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281B1 - 움직임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움직임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281B1
KR100629281B1 KR20040041168A KR20040041168A KR100629281B1 KR 100629281 B1 KR100629281 B1 KR 100629281B1 KR 20040041168 A KR20040041168 A KR 20040041168A KR 20040041168 A KR20040041168 A KR 20040041168A KR 100629281 B1 KR100629281 B1 KR 100629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information
pixel
field
interest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4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594A (ko
Inventor
마츠자키에이이치
이노우에켄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5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H04N7/013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dependent on presence/absence of motion, e.g. of motion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입력된 비월주사에 의한 화소신호의 움직임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움직임정보 처리방법은, 두 개의 필드 사이의 동일한 위치에서 화소신호의 차분정보에 의거하여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검출하는 공정과, 주목필드에서 주목화소의 검출된 움직임정보 및 상기 주목필드 보다 이전의 과거필드에서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하여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출력하는 공정과, 상기 주목필드의 상기 주목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접한 화소를 포함하는 영역내에 적어도 소정의 수의 움직임 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화소가 동화상을 나타내는 움직임정보를 가진다. 상기 움직임 화소의 수가 소정의 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출력공정에서 상기 과거 필드에서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무시하고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움직임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OTION INFORMATION}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 처리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IP 변환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a 내지 도 4c는 비월주사에 의한 영상정보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된 움직임정보 관리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움직임정보 관리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화소와 그 화소의 움직임정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비교예로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비월주사에 의한 영상정보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도 10a 내지 도 10d의 영상정보로부터 얻은 비교에에 의한 움직임정보의 개략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11a 내지 도 11d의 움직임정보로부터 IP 변환되고, 순차주사에 의해 재생되고 표시된 영상정보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l3a 내지 도 13d는 도 10a 내지 도 10d의 영상정보로부터 얻어진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움직임정보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화소와 그 화소의 움직임정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7a 내지 도 17d는 도 10a 내지 도 10d의 영상정보로부터 얻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를 나타낸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9는 화소와 그 화소의 움직임정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영상정보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l, 2: 필드신호 기억유닛 3: 움직임정보 생성기
4: 라인 신호 기억유닛 5, 6: 입출력 속도변환기
7: 가산기 8: 승산기
9: 보간신호 선택기 10: 표시신호 선택기
1l: 움직임정보판정 및 관리유닛 12, 39: 움직임정보 선택기
l3: 움직임정보 기억유닛 l4: 움직임정보 검출기
31: 감산기 32: 절대값 회로
33: 한계값 필터회로 34, 42: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
35: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 38, 401: OR 게이트
36, 37: 필드움직임 정보기억회로 39: 움직임정보 선택기
40: 움직임정보 관리유닛 4l: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
43: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 44: 축적 움직임정보생성기
402, 403: 플립플랍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표시장치의 영상정보를 취급하는 영상처리 장치에 이용하는 움직임정보처리 방법 및 움직임정보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월주사(interlace-scan)에 의한 영상정보를 순차주사에 의한 영상정보로 변환하는 화상의 움직임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월 순차(IP)변환으로 부르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 기술에 의해, 영상이 한 라인 비월주사 보다는 오히려 순차 주사로 존재되는 경우에, 비월주사에 의한 영상정보를 순차주사에 의한 영상정보로 변환한다.
움직임 적응형 IP로 알려진 IP 변환의 하나의 종류는, 보간 해야할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응답하여 필드간 보간과 필드내 보간내 사이에서 절환된다. 필드간 보간에서는, 보간화소와 동일한 위치에 인접한 필드의 화상의 화소의 (참조)영상신호로부터 보간화소의 영상신호의 값(보간 값)을 결정한다. 필드내 보간에서는, 보간화소와 동일한 필드내에 인접한 상하 라인에서 2개의 위치에 2개의 참조 화소의 영상신호로부터 보간값을 결정한다. 상기 움직임 적응형의 IP 변환에서는, 필드간 보간값과 필드내 보간값의 가중치를 보간화소의 움직임량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보간 값을 산출하여도 된다.
