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469B1 -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469B1
KR100631469B1 KR1020060064136A KR20060064136A KR100631469B1 KR 100631469 B1 KR100631469 B1 KR 100631469B1 KR 1020060064136 A KR1020060064136 A KR 1020060064136A KR 20060064136 A KR20060064136 A KR 20060064136A KR 100631469 B1 KR100631469 B1 KR 10063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hole
bus
bar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6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이자 형태로 절곡된 모선부스바를 이용해서 자선부스바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통전저항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진동에 의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V"자 형의 모선부스바(30)(40)를 "X"자 형태를 이루도록 평행하게 배치하며, 모선부스바(30)(40)의 양단을 베이스플레이트(20) 위에 서포터(51)(53)로 지지하고, 모선부스바(30)(40)의 상부경사면(34)(44)과 하부경사면(36)(46)에 밀착하는 사다리꼴형태의 가압면(52)(62)을 갖는 상부가압블록(50)과 하부가압너트(60)에 볼트관통구멍(54)과 나사구멍(64)을 형성하며, 모선부스바(30)(40)의 하부경사면(36)(46)과 하부가압너트(60)의 가압면(62) 사이에 밀착되는 사다리꼴 형태의 절곡부(72)를 자선부스바(70)의 단부에 형성하고, 자선부스바(70)의 절곡부(72) 중앙에 관통공(74)을 형성하며, 고정볼트(80)를 볼트관통구멍(54)과 관통공(74)을 통해 하부가압너트(60)의 나사구멍(64)에 결합하고, 상부가압블록(50)에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걸림턱(56)(58)에 밀착되는 간격유지용C형바(90)(92)의 하단부에 모선부스바(30)(40)의 브이홈(38)(48)에 밀착되는 밀착면(94)(95)(96)(97)을 형성한 것이다.
공동주택,전기,부스바,배전반,브이홈,간격유지,평행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Bus-bar connecting structure of distribution board for apartment house}
도 1은 종래 분배전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를 보인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를 보인 통전상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를 보인 해제상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를 보인 간격유지용C형바와 스페이스핀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핀의 단부 구조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선부스바에 두 개의 자선부스바를 쌍방향으로 접속한 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베이스플레이트 30,40 : 모선부스바
32,42 : 중앙모서리부 34,44 : 상부경사면
36,46 : 하부경사면 38,48 : 브이홈
50 : 상부가압블록 51,53 : 서포터
54 : 볼트관통구멍 52,62 : 가압면
56,58 : 미끄럼걸림턱 60 : 하부가압너트
64 : 나사구멍 70 : 자선부스바
72 : 절곡부 74 : 관통공
80 : 고정볼트 90,92 : 간격유지용C형바
94,95,96,97 : 밀착면
본 발명은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를 이용해서 공동주택의 분배전반에 설치되는 주차단기로부터 다수의 보조차단기로 분기하는데 사용하는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이자 형태로 절곡된 모선부스바를 이용해서 자선부스바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통전저항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진동에 의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배전반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전반(1)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2)에 한 개의 주차단기(3)와 다수개의 보조차단기(4a)(4b)(4c)를 설치하고, 주차단기(3)와 보조차단기(4a)(4b)(4c) 사이에 가지 형태로 분기된 부스바를 두어 주차단기(3)로부터 부조차단기(4a)(4b)(4c)로 전력을 분배하는데 이용하는 것으로, 공동주택 등의 옥내 배선에 있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옥내의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전력공급을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부스바(bus-bar)는 주차단기(3)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부스바(5)와, 일측이 모선부스바(5)에 접속되고 타측이 보조차단기(4a)(4b)(4c)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자선부스바(6)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분배전반은 국내 등록특허 제10-0518791호(출원번호 제10-2004-0086758호, 출원일자 2004년10월28일)의 "분배전반"을 참조하면,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부스바(10)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자선부스바(14a)(14b)의 일측단에는 " L"자 모양으로 절곡된 밀착부(16a)(16b)가 형성되어 있으며, 모선부스바(10)에는 와셔(13)가 결합되어 있고, 그 밀착부(16a)(16b) 중앙에 장공(12)과 구멍중심이 일치하는 관통구멍(17a)과 나사구멍(17b)이 형성되어 장공(12)을 통해 고정볼트(18)를 통과시킨 다음 나사구멍(17a) 에 결함으로써 자선부스바(14)와 모선부스바(10)를 접속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분배전반은 분배전반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자선부스바(14)가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고정볼트(18)가 