선 염료가 포함된 필름 제조
에틸 아세테이트 84.5 ml에서 용해된 부틸아크릴레이트(BA)/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공중합체 용액 100 중량부(15.5 중량%), 근적외선 흡수 염료로 화학식 4의 디이모늄계 염료(상품명: CIR1081, 제조회사: Japan Carlit)을 0.05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T-39M 0.05 중량부, 및 실란계 커플링제로 T-789J 0.07 중량부를, 메틸 에틸 케톤 (MEK) 45 중량부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코팅액을 제조하였고, 이를 기재 필름에 23 ㎛의 두께로 코팅하여 다기능 점착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한 방법으로 내구성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가시광 영역 투과율 (%) 근적외선 영역 투과율 (%)
438nm 450nm 528nm 550nm 586nm 612nm 628nm 850nm 950nm
초기 70.4 68.0 71.0 81.4 86.5 87.0 85.3 2.3 3.0
500시간 후 70.3 67.7 71.7 82.1 87.3 87.4 85.5 2.4 3.1
상기 결과로부터 고온에서 테스트 후에도 가시광 영역 투과율과 근적외선 투과율의 유지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근적외선 염료가 포함된 필름 제조
근적외선 흡수 염료로 화학식 5의 프탈로시아닌계 염료(상품명: IR12, 제조회사: (주) 일본촉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근적외선 염료가 포함된 필름 제조
아크릴계 점착제로 부틸아크릴레이트(BA)/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공중합체 대신 부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네온-컷 염료가 포함된 필름 제조
에틸 아세테이트 84.5 ml에서 용해된 부틸아크릴레이트(BA)/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공중합체 용액 100 중량부(15.5 중량%), 네온-컷 염료인 화학식 1의 포피린계 염료 0.05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T-39M 0.05 중량부, 및 실란계 커플링제로 T-789J 0.07 중량부를, 메틸 에틸 케톤 (MEK) 45 중량부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코팅액을 제조하였고, 이를 기재 필름에 23mm의 두께로 코팅하여 다기능 점착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한 방법으로 내구성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고, 상기 점착제 필름에 대한 스펙트럼 변화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2]
가시광 영역 투과율 (%)
400nm 450nm 528nm 550nm 593nm 612nm 628nm
초기 68.8 70.3 60.9 52.5 27.9 53.6 74.0
500시간 후 68.7 70.5 60.5 52.3 28.0 54.1 74.2
상기 표 2의 내구성 시험결과와 도 2의 스펙트럼 변화에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색보정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제 필름의 경우 가시광 영역 투과율의 유지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네온-컷 염료가 포함된 필름 제조
에틸아세테이트 84.5 ml에 용해된 부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용액 100 중량부 (14.5 중량 %), 네온컷 염료로 화학식 1의 포피린계 염료 0.05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T-39M 0.23 중량부, 및 커플링제로 T-789J 0.03 중량부를, 메틸 에틸 케톤 (MEK) 45 중량부에 첨가하여 혼합 후 코팅액을 제조하였고, 이를 기재 필름에 코팅하여 다기능 점착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한 방법으로 내구성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고, 상기 점착제 필름에 대한 스펙트럼 변화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3]
가시광 영역 투과율 (%)
400nm 450nm 528nm 550nm 593nm 612nm 628nm
초기 67.9 69.8 60.7 52.3 27.4 53.0 73.6
500시간 후 67.0 69.6 60.5 52.4 28.0 53.7 73.6
상기 표 3의 내구성 시험결과와 도 3의 스펙트럼 변화에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색보정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제 필름의 경우 가시광 영역 투과율의 유지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네온-컷 염료+ 근적외선 염료가 포함된 필름 제조
디이모늄계 염료(제1 근적외선 흡수 염료)(CIR1081, Japan Carlit Co.) 0.3 중량부, 프탈로시아닌계 염료(제2 근적외선 흡수 염료)(IP12, Japan catalyst Co.) 0.1 중량부를 추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액을 제조하였고, 이를 기재 필름 위에 코팅하여 다기능 점착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한 방법으로 내구성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고, 상기 점착제 필름에 대한 스펙트럼 변화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4]
가시광 영역 투과율 (%) 근적외선 영역 투과율 (%)
400nm 450nm 528nm 550nm 586nm 612nm 628nm 850nm 950nm
초기 23.4 583 52.2 48.6 24.3 45.9 63.4 4.2 2.7
500시간 후 23.6 655.3 52.3 48.5 24.4 45.4 62.9 5.0 4.0
상기 표 4의 내구성 시험결과와 도 4의 스펙트럼 변화에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점착제 필름의 경우 가시광 영역 투과율의 유지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근적외선 영역 투과율도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코팅액의 조성을 하기와 같이 변경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코팅액의 조성: 네온-컷 염료로 시아닌 염료(0.0214g,TY102:Asahi denka, 상품명), 14BB (100g, acryl계 점착제, -OH기 함유), 경화제 (0.03g, T-39M), 및 커플링제 (0.07g, T-789J)
코팅: 바 코팅(Bar coating), 건조 두께(Drying thickness) 25mm
이후, 상기한 방법으로 내구성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고, 상기 점착제 필름에 대한 스펙트럼 변화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표 5]
가시광 영역 투과율 (%)
파장 (nm) 450 550 587 625
내구성 테스트전 57.6 38.7 11.5 66.5
100도 10분 경과후 43.6 39.0 11.9 66.6
고온(80도) 내구성 테스트 후 43.0 44.3 16.1 67.3
