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847B1 -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847B1
KR100629847B1 KR1020040010682A KR20040010682A KR100629847B1 KR 100629847 B1 KR100629847 B1 KR 100629847B1 KR 1020040010682 A KR1020040010682 A KR 1020040010682A KR 20040010682 A KR20040010682 A KR 20040010682A KR 100629847 B1 KR100629847 B1 KR 100629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tag
information
radio
delete delet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624A (ko
Inventor
시이야마히로타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401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539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448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528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448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542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710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77095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4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5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04N2201/326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of text or character information, e.g. text accompanying an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7The additional information being stored in the same storage device as the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 동작을 간편히 실현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가 선택된 경우, 촬영버튼(셔터버튼)이 반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 무선태그 검출기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발생한다. 그 후,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고, 무선태그 ID를 고유하게 결정할 수 있는 경우, "촬영 OK"의 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촬영버튼이 반 눌려진 상태에서 완전히 눌려지면, 촬상처리를 실행한다.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 기억한다.
촬영장치, 무선태그, 마크로 촬영모드, 여기전파, 특징점

Description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도 1은 실시예 1의 촬영장치(101)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촬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서 기억하는 정보 스키머(schema)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실시예 3에 따른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실시예 4에 따른 무선태그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실시예 4에 따른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실시예 4에 따른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실시예 4에 따른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실시예 5에 따른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서 기억하는 정보 스키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실시예 6에 따른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실시예 7에 따른 무선태그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5는 실시예 7에 따른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6은 실시예 8에서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등록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7은 촬영장치(101)의 일례인 휴대전화단말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여 기억하는 정보 스키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실시예 8에서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판정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0은 실시예 9에서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판정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1은 실시예 10에서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판정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2는 실시예 11의 물품관리장치(3101)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실시예 11에서의 등록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4는 정보 스키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검출처리를 행할 때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26은 실시예 11에서의 검출처리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7은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실시예 12의 물품관리장치(3801)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9는 실시예 12에서의 등록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0은 촬영장치(3802)의 외관도,
도 31은 정보 스키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검출처리를 행할 때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33은 물품관리장치(3801)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4는 실시예 12에서의 검출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촬영장치 102 : 피사체
103 : 무선태그 104 : 렌즈
105 : 무선태그 검출기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 기억 및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무선태그를 각 물품에 장착해 두고, 태그 ID를 검출기로 판독하는 상품관리기술을 사용하였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평 10-198731호 참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무선태그 ID의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여 관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 무선태그 ID를 화상정보와 조합함으로써, 더욱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더구나 화상정보와 같은 보조 정보를 태그 ID와 관련하여 어떻게 하여 간편히 취득 및 등록하는지에 대하여 조금도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을 간편히 실현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는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
즉, 촬영장치는, 피사체에 장착되어 소정의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소정의 정보를 무선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수단으로부터의 무선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피사체의 촬영과 상기 정보취득수단에 의한 무선정보의 취득의 양쪽을, 공통의 조작부의 조작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 백해지고,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 부품을 나타낸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a는, 본 실시예의 촬영장치(101)를 나타낸다. 촬영장치(101)는,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단말 또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영기능을 갖는 기기에 해당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102는 피사체, 103은 피사체(102)에 장착되어 소정의 정보를 기억함과 아울러 소정의 정보를 무선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수단인 무선태그, 104는 피사체(102)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광학계로서의 렌즈, 105는 무선태그정보(태그 ID)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취득수단(무선태그 검출장치)인 무선태그 검출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장치가 취득수단인 촬영유닛과 정보취득수단을 따로따로 갖는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촬영유닛 및 정보취득수단을 일체화해도 된다.
여기서, 무선태그정보란, 예를 들면 물품이나 장소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한 ID 정보이다. 최근, 무선태그의 예로서 전자기 유도 무선태그장치가 발표되었다. 이 장치는, μ-칩이라 부르는 극소의 실리콘 칩으로 개체 고유의 번호정보를 기억한다. 외부로부터 전파를 수신할 때, 이 장치는 그 유도기전력에 의해 전력을 얻어 개체 고유의 번호정보를 무선으로 전송가능하게 한다. 고주파대역의 무선태그의 일례로는, 전파에너지 그 자체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파 무선태그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무선태그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사체(102)가 데이터베이스에 촬영되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촬영 전에 미리 피사체(102)에 무선태그를 장착해 둔다.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무선태그를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파의 발신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접착실을 사용하여 무선태그를 접착하거나 또는 도료에 섞어 도포하여도 된다. 또한, 무선태그는, 피사체 내부에 내장되어 있거나, 피사체의 일부에 장착 또는 부가되거나, 또는 피사체 상에 적재되어도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장착방법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람 또는 동물에 무선태그를 장착하는 경우, 무선태그를 갖는 사람 또는 동물의 촬영화상은, 물품의 촬영화상과 같은 것으로서 간주할 수 있다. 사람의 개인용도로 늘어뜨린 장식 또는 관통된 이어링에 무선태그를 장착하는 경우, 그 무선태그를 갖는 사람 또는 동물의 촬영화상은 물품의 촬영화상과 같다고 간주할 수 있다.
피사체(102)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의 양쪽을 일련의 동작으로 행하도록, 촬영과 태그정보수신을 위해 촬영장치(101)의 자세를 변경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피사체(102)에 촬영광학계로서의 렌즈(104)를 만들면서 무선태그로부터의 전파를 충분한 감도 및/또는 지향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본 실시예에서는 렌즈(104)의 근방의 촬영장치의 면과, 렌즈(104)와 동일한 면측의 위치)에 무선태그 검출기(105)를 배치한다. 지향성 방향이 렌즈(104)의 촬영방향과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하고 또한 충분한 감도가 유지가능한 경우에는, 촬영장치(101)의 배면에 무선태그 검출기(105)가 존재하여도 된다.
또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무선태그(103, 106, 107)가 존재하는 경우, 타깃 외의 무선태그로부터의 동시수신을 피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선태그 검출기(105)의 검출부는, 소정 각도의 지향성을 갖고, 또한 렌즈(104)의 촬영방향과 지향성 방향이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 소품의 촬영에 사용되는 마크로(macro) 촬영은, 20cm 내지 40cm 정도의 거리에서 행해진다. 광학계 광축 상에서 렌즈로부터 20cm 내지 40cm 정도의 거리의 위치에 무선태그 검출기(105)의 지향성의 축이 교차하여도 된다.
도 1b의 예에서는, 타깃이 되는 무선태그 검출기(105)로부터 타원(도 1b의 점선)의 크기가 지향성 감도를 나타낸다. 무선태그(103)가 광학계 광축 상에서 또한 그 광축과 무선태그의 최대 지향성 방향과의 교점에 존재하는 경우, 비타깃인 무선태그(106, 107)로부터의 전파에 대한 감도는 작다. 따라서, 이들 무선태그(106, 107)로부터의 영향은 적어지고 있다.
도 2는 촬영장치(10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부호 104는 촬영광학계이다. CCD 촬상소자 또는 CMOS 촬상소자 등의 촬상소자(2)는 촬상수단이다. 신호처리회로(3)는, 촬상소자로부터의 출력을 A/D 변환하여 감마변환이나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기록 인터페이스회로(4)는, 신호처리회로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반도체 메모리 등의 탈착가능한 기록매체(5)의 기록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한다. 도면부 호 105는 무선태그 검출장치, 7은 셔터 릴리스(1)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 8은 촬영장치의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RAM이나 EEPROM, 9는 화상표시나 경고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부, 10은 촬영장치 내의 각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로, CPU를 내장하고 있다.
다음에,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01에서는, 사용자(조작자)에 의해 선택되는 모드가 통상촬영모드인지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인지를 판정한다. 모드의 선택은 먼저 촬영모드로 한 상태에서 촬영모드용 스위치와는 별도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환하는 모드이어도 된다. 이와는 달리, 통상의 카메라의 자동 또는 수동 촬영모드를 선택하는데 사용된 회전식 촬영모드 선택스위치의 선택으로서 통상촬영모드와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가 제공되어도 된다.
상기 단계 S201에서 통상촬영모드가 선택된 경우, 단계 S202에서 무선태그관련의 처리는 행하지 않고 촬영처리를 행한다. 화상 데이터 및 자동적으로 얻어지는 날짜 등의 메타(meta)데이터를 기억한다. 즉, 통상촬영모드와 무선태그 검출기의 기능은 관계가 없다. 이 처리는 통상의 촬영과 같아,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01에서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가 선택된 경우, 단계 S203으로 옮겨, 촬상계를 마크로 촬영모드로 자동적으로 바꾼다. 무선태그를 갖는 피사체는, 촬영장치(101)의 근방에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자동적으로 예를 들면, 마크로 촬영모드나 근거리 촬영모드(초점거리를 무선태그 검출기의 검출가능거리에 대응한 짧은 범위로 설정한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면,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단계 S204에서 피사체를 촬상계에서 포착하여 촬영버튼(셔터 릴리스 버튼(1))이 반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 단계 S205에서 무선태그 검출기(105)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발생한다. 그 기전력에 의해 무선태그는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한다.
단계 S206에서는,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단계 S207로 옮긴다. 유일한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 또는, 복수의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에,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태그 ID 신호의 강함이 2번째로 강한 무선태그정보신호의 강함에 대하여 사전에 정한 차이 이상, 또는, 사전에 정한 배율 이상이 강함으로,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태그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 무선태그 ID를 고유하게 결정할 수 있다고 하고,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했다고 한다. 동시에 복수의 무선태그가 검출된 경우라도, 이 무선태그들이 예를 들면, 동일한 그룹에 속하면, 통신이 성공했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상기 단계 S207에서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했다고 판정하면, 단계 S208로 옮겨, "촬영 OK"의 상태가 예를 들면 뷰파인더 내부/본체상의 초록 램프로 점등되고, 액정표시부에 그 상태가 표시되거나, 또는 음성으로 경고메시지를 낸다. 여기서, 먼저 무선태그와의 통신성공을 먼저 확인하는 것은, 촬상의 실패율에 대하여, 무선태그와의 통신의 실패율 쪽이 높기 때문이다. 무선태그와의 통신성공이 먼저 확인되면, 쓸데없는 촬상을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응용 용도에 따라서는, 먼저 촬상동작을 행한 후, 무선태그의 검출동작을 행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도 이러한 경우를 포함한다.
다음에 단계 S209에서 촬영버튼이 반 누름 상태로부터 완전히 눌려지면, 단계 S210에서 촬상처리를 행한다. 단계 S211에서는,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예를 들면, 서로 링크시키거나, 또는 공통의 기억영역에 기억하거나 하는 등으로 서로 관련되게 하여) 기억한다. 소정 시간 이내에 촬영버튼이 완전히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황이 변화될 수도 있다. 다시 단계 S204로 되돌아가, 무선태그 정보발신의 검색처리를 다시 행한다.
