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491B1 -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를 수행하는틸트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를 수행하는틸트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491B1
KR100629491B1 KR1020050041120A KR20050041120A KR100629491B1 KR 100629491 B1 KR100629491 B1 KR 100629491B1 KR 1020050041120 A KR1020050041120 A KR 1020050041120A KR 20050041120 A KR20050041120 A KR 20050041120A KR 100629491 B1 KR100629491 B1 KR 10062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signal generator
control
signals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욱
타쯔히로 오오쯔까
심재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491B1/ko
Priority to US11/432,330 priority patent/US20060268668A1/en
Priority to DE602006004499T priority patent/DE602006004499D1/de
Priority to EP06114010A priority patent/EP1727135B1/en
Priority to CNB2006100824011A priority patent/CN100437782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를 수행하는 틸트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재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틸트제어장치는, 액츄에이터의 동작제어에 이용할 신호들인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기준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제어신호 생성부, 제1 및 제2 제어신호와 기준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 구동에 이용되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제1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 보호부, 및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제2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 보호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어신호들을 보호하여 제어신호들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가 수행되는 결과, 재생성능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틸트, 액츄에이터 제어신호, 제어신호 보호, 전압폴로워

Description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를 수행하는 틸트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재생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tilt according ro accurate control-signal and optical reproducing apparatus thereof}
도 1은 종래의 틸트제어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제어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틸트제어장치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액츄에이터 제어신호 생성부
120 : 제1 제어신호 보호부
130 : 제2 제어신호 보호부
140 : 기준제어신호 생성부
150 : 액츄에이터 구동신호 생성부
160 : 액츄에이터
본 발명은 틸트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를 수행하는 틸트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틸트제어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틸트제어장치는 액츄에이터 제어신호 생성부(10), 제1 저항(R1), 제2 저항(R2), 액츄에이터 구동신호 생성부(20), 및 액츄에이터(30)를 구비한다.
액츄에이터 제어신호 생성부(10)는 포커스제어신호와 틸트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30)의 동작제어에 이용할 신호들인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제어신호의 전압(즉, 노드1(N1)의 전압)은 'VCS1'이고, 제2 제어신호의 전압(즉, 노드2(N2)의 전압)은 'VCS2'임을 알 수 있다.
제1 및 제2 저항(R1, R2)은 액츄에이터 제어신호 생성부(10)에서 출력되는 제1 및 제2 제어신호의 전압분배를 통해 기준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때, 기준제어신호의 전압은, 제1 제어신호의 전압(VCS1)과 제2 제어신호의 전압(VCS2)의 중간전압(VCSR)이다.
액츄에이터 구동신호 생성부(20)는, 제1, 제2, 및 기준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30)의 구동에 이용되는 신호들인 제1, 제2, 및 기준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구동신호, 제2 구동신호, 및 기준 구동신호의 전압은, 각각 'VDS1', 'VDS2', 및 'VDSR'임을 알 수 있다.
액츄에이터(30)는 액츄에이터 구동신호 생성부(20)에서 출력되는 제1, 제2, 및 기준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픽업(미도시)의 틸트를 조정한다.
도 1에 나타난 같이,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의 전압분배를 통해 기준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노드1(N1)과 노드2(N2)는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드1(N1)과 노드2(N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면,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게 된다. 이는, 제1 제어신호의 전압과 제2 제어신호의 전압간의 차이가 큰 경우에 더욱 심화된다.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게 되는 결과,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는 왜곡되게 된다. 제1 제어신호의 전압과 제2 제어신호의 전압이 각각 "2.52V"와 "1.59V"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전기적 연결로 인한 영향으로 인해 제1 제어신호의 전압과 제2 제어신호의 전압이 각각 "2.36V"(<"2.52")와 "1.75V"(>"1.59")로 왜곡되는 경우가 그 예이다.