또한, 고온 및 고습에서 500 시간 테스트 후의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고, 상기 점착제 필름에 대한 스펙트럼 변화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표 6]
가시광 영역 투과율 (%)
파장 (nm) 450 550 587 628
내구성 테스트전 56.6 37.0 10.4 65.4
100도 10분 경과후 56.3 37.3 10.7 65.5
고온(80도) 내구성 테스트 후 53.2 46.8 18.1 66.6
상기 결과들로부터 비교예 1의 경우 본원에 비해 고온 및 고습 등의 내구성 테스트후에 가시광 영역 투과율의 유지능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코팅액의 조성을 하기와 같이 변경하여 근적외선 흡수 필름을 제조하였다.
코팅액 조성: 시아닌 근적외선 흡수염료(cyanine NIR absorbing dye) (0.01g,TY102: Asahi denka, 상품명), 14BB (20g, acryl계 점착제, -OH기 함유), 경화제 (0.006g, T-39M), 커플링제 (0.014g, T-789J)
코팅: 바 코팅(Bar coating), 건조 두께(Drying thickness) (20mm)
경화조건 : 실온 3일
이후, 상기한 방법으로 내구성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고, 상기 점착제 필름에 대한 스펙트럼 변화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표 7]
가시광 영역 투과율 (%)
파장 (nm) 450 550 587 628 854
내구성 테스트전 80.9 84.8 84.3 80.7 34.2
고온(80도) 내구성 테스트 후 81.2 85.1 84.7 82.5 35.4
상기 결과로부터 비교예 2의 경우 시아닌계 염료를 포함하긴 하나, 본원에 비해서는 고온 및 고습 등의 내구성 테스트후에 가시광 영역 투과율의 유지능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의 제조
글래스(glass) 기재 위에 반사방지 필름(AR 필름) 30), 상기 실시예 1의 점착필름 28, 강화 유리 26, 감압점착제층(PSA) 24, 전자파 차폐 필름(EMI 필름) 22 순으로 차례로 적층시켜 도 8과 같은 구조(5층)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의 제조
글래스(glass) 기재 위에 반사방지 필름(AR 필름) 30, 상기 실시예 4의 점착필름 28, NIR 필름 29, PSA 24, 강화 유리 26, PSA 24, 전자파 차폐 필름(EMI 필름) 22 순으로 차례로 적층시켜 도 9와 같은 구조(7층)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각 필름마다 모두 접착을 위한 점착제(PSA)로서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반사방치 필름 30, 점착제층 24, 비교예 1의 색보정 필름 25, 점착제층 24, 비교예 2의 근적외선 필름 29, 점착제층 24, 강화유리 26, 점착제층 24, 및 전자파 차폐필름 22를 차례로 형성시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를 제조하였다. 그 구조는 도 10에 나타내었고, 비교예 3의 필터의 구조는 9층으로 구성이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점착제 필름은 바인더 수지로서 점착력이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종래보다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색보정 염료와 근적외선 흡수 염료를 이용하여 색보정 기능과 근적외석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색보정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근적외선 투과율이 우수하고 특히 필름 자체에 우수한 점착기능을 가져 별도의 점착제 사용이 불필요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간단한 공정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0)

  1. 아크릴계 점착제; 및
    근적외선 흡수염료
    를 단일층의 점착제 필름에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가 바인더 수지의 기능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유리전이온도(Tg)가 0도 이하인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75 내지 99.89 중량%와, 관능성 단량체인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0.1 내지 20 중량%, 또는 수산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0.01 내지 5 중량%를 단독 또는 혼합한 공중합체인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인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흡수 염료는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흡수염료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디이모늄(diimmonium)계 염료,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나프탈로시아닌계 염료, 화학식 7 및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금속-착물(metal-complex)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화학식 4]
    Figure 112006066110385-pat00032
    [화학식 5]
    Figure 112006066110385-pat00033
    [화학식 6]
    Figure 112006066110385-pat00034
    [화학식 7]
    Figure 112006066110385-pat00035
    [화학식 8]
    Figure 112006066110385-pat00036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내지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아릴기며, X 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산 음이온, 또는 1가 또는 2가의 무기산 음이온이고,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릴옥시기, 불소치환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원자를 1개 이상 가지는 오각환이고, M은 2개의 수소원자, 2가의 금속 원자, 3가 또는 4가의 치환 금속 원자 및 옥시 금속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화학식 7 및 8에서, R 및 R1 내지 R4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콕시기, 페녹시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 아미노기, 아릴 아미노기, 트리플루오르 메틸기,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 티오기, 아릴 티오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M은 니켈, 플라티늄, 팔라듐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의 X는 유기 카르복실산 이온, 유기 설폰산 이온 및 유기 붕산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가 유기산 음이온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의 X는 아세테이트 이온, 