이와 같이, 촬영버튼을 반 누른 상태에서 상기 처리를 행하면, 사용자는 무선태그정보의 검출상태를 파악하여, 그 무선태그검출 성공 여부에 따라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무용한 촬상동작을 피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의 쌍을 기억하는 정보 스키머로서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데이터베이스 DB가 있다. DB 레코드는, 무선태그 ID 정보, 화상으로의 포인터뿐만 아니라, 화상사이즈(종횡사이즈 또는 바이트 수), 화상에 대하여 유일하게 부여되는 화상 ID 및 날짜 등의 자동취득가능한 메타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화상으로의 포인터는, 화상저장처의 어드레스나 화상파일의 패스정보일 수 있다. 또한, 화상으로의 포인터가 아니라 화상 데이터 자신을 기억하는 스키머라도 상관없다.
상기 단계 S206에서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이 실패했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 S212로 옮겨,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경고를 행한다. 그 경고내용의 예로는,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할 수 없다거나 또는 복수의 무선태그 정보원이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사용하기 쉬운 방법으로서는,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무선태그검출의 조건을 변경하여 재촬영하도록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경고를 행한다.
또한, 상기 단계 S207에서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은 성공했지만, 복수의 태그가 검출되어 그들중 하나가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계 S213으로 옮겨, 피사체를 다른 무선태그의 영향이 적은 곳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촬영장치(101)를 접근시켜 무선태그의 수신신호를 강하게 하는 것과 같은 충고를 행하여, 사용자가 적절하게 촬영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반 누르는 상태에서 통신이 성공하면 촬상처리를 행하고, 통신이 실패하면 처리를 충고하는 처리를 반복적으로 행하여도 된다.
사용하기 쉽지는 않지만, 단계 S212 또는 S213에서 사용자에게 경고를 행하지 않고 촬영버튼을 끊어지지 않게 하여도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선태그를 갖는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의 양쪽을 간편한 일련의 동작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한 예에서는,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성공 후에 촬상동작을 행한다. 그러나, 이들 동작은, 거의 동시에(거의 병행하여) 행하여도 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셔터버튼의 반 누름 상태로 무선태그 ID 취득의 상태 정보를 얻어 셔터버튼을 완전히 누른 예를 들었다. 본 실시예 2에서는, 셔터버튼을 반 누를 때 무선태그 ID 취득의 상태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셔터버튼을 완전히 누를 때(전부 누를 때), 무선태그 정보발신 검색으로부터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단계 S301∼S303의 처리는, 도 3에서의 흐름도의 단계 S201∼S203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304에서 촬영버튼(셔터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출하면, 단계 S305에서 무선태그 검출기(105)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발생한다. 그 기전력에 의해 무선태그는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한다.
단계 S306에서는,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단계 S307로 옮긴다. 유일한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 또는, 복수의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에,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태그 ID 신호의 강함이 2번째로 강한 무선태그 정보신호의 강함에 대하여 사전에 정한 차이 이상, 또는, 사전에 정한 배율 이상의 강함으로,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태그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 무선태그 ID를 고유하게 결정할 수 있다고 판정하고,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태그가 동시에 검출된 경우이어도 그것이 미리 판정된 예를 들면, 동일한 그룹의 태그인 것을 안 경우에는 통신이 성공했다고 판정해도 된다.
상기 단계 S307에서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했다고 판정되면, 단계 S308로 옮겨 즉시 촬상처리를 행한다. 단계 S309에서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 기억한다. 따라서,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의 양쪽을 일련의 동작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306에서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이 실패한 경우, 단계 S310으로 옮겨,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할 수 없다고 사용자에게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경고를 한다.
또한, 상기 단계 S307에서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했지만, 복수의 태그가 검출되어 특정할 수 없다고 하면, 단계 S311로 옮겨, 복수의 무선태그가 있다는 것을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또한, 사용하기 쉬운 방법으로서는, 상기 단계 S310에서는 무선태그검출의 조건을 변경하여 재촬영하도록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경고를 행한다. 상기 단계 S311에서는 피사체를 다른 무선태그의 영향이 적은 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촬영장치를 피사체에 접근시켜 무선태그의 수신신호를 강하게 할 것을 사용자에게 충고하여도 된다.
사용하기 쉽지는 않지만, 단계 S310 또는 S311에서 사용자에게 경고를 행하지 않아 셔터버튼을 끊어지지 않게 하여도 된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2에서는, 셔터버튼의 상태에 따라 무선태그 여기전파를 송출한다. 본 실시예 3에서는,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로 되었으면 무선태그 여기전파를 송출한다.
이하,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촬영장치(101)로서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단계 S401∼S403의 처리는, 도 3에서의 흐름도의 단계 S201∼S203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404에서는 무선태그 검출기(105)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발생한다. 그 기전력에 의해 무선태그는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한다.
단계 S405에서는,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단계 S406으로 옮긴다. 유일한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 또는 복수의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에,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태그 ID 신호의 강함이 2번째로 강한 무선태그정보신호의 강함에 대하여 사전에 정한 차이 이상, 또는, 사전에 정한 배율 이상의 강함으로,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태그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 무선태그 ID를 고유하게 결정할 수 있다고 판정하고,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했다고 판정한다. 복수의 무선태그가 검출되어도, 미리 정한 특정그룹의 태그이면 통신성공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상기 단계 S406에서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했다고 하면, 단계 S407로 옮겨, "촬영 OK"의 상태가 예를 들면, 뷰파인더 내부 또는 본체의 초록 램프 표시, 또는 액정표시부에 표시되고, 또는 음성으로 경고 메시지를 낸다.
단계 S408에서 촬영버튼(셔터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출하면, 단계 S409에서 촬상처리를 행한다. 단계 S410에서는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 기억한다. 이때, 단계 S408에서 즉시 촬영버튼(셔터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황이 변화되기도 한다. 단계 S404로 되돌아가, 무선태그 정 보발신의 검색처리의 재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무선태그정보의 검출상태를 파악하고, 그 무선태그 검출의 성공 여부에 따라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405에서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이 실패한 경우는, 단계 S411로 옮겨,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경고를 한다. 그 경고내용의 예로는,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할 수 없다거나 또는 복수의 무선태그 정보원이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사용하기 쉬운 방법으로서는, 무선태그 정보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무선태그검출의 조건을 변경하여 재촬영하도록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단계 S406에서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했지만, 복수의 태그가 검출되어 고유하게 무선태그를 특정할 수 없으면, 단계 S412로 옮겨, 피사체를 다른 무선태그의 영향이 적은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촬영장치(101)를 피사체에 접근시켜 무선태그의 수신신호를 강하게 하는 충고를 사용자에게 행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촬영을 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반 누름으로 통신이 성공하면 촬상처리를 수행하고, 통신이 실패하면 충고를 행하는 처리를 재귀적으로 행하여도 된다.
사용하기 쉽지는 않지만, 단계 S411 또는 S412에서 경고를 행하지 않고 촬영버튼을 끊어지지 않게 하여도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선태그를 갖는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의 양쪽을 간편한 일련의 동작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404에서 무선태그 여기전파를 송출한다. 그 타이밍으로서, 전력을 소비하지만,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로 설정한 후(단계 S401) 여기전파를 계속 송출해도 된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무선태그가 독립전원을 포함하지 않고, 전력을 여기하는 전파를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 4에서는, 무선태그 자신이 내장전원을 갖고,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 무선태그의 내장전원의 소비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무선태그에 닿을 때 무선태그가 전원이 온된다. 또한, 무선태그는 저소비 전력모드에서 외부로부터의 지시를 대기하도록 대기상태로 놓는다. 외부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했을 때에, 무선태그에 소정 시간 이내 또는 소정 회수의 통신, 또는 소정 시간 이내 소정 회수의 통신을 행하는 지시를 준다. 이 지시에 의해, 무선태그에 무선태그정보를 발신시켜,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을 행한다.
도 7은 소정 시간 이내 소정 회수의 통신을 행하는 무선태그로서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나타낸다. 단계 S501에서는 무선태그에 닿거나 또는 지시를 수신하여 무선태그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 단계 S502에서는 무선태그 동작시간 t 및 무선태그 오프명령 수신 회수 n을 0으로 리셋한다.
단계 S503에서는 무선태그 동작시간 t를 계측한다. 단계 S504에서는, 무선태그 동작시간 t가 미리 정해진 동작시간 임계치 T 이하인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무 선태그 동작시간 t이 동작시간 임계치 T를 초과하면, 단계 S509로 옮겨, 무선태그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
무선태그 동작시간 t가 동작시간 임계치 T 이하이면, 단계 S505로 옮겨, 전원오프의 명령이 통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상기 단계 S505에서 전원오프의 명령이 통신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506에서 무선태그 ID 신호를 송출하고, 다시 단계 S50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상기 단계 S505에서 전원오프의 명령이 통신되어 있으면, 단계 S507에서 무선태그 오프명령 수신회수 n을 1 증가한다. 단계 S508에서는 무선태그 오프명령 수신회수 임계치 N과 무선태그 오프명령 수신회수 n을 비교한다. 무선태그 오프명령 수신회수 n이 N 미만이면, 단계 S506에서 무선태그 ID 신호를 송출한다. 무선태그 오프명령 수신회수 n이 N 이상이면, 단계 S509에서 무선태그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소정 시간 이내 소정 회수의 통신을 행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소정 시간 이내 또는 소정 회수의 통신을 실행하여도 된다.
도 8은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술한 예에 있어서, 무선태그 자신이 내장전원을 갖고,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하도록 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의 흐름도에서와 같은 동일한 단계 수는, 도 8의 동일한 처리동작을 의미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단계 S204 전에, 무선태그를 닿게 함으로써 무선태그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처리(단계 S214)를 추가하고, 무선태그 여기전파 송출처리(단계 S205)를 생략한다. 또한, 단계 S211 후에, 무선태그의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처 리(단계 S215)를 추가한다.
이와 같이 촬영장치(101)에서 도 8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행하고, 무선태그측에서 도 7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행하는 경우, 무선태그의 내장전원의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실시예 2에서 기술한 예에 있어서, 무선태그 자신이 내장전원을 갖고,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하도록 하는 경우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때, 도 5의 흐름도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 수는 도 9의 동일한 처리동작을 의미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단계 S304 전에, 무선태그를 닿게 함으로써 무선태그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처리(단계 S312)를 추가하고, 무선태그 여기전파 송출처리(단계 S305)를 생략한다. 또한, 단계 S309 후에, 무선태그의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처리(단계 S313)를 추가한다.
이와 같이 촬영장치(101)에서 도 9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행하고, 무선태그측에서 도 7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행하는 경우, 무선태그의 내장전원의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무선태그의 전원을 수동으로 온으로 하는 타이밍은, 도 8 또는 도 9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셔터버튼이 반 또는 완전히 눌리는 것을 검출하는 처리전의 임의의 다른 타이밍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실시예 3에서 기술한 예에 있어서, 무선태그 자신이 내장전원을 갖고,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하도록 하는 경우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때, 도 6의 흐름도에서와 같은 단계 수는, 도 10의 동일한 처리동작을 의미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단계 S405 전에, 무선태그를 닿게 함으로써 무선태그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처리(단계 S413)를 추가하고, 무선태그 여기전파 송출처리(단계 S404)를 생략한다. 또한, 단계 S410 후에, 무선태그의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처리(단계 S414)를 추가한다.