공지된 IP 변환에서는, 화소의 움직임 검출에, 연속하는 홀수필드(또는 연속하는 짝수필드)의 동일한 위치에서 화소의 영상신호의 차분값을 이용한다. 홀수 필드간의 짝수 필드에서와 같이, 프레임간에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에, 동화상을 정지 화상으로 착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잘못된 보간값 결과가 나온다.
일본국 공개특허 2000-175l59호 공보에는, 주목필드의 움직임정보는 물론 주목필드 보다 이전필드의 움직임정보도 참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공평8-32025호 공보에는, 주목필드 보다 이전필드에서 검출된 움직임정보에 감쇠 계수를 승산함으로써, 얻어진 값을 주목필드의 움직임정보에 가산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동영상으로서 검출된 움직임정보의 효과를 복수 필드에 걸쳐서 지속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2000-175l59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는, 환언하면, 단순하게 이전 필드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하는 것 만으로는 잘못된 보간값의 결점을 극복할 수 없는 일부의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경우에서는, 과거의 필드의 움직임정보를 축적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과거의 움직임정보를 단지 축적하여 이용하는 경우, 모든 화소의 움직임정보가 동화상으로서 처리될 수 있다. 이점에 있어서, 일본국 특공평8-3202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이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입력영상이 정지화상으로 절환되는 경우, 감쇠 계수를 승산하는 경우에도, 과거의 필드에서 검출된 동화상으로서 움직임정보가 여전히 영향을 미친다. 주어진 필드에서 정지화면으로서 보간값을 산출해야 할 경우, 보간 성분을 대신 동화상으로서 산출하여도 된다. 동화상으로서의 보간값 성분이 실질적으로 없어질 때까지, 정확한 화상을 재생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방법은, 입력된 비월주사에 의한 화소신호에 있어서의 움직임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2개의 필드 사이의 동일한 위치에서의 화소신호의 차분정보에 의거하여 주목화소가 동화상인지 정지화상인지를 나타내는 움직임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공정, 주목필드보다 전의 과거필드에 있어서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유지하는 유지공정, 상기 주목필드에 있어서의, 복수의 인접화소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목화소를 포함하는 영역 내에, 움직임정보가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공정; 및 상기 판정공정에 의해 동화상화소가 소정 수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공정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목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판정공정에 의해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공정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목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와, 상기 유지공정에 의해 유지된 상기 과거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해서 출력하는 출력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장치는, 입력된 비월주사에 의한 화상신호에 있어서의 움직임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로서, 2개의 필드에 있어서의 동일한 위치의 화소신호의 차분정보에 의거해서 주목화소가 동화상인지 정지화상인지를 나타내는 움직임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주목필드보다 전의 과거필드에 있어서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유지하는 기억부, 상기 주목필드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인접화소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목화소를 포함하는 영역 내에 움직임정보가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및 상기 판정부에 의해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목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목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와, 상기 기억부에 의해 유지된 상기 과거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해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명세를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움직임정보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움직임정보처리장치는 오표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정확한 화상을 재생한다. 본 발명의 움직임정보처리 장치는, 동화상을 정지화상으로 절환하는 경우에, 동화상으로서 처리되어야 할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가 정지화상으로 처리되는 결점으로 부터 피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정보처리장치는 동화상을 정지화상으로 절환하는 경우에, 움직임 적응형의 비월순차(IP)변환으로 신속하게 정지화상 보간처리로 이동된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를 일반적으로 설명한다.
도 l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는, 입력된 비월주사에 의한 화소신호의 움직임정보를 처리한다.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움직임정보 검출기(14)는, 2개의 필드의 동일한 위치에서 화소(A, B)의 화소신호의 차분정보(A-B)에 의거하여, 주목화소(A)의 움직임정보(α)를 검출한다. 움직임정보 선택기(12)는, 주목필드(N)의 주목화소(A)의 움직임정보(α)와 주목필드보다 이전의 과거필드(N-2)의 주목화소(B)의 움직임정보(β)에 의거하여, 주목화소(A)의 움직임정보(α또는β)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움직임정보판정 및 관리유닛(11)은, 상기 주목필드 내의 동화상을 나타내는 움직임정보를 가진 움직임 화소가, 주목화소(A)를 포함한 복수의 인접 화소를 포함한 영역(화소군) 내에, 소정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움직임정보판정 및 관리유닛(11)이, 영역내에 상기 동화상 화소가 소정수 이상의 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움직임정보 선택기(l2)는, 과거필 드의 주목화소(B)의 움직임정보(β)를 무시하면서, 주목화소(A)의 움직임정보를 α로 결정한다.