락테이트 이온,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이온, 프로피오네이트 이온, 벤조에이트 이온, 옥살레이트 이온, 숙시네이트 이온 및 스테아레이트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카복실산 이온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의 X는 메탈설포네이트 이온, 톨루엔 설포테이트 이온, 나프탈렌 모노설포네이트 이온, 클로로벤젠 설포네이트 이온, 니트로벤젠 설포네이트 이온,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이온, 벤존 설포베이트 이온, 에탄 설포네이트 이온 및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포네이트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 설폰산 이온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의 X는 테트라페닐보레이트 이온 및 부틸트리페닐보레이트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 붕산 이온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의 X는 할로게나이트 이온, 티오시아네이트 이온, 니트레이트 이온, 몰리브데이트 이온, 텅스테이트 이온, 티타네이트 이온, 바나데이트 이온, 포스페이트 이온, 보레이트 이온, 헥사플루오로안티모노네이트 이온, 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이온, 및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가 무기산 음이온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의 X는 플루오라이드 이온, 클로라이드 이온, 브로마이드 이온, 요오다이드 이온, 퍼클로레이트 이온, 퍼요오데이트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할로게나이트 이온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의 X는 나프탈렌-1,5-디설폰산, 나프탈렌-1,6-디설폰산, 및 나프탈렌 디설폰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가 무기산 음이온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흡수염료는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나프탈로시아닌계 염료 및 화학식 7로 표시되는 금속-착물(metal-complex)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화학식 5]
    Figure 112006066110385-pat00037
    [화학식 6]
    Figure 112006066110385-pat00038
    [화학식 7]
    Figure 112006066110385-pat00039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릴옥시기, 불소치환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원자를 1개 이상 가지는 오각환이고, M은 2개의 수소원자, 2가의 금속 원자, 3가 또는 4가의 치환 금속 원자 및 옥시 금속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화학식 7에서, R1 및 R2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콕시기, 페녹시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 아미노기, 아릴 아미노기, 트리플루오르 메틸기,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 티오기, 아릴 티오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와 근적외선 흡수 염료의 중량비는 10 : 1 내지 10000 : 1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필름 제조시 메틸에틸케톤(MEK),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필름은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네온-컷 염료 0.0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네온-컷 염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내 금속-착물의 결합 형태를 갖는 포피린계(porphyrin) 화합물; 하기 화학식 2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자간 금속-착물의 형태를 갖는 시아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06066110385-pat00040
    [화학식 2]
    Figure 112006066110385-pat00041
    [화학식 3]
    Figure 112006066110385-pat0004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알릴옥시기, 불소치환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원자를 1개 이상 가지는 오각환이고; M은 2가 내지 4가의 배위자를 갖는 금속이며, 수소 원자, 산소 원자,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또는 2가 내지 4가의 금속원자로 배위자를 갖는 금속이며,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 탄화수소,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고,
    X 및 Y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탄소수 2 내지 8의 알콕시기, 페녹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시레이트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다.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네온-컷 염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내 금속-착물의 결합 형태를 갖는 포피린계(porphyrin) 화합물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06066110385-pat0004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알릴옥시기, 불소치환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원자를 1개 이상 가지는 오각환이고; M은 2가 내지 4가의 배위자를 갖는 금속이며, 수소 원자, 산소 원자,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음.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가교제 및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01 내지 2 중량부 및 커플링제 0.01 내지 2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필름은 800 nm 내지 1100 nm 영역의 근적외선을 10% 이하로 차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필름은 80 도에서 500 시간 고온 테스트후 60 도의 90% RH 500 시간 후의 필름이 갖는 800 nm 내지 1100 nm의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염료 농도 변화율이 10% 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코팅 두께가 10 ㎛ 이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26. 아크릴계 점착제와 근적외선 흡수 염료를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팅액을 이형필름에 코팅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및