이와 같이,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가 왜곡되게 되면, 그들을 기반으로 하여 액츄에이터 구동신호 생성부(20)가 생성하는 구동신호들도 왜곡되게 된다. 그 결과, 액츄에이터(30)의 틸트조정이 부정확하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이지 못하거나, 부정확하게 읽어들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 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정확한 틸트제어를 위해, 픽업의 틸트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의 동작제어에 이용할 제어신호들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를 수행하는 틸트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틸트제어장치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픽업의 틸트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의 동작제어에 이용할 신호들인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기준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기준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에 이용되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 보호부; 및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 보호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전압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 제 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전압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는 일 단자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전압폴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는 다른 단자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전압폴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재생장치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픽업; 상기 픽업의 틸트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제어에 이용할 신호들인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기준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기준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에 이용되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 보호부; 및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 보호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전압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 제 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전압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는 일 단자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전압폴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는 다른 단자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전압폴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제어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틸트제어장치는 액츄에이터 제어신호 생성부(110), 제1 제어신호 보호부(120), 제2 제어신호 보호부(130),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 액츄에이터 구동신호 생성부(150), 및 액츄에이터(160)를 구비한다.
액츄에이터 제어신호 생성부(110)는 'IFCS'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FCS(Focus Control Signal : 포커스제어신호)와 'ITCS'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TCS(Tilt Control Signal : 틸트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후술할 액츄에이터(160)의 동작제어에 이용할 신호들인 제어신호들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액츄에이터 제어신호 생성부(110)가 생성하는 제어신호들은, 'OCS1'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제1 제어신호와 'OCS2'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제2 제어신호로 분류된 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제어신호의 전압(즉, 노드1(N1)의 전압)은 'VCS1'이고, 제2 제어신호의 전압(즉, 노드2(N2)의 전압)은 'VCS2'임을 알 수 있다.
제1 제어신호 보호부(120)는 제1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신호 보호부(120)는 후술할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의 'P1' 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노드1(N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그 출력신호에 의해 제1 제어신호의 전압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제어신호 보호부(120)는 제1 제어신호와 동일한 전압의 신호가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의 'P1' 단자에 인가되도록 한다. 즉, 제1 제어신호 보호부(120)는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의 'P1' 단자의 전압(즉, 노드3(N3)의 전압)이 제1 제어신호의 전압(VCS1)과 동일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제어신호 보호부(130)는 제2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이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신호 보호부(130)는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의 'P2' 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노드2(N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그 출력신호에 의해 제2 제어신호의 전압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제어신호 보호부(130)는 제2 제어신호와 동일한 전압의 신호가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의 'P2' 단자에 인가되도록 한다. 즉, 제2 제어신호 보호부(130)는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의 'P2' 단자의 전압(즉, 노드4(N4)의 전압)이 제 2 제어신호의 전압(VCS2)과 동일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는 제1 제어신호 보호부(120)와 제2 제어신호 보호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들을 이용하여 기준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때,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가 생성하는 기준제어신호의 전압은, 제1 제어신호 보호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VCS1)과 제2 제어신호 보호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VCS2)의 중간전압(VCSR)이다.
액츄에이터 구동신호 생성부(150)는, 'IDS1'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제어신호, 'IDS2'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제어신호, 및 'IDSR'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기준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후술할 액츄에이터(160)의 구동에 이용되는 신호들인 구동신호들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액츄에이터 구동신호 생성부(150)가 생성하는 구동신호들은, 'ODS1'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제1 구동신호, 'ODS2'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제2 구동신호, 및 'ODSR'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기준구동신호로 분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구동신호, 제2 구동신호, 및 기준구동신호의 전압은, 각각 'VDS1', 'VDS2', 및 'VDSR'임을 알 수 있다.
액츄에이터(160)는 'I1'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제1 구동신호, 'I2'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제2 구동신호, 및 'IR'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기준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픽업(미도시)의 틸트를 조정한다.