이와 같이 촬영장치(101)에서 도 10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행하고, 무선태그측에서 도 7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행하는 경우, 무선태그의 내장전원의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설명된 예에서는, 사용자가 촬영모드를 수동으로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로 전환한다. 그렇지만, 촬영을 위해 피사체를 촬상계에서 포착하여 촬영버튼을 반 눌러 무선태그를 검색하고,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하면, 자동적으로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로 한다. 그 통신이 실패하면, 통상촬영모드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선태그 검출기(105)를 촬영장치(101)에 구비하여, 촬영과 무선태그의 검출의 양쪽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장치(101)를 피사체에 가까이 이동시켜 태그 ID를 검출하면 거의 동시에 피사체를 촬영하고, 태그 ID와 화상정보를 쌍으로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촬영 직전에 무선태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무선태그정보를 취득하지 않고서 피사체만을 촬영하는 어떠한 촬영오류 또는 쓸데없는 촬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태그 ID와 촬영화상을 쌍으로서 기억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대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무선태그 ID는 사람에게 있어서 무의미한 기호열로 기억하기 어렵지만, 화상은 사람의 기억에 남기 쉽다. 무선태그 ID와 쌍을 이루는 촬영화상을 무선태그 ID를 나타낸 심볼, 즉 아이콘으로서 활용하면, 무선태그 ID를 지정하는 UI 또는 GUI로서 막대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하나의 촬영장치가 무선태그 검출기와 촬영유닛을 갖는다. 그러나, 서로 통신하는 기능을 갖되, 무선태그 검출기를 갖는 장치와 촬영유닛을 갖는 다른 장치를 제공하여도 된다. 촬영유닛을 가진 장치의 조작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촬영유닛에 의한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태그 검출기에 의한 무선태그 ID의 수신도 행하도록 한다. 또한, 그 통신기능을 사용하여, 촬영유닛을 가진 장치 또는 외부의 메모리장치에 무선태그 ID와 촬영화상을 쌍으로 하여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무선태그 검출기를 가진 장치측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촬영유닛에 의한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태그 검출기에 의한 무선태그 ID의 수신도 행하도록 한다. 그 통신기능을 사용하여, 무선태그유닛을 가진 장치 또는 외부의 메모리장치에 무선태그 ID와 촬영화상을 쌍으로 하여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것처럼,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하면,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을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에 본 실시예 5를 설명한다. 본 장치 구성은, 도 1a, 1b 및 도 2와 같 다. 도 1a, 1b 및 도 2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시예 5의 동일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201에서는, 무선태그 검출기(105)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발생한다. 그 기전력에 의해 무선태그는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한다.
단계 S1202에서는,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단계 S1203으로 이동하여, 즉시 무선태그정보의 검출을 행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 S1204로 이동한다. 단계 S1203에서는, 유일한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또는 복수의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하는 경우에, 무선태그정보의 검출이 성공했다고 판정한다. 복수의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는, 그 신호강도의 순위도 일시 기억해 둔다.
한편, 단계 S1202에서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그대로 단계 S1204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여도 된다.
그리고, 단계 S1204에서 촬영버튼(셔터버튼)의 누름을 검지하면, 단계 S1205에서 촬영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에, 상기 단계 S1203의 처리로 무선태그정보가 취득되면(단계 S1206), 단계 S1207에서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 기억한다. 그리고, 단계 S1208에서는,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 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 기억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 통지에서는, "무선태그정보취득 OK"의 상태가, 예를 들면 뷰파인더 내부 또는 본체의 초록램프 표시, 액정표시부에 표시되고, 또는 음성으로 경고 메시지가 나온다. 복수의 무선태그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 무선태그정보의 개수와 각 무선태그정보의 값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여도 된다.
무선태그정보가 취득되지 않으면(단계 S1206), 단계 S1209에서 무선태그정보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 기억한다. 사용자에게 이것을 통지하기 위해서는, "무선태그정보취득 NG"의 상태가, 예를 들면 뷰파인더 내부 또는 본체의 초록램프 표시 또는 액정표시부에 표시되고, 또는 음성으로 경고메시지가 나온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무선태그정보를 갖는 화상을 얻기를 원하는 경우, 사람들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재시도할 수 있다.
쌍으로서 기억하는 정보 스키머로서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데이터베이스 DB를 사용한다. DB 레코드는 무선태그 ID 정보, 신호강도의 리스트, 화상으로의 포인터뿐만 아니라, 화상사이즈(종횡사이즈, 바이트수), 화상에 대하여 유일하게 부여되는 화상 ID, 날짜 등의 자동취득가능한 메타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화상으로의 포인터는, 화상저장처의 어드레스 또는 파일의 패스정보일 수 있다. 화상으로의 포인터가 아니라 화상 데이터 자신을 기억하는 스키머라도 상관없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선태그를 갖는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의 양쪽을 간편한 일련의 동작으로 행할 수 있다. 더구나, 무선태그정보의 취득 여부에 따라 기억처리를 행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에서는, 촬영버튼을 누르기 전에 무선태그정보를 검색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 6에서는, 촬영버튼을 누른 후에 무선태그정보를 검색하는 예이다.
이하, 도 1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301에서는, 촬영버튼(셔터버튼)이 눌러졌는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촬영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처리를 루프하며 대기한다.
그리고, 촬영버튼(셔터버튼)의 누름을 검출하면, 단계 S1302에서 촬영처리를 행한다. 단계 S1303에서는 무선태그 검출기(105)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발생한다. 그 기전력에 의해, 무선태그는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한다.
단계 S1304에서는,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단계 S1305로 이동하여, 즉시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하여 단계 S1306으로 이동한다. 단계 S1305에서는, 유일한 무선태그정보 또는 복수의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무선태그정보의 검출이 성공했다고 판정한다. 복수의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 그 신호강도의 순위도 일시 기억해 둔다.
한편, 단계 S1304에서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그대로 단계 S1309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여도 된다.
상기 단계 S1305의 처리에서 무선태그정보가 취득되면(단계 S1306), 단계 S1307에서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 기억한다. 그리고, 단계 S1308에서는,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 기억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 통지로서는, "무선태그정보취득 OK"의 상태가, 예를 들면 뷰파인더 내부 또는 본체의 초록 램프 표시 또는 액정표시부에 표시되고, 또는 음성으로 경고메시지가 나온다. 또한, 복수의 무선태그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무선태그정보의 개수와 각 무선태그정보의 값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여도 된다.
무선태그정보가 취득되지 않으면(단계 S1306), 단계 S1309에서 무선태그정보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 기억한다. 이 통지로서도, "무선태그정보취득 NG"의 상태가, 예를 들면 뷰파인더 내부 또는 본체의 초록 램프 표시 또는 액정표시부에 표시되고, 또는 음성으로 경고메시지가 나온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선태그를 갖는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의 양쪽을 간편한 일련의 동작으로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더구나,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의 가부에 따라 기억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응답의 관점에서, 셔터버튼을 누른 직후에 촬영처리를 행한다. 그 후에, 무선태그 여기전파의 송출 및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처리를 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셔터버튼을 누른 직후에 무선태그 여기전파의 송출 및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처리를 행한다. 그 후에, 촬영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5 및 6에서는, 무선태그가 독립전원을 내부에 갖지 않고, 전력을 여기하는 전파를 필요로 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 7에서는, 무선태그 자신이 내장전원을 갖고,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 무선태그의 내장전원의 소비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무선태그에 닿을 때, 무선태그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 소정 시간 이내, 소정 회수의 통신, 또는 소정 시간 이내 소정 회수의 통신을 행하는 지시를 준다. 이 지시에 의해, 무선태그에 무선태그정보를 발신시켜,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을 행한다.
도 14는 소정 시간 이내 소정 회수의 통신을 행하는 무선태그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나타낸다. 단계 S1401에서는 무선태그에 닿게 하여 무선태그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 단계 S1402에서는 무선태그 동작시간 t 및 무선태그 오프명령 수신회수 n을 0으로 리셋한다.
단계 S1403에서는, 무선태그 동작시간 t를 계측한다. 단계 S1404에서는, 무선태그 동작시간 t가 미리 정해진 동작시간 임계치 T 이하인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무선태그 동작시간 t가 동작시간 임계치 T를 초과하면, 단계 S1409로 이동하여, 무선태그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
무선태그 동작시간 t가 동작시간 임계치 T 이하이면, 단계 S1405로 이동하여, 전원오프의 명령이 통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상기 단계 S1405에서 전원오프의 명령이 통신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1406에서 무선태그 ID 신호를 송출하고, 다시 단계 S140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상기 단계 S1405에서 전원오프의 명령이 통신되어 있으면, 단계 S1407에서 무선태그 오프명령 수신회수 n을 1 증가한다. 단계 S1408에서는, 무선태그 오프명령 수신회수 임계치 N과 무선태그 오프명령 수신회수 n을 비교한다. 무선태그 오프명령 수신회수 n이 N 미만이면, 단계 S1406에서 무선태그 ID 신호를 송출한다. 무선태그 오프명령 수신회수 n이 N 이상이면, 단계 S1409에서 무선태그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소정 시간 이내 소정 회수의 통신을 행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소정 시간 이내 또는 소정 회수의 통신으로 해도 상관없다.
도 15는 상기 실시예 5에서 기술한 예에 있어서, 무선태그 자신이 내장전원을 가지고,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하도록 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의 흐름도에서와 같은 동일한 단계수는, 도 15의 동일한 처리동작을 의미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무선태그 여기전파 송출처리(단계 S1205) 대신에, 무선태그를 닿게 함으로써 무선태그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처리(단계 S1211)를 추가한다. 또한, 단계 S1208, S1209 후에, 무선태그의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처리(단계 S1212)를 추가한다.
이와 같이 촬영장치(101)에서 도 15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행하는 경우, 무선태그측에서 도 14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행함으로써, 무선태그의 내장전원의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예 6에서 서술한 예에 있어서, 무선태그 자신이 내장전원을 갖고,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하도록 한 경우도, 무선태그 여기전파 송출처리(단계 S1303) 대신에, 무선태그를 닿게 함으로써 무선태그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처 리를 추가한다. 또한, 단계 S1308 및 S1310 후에, 무선태그의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처리를 추가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선태그 검출기(105)를 촬영장치(101)에 구비하여, 촬영과 무선태그의 검출의 양쪽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장치(101)를 피사체에 가깝게 이동하여 태그 ID를 검출하면 거의 동시에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여, 태그 ID와 화상정보를 쌍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직전에 무선태그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태그정보를 취득하지 않고 피사체만을 촬영하는 어떠한 오류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태그 ID와 촬영화상을 쌍으로서 기억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무선태그 ID는 사람에게 있어서 무의미한 기호열로 기억하기 어렵지만, 화상은 사람의 기억에 남기기 쉽다. 따라서, 무선태그 ID와 쌍을 이루는 촬영화상을 무선태그 ID를 나타내는 심볼, 즉 아이콘으로서 사용하면, 무선태그 ID를 지정하는 UI 또는 GUI로서 막대한 장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무선태그정보가 취득되지 않은 경우, 경고를 한다(단계 S1210 또는 S1310). 그러나, 무선태그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통상의 촬영으로서 생각하고, 경고출력을 생략하여도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5 내지 7에 의하면,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정보의 취득을 동시에 간편히 실행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정보의 취득의 가부에 따라 기억처리를 행할 수 있다.