    숙성을 통해 경화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제 1항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의 제조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을 스프레이코팅, 롤코팅, 바코팅, 또는 스핀코팅 방법으로 코팅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의 제조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을 코팅면의 두께가 10 ㎛ 이상이 되도록 코팅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의 제조방법.
  29. 기재의 상하부로 형성된 층의 적어도 어느 한 층에,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반사방지필름(AR 필름), 전자파 차폐 필름(EMI 필름), 및 흑화면 처리층을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근적외선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제 필름에 색보정 필름을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최외각에 반사방지필름(AR 필름)을 배치한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33.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반사방지필름(AR 필름), 점착제 필름, 강화유리, 감압점착제층 및 전자파 차폐 필름(EMI 필름) 순으로 차례로 적층시킨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34.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반사방지필름(AR 필름), 점착제 필름, 색보정 필름, 감압점착제층, 강화유리, 감압점착제층 및 전자파 차폐 필름(EMI 필름) 순으로 차례로 적층시킨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35.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반사방지필름(AR 필름), 점착제 필름, 색보정 필름, 점착제 필름, 근적외선 필름, 점착제 필름, 강화유리, 점착제 필름, 전자파 차폐 필름(EMI 필름) 순으로 차례로 적층시킨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36. 제 29항의 필터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7. 아크릴계 점착제; 및
    네온-컷 염료
    를 단일층의 점착제 필름에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가 바인더 수지의 기능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유리전이온도(Tg)가 0도 이하인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75 내지 99.89 중량%와, 관능성 단량체인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0.1 내지 20 중량%, 또는 수산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0.01 내지 5 중량%를 단독 또는 혼합한 공중합체인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40.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인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41.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네온-컷 염료는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42.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네온-컷 염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내 금속-착물의 결합 형태를 갖는 포피린계(porphyrin) 화합물; 하기 화학식 2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자간 금속-착물의 형태를 갖는 시아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06066110385-pat00044
    [화학식 2]
    Figure 112006066110385-pat00045
    [화학식 3]
    Figure 112006066110385-pat0004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알릴옥시기, 불소치환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원자를 1개 이상 가지는 오각환이고; M은 2가 내지 4가의 배위자를 갖는 금속이며, 수소 원자, 산소 원자,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또는 2가 내지 4가의 금속원자로 배위자를 갖는 금속이며,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 탄화수소,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고,
    X 및 Y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탄소수 2 내지 8의 알콕시기, 페녹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시레이트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다.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M은 Cu, Zn, Fe, Co, Ni, Ru, Rd, Pd, Mn, Sn, Mg 및 T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가의 금속원자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44.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M은 Al, Ga, In, Fe 및 R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의 금속원자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45.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M은 Al-Cl, Ga-Cl, In-Cl, Fe-Cl 및 Ru-Cl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치환된 3가의 금속원자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46.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M은 Si, Ga, Ti, Sn, Ge 및 M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4가의 금속원자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47.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M은 SiCl2, GaCl2, TiCl2, SnCl2, Si(OH)2, Ge(OH)2, Mn(OH)2 및 Sn(OH)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치환된 4가의 금속원자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48.