풀리면서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며, 모선부스바(10)에 형성된 장공(12)이 비교적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장공(1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대형금형과 대형프레스의 도움을 필요로 하므로, 금형비와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모선부스바(10)가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매우 취약하여 취급시 주의하지 않으면 쉽게 휘어 자선부스바(14)의 연결이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분배전바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부스바가 자연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휨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V"자 형태로 단면이 연속하는 두 개의 모선부스바를 "X"자 형태를 이루도록 평행하게 배치하되 모선부스바의 중앙모서리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게 배치하며, 모선부스바의 양단을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서포터로 지지하고, 모선부스바의 상부경사면과 하부경사면에 밀착하는 경사진 사다리꼴형태의 가압면을 갖는 상부가압블록과 하부가압너트에 수직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는 볼트관통구멍과 나사구멍을 형성하며, 모선부스바의 하부경사면과 하부가압너트의 가압면 사이에 밀착되는 사다리꼴 형태의 절곡부를 자선부스바의 단부에 형성하고, 자선부스바의 절곡부 중앙에 볼트관통구멍과 중심이 일치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며, 고정볼트를 볼트관통구멍과 관통공을 통해 하부가압너트의 나사구멍에 결합하고, 모선부스바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미끄럼걸림턱을 상부가압블록의 상단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형성하며, 미끄럼걸림턱에 밀착되어 모선부스바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유동이 자유로운 간격유지용C형바의 하단부에 모선부스바의 브이홈에 밀착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밀착면을 형성하여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로 단면이 연속하는 두 개의 모선부스바(30)(40)를 "X"자 형태를 이루도록 평행하게 배치하되 모선부스바(30)(40)의 중앙모서리부(32)(42)를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게 배치하며, 모선부스바(30)(40)의 양단을 베이스플레이트(20) 위에 서포터(51)(53)로 지지하고, 모선부스바(30)(40)의 상부경사면(34)(44)과 하부경사면(36)(46)에 밀착하는 경사진 사다리꼴형태의 가압면(52)(62)을 갖는 상부가압블록(50)과 하부가압너트(60)에 수직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는 볼트관통구멍(54)과 나사구멍(64)을 형성한다.
또한, 모선부스바(30)(40)의 하부경사면(36)(46)과 하부가압너트(60)의 가압면(62) 사이에 밀착되는 사다리꼴 형태의 절곡부(72)를 자선부스바(70)의 단부에 형성하고, 자선부스바(70)의 절곡부(72) 중앙에 볼트관통구멍(54)과 중심이 일치하는 관통공(74)을 형성하며, 고정볼트(80)를 볼트관통구멍(54)과 관통공(74)을 통해 하부가압너트(60)의 나사구멍(64)에 결합한다.
또, 모선부스바(30)(4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미끄럼걸림턱(56)(58)을 상부가압블록(50)의 상단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형성하며, 미끄럼걸림턱(56)(58)에 밀착되어 모선부스바(30)(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유동이 자유로운 간격유지용C형바(90)(92)의 하단부에 모선부스바(30)(40)의 브이홈(38)(48)에 밀착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밀착면(94)(95)(96)(97)을 형성한다.
그리고, 서포터(51)(53)는 "L"자 모양으로 절곡되며, 코너부위에 보강리브(51a)(53a)가 형성되고, 모선부스바(30)(40)의 단부를 삽입하기 위해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51b)(53b)에 모선부스바(30)(4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브이구멍(51c)(53c)을 형성하며,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공(51d)(53d)을 형성한다.
첨부도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용C형바(90)(92)는 가장자리를 따라 리브(90e)(92e)를 형성하며, 상부가압블록(50)에 형성된 미끄럼걸림턱(56)(58)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양측의 간격유지용C형바(90)(92) 간을 잇는 스페이스핀(100)으로 연결되며, 이 스페이스핀(100)의 양단에는 직경이 축소된 보스(102)(104)가 형성되어 간격유지용C형바(90)(92)에 형성된 구멍(90h)(92h)으로 보스(102)(104)를 삽입한 다음 구멍(90h)(92h)을 통해 반대편으로 돌출된 보스(102)(104)의 끝부분을 타격하거나 가압하여 접시머리 형태로 성형하므로써 간격유지용C형바(90)(92)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0,202는 서포터(51)(53)를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고 정하기 위한 체결용볼트를 나타낸 것이며, 70k는 다른 자선부스바를 나타낸 것이고, 72k는 다른 자선부스바(70k)에 형성된 절곡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용C형바(90)(92)와 스페이스핀(100)의 조립은 스페이스핀(10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보스(102)(104)를 간격유지용C형바(90)(92)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90h)(92h)으로 삽입한 다음 구멍(90h)(92h)을 통해 돌출된 보스(102)(104)를 타격이나 가압에 의해 접시머리 형태로 성형하게 되면, 간격유지용C형바(90)(92)의 간격이 스페이스핀(100)의 길이와 동일한 거리로 유지되어 일체화된다.