액츄에이터(160)의 구동에 이용되는 구동신호들은, 액츄에이터 구동신호 생성부(150)가 제어신호들을 이용하여 생성한 신호들이다. 제어신호들 중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는 왜곡되지 않은 신호이며, 이는 제1 및 제2 제어신호 보호부(120, 130)가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에 의해 제1 및 제2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였음에 기인하다.
제1 및 제2 제어신호가 왜곡되지 않았기에, 그들을 이용하여 생성한 구동신호들 역시 왜곡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왜곡없는 구동신호들에 의해 구동되는 액츄에이터(160)에 의한 픽업의 틸트조정은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틸트제어장치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틸트제어장치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제어신호 생성부(110)는 가산부(112)와 감산부(114)를 이용하여 구현되었다. 가산부(112)는 FCS와 TCS의 가산신호(FCS + TCS)를 제1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감산부(114)는 FCS와 TCS의 감산신호(FCS - TCS)를 제2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제1 제어신호 보호부(120)는 후술할 제1 증폭부(152-1)의 입력단자(도 2에서는, 액츄에이터 구동신호 생성부(150)의 'IDS1' 단자)와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 에 마련된 제1 저항(R1)의 일단(도 2에서는,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의 'P1' 단자)의 사이에 마련되는 전압폴로워로 구현되었다.
제2 제어신호 보호부(130)는 후술할 제2 증폭부(152-2)의 입력단자(도 2에서는, 액츄에이터 구동신호 생성부(150)의 'IDS2' 단자)와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에 마련된 제2 저항(R2)의 일단(도 2에서는,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의 'P2' 단자)의 사이에 마련되는 전압폴로워로 구현되었다.
전압폴로워들 각각의 출력단자의 전압(VCS1, VCS2)은 입력단자의 전압(VCS1, VCS2)과 동일함은, 도 3을 통해 확인가능하다. 전압폴로워는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에 의해 제1 및 제2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 즉, 제1 및 제2 제어신호의 전압들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압폴로워들로 인해,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는 왜곡되지 않게 된다.
기준제어신호 생성부(140)는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을 이용하여 구현되었으며, 전압분배를 통해 기준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만약,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의 저항값이 동일하다면, 기준제어신호의 전압은 제1 제어신호 보호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VCS1)과 제2 제어신호 보호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VCS2)의 중간전압(VCSR)이 되게 된다.
액츄에이터 구동신호 생성부(150)는 제1, 제2, 및 기준제어신호를 각각 증폭 하는 제1, 제2, 및 제3 증폭부(152-1, 152-2, 및 152-3)와 증폭신호들의 전압레벨들을 각각 쉬프팅하여 제1, 제2, 및 기준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2, 및 제3 레벨쉬프터(154-1, 154-2, 및 154-3)로 구현되었다.
지금까지, 픽업의 틸트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의 동작제어에 이용할 제어신호들의 왜곡을 방지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틸트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틸트제어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틸트제어장치는 픽업을 이용하여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광재생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픽업의 틸트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의 동작제어에 이용할 제어신호들을 보호하여, 제어신호들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가 수행되게 되므로,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성능인 재생성능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픽업의 틸트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의 동작제어에 이용할 신호들인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기준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기준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에 이용되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 보호부; 및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전압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전압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는 일 단자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전압폴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는 다른 단자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전압폴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제어장치.
  4.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픽업;
    상기 픽업의 틸트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제어에 이용할 신호들인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기준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기준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에 이용되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 보호부; 및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재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전압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전압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와, 상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는 일 단자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전압폴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 보호부는,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와, 상 기 기준제어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는 다른 단자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전압폴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재생장치.