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M은 VO, MnO 및 TiO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산소결합형태의 옥시금속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4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네온-컷 염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내 금속-착물의 결합 형태를 갖는 포피린계(porphyrin) 화합물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06066110385-pat0004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알릴옥시기, 불소치환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원자를 1개 이상 가지는 오각환이고; M은 2가 내지 4가의 배위자를 갖는 금속이며, 수소 원자, 산소 원자,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음.
  50.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와 네온-컷 염료의 중량비는 10 : 1 내지 10000 : 1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51.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필름 제조시 메틸에틸케톤(MEK),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52.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필름은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근적외선 흡수염료 0.0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53.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흡수염료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디이모늄(diimmonium)계 염료;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나프탈로시아닌계 염료; 화학식 7 및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금속-착물(metal-complex)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화학식 4]
    Figure 112006066110385-pat00048
    [화학식 5]
    Figure 112006066110385-pat00049
    [화학식 6]
    Figure 112006066110385-pat00050
    [화학식 7]
    Figure 112006066110385-pat00051
    [화학식 8]
    Figure 112006066110385-pat00052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내지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아릴기이며, X 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산 음이온, 또는 1가 또는 2가의 무기산 음이온이고,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릴옥시기, 불소치환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원자를 1개 이상 가지는 오각환이고, M은 2개의 수소원자, 2가의 금속 원자, 3가 또는 4가의 치환 금속 원자 및 옥시 금속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화학식 7 및 8에서, R 및 R1 내지 R4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콕시기, 페녹시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 아미노기, 아릴 아미노기, 트리플루오르 메틸기,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 티오기, 아릴 티오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54.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흡수염료는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나프탈로시아닌계 염료 및 화학식 7로 표시되는 금속-착물(metal-complex)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화학식 5]
    Figure 112006066110385-pat00053
    [화학식 6]
    Figure 112006066110385-pat00054
    [화학식 7]
    Figure 112006066110385-pat00055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릴옥시기, 불소치환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원자를 1개 이상 가지는 오각환이고, M은 2개의 수소원자, 2가의 금속 원자, 3가 또는 4가의 치환 금속 원자 및 옥시 금속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화학식 7에서, R1 및 R2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콕시기, 페녹시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 아미노기, 아릴 아미노기, 트리플루오르 메틸기,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 티오기, 아릴 티오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55.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가교제 및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56.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01 내지 2 중량부 및 커플링제 0.01 내지 2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57.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필름은 570 nm 내지 600 nm 영역의 네온 피크를 차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5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필름은 80 도에서 500 시간 고온 테스트후 60 도의 90% RH 500 시간 후의 필름이 갖는, 380 nm 내지 780 nm의 가시영역에서의 염료 농도 변화율이 10% 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5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코팅 두께가 10 ㎛ 이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
  60. 아크릴계 점착제와 네온-컷 염료를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팅액을 이형필름에 코팅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및
    숙성을 통해 경화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제 37항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의 제조방법.