이후 모선부스바(30)(40)의 일측 단부를 한쪽 서포터(51)에 형성된 브이구멍(51c)(53c)으로 삽입한 다음 앞서 조립된 간격유지용C형바(90)(92)를 상부가압블록(50)에 형성된 미끄럼걸림턱(56)(58) 위에 끼우고, 모선부스바(30)(40)의 타측단부를 통해 모선부스바(30)(4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하게 되면, 간격유지용C형바(90)(92)와 상부가압블록(50)이 모선부스바(30)(40)에서 미끄러지면서 삽입되며, 이때 간격유지용C형바(90)(92)와 상부가압블록(50)을 필요한 수만큼 모선부스바(30)(40)에 결합한 다음 나머지 서포터(53)를 모선부스바(30)(40)의 타측단부에 결합하게 되면, 모선부스바(30)(4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 서포터(51)(53)를 베이스플레이트(20) 위에 올린 다음 체결용볼트(200)(202)로 결합하게 되면, 모선부스바(30)(40)가 베이스플레이트(20) 위에 고정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모선부스바(30)(40)로부터 자선부스바(70)를 접속하여 분기시키기 위해 자선부스바(70)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72)를 모선부스바(30)(40)의 하부경사면(36)(46)에 밀착시킨 다음 절곡부(72) 밑에 하부가압너트(6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부가압블록(50)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관통구멍(54)과 절곡부(72)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74)을 통해 고정볼트(80)를 삽입하여 하부가압너트(6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64)에 고정볼트(80)가 나사결합되도록 고정볼트(80)를 조이게 되면, 이 고정볼트(80)에 의해 하부가압너트(60)와 상부가압블록(50)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가압블록(50)은 모선부스바(30)(40)의 상부경사면(34)(44)에 밀착되고, 자선부스바(70)의 절곡부(72)는 하부가압너트(60)에 의해 모선부스바(30)(40)의 하부경사면(36)(46)에 밀착되어 통전상태로 된다.
이때 상부가압블록(50)과 하부가압너트(60)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면(52)(62)에 의해 모선부스바(30)(40)의 사이가 벌어지려고 하지만 모선부스바(30)(40)의 외측 브이홈(38)(48)에 밀착되어 있는 간격유지용C형바(90)(92)의 밀착면(94)(95)(96)(97)에 의해 모선부스바(30)(40)는 벌어지지 못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부가압블록(50)과 하부가압너트(60) 및 자선부스바(70)의 절곡부(72)가 모선부스바(30)(40)의 상부경사면(34)(44)과 하부경사면(36)(46)에 강하게 밀착된다.
또한, 간격유지용C형바(90)(92)는 스페이스핀(10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부가압블록(5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모선부스바(30)(40)에 접속된 자선부스바(7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첨부도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80)를 약간 느슨하게 풀게 되면, 모선부스바(30)(40)의 상부경사면(34)(44)과 하부경사면(36)(46)에 강하게 접촉되어 있던 상부가압블록(50)과 하부가압너트(60)의 강한 마찰력이 제거되며, 이때 자선부스바(70)를 모선부스바(30)(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자선부스바(70)를 따라 상부가압블록(50)과 하부가압너트(60), 간격유지용C형바(90)(92)이 함께 이동하게 되며, 느슨한 고정볼트(80)를 다시 조이게 되면, 상부가압블록(50)과 하부가압너트(60)에 의해 자선부스바(70)의 절곡부(72)가 모선부스바(30)(40)에 강하게 밀착되어 이동할 수 없는 상태로 되고, 간격유지용C형바(90)(92)에 의해 자선부스바(70)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자선부스바(70)(70k)를 이용 모선부스바(30)(40)에서 쌍방향으로 접속하는 경우 두 자선부스바(70)(70k)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72)(72k)를 겹치게 되면, 쌍방향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분배전반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자선부스바에 전달되는 경우 자선부스바에 형성되어 있는 사다리꼴 형상의 절곡부가 브이자 형태로 절곡된 모선부스바의 하부경사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한 저항력이 커 고정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독립된 두 개의 모선부스바의 양단을 서포터에 의해 지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선부스바의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모선부스바가 브이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기 때 문에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작용되는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커 모선부스바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모선부스바의 외측면 브이홈에 걸리는 간격유지용C형바에 의해 모선부스바의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선부스바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V"자 형태로 단면이 연속하는 두 개의 모선부스바(30)(40)를 "X"자 형태를 이루도록 평행하게 배치하되 모선부스바(30)(40)의 중앙모서리부(32)(42)를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게 배치하며, 모선부스바(30)(40)의 양단을 베이스플레이트(20) 위에 서포터(51)(53)로 지지하고, 모선부스바(30)(40)의 상부경사면(34)(44)과 하부경사면(36)(46)에 밀착하는 경사진 사다리꼴형태의 가압면(52)(62)을 갖는 상부가압블록(50)과 하부가압너트(60)에 수직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는 볼트관통구멍(54)과 나사구멍(64)을 형성하며, 모선부스바(30)(40)의 하부경사면(36)(46)과 하부가압너트(60)의 가압면(62) 사이에 밀착되는 사다리꼴 형태의 절곡부(72)를 자선부스바(70)의 단부에 형성하고, 자선부스바(70)의 절곡부(72) 중앙에 볼트관통구멍(54)과 중심이 일치하는 관통공(74)을 형성하며, 고정볼트(80)를 볼트관통구멍(54)과 관통공(74)을 통해 하부가압너트(60)의 나사구멍(64)에 결합하고, 모선부스바(30)(4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미끄럼걸림턱(56)(58)을 상부가압블록(50)의 상단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형성하며, 미끄럼걸림턱(56)(58)에 밀착되어 모선부스바(30)(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유동이 자유로운 간격유지용C형바(90)(92)의 하단부에 모선부스바(30)(40)의 브이홈(38)(48)에 밀착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밀착면(94)(95)(96)(97)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