<실시예 8>
다음에 실시예 8을 설명한다. 본 장치의 구성은, 도 1a, 1b 및 도 2와 같다. 도 1a, 1b 및 도 2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본 실시예 8의 동일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실시예 8에 따른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등록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201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모드가 통상촬영모드인지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인지를 판정한다.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촬영모드를 설정한 후, 그 상태에서 촬영모드용 스위치와는 별도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환하는 모드이어도 된다. 이와는 달리, 통상의 카메라의 자동 또는 수동 촬영모드를 선택하는데 사용된 회전식 촬영모드 선택스위치의 선택시에 통상촬영모드와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를 준비하여도 된다.
상기 단계 S2201에서 통상촬영모드가 선택된 경우, 단계 S2202에서 무선태그관련의 처리는 행하지 않고 촬영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데이터 및 자동적으로 얻어지는 날짜 등의 메타데이터를 기억한다. 즉, 통상촬영모드인 경우에는 무선태그 검출기의 기능은 관계가 없다. 이 처리는 통상의 촬영과 같기 때문에,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201에서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가 선택된 경우, 단계 S2203으로 옮겨, 촬영계를 마크로 촬영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무선태그를 갖는 피사체는, 촬영장치(101)의 근방에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자 동적으로 촬영모드를 마크로 촬영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면,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단계 S2204에서는, 무선태그 검출기(105)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송출한다. 그 기전력에 의해 무선태그는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한다.
단계 S2205에서는,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2205에서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단계 S2206으로 옮긴다. 유일한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 또는 복수의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태그 ID 신호의 강함이 2번째로 강한 무선태그 정보신호의 강함에 대하여 사전에 정한 차이 이상, 또는, 사전에 정한 배율 이상의 강함으로,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태그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 무선태그 ID를 고유하게 결정할 수 있다고 판정하여,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했다고 한다.
상기 단계 S2206에서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했다고 하면, 단계 S2207로 옮겨, "촬영 OK"의 상태가, 예를 들면 뷰파인더 내부 또는 본체의 초록램프 표시, 또는 액정표시부에 표시되고, 또는 음성으로 경고메시지가 나온다.
단계 S2208에서 촬영버튼(셔터버튼)의 누름을 검출하면, 단계 S2209에서는 촬상처리를 행한다. 단계 S2210에서는,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 기억한다. 이때, 소정 시간 이내에 촬영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황이 변하기도 한다. 단계 S2204로 되돌아가, 무선태그정보발신의 검색처리의 재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무선태그정보의 검출상태를 파악하고, 그 무선태그검출 의 성공여부에 따라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촬영처리 후, 단계 S2211에서는,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화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에, 자동취득되지 않은 카테고리 정보(피사체의 속성("소품", "장식품", "의료", "사람", "동물" 또는 "AV 기기" 등의 카테고리))나 설명문(피사체의 구체적인 명칭 등) 등을 입력한다. 도 17에 나타낸 촬영장치(101)의 일례인 휴대전화단말에서는, "카테고리 정보"에 대해서는, 메뉴(605)로부터 십자 커서 키(602)를 사용하여 스크롤 선택한다. 사용자는 카테고리 항목을 더 확장할 수 있다. 설명문은, 키워드 필드(606)에 자유롭게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지의 휴대전화 문자입력수단을 사용하여 제한문자수 이하의 촬영대상에 관한 자유로운 문자를 입력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입력된 카테고리 정보 또는 설명문은, 데이터베이스 필드에 삽입되고, 쌍으로 된 무선태그정보와 화상정보에 관련시켜 기억한다.
키(604)를 사용하여 키워드 등의 문자열을 입력한다. 이들 키를 구비하여, "0" 내지 "9", "#" 및 "*"를 사용하여 통상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문자입력모드가 지정되면, 알파벳 "A" 내지 "Z"와 콤마 및 마침표 등의 심볼을 입력할 수 있다. 12개의 키(604)가 있다. 각 키에는 복수의 문자를 할당한다. 입력되는 문자는, 키를 누르는 회수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키 "A"가 한번 눌리면, 문자 "A"가 입력된다. 그 키가 두 번 눌리면, "B"가 입력된다. 그 키가 세 번 눌리면, "C"가 입력된다. 그 키가 네 번 눌리면, "A"가 다시 입력된다. 문자열 "AA"을 입력하려면, 그 키 "A"가 한번 눌려 "A"를 입력한다. 십자 커서를 움직인 후, 그 키 "A"를 다시 누른다. 즉, 십자 커서 키가 있으면, 전에 입력된 문자는, 그 십자 커서 키가 눌릴 때 확인된다.
여기서, 쌍으로 하여 기억하는 정보 스키머로서는,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데이터베이스 DB를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는, 무선태그 ID정보와 화상에의 포인터뿐만 아니라, 날짜 등의 자동취득가능한 메타 데이터나, 수동으로 부여되는 카테고리 정보 또는 설명문이 기억되어 있다. 화상에의 포인터는, 화상저장처의 어드레스 또는 화상파일의 패스정보가 있을 수 있다. 화상에의 포인터가 아니라 화상 데이터 자신을 기억하는 스키머라도 상관없다.
상기 단계 S2205에서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이 실패했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 S2212로 옮겨,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경고를 한다. 그 경고내용의 예로는,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할 수 없다거나 또는 복수의 무선태그 정보원이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사용하기 쉬운 방법으로서는, 무선태그 정보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 무선태그검출의 조건을 변경하여 재촬영하도록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경고를 행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단계 S2206에서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실패했다고 하면, 단계 S2213에 옮겨, 피사체를 다른 무선태그의 영향이 적은 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촬영장치(101)를 피사체에 접근시켜 무선태그의 수신신호를 강하게 하는 충고를 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촬영을 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반 누름으로 통신이 성공하면 촬영처리를 수행하거나, 통신을 실패하면 처리를 충고하는 처리를 재귀적으로 행하여도 된다.
사용하기 쉽지는 않지만, 단계 S2212 또는 S2213에서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지 않고 촬영버튼을 끊어지지 않게 하여도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선태그를 갖는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의 양쪽을 간편한 일련의 동작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정처리>
도 1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판정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빨간 안경(피실물)이, 그것과 잘 닮은 안경들에 혼재하여 어느 것인가 판정되지 않은 상황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경을 찾아 내는 예를 설명한다.
단계 S2301에서는, 데이터베이스 DB에 등록되어 있는 전체 화상 중 1페이지분의 촬영화상을 판독하여, 복수의 분할화면(601)에 그들의 썸네일(thumbnail) 화상을 표시한다.
분할화면(601)에 원하는 화상이 없는 경우, 사용자는 십자 커서 키(602)를 사용하여 스크롤 또는 역스크롤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다음 페이지의 표시가 지정되거나(단계 S2302), 선행 페이지의 표시가 지정되거나(단계 S2304) 한 경우, 각각 데이터베이스 DB에 등록되어 있는 전체 화상 중 아직 표시하고 있지 않은 1페이지분의 촬영화상을 판독하고, 분할화면(601)에 썸네일 화상을 표시한다(단계 S2303 또는 S2305).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후보화상을 표시시킨다. 원하는 화상 "빨간 안경"이 있으면 십자 커서 키(602) 중앙의 OK 버튼을 눌러 그 원하는 화상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화상을 지정시킨다(단계 S2306). 이때, 단계 S2302, S2304, S2306의 처리는 이벤트 구동형 플로우를 편의적으로 나타낸 것 이다. 사용자가 아무것도 입력을 하지 않으면, 단계 S2302→S2304→S2306→S2302의 루프를 계속 순환한다.
상기 단계 S2306에서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화상의 "빨간 안경"의 썸네일 화상이 지정된 경우, 단계 S2307로 옮겨, 그 화상과 쌍을 이루는 무선태그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단계 S2308에서는, 무선태그 검출기(105)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송출한다. 그 기전력에 의해 무선태그는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한다.
단계 S2309, S2310에서는, 무선태그정보의 검출처리를 행하고, 무선태그정보가 검출되었는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단계 S2310에서 무선태그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308로 되돌아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송출한다. 이 처리를 재귀적으로 반복한다. 이때, 무선태그신호의 혼신을 피하기 위해,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하고 싶은 피험물을 다른 피험물로부터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2310에서 무선태그정보가 검출된 경우, 단계 S2311로 옮겨, 먼저 "빨간 안경"의 무선태그정보와 이번에 검출한 무선태그정보(태그 ID의 값)를 비교한다. 그리고, 이 2개의 무선태그정보가 서로 동일하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2312에서 "일치!"라는 메시지를 상태표시영역(603)에 표시한다. 그 2개의 무선태그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 S2313에서는 무선태그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것을 보고한다.
그 상태 표시 이외에도, 일치하면 초록색 LED를 점등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빨간색 LED를 점등하여도 된다. 이와는 달리, "일치하다고 판정함" 또는 "일치하지 않음"이라 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여도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외관이 유사한 복수의 물품에 자기의 물품이 섞여있는 경우, 무선태그 검출기를 사용하여 피험물에 장착한 무선태그의 태그 ID를 취득한다. 그 촬영화상과 쌍을 이루는 태그 ID와 피험물에 장착한 무선태그의 태그 ID를 비교함으로써, 자기의 소유물을 분별할 수 있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8에서는 판정처리를 변경하고 있다. 이때, 등록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판정처리>
도 2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판정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예를 들면 메뉴(605)를 사용하여 카테고리 리스트에서 원하는 카테고리를 지정한다. 본 예에서는 "소품"을 지정한다. 사용자에 의해 카테고리(속성)가 지정되면, 속성검색을 행한다(단계 S2401). 히트한 화상(도 17의 예에서는 "빨간 안경", "은테 안경", "썬글라스")을 판독하여 분할화면(601)에 썸네일 화상을 표시한다(단계 S2402).
분할화면(601)에 원하는 화상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십자 커서 키(602)를 사용하여 스크롤 또는 역스크롤 한다. 사용자에 의해 다음 페이지의 표시가 지정되거나(단계 S2403), 선행 페이지의 표시가 지정되거나(단계 S2405) 한 경우, 각각 데이터베이스 DB에 등록되어 있는 전체 화상 중 아직 표시하고 있지 않은 1페이지 분의 촬영화상을 판독하여, 분할화면(601)에 썸네일 화상을 표시한다(단계 S2404, S2406).
사용자는, 후보화상을 표시한다. 원하는 화상 "빨간 안경"이 있다면, 십자커서 키(602) 중앙의 OK 버튼을 눌러 그 원하는 화상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화상을 지정시킨다(단계 S2407). 이때, 단계 S2403, S2405, S2407의 처리는, 이벤트 구동형 플로우를 편의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아무것도 입력을 하지 않으면, 단계 S2403→S2405→S2407→S2403의 루프를 계속 순환한다.
상기 단계 S2407에서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화상 "빨간 안경"의 썸네일 화상이 지정된 경우, 단계 S2408로 옮겨, 그 화상과 쌍을 이루는 무선태그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단계 S2409에서는, 무선태그 검출기(105)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송출한다. 그 기전력에 의해 무선태그는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한다.