  61.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을 스프레이코팅, 롤코팅, 바코팅, 또는 스핀코팅 방법으로 코팅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의 제조방법.
  62.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을 코팅면의 두께가 10 ㎛ 이상이 되도록 코팅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제 필름의 제조방법.
  63. 기재의 상하부로 형성된 층의 적어도 어느 한 층에, 제37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반사방지필름(AR 필름), 전자파 차폐 필름(EMI 필름), 및 흑화면 처리층을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65.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네온-컷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제 필름에 근적외선 필름을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66.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최외각에 반사방지필름(AR 필름)을 배치한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67.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반사방지필름(AR 필름), 점착제 필름, 강화유리, 감압점착제층 및 전자파 차폐 필름(EMI 필름) 순으로 차례로 적층시킨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68.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반사방지필름(AR 필름), 점착제 필름, 근적외선 필름 또는 색보정 필름, 감압점착제층, 강화유리, 감압점착제층 및 전자파 차폐 필름(EMI 필름) 순으로 차례로 적층시킨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69.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반사방지필름(AR 필름), 점착제 필름, 색보정 필름, 점착제 필름, 근적외선 필름, 점착제 필름, 강화유리, 점착제 필름, 전자파 차폐 필름(EMI 필름) 순으로 차례로 적층시킨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70. 제 63항의 필터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50014754A 2004-02-23 2005-02-23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과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KR100632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602005025452T DE602005025452D1 (de) 2004-02-23 2005-02-23 Farbkompensation und blockierung von nahinfrarotstrahlen (nir) funktionalisierender klebstofffilm und plasma-display-panel-filter damit
JP2006518556A JP2007528504A (ja) 2004-02-23 2005-02-23 色補正と近赤外線吸収機能を有する粘着剤フィルム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フィルター
CN2007101108742A CN101074292B (zh) 2004-02-23 2005-02-23 具有色彩补偿和近红外线(nir)阻滞功能的粘性膜及使用该粘性膜的等离子显示面板滤光器
AT05710865T ATE492576T1 (de) 2004-02-23 2005-02-23 Farbkompensation und blockierung von nahinfrarotstrahlen (nir) funktionalisierender klebstofffilm und plasma-display-panel-filter damit
EP20050710865 EP1720918B1 (en) 2004-02-23 2005-02-23 Adhesive film functionalizing color compensation and near infrared ray (nir) blo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sing the same
PCT/KR2005/000505 WO2005080453A1 (en) 2004-02-23 2005-02-23 Adhesive film functionalizing color compensation and near infrared ray (nir) blo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sing the same
US11/062,927 US20050186421A1 (en) 2004-02-23 2005-02-23 Adhesive film functionalizing color compensation and near infrared ray (NIR) blo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sing the same
TW094105487A TWI303639B (en) 2004-02-23 2005-02-23 Multifunctional adhesive film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and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11/598,700 US20070059522A1 (en) 2004-02-23 2006-11-14 Adhesive film functionalizing color compensation and near infrared ray (NIR) blo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sing the same
US11/785,260 US20070264499A1 (en) 2004-02-23 2007-04-16 Adhesive film functionalizing color compensation and near infrared ray (NIR) blo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sing the same
JP2009068606A JP2009215558A (ja) 2004-02-23 2009-03-19 粘着剤フィルム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フィルタ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798 2004-02-23
KR20040011798 2004-02-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540A Division KR100745728B1 (ko) 2004-02-23 2006-09-13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과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093A KR20060043093A (ko) 2006-05-15
KR100632437B1 true KR100632437B1 (ko) 2006-10-11

Family

ID=367519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754A KR100632437B1 (ko) 2004-02-23 2005-02-23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과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KR1020060088540A KR100745728B1 (ko) 2004-02-23 2006-09-13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과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540A KR100745728B1 (ko) 2004-02-23 2006-09-13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과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9215558A (ko)
KR (2) KR100632437B1 (ko)
CN (2) CN101074292B (ko)
AT (1) ATE492576T1 (ko)
DE (1) DE602005025452D1 (ko)