KR1020060064136A 2006-07-08 2006-07-08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 KR100631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136A KR100631469B1 (ko) 2006-07-08 2006-07-08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136A KR100631469B1 (ko) 2006-07-08 2006-07-08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469B1 true KR100631469B1 (ko) 2006-10-11

Family

ID=3763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136A KR100631469B1 (ko) 2006-07-08 2006-07-08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4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742B1 (ko) 2012-12-20 2013-03-06 (주)금정이엔씨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WO2015042927A1 (en) 2013-09-29 2015-04-02 Abb Technology Ltd Main bus-bar, branch bus-bar, transfer connector and bus-bar assembly
CN110518421A (zh) * 2019-08-26 2019-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母线槽连接器及供电设备
EP4369542A1 (en) * 2022-11-10 2024-05-15 Abb Schweiz Ag Busbar for a low voltage, medium voltage, or high voltage switchgea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742B1 (ko) 2012-12-20 2013-03-06 (주)금정이엔씨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WO2015042927A1 (en) 2013-09-29 2015-04-02 Abb Technology Ltd Main bus-bar, branch bus-bar, transfer connector and bus-bar assembly
CN105493367A (zh) * 2013-09-29 2016-04-13 Abb技术有限公司 主母线、分支母线、传输转接块和母线组件
EP3050183A4 (en) * 2013-09-29 2017-10-11 ABB Schweiz AG Main bus-bar, branch bus-bar, transfer connector and bus-bar assembly
CN105493367B (zh) * 2013-09-29 2018-05-29 Abb技术有限公司 主母线、分支母线、传输转接块和母线组件
CN110518421A (zh) * 2019-08-26 2019-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母线槽连接器及供电设备
US11563315B2 (en) 2019-08-26 2023-01-24 Huawei Digital Power Technologies Co., Ltd. Busway connector and power supply device
EP4369542A1 (en) * 2022-11-10 2024-05-15 Abb Schweiz Ag Busbar for a low voltage, medium voltage, or high voltage switchge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469B1 (ko)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부스바 접속구조
US8319106B2 (en) Carrying device for busbars
RU2500058C2 (ru) Зажимно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JP4523088B2 (ja) 配電盤ラーメン構造体のラーメン柱に取り付けエレメントを固定する装置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KR100720319B1 (ko)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KR20080003842U (ko) 배전반
KR100967386B1 (ko) 부스바 체결 클립
KR100981271B1 (ko) 분전반용 차단기 받침대
KR100820911B1 (ko) 부스바 체결장치
KR200396733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00002038U (ko) 부스바 체결장치
KR100550180B1 (ko) 분전반
US20020139059A1 (en) Device which secures external walls and components of a room and which has improved drainage capabilities and aesthetics
KR100783130B1 (ko) 분,배전반의 차단기용 고정 프레임
CN207530499U (zh) 一种高强度设备线夹
KR20110086970A (ko)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CZ303609B6 (cs) Nosný modul pro elektrické prístroje
JPH08182124A (ja) 配電盤
JP2004187404A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取付金具
JP4038040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分配中継装置
KR100629940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
KR100518791B1 (ko) 분배전반
JP3477997B2 (ja) 分電盤
US4194712A (en) Clamp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