단계 S2410, S2411에서는, 무선태그정보의 검출처리를 행하고, 무선태그정보가 검출되었는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단계 S2411에서 무선태그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409로 되돌아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송출한다. 이 처리를 재귀적으로 반복한다. 이때, 무선태그신호의 혼신을 피하기 위해,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하고 싶은 피험물을 다른 피험물로부터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2411에서 무선태그정보가 검출된 경우, 단계 S2412로 옮겨, 먼저 "빨간 안경"의 무선태그정보와 이번에 검출한 무선태그정보(태그 ID의 값)를 비교한다. 그래서, 2개의 무선태그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2413에서 "일치!"이라 하는 메시지를 상태표시영역(603)에 표시한다. 그 2개의 무선태그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 S2414에서 무선태그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것을 보고한다.
이 상태표시 이외에도, 일치하면 초록색 LED를 점등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빨간색 LED를 점등하여도 된다. 이와는 달리, "일치하다고 판정함" 또는 "일치하지 않음"이라 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여도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외관이 유사한 복수의 물품에 사용자의 물품이 섞여있는 경우, 무선태그 검출기를 사용하여 피험물에 장착한 무선태그의 태그 ID를 취득한다. 그 촬영화상과 쌍을 이루는 태그 ID와 피험물에 장착한 무선태그의 태그 ID를 비교함으로써, 자기의 소유물을 분별할 수 있다. 더구나, 미리 카테고리를 지정함으써, 원하는 화상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9에서도 판정처리를 변경한다. 이때, 등록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판정처리>
도 2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판정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원하는 물품에 관한 키워드를 입력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워드 필드(606)를 선택하여, 문자입력키(604)를 사용하여 제한문자수 이하의 자유로운 키워드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키워드가 입력되면, 키워드 검색을 행한다(단계 S2501). 히트한 화상을 판독하여 분할화면(601)에 썸네일 화상을 표시한다(단계 S2502).
여기서, 상기 키워드 검색시에는, 입력된 키워드에 대하여, 이표기(orthographic variant) 사전, 동의어사전 및 유의어사전을 사용하여 이표기어, 동의어 및 유의어로의 전개를 행한다. 이들 단어를 포함하는 설명문에 대응하는 촬영화상집합의 검색결과를 논리합함으로써, 단어의 변동에 따른 검색누설을 방지한다. 그 전개한 단어를 포함하는 설명문은 공지의 그렙(grep) 처리를 행하여 문자의 부분일치를 행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표기어, 동의어 및 유의어로의 전개를 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안경"을 키워드로 고른 경우, "은테 안경"은 히트하지만, 판정하고 싶은 "빨간 안경"이 히트하지 않는다. 본 예에서는, 이표기어 전개에 의해 "안경"이 "안경(spectacles)" 및 "안경(glasses)"로 전개되는 경우, "빨간 안경(red glasses)" 중 "안경(glasses)"으로 히트하여, 그 화상이 분할화면의 리스트에 포함된다.
분할화면(601)에 원하는 화상이 없는 경우, 사용자는 십자 커서 키(602)를 사용하여 스크롤 또는 역스크롤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다음 페이지의 표시가 지정되거나(단계 S2503), 선행 페이지의 표시가 지정되거나(단계 S2505) 한 경우, 각각 데이터베이스 DB에 등록되어 있는 전체 화상 중 아직 표시하고 있지 않 은 1페이지분의 촬영화상을 판독하여, 분할화면(601)에 썸네일 화상을 표시한다(단계 S2504 또는 S2506).
사용자는, 후보화상을 표시한다. 원하는 화상 "빨간 안경"이 있다면, 십자 커서 키(602) 중앙의 OK 버튼을 눌러 그 원하는 화상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화상을 지정시킨다(단계 S2507). 이때, 단계 S2503, S2505 및 S2507의 처리는, 이벤트 구동형 플로우를 편의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아무것도 입력을 하지 않으면, 단계 S2503→S2505→S2507→S2503의 루프를 계속 순환한다.
상기 단계 S2507에서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화상 "빨간 안경"의 썸네일 화상이 지정된 경우, 단계 S2508로 옮겨, 그 화상과 쌍을 이루는 무선태그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단계 S2509에서는 무선태그 검출기(105)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송출한다. 그 기전력에 의해 무선태그는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한다.
단계 S2510, S2511에서는, 무선태그정보의 검출처리를 행하고, 무선태그정보가 검출되었는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단계 S2511에서 무선태그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509로 되돌아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송출한다. 이 처리를 재귀적으로 반복한다. 이때, 무선태그신호의 혼신을 피하기 위해,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하고 싶은 피험물을 다른 피험물로부터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2511에서 무선태그정보가 검출된 경우, 단계 S2512로 옮겨, 먼저 "빨간 안경"의 무선태그정보와 이번에 검출한 무선태그정보(태그 ID의 값)를 비교한 다. 그래서, 2개의 무선태그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2513에서 "일치!"라고 하는 메세지를 상태표시영역(603)에 표시한다. 그 2개의 무선태그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 S2514에서 무선태그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보고한다.
그 상태표시 이외에도, 일치하면 초록색 LED를 점등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빨간색 LED를 점등하여도 된다. 이와는 달리 "일치하다고 판정함" 또는 "일치하지 않음"이라 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여도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외관이 유사한 복수의 물품에 자기의 물품이 섞여있는 경우, 무선태그 검출기를 사용하여 피험물에 장착한 무선태그의 태그 ID를 취득한다. 그 촬영화상과 쌍을 이루는 태그 ID와 피험물에 장착한 무선태그의 태그 ID를 비교함으로써, 자기의 소유물을 분별할 수 있다. 더구나, 미리 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했지만, 무선태그를 갖지 않는 안경인 경우에, 장치는 반응하지 않는다. 그 장치가 반응하지 않을 경우, "불일치"로서 간주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 9 및 10에서의 검색조건설정에 관해서, 십자 커서 키(602)를 사용한 메뉴선택이나 문자입력키(604)를 사용한 문자입력을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음성인식에 의한 UI를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예 9에서는 카테고리를 단어로 발하여 음성인식한다. 마찬가지로 실시예 10에서는 키워드를 음성인식을 사용하여 입력해도 된다.
가방 속에 무선태그가 붙은 물품을 넣고 있는 경우, 장치의 표시화면에 화상아이콘을 지정하여, 그 화상아이콘에 대응하는 무선태그 ID를 얻어 무선태그 검출기가 얻은 무선태그 ID와 비교를 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가방 속에 화상아이콘으로 지정한 물품이 들어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무선태그에 관해서, 전파에 의한 유도기전력으로 동작전원을 확보하는 타입의 예를 들었다. 무선태그가 내장전원을 갖고,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하는 것도 존재한다. 이 경우, 무선태그에 닿게 함으로써, 무선태그에 소정 시간 이내 또는 소정 회수의 통신, 또는 소정 시간 이내 소정 회수의 통신을 행하는 지시를 줌으로써, 무선태그에 무선태그정보를 발신시킨다. 이러한 무선태그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 16의 단계 S2204에서의 처리 대신에, 무선태그를 닿게 함으로써 무선태그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처리를 추가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선태그 검출기(105)를 촬영장치(101)에 구비하고, 촬영과 무선태그의 검출의 양쪽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장치(101)를 피사체에 가까이 하여 태그 ID를 검출하면 거의 동시에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태그 ID와 화상정보를 쌍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촬영직전에 무선태그를 검출한다. 이에 따라서, 예를 들면 무선태그정보가 취득할 수 없는 피사체만을 촬영하는 촬영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태그 ID는 사람에게 있어서 무의미한 기호열로, 사람에게는 기억하기 어렵지만, 화상은 사람의 기억에 남기 쉽다. 따라서, 화상을 무선태그 ID를 나타내는 심벌, 즉 아이콘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 명한 바와 같이, 간편히 무선태그 ID와 그 화상아이콘으로서의 촬영화상의 쌍이 얻어질 수 있다. 촬영화상을 무선태그 ID의 아이콘으로서 이용하고, 이 화상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무선태그 ID를 결정할 수 있다. 장치에 내장한 무선태그 검출기를 이용하여, 외관이 유사한 복수의 물품에 자기의 물품이 섞여 있는 경우, 무선태그 검출기를 사용하여 피험물에 장착한 무선태그의 무선태그 ID를 취득한다. 촬영화상과 쌍을 이루는 무선태그 ID와 피험물에 장착한 무선태그의 무선태그 ID를 비교함으로써 자기의 소유물을 분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8 내지 10에 의하면, 쌍으로 된 무선정보와 화상정보를 사용하여 물품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에서는, 내용물이 보이지 않는 용기 등의 용기에 들어간 물품의 무선태그를 검출하고, 그 물품의 화상을 표시하는 물품관리에 대하여 기술한다. 용기를 열지 않아도 속에 있는 물품을 알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잊어버리는 물건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예로서, 카메라, 맹꽁이 자물쇠, 안경 등의 물품을 가방에 넣어 외출하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 그 물품들을 잊어버리지 않게 하는데 무선태그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카메라, 맹꽁이 자물쇠, 안경 등의 물품에 미리 무선태그를 장착한다. 무선태그로부터 취득되는 무선태그 ID와, 이들 카메라, 맹꽁이 자물쇠 및 안경을 촬영하여 얻어지는 화상을 쌍으로 하여 등록해 놓는다(등록처리). 그리고, 사용자가 외출한 곳에서 무선태그 ID를 검출하여, 대응한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이들 카메라, 맹꽁이 자물쇠, 안경이 가방 속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한다(검출처리).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11에서의 물품관리는, 등록처리와 검출처리를 포함한다. 이하, 이들 등록처리와 검출처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등록처리>
도 22a는 본 실시예의 물품관리장치(3101)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물품관리장치(3101)는,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형 장치이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단말 또는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품관리장치(3101)가 구성된다. 또한, 도면부호 3102는 물품(도 22a에서의 카메라), 도면부호 3103은 물품(3102)에 장착된 소정의 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소정의 정보를 무선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수단인 무선태그이다.
물품관리장치(3101)에서, 렌즈(3104)는 물품(3102)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광학계이다. 무선태그 검출기(3105)는, 무선태그정보(무선태그 ID)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취득수단(무선태그 검출장치)이다. 또한, 도 22a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물품관리장치(3101)는 액정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유닛 및 정보취득수단을 따로따로 갖는 것을 설명했다. 그렇지만, 촬영유닛 및 정보취득수단을 일체화해도 된다.