TW (1) TWI30363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47B1 (ko) 2006-11-27 2008-01-21 나노캠텍주식회사 피착면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점착 보호필름
KR101340547B1 (ko) 2010-12-30 2013-12-11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WO2016088988A1 (ko) * 2014-12-03 2016-06-09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블루 라이트 컷 보호필름
WO2017007236A1 (ko) * 2015-07-06 2017-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색재현 필름, 이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89B1 (ko) * 2006-08-07 2007-10-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네온 발광 및 근적외선을 동시에 흡수할 수 있는 pdp 필터용 색소 화합물
KR100973647B1 (ko) * 2007-11-20 2010-08-02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101114923B1 (ko) * 2008-01-08 2012-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기능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5143256B2 (ja) * 2011-05-10 2013-02-13 株式会社巴川製紙所 粘着型光学フィルム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2361100B1 (ko) * 2018-08-13 2022-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색변환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39453A (ko) 2018-10-05 2020-04-16 고우석 무지외반증 교정용 깔창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511A (ja) * 1998-06-30 2000-03-21 Nippon Kayaku Co Ltd 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
JP2000250420A (ja) * 1999-02-25 2000-09-1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装置用の前面板
KR100444332B1 (ko) * 1999-12-20 2004-08-16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적외선 흡수필터
JP3621322B2 (ja) * 2000-01-25 2005-02-16 株式会社巴川製紙所 赤外線吸収性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赤外線吸収シート
JP3517210B2 (ja) * 2000-12-28 2004-04-12 日清紡績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材料
JP4055379B2 (ja) * 2001-07-25 2008-03-05 三菱化学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
JP2003082302A (ja) * 2001-09-13 2003-03-19 Tomoegawa Paper Co Ltd 電子ディスプレイ用着色粘着剤付フィル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47B1 (ko) 2006-11-27 2008-01-21 나노캠텍주식회사 피착면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점착 보호필름
KR101340547B1 (ko) 2010-12-30 2013-12-11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WO2016088988A1 (ko) * 2014-12-03 2016-06-09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블루 라이트 컷 보호필름
WO2017007236A1 (ko) * 2015-07-06 2017-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색재현 필름, 이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10871677B2 (en) 2015-07-06 2020-12-22 Lg Chem, Ltd. Wide color gamut film, composition for prepar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polarizer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255A (ko) 2006-10-17
CN101074292B (zh) 2012-05-23
ATE492576T1 (de) 2011-01-15
CN100551942C (zh) 2009-10-21
KR100745728B1 (ko) 2007-08-02
KR20060043093A (ko) 2006-05-15
JP2009215558A (ja) 2009-09-24
CN1771269A (zh) 2006-05-10
TW200604216A (en) 2006-02-01
TWI303639B (en) 2008-12-01
DE602005025452D1 (de) 2011-02-03
CN101074292A (zh)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5728B1 (ko)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과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EP1720918B1 (en) Adhesive film functionalizing color compensation and near infrared ray (nir) blo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sing the same
CN101939394B (zh) 多功能粘合剂膜、包括该多功能粘合剂膜的等离子体显示面板滤光片和包括该滤光片的等离子体显示面板
JP4557175B2 (ja) 近赤外線吸収及び色補正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EP1496375B1 (e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comprising a near-infrared absorbing dye and a quencher
KR20080037265A (ko) 투명화 기능 및 근적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폐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JP200551466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ィルタ
US20060292462A1 (en) Nir absorption and color compensating compositions
JP2010287310A (ja) 光学フィルタ
JP4697950B2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タ
KR101164880B1 (ko) 디이모늄 화합물의 혼합물, 그의 합성 방법, 그를 함유하는 근적외선 흡수 필름 및 근적외선 흡수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광학 필터
US20070264499A1 (en) Adhesive film functionalizing color compensation and near infrared ray (NIR) blo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sing the same
KR100771361B1 (ko) 금속 착물계 염료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흡수 필름, 이를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22692A (ko) 시아닌 색소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용 광학필터
KR101469259B1 (ko) 근적외선 흡수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디스플레이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