KR1020050041120A 2005-05-17 2005-05-17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를 수행하는틸트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재생장치 KR10062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20A KR100629491B1 (ko) 2005-05-17 2005-05-17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를 수행하는틸트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재생장치
US11/432,330 US20060268668A1 (en) 2005-05-17 2006-05-12 Tilt controller based on distortion-free control signals and an optical reproducing apparatus thereof
DE602006004499T DE602006004499D1 (de) 2005-05-17 2006-05-16 Neigungscontroller basierend auf verzerrungsfreien Steuersignalen und eine optische Wiedergabevorrichtung dafür
EP06114010A EP1727135B1 (en) 2005-05-17 2006-05-16 Tilt Controller based on Distortion-Free Control Signals and an Optical Reproducing Apparatus Thereof
CNB2006100824011A CN100437782C (zh) 2005-05-17 2006-05-16 基于非失真控制信号的倾斜控制器及其光学再现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20A KR100629491B1 (ko) 2005-05-17 2005-05-17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를 수행하는틸트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9491B1 true KR100629491B1 (ko) 2006-09-28

Family

ID=3708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120A KR100629491B1 (ko) 2005-05-17 2005-05-17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를 수행하는틸트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68668A1 (ko)
EP (1) EP1727135B1 (ko)
KR (1) KR100629491B1 (ko)
CN (1) CN100437782C (ko)
DE (1) DE60200600449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0112B2 (en) * 2007-05-15 2009-12-08 Konica Minolta Opto, Inc.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466926B1 (ko) * 2008-09-25 2014-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프셋 전압을 보상할 수 있는 신호 처리기, 워블 신호 검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4154A (ja) * 1991-10-21 1993-05-07 Tosoh Corp 光ヘツド
US7480219B2 (en) * 2000-11-21 2009-0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a variation per track of a focus error to control the tilt of a disk
JP2004213878A (ja) * 2002-12-30 2004-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光ディスクシステムの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駆動信号提供装置
JP2004336268A (ja) * 2003-05-06 2004-11-25 Rohm Co Ltd 差信号作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US7406007B2 (en) * 2003-09-02 2008-07-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apparatus and spherical aberration correction control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7135B1 (en) 2008-12-31
US20060268668A1 (en) 2006-11-30
CN100437782C (zh) 2008-11-26
CN1866367A (zh) 2006-11-22
EP1727135A3 (en) 2007-05-02
DE602006004499D1 (de) 2009-02-12
EP1727135A2 (en)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411B1 (ko) 저역 통과 필터 피드백없이 위상 지연이 없는 d급 증폭기
JP4356625B2 (ja) デジタルアンプ
KR20020034868A (ko) 자기-저항 비대칭 보정 회로
EP2127070B1 (en) A data processing system for clipping correction
TW527586B (en) Current control circuit, variable gain amplifying circuit using the same, and the compact disk regeneration device
KR100629491B1 (ko) 왜곡없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틸트제어를 수행하는틸트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재생장치
US7106238B2 (en) Input data slicer
JP2005323131A (ja) 利得制御増幅回路および記録再生装置
US815535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peaker
US8054979B2 (en) Audio system for improving a signal to noise ratio
WO2006137281A1 (ja) 光ディスク装置制御方法と光ディスク装置
JP4482812B2 (ja) アンプ出力制御装置、オーディオ装置及びアンプ出力制御方法
US8704585B2 (en) Method for forming an electric signal representing a sound and a device therefor
JP2009534778A (ja) 入力コモンモードフィードバックを用いた光学検出器におけるダミー検出器の排除
JP6405759B2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KR100242339B1 (ko) 광디스크의 재생신호 보상회로
JP6524452B2 (ja) コンデンサ型ピックアップカートリッジ
JP7393091B2 (ja) 電流駆動装置
JP5487580B2 (ja) 増幅回路
JP3641792B2 (ja) オーディオテープ再生回路
JP3946180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の制御方法
JP2005203057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332219B2 (ja) 音場拡大装置
KR100230229B1 (ko) 광디스크장치의 재생신호증폭기
JPS603298A (ja) モ−シヨナルフイ−ドバツク型スピ−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