여기서, 무선태그정보란, 예를 들면 물건이나 장소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의 ID 정보이다. 최근, 무선태그의 예로서 장치가 발표되어 있다. 이 장치는, μ-칩이라 부르는 극소의 실리콘 칩으로 개체 고유의 번호정보 등을 기억한다. 외부로부터 전파를 수신할 때, 이 장치는, 그 유도기전력에 의해 전력을 얻어 개체고유의 번호정보를 무선으로 수신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무선태그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는, 촬영 전에 미리 물품(3102)에 무선태그(3103)를 장착해 둔다. 그 무선태그를 장착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파의 발신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무선태그 삽입, 접착실로 접착, 도료에 섞어 도포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그 외에도, 물품(3102) 내부에 무선태그(3103)가 내장되어 있거나, 물품(3102)의 일부에 무선태그(3103)가 장착 또는 부가되어 있거나 하는 것, 또는 물품(3102) 상에 적재되어 있는 것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들의 장착방법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품(3102)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의 양쪽을 일련의 동작으로 행하도록, 촬영과 태그정보수신을 위해 물품관리장치(3101)의 자세를 변경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물품(3102)에 렌즈(3104)를 향하게 하면서, 무선태그(3103)로부터의 전파를 충분한 감도 및/또는 지향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본 실시예에서는 렌즈(3104)의 근방의 장치의 면과, 렌즈(3104)와 동일한 면측의 위치)에 무선태그 검출기(3105)를 배치한다. 물품관리장치(3101)의 배면에 무선태그 검출기(3105)가 있다고 해도, 지향성 방향이 렌즈(3104)의 촬영방향과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하고 또한 충분한 감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이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무선태그(3103, 3106, 3107)가 존재하는 경우, 타깃 외의 무선태그로부터의 동시 수신을 피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선태그 검출기(3105)의 검출부는, 소정 각도의 지향성을 갖고, 또한 렌즈(3104)의 촬영방향과 지향성 방향이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 소품의 촬영에 사용되는 마크로 촬영은 20cm 내지 40cm 정도의 거리에서 행해진다. 광학계 광축 상에서 렌즈로부터 20cm 내지 40cm 정도의 거리의 위치에 무선태그 검출기(202)의 지향성 축이 교차하는 배치여도 된다.
도 22b의 예에서는, 타깃이 되는 무선태그 검출기(3105)로부터의 각 타원(도 22b의 점선)의 크기가 지향성 감도를 나타낸다. 무선태그(3103)가 광학계 광축 상에서 또한 무선태그의 최대 지향성 방향과의 교점에 존재하는 경우, 비타깃인 무선태그(3106, 3107)로부터의 전파에 대한 감도는 작다. 따라서, 이 무선태그(3106, 3107)로부터의 영향은 작다.
실시예 11에 따른 물품관리장치(3101)의 배치는 도 2의 배치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2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촬영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3301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가 통상촬영모드인지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인지를 판정한다. 모드의 선택은 먼저 촬영모드로 한 설정하고, 그 후 그 상태에서 촬영모드용 스위치와는 다른 별도의 스위치로 전환하는 모드이어도 된다. 또한, 통상의 카메라의 자동 또는 수동 촬영모드를 선택하는데 사용된 회전식 촬영모드 선택스위치의 선택시에 통상촬영모드와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가 제공되어도 된다.
상기 단계 S3301에서 통상촬영모드가 선택된 경우, 단계 S3302에서 무선태그관련 처리는 행하지 않고 촬영처리를 행한다. 화상 데이터 및 자동적으로 얻어지는 날짜 등의 메타 데이터를 기억한다. 즉, 통상촬영모드와 무선태그 검출기의 기능은 관계가 없다. 이 처리는 통상의 촬영과 같기 때문에,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단계 S3301에서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가 선택된 경우, 단계 S3303으로 옮겨, 촬상계를 마크로 촬영모드로 자동적으로 바꾼다. 무선태그를 갖는 물품은 물품관리장치(3101)의 근방에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자동적으로 예를 들면 마크로 촬영모드나 근거리 촬영모드(초점거리의 설정을 무선태그 검출기의 검출가능거리에 대응한 근거리에 맞춘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면,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단계 S3304에서는, 무선태그 검출기(105)가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발생한다. 그 기전력에 의해 무선태그는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한다.
단계 S3305에서는,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3305에서 무선태그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단계 S3306으로 옮긴다. 유일한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 또는 복수의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태그 ID 신호의 강함이 2번째로 강한 무선태그정보신호의 강함에 대하여 사전에 정한 차이 이상, 또는, 사전에 정한 배율 이상이 강함으로,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태그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 무선태그 ID를 고유하게 결정할 수 있었다고 하고,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했다고 한다. 복수의 무선태그가 검출된 경우, 이 태그들이 미리 판정된 특정 그룹에 속하는 경우, 통신 이 성공했다고 판정해도 된다.
상기 단계 S3306에서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이 성공했다고 판정하면, 단계 S3307로 옮겨, "촬영 OK"의 상태가 예를 들면 뷰파인더 내부 또는 본체에 초록색 램프를 표시하고, 액정표시부에 표시하고 또는 음성으로 경고메시지를 낸다.
단계 S3308에서 촬영버튼(셔터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출하면, 단계 S3309에서 촬영처리를 행한다. 단계 S3310에서는,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 기억한다. 이때, 단계 S3308에서 바로 촬영버튼(셔터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황이 변하기도 한다. 다시 단계 S3304로 되돌아가, 무선태그 정보발신의 검색처리의 재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쌍으로서 기억하는 정보 스키머로서는,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DB가 있다. DB 레코드는, 무선태그 ID(3401), 촬영화상 데이터(3402), 날짜 등의 자동취득가능한 메타 데이터(3403)가 기억된다. 촬영화상 데이터 그 자체 대신에, 화상에의 포인터로서의 화상저장처의 어드레스나 화상파일의 패스정보를 기억하는 스키머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무선태그정보의 검출상태를 파악하고, 그 무선태그 검출이 성공여부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3305에서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이 실패한 경우는, 단계 S3311로 옮겨,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경고를 한다. 그 경고 내용의 예는,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할 수 없거나 복수의 무선태그 정보원이 있다. 사용하기 쉬운 방법으로서는, 무선태그 정보검출을 할 수 없는 경우, 무선태그검출의 조건을 변경하여 재촬영하도록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경고를 한다.
또한, 상기 단계 S3306에서 무선태그를 검색하기 위한 통신은 성공했지만, 복수의 무선태그가 검출되어 그들 중 하나를 고유하게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 단계 S3312로 옮겨, 피사체를 다른 무선태그의 영향이 적은 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물품관리장치(3101)를 접근시켜 무선태그의 수신신호를 증가시키는 것을 사용자에게 충고를 행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촬영을 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반 누름으로 통신이 성공하면 촬영처리를 수행하거나, 통신이 실패하면 충고하는 처리를 재귀적으로 하여도 된다.
물론, 사용하기 쉽지 않지만, 단계 S3311 또는 S3312에서 경고를 하지 않고 촬영버튼을 끊어지지 않게 하여도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물품에 장착한 물품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의 양쪽을 간편한 일련의 동작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처리를, 대상 물품(본 예에서는 카메라, 맹꽁이 자물쇠 및 안경)에 대하여 행한다. 이들 3개의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화상 데이터를 쌍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검출처리>
도 25는 검출처리를 행할 때의 상황을 나타낸다. 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등록처리가 이루어진 카메라(3502), 맹꽁이 자물쇠(3503) 및 안경(3504)이 내용물이 보이지 않는 가방(3501) 속에 들어가 있다.
이하,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물품관리장치(3101)에 의해 실행되는 검 출처리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관리장치(3101)가 검색모드로 전환된 경우(단계 S3601), 단계 S3602에서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발신한다. 판정자(사용자)는 물품관리장치(3101)의 무선태그 검출기(3105)를 가방(3501)에 근접시킨다.
상기 등록처리에서는,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태그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에 무선태그정보를 고유하게 결정하는 처리를 행한다(복수의 무선태그정보를 검출한 경우에,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태그 ID 신호의 강함이 2번째로 강한 무선태그 ID 신호의 강함에 대하여 사전에 정한 차이 이상, 또는, 사전에 정한 배율이상의 강함인 경우). 검출처리에서는, 복수의 무선태그정보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검출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지향성을 완화하여 상기 장치측의 조건을 변경하여도 된다.
단계 S3603에서는, 무선태그 ID 검출처리를 소정 시간 행한다. 무선태그 ID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단계 S3604), 단계 S3605로 옮겨 DB에 등록된 물품은 없다는 것을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무선태그 ID를 검출할 수 있는 경우(단계 S3604), 단계 S3606으로 옮겨 먼저 등록처리에서 DB에 기억한 무선태그 ID들과 비교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단계 S3607에서 동일한 무선태그 ID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단계 S3605로 옮겨 DB에 등록된 물품은 없다는 것을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단계 S3607에서 동일한 무선태그 ID가 존재한다고 판정하면, 단계 S3608로 옮겨 동일한 무선태그 ID의 개수가 복수인지를 판정한다.
단계 S3608에서 복수이면, 단계 S3609에서 동일한 무선태그 ID들에 대응하는 촬영화상을 순차로 판독하여, 표시부(3009)의 화면을 분할하여 썸네일 화상을 표시한다. 동일한 무선태그 ID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분할화면수를 늘린다. 이와는 달리, 다음 페이지에 화상을 표시한다.
본 예에서는, 카메라(3502), 맹꽁이 자물쇠(3503) 및 안경(3504)의 3개의 무선태그 ID를 검출한다. 그 3개의 무선태그 ID는 모두 DB에 존재하다. 그러므로, 도 2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화면에 3개의 촬영화상(카메라(3502), 맹꽁이 자물쇠(3503) 및 안경(3504)의 화상)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이것들을 본 경우, 가방(3501)을 열지 않고, 카메라(3502), 맹꽁이 자물쇠(3503) 및 안경(3504)이 가방(3501) 속에 있는 것을 순간적으로 아는 것이 가능해져, 잊은 물건을 알아차릴 수 있다.
이때, 화면을 분할하여 썸네일 화상을 표시하는 것 이외에도, 적당한 간격으로 순차로 화면표시가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단계 S3608에서 하나의 무선태그 ID만이 있다고 판정하면, 단계 S3610에서 동일한 무선태그 ID에 대응하는 촬영화상을 판독하여, 표시부(3009)에 화상표시를 행한다. 만약에 가방(3501)에 카메라(3502)밖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2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3502)의 촬영화상만이 표시된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에서는, 유통하는 물품의 무선태그를 검출하고, 그 물품의 화상을 표시 또는 진위판별의 특징이 되는 부위의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변경된 무선태그 또는 가짜일 가능성을 검출할 수 있게 하는 물품관리에 대하여 기술한다.
구체예로서, 가방의 메이커가 제품(가방)을 출하할 때에 제품에 미리 무선태그를 장착해 둔다. 무선태그로부터 취득되는 무선태그 ID와, 가방을 촬영하여 얻어지는 화상을 쌍으로 하여 등록해 놓는다(등록처리). 그리고, 점포측에서 무선태그 ID를 검출하고,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유통과정에서 무선태그가 변경되어 있지 않은지, 가짜로 교체되어 있지 않은지를 확인한다(검출처리).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12에서의 물품관리는, 등록처리와 검출처리를 포함한다. 이하, 이들 등록처리와 검출처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등록처리>
도 28a는 본 실시예의 물품관리장치(3801)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3802는 촬영장치이다. 촬영장치(3802)는 가방의 메이커측에 존재하고,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3807)를 통해 점포측에 있는 물품관리장치(3801)에 접속한다. 또한, 도면부호 3803은 물품(도 28a의 가방), 도면부호 3804는 물품(3803)에 장착된 소정의 정보를 기억함과 아울러 소정의 정보를 무선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수단인 무선태그이다.
촬영장치(3802)에서, 렌즈(3805)는 물품(3803)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광학계로서의 역할을 한다. 무선태그 검출기(3806)는 무선태그정보(무선태그 ID)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취득수단(무선태그 검출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유닛 및 정보취득수단을 따로따로 갖는 것을 설명한다. 그렇지만, 촬영유닛 및 정보취득수 단을 일체화해도 된다.
여기서, 무선태그정보란, 예를 들면 물품이나 장소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의 ID 정보이다. 최근, 무선태그의 예로서 장치가 발표되었다. μ-칩이라 부르는 극소의 실리콘 칩에서 개체 고유의 번호정보 등을 기억한다. 외부에서 전파를 수신할 때, 이 장치는 그 유도기전력에 의해 전력을 얻어 개체고유의 번호정보를 무선으로 수신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무선태그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방의 메이커는, 특정 제품에 대하여 고유한 무선태그 ID를 갖는 무선태그를 대량으로 입수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는, 촬영 전에 미리 물품(3803)에 무선태그(3804)를 장착해 둔다. 그 무선태그에 장착하는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무선태그는 전파의 발신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삽입되고, 접착실로 접착되고 또는 도료에 섞어 도포된다. 이와는 달리, 물품(3803)내부에 무선태그(3804)가 내장되어 있거나, 물품(3803)의 일부에 무선태그(3804)가 장착 또는 부가되어 있거나 하는 것, 또는 물품(3803) 상에 적재되어 있는 것 등을 포함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장착방법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품(3803)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의 양쪽을 일련의 동작으로 행하도록, 촬영과 태그정보수신을 위해 촬영장치(3803)의 자세를 변경하지 않고 끝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물품(3803)에 렌즈(3805)를 향하게 하면서, 무선태그(3804)로부터의 전파를 충분한 감도 및/또는 지향성을 유지하는 위치(본 실시예에서는 렌즈(3805)의 근방의 장치면의 위치와, 렌즈(3805)와 동일한 면측의 위치)에 무선태그 검출기(3806)를 배치한다. 촬영장치(3802)의 배면에 무선태그 검출기(3806)가 있다고 해도, 지향성 방향이 렌즈(3805)의 촬영방향과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하고 또한 충분한 감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이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무선태그(3804, 3808, 3809)가 존재하는 경우, 타깃 외의 무선태그로부터의 동시수신을 피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선태그 검출기(3806)의 검출부는 소정 각도의 지향성을 가지고, 또한 렌즈(3805)의 촬영방향과 지향성 방향이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물품(3803)의 특징부분(예를 들면, 브랜드명이 들어 간 로고플레이트 또는 태그)을 촬영하기 위해 마크로 촬영을 행한다. 이 마크로 촬영은 20cm 내지 40cm 정도의 거리에서 종종 행해진다. 광학계 광축 상에서 렌즈로부터 20cm 내지 40cm 정도의 거리의 위치에 무선태그 검출기(202)의 지향성 축이 교차하여도 된다.
도 28b의 예에서는, 타깃이 되는 무선태그 검출기(3806)로부터의 타원(도 28b의 점선)의 크기가 지향성 감도를 나타낸다. 무선태그(3804)가 광학계 광축 상에서 또한 무선태그의 최대 지향성 방향과의 교점에 존재하는 경우, 비타깃인 무선태그(3808, 3809)로부터의 전파에 대한 감도는 작다. 따라서, 이들 무선태그(3808, 3809)로부터의 영향은 작아진다.
물품(3803)(가방) 고유의 특징부분의 마크로 촬영과 무선태그 ID의 취득의 양쪽을 일련의 동작으로 행하기 위해, 무선태그(3804)의 물품(3803)에의 장착위치 에 대해서는, 물품(3803)(가방) 고유의 특징부분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특징부분의 마크로 촬영과 무선태그 ID의 취득의 양쪽을 일련의 동작으로 행하는 경우, 촬영화상과 무선태그 ID간에 어떠한 부정합이 생기지 않으면서 간편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촬영장치(3802)에 의해 실행되는 등록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단계 S3901∼S3912에서의 처리는, 상기 실시예 11에서 설명한 도 23의 흐름도의 단계 S3301∼S3312에서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3910에서는 무선태그정보와 촬영한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는 정보형태로서 기억한다. 그 후, 단계 S3911로 옮겨, 물품(3803) 고유의 특징부분의 위치와 관찰점을 설명하는 설명문의 사용자 입력을 접수한다.
예를 들면,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장치(3802)는, 화상표시부(4001)와, 설명문 표시부(4002)와, 십자 커서 키(4003)와, 문자입력부(4004)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는, 십자 커서 키(4003)를 사용하여 설명문 표시부(4002)를 선택한다. 사람들은, 문자입력부(4004)를 조작하여, 제한문자수 내에서 물품의 특징부분의 위치(도 30의 예에서는 "브랜드명이 들어간 로고플레이트")와, 관찰점("브랜드명의 문자간격에 주의")을 텍스트로서 입력한다. 또한, 문자입력부(4004)를 사용하지 않고, 음성인식에 의해 음성을 문자열로 변환하는 입력이어도 된다.
여기서, 쌍으로서 기억하는 정보 스키머로서는, 예를 들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DB가 있다. DB 레코드는 무선태그 ID 정보, 화상에의 포인 터인 것 외, 날짜 등의 자동취득가능한 메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된 설명문의 텍스트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화상에의 포인터는, 화상저장처의 어드레스나 화상파일로서의 패스정보도 있다. 또한, 화상에의 포인터가 아니라 화상 데이터 자신을 기억하는 스키머여도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물품의 촬영과 물품에 장착한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의 양쪽을 간편한 일련의 동작으로 행한다. 이들 쌍으로 되는 촬영화상과 무선태그정보에 따라, 물품(3803) 고유의 특징부분의 위치와 관찰점을 설명하는 설명문을 기억할 수 있다.
<검출처리>
도 32는 검출처리를 행할 때의 상황을 나타낸다. 물품관리장치(3801)는 상기메이커의 가방을 구입하는 점포측에 존재한다. 이 물품관리장치(3801)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3807)를 통해 상기 촬영장치(3802)에 접속한다. 물품관리장치(3801)에서, 무선태그 검출기(3810)는 무선태그정보(무선태그 ID)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취득수단(무선태그 검출장치)이다. 표시부(3811)는 화상 등을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이때, 촬영장치(3802) 및 물품관리장치(3801) 모두는, 무선태그 ID를 취득하는 기능을 공통으로 갖는다. 이 때문에, 촬영장치(3802) 및 물품관리장치(3801)가 동일한 기종이고, 메이커측 및 점포측 각각에 존재하여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영장치(3802)에서 등록된 데이터베이스 레코드정보(도 31을 참조)는, 물품관리장치(3801)에 네트워크(3807)를 통해 전송된다. 전송시에는, 전송경로 상에서 데이터베이스 레코드정보에 암호화를 시행해 놓는 것이 바람 직하다.
도 28a, 도 28b 및 도 32는 촬영장치(3802)를 네트워크(3807)에 직접 접속한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실제의 운용상에서는, 촬영장치(3802)에서 취득한 무선태그 ID, 화상 데이터, 어노테이션(주석)이라 했던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메이커측의 웹서버에 업로드하여, 웹서버 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한다. 이 데이터는 점포측의 물품관리장치(3801)를 통해 액세스하여 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네트워크(3807)를 통해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 대신에,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메이커측으로부터 점포측에 전달하여도 된다.
도 33은 물품관리장치(3801)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인터페이스회로(3004')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탈착가능한 기록매체(3005')를 연결한다. 도면부호 3810은 무선태그 검출장치, 도면부호 3007'는 각종 조작을 위한 조작부, 도면부호 3008'는 장치의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RAM이나 EEPROM, 도면부호 3811은 화상표시나 경고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부, 도면부호 3010'는 장치 내의 각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로, CPU를 내장하고 있다.
이하, 도 3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물품관리장치(3801) 및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검출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관리장치(3801)가 검색모드로 전환된 경우(단계 S4401), 단계 S4402에서 무선태그를 여기하는 전파를 발신한다. 판정자(사용자)는 물품관리장치(3801)의 무선태그 검출기(3810)를 가방(3803)에 근접시킨다.
단계 S4403에서는, 무선태그 ID 검출처리를 소정 시간 행한다. 무선태그 ID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단계 S4404의 NO), 단계 S4411로 옮겨, 점포에 있는 가방은 DB에 등록된 것과 다르고 가짜일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무선태그가 변경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화면표시, 소리 또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무선태그 ID를 검출한 경우(단계 S4404의 YES), 단계 S4406으로 옮겨, 먼저 등록처리에서 DB에 기억한 무선태그 ID로부터 검색하고, 검출된 무선태그 ID와 동일한 무선태그 ID에 대응하는 마크로 촬영화상과 설명문(물품의 특징부분의 위치와, 관찰점을 설명하는 문자)을 판독하여, 표시부(3811)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3811)에,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브랜드명이 들어간 로고플레이트의 마크로 촬영화상)과, 설명문("로고플레이트, 브랜드명의 문자간격에 주의")이 표시된다.
단계 S4407에서는, 사용자는, 실제로 어떤 가방의 로고플레이트와, 화상표시되어 있는 가방의 특징부분(로고플레이트)의 마크로 촬영화상을 시각적으로 비교하여 확인한다. 특징이 일치하는 경우, 그 가방은 진짜라고 판정한다(단계 S4409). 만약 그 특징이 일치하지 않으면, 점포에 있는 가방은 DB에 등록된 것과 다르고 가짜일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무선태그가 변경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한다(단계 S4408).
상기 실시예 12에서는, 등록처리시에 촬영물 고유의 특징부분의 위치와 관찰점을 단어로 표현한 설명문을 부여한다. 판정처리시에 촬영물 고유의 특징점의 위치와 관찰점을 단어로 표현한 설명문을 고려하여 판정을 행한다. 이들 처리 동작을 생략하여도 된다. 또한, 등록처리는, 촬영물 고유의 특징점의 위치와 관찰점을 단어로 표현한 설명문을 부여하지 않은 것을 허가하는 처리이어도 된다. 등록처리시에 촬영물 고유의 특징점의 위치와 관찰점을 단어로 표현한 설명문이 없는 경우에는, 판정자가 물품 전체 또는 주목해야 하는 위치가 한정되어 있는지를 스스로 판정하여 시각적인 확인을 한다. 예를 들면, 무선태그의 변경 등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피험물 전체의 화상이 찍혀 있으면 좋고, 특징점과 같은 마이크로 정보는 필요치 않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1 및 12에 의하면, 물품에 장착된 무선태그 등의 무선정보 송신수단으로부터 취득된 태그 ID 등의 무선정보, 및 물품을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여 기억한 기억수단을 사용한다. 물품에 장착된 무선태그로부터 무선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무선정보와 비교한다. 무선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화상을 표시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무선정보와 화상정보를 이용하여 물품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기에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각종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그 각종 장치와 접속된 장치 또는 시스템 내의 컴퓨터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CPU 또는 MPU)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각종 장치를 동작시켜 실시하는 구성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고, 그 프로그램 코드 자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그 프로그램 코드의 전송 매체로서는, 프로그램 정보를 반송파로서 전파시켜 공급하기 위한 컴퓨터 네트워크(예를 들면, LAN, 인터넷 등의 WAN 또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통신매체(광파이버 등의 유선회선이나 무선회선)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는 기록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자기테이프, 불휘발성 메모리카드 또는 ROM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상기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경우에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될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서 가동하고 있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협조하여 실행되는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기도 한다.
또한,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의 기능확장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확장유닛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경우와,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따라 그 기능확장보드 또는 기능확장유닛에 구비되는 CPU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는 경우에,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이 실현된다.
이때,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각부의 형상 및 구조는, 단순히 본 발명을 실시하는 예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주를 결코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전파에 의한 유도기전력으로 동작전원을 확보하는 무선태그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무선태그가 내장전원을 갖고, 무선태그정보를 발신하는 것도 존재한다. 이 경우, 무선태그에 닿게 함으로써, 무선태그에 무선태그정보를 발신시킨다. 이러한 무선태그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 23의 단계 S3304나 도 29의 단계 S3904에서의 처리 대신에, 무선태그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처리를 추가한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여러 가지 명백히 폭넓게 서로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 이외에 그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태그정보의 취득을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사체의 촬영과 무선정보의 취득을 동시에 또한 간편히 실행할 수 있고, 더구나 무선정보의 취득의 가부에 따른 기억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쌍으로 된 무선정보와 화상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물품관리를 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에 장착된 무선태그 등의 무선정보 송신수단으로부터 취득된 태그 ID 등의 무선정보, 및 물품을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정보를 쌍으로 하여 기억한 기억수단을 사용하고, 물품에 장착된 무선태그로부터 무선정보 를 취득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무선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한 무선정보가 있는 경우에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무선정보와 화상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물품관리를 할 수 있다.

Claims (5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촬상소자를 갖춘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를 조작하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피사체의 촬영지시를 행하기 위한 셔터버튼과;
    상기 조작자가 상기 셔터버튼을 소정량 누름에 따라, 피사체에 장착된, 소정의 정보를 기록함과 더불어 상기 소정의 정보를 무선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수단으로부터의 무선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무선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자가 상기 셔터버튼을 상기 소정량 누르고 있는 동안, 상기 무선정보의 검출동작을 계속하고,
    상기 무선정보가 검출된 경우에는, 촬영가능하다는 취지의 표시를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작자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상기 소정량 누른 상태에서 상기 셔터버튼을 더 누름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촬영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선정보와 상기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무선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무선정보를 검출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무선정보를 검출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리는 수단으로서, 상기 촬영장치 내에 상기 무선정보를 검출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무선정보를 검출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리는 수단으로서, 상기 무선정보를 검출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4. 제40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자가 상기 셔터버튼을 상기 소정량 누름에 따라, 상기 정보송신수단에 여기전파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5. 제40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정보송신수단으로부터 무선정보를 검출한 후에, 상기 촬영처리로 이행하기 전에, 무선정보를 한가지로 특정가능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한가지로 특정가능한 것은, 유일한 무선정보가 취득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한가지로 특정가능한 것은, 복수의 무선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있어 가장 신호강도가 강한 무선정보를 특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무선정보를 한가지로 특정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촬상처리로 이행하지 않고, 경고 또는 충고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9. 제40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송신수단은 무선태그이고, 상기 무선정보의 검출은 무선태그 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태그 검출기의 지향성 방향은, 촬영장치의 촬영방향과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정보의 검출과 촬영의 양쪽을 행하는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와, 상기 무선정보의 검출을 행하지 않고 촬영을 행하는 통상촬영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어수단은, 무선태그 정보등록 촬영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마크로 촬영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2. 촬상소자와,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피사체의 촬영지시를 행하기 위한 셔터버튼을 갖춘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가 상기 셔터버튼을 소정량 누름에 따라, 피사체에 장착된, 소정의 정보를 기록함과 더불어 상기 소정의 정보를 무선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수단으로부터의 무선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무선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자가 상기 셔터버튼을 상기 소정량 누르고 있는 동안, 상기 무선정보의 검출동작을 계속하고,
    상기 무선정보가 검출된 경우에는, 촬영가능하다는 취지의 표시를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작자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상기 소정량 누른 상태에서 상기 셔터버튼을 더 누름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촬영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선정보와 상기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40010682A 2003-02-18 2004-02-18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29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40190 2003-02-18
JP2003040190A JP2004253915A (ja) 2003-02-18 2003-02-18 撮影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JP-P-2003-00044843 2003-02-21
JP2003044842A JP2004252883A (ja) 2003-02-21 2003-02-21 判定装置
JP2003044843A JP2004254230A (ja) 2003-02-21 2003-02-21 撮影装置
JPJP-P-2003-00044842 2003-02-21
JP2003071034A JP2004277095A (ja) 2003-03-14 2003-03-14 物品管理装置
JPJP-P-2003-00071034 2003-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624A KR20040074624A (ko) 2004-08-25
KR100629847B1 true KR100629847B1 (ko) 2006-09-29

Family

ID=3273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682A KR100629847B1 (ko) 2003-02-18 2004-02-18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55632B2 (ko)
EP (1) EP1450549B1 (ko)
KR (1) KR100629847B1 (ko)
CN (1) CN1262107C (ko)
DE (1) DE60200403248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9424A1 (fr) 2001-12-03 2003-06-12 Nikon Corporation Appareil electronique, camera electronique, dispositif electronique, appareil d'affichage d'image et systeme de transmission d'image
WO2005039076A1 (ja) * 2003-10-17 2005-04-28 Olympus Corporation 情報取得装置、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US7653302B2 (en) * 2005-03-24 2010-01-26 Syabas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transmitting personal data and metadata among computing devices
KR100714098B1 (ko) * 2005-06-24 2007-05-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태그 방송 시스템 및 전자태그를 이용한 방송 방법
JP2007013287A (ja) * 2005-06-28 2007-01-18 Canon Inc 撮像装置
US20070103566A1 (en) * 2005-11-09 2007-05-10 Naveen Aerrabotu Methods and devices for image and ancillary data capture and output
CN1889671B (zh) * 2006-03-09 2010-05-12 李克 带电子编码方式插入的数字录像查询方法及其系统
JP4761146B2 (ja) * 2006-06-30 2011-08-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08029803A1 (fr) * 2006-09-04 2008-03-13 Nikon Corporation Système de partage de vidéo, système de support d'imagerie et caméra
US8515460B2 (en) * 2007-02-12 2013-08-20 Microsoft Corporation Tagging data utilizing nearby device information
JP4582106B2 (ja) * 2007-03-27 2010-1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US9171454B2 (en) 2007-11-14 2015-10-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gic wand
KR100963173B1 (ko) * 2008-04-30 2010-06-1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디스플레이 시스템
US8952894B2 (en) * 2008-05-12 2015-02-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er vision-based multi-touch sensing using infrared lasers
US8847739B2 (en) 2008-08-04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Fusing RFID and vision for surface object tracking
JP5500347B2 (ja) * 2009-12-23 2014-05-21 雅英 田中 映像鑑賞装置
ITMI20121887A1 (it) * 2012-11-06 2014-05-07 Ola S R L Metodo e sistema per l'effettuazione di riprese videografiche e fotografiche
WO2014141534A1 (ja) * 2013-03-13 2014-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照合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装置、照合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422711B (zh) * 2022-03-29 2022-08-12 深圳市猿人创新科技有限公司 拍摄设备及其软件功能和拍摄参数自适应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142B2 (ja) 1990-07-11 2000-09-25 ミノルタ株式会社 撮影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
JPH09135416A (ja) 1995-11-08 1997-05-20 Kyocera Corp 被写体位置及び撮影位置を記録再生可能なスチル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
WO1998010358A1 (en) * 1996-09-04 1998-03-12 Goldberg David A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person-specific images in a public venue
JPH10161227A (ja) * 1996-12-02 1998-06-19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及び撮影情報入力システム
JPH10198731A (ja) 1997-01-08 1998-07-31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JPH10271375A (ja) 1997-01-27 1998-10-09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JP4261624B2 (ja) 1997-01-27 2009-04-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
JPH10241093A (ja) 1997-02-21 1998-09-11 Fuji Photo Film Co Ltd 速度違反車取り締まりシステム
JPH10243325A (ja) 1997-02-21 1998-09-11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H10312444A (ja) 1997-05-12 1998-11-24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
US6396537B1 (en) * 1997-11-24 2002-05-28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system for enabl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 camera and an attraction site
JP2000029091A (ja) 1998-07-14 2000-01-28 Canon Inc カメラ及びカメラ用情報記憶装置
US6397334B1 (en) 1998-12-17 2002-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objects and object data
JP4253396B2 (ja) 1999-04-12 2009-04-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装置
JP4369992B2 (ja) 1999-06-21 2009-11-25 株式会社コージン 無線タグの電源回路
JP2001014277A (ja) 1999-06-28 2001-01-19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カメラシステム
US6791398B1 (en) 2000-02-17 2004-09-14 Magnex Corp. Data token with power saving switch
JP2002037417A (ja) 2000-07-25 2002-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配達業務用端末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配送物品取扱システム
JPWO2002080540A1 (ja) 2001-03-29 2004-07-22 株式会社東芝 位置依存情報を記録する携帯情報処理装置
US7248285B2 (en) * 2001-03-30 2007-07-2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hotograph annotation
JP2003157477A (ja) * 2001-11-19 2003-05-30 Hitachi Ltd タグ管理サーバとこれを用いた情報の取得・活用システム
JP2004029749A (ja) 2002-05-09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情報取得方法並びに画像撮影装置
JP4179836B2 (ja) 2002-09-26 2008-11-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
JP3977713B2 (ja) 2002-09-27 2007-09-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システム
JP3861801B2 (ja) 2002-11-27 2006-12-27 日本電気株式会社 物品所在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2107C (zh) 2006-06-28
US7355632B2 (en) 2008-04-08
CN1523876A (zh) 2004-08-25
EP1450549A3 (en) 2005-05-11
KR20040074624A (ko) 2004-08-25
US20040169731A1 (en) 2004-09-02
EP1450549B1 (en) 2011-05-04
EP1450549A2 (en) 2004-08-25
DE602004032488D1 (de)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847B1 (ko)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456871B2 (en) Image management system managing image data obtained from an imaging device carried by a visitor to an area in a same manner as image data obtained from imagining devices fixed to particular locations in the area
KR100622582B1 (ko) 물품관리장치 및 방법
CN101453605B (zh) 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
EP1879373B1 (en) System with automatic file name generation and method therefor
KR101600115B1 (ko) 촬상 장치, 화상 표시 장치와 전자 카메라
EP2741172A2 (en) Glass type mobile terminal
EP15909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questing photographs
KR20090080272A (ko) 휴대용 장치 및 그 사진처리방법, 이를 포함하는사진처리시스템
JP2003174578A (ja) 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1350227B1 (ko) 여행용 gps 카메라 장치 및 시스템
US7453471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nagement terminal, mobile member, service providing progra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11647370B2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JP2003169247A (ja) 利用者識別機能を備える電子装置および識別方法
JP2008269411A (ja) 画像キーワード編集システム、画像キーワード提供サーバおよび画像キーワード編集装置
JP200427259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サーバ装置用情報処理プログラム、端末装置用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508006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4159048A (ja) 撮像システム、画像データ検索手法
KR20100101528A (ko) 가상 액세스 제어 장치
JP2003308493A (ja) 電子機器、記憶媒体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10928867B (zh) 一种数据融合的方法及装置
JP2004253915A (ja) 撮影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4252883A (ja) 判定装置
JP2003018510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撮像補助装置及び撮像装置
CN114756149B (zh) 呈现数据标签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