움직임정보판정 및 관리유닛(1l)이, 영역내에 상기 동화상 화소가 소정수 를 초과하는 수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움직임정보선택기(12)는, 과거필드의 주목화소(B)의 움직임정보(β)를 무시하지 않고, 주목화소(A)의 움직임정보를 α또는 β로 결정한다.
움직임정보선택기(l2)에 의해 선택된 움직임정보는, 다음의 처리를 위하여 움직임정보 기억유닛(13)에 입력된다.
영역이란, 1필드 또는 l프레임을 형성한 모든 화소 또는 일부의 화소를 포함하는 군을 이르며, 1수평 라인 또는 1수직 라인을 형성한 일부 또는 모든 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인접하는 복수의 수평 라인 또는 인접하는 복수의 수직 라인을 형성한 일부 또는 모든 화소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영역은, 1수평 주사 라인을 따라서 모든 유효화소의 군, 인접하는 복수의 수평 주사 라인을 따라서 모든 유효화소의 군, 1수직 열을 따라서 모든 유효화소의 군, 복수의 인접하는 수직열을 따라서 모든 유효화소의 군, 또는 16화소 ×16화소와 같이 수 개의 행렬의 2차원 영역의 인접한 화소군 등이다. 1수평주사 라인 또는 복수의 수평주사 라인의 군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역이 동화상인지 정지화상인지 여부의 판정에서는, 적어도 1개의 화소가 동화상 화소로 판정되면, 해당 영역이 동영상이라고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적으로, 2개의 화소 또는 3개 이상의 화소를 한계 값으로서 이용하여 동화상인 지 정지화상인지를 판정하여도 된다.
움직임정보 선택기(12)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과거 필드의 움직임정보로서 움직임정보 선택기(l2)로 피드백하고, 이와 같이 다음의 움직임정보의 결정 에 참조한다. 움직임정보판정 및 관리유닛(11)에서 판정된 영역의 움직임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움직임정보 선택기는, 피드백된 과거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같이, 공지된 결점을 극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 검출방법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공정 Sl에서는, 2개의 필드의 동일한 위치에서 화소신호의 차분 정보에 의거하여, 주목필드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검출한다.
공정 S2에서는, 주목필드내에서 전술한 영역에, 소정수 이상의 움직임 화소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화소군이 움직임 화소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는 공정 S3의 상기 주목필드보다 이전의 과거필드에서 결정되어 유지된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β)를 참조한다. 공정 S4에서는, 상기 움직임정보 처리장치가 주목필드에서 상기 검출된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α)를 참조한다.
화소군 내에 움직임 화소가 소정수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정 S3를 건너뛴다. 이와 같이, 상기 장치는 과거필드에서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β)를 무시하면서, 상기 검출된 주목화소(α)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한다.
공정 S5에서, 상기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참조된 움직임정보에 의거 하여, 주목필드에서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하고 출력한다.
주목화소와 그 주변 화소를 포함한 영역이 동화상으로 판정된 경우에, 과거의 움직임정보를 직접 반영하지 않는 때도 있지만, 과거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적어도 움직임정보가 결정된다. 그 영역이 정지화상으로 판정될 경우에, 과거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하지 않고, 주목필드의 주목화소를 참조함으로써, 움직임정보가 결정된다.
공정 S5에서 결정된 움직임정보는, 다음의 정보처리동작에 대비하여, 메모리에 기억된다. 기억된 상기 움직임정보는 다음의 정보처리 동작에 참조되고, 이 일련의 공정이 반복된다.
공정 S3와 공정 S4의 흐름은 이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흐름이 동일한 목적인 한, 어떠한 동등의 공정도 수용가능하다.
IP 변환에서, 보간될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는, 상기 참조된 움직임정보 처리방법의 결과로서 생기는 화소의 움직임정보이어도 된다. 보간화소의 필드전후의 필드내의 보간화소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의 한 쌍의 화소와, 동일한 필드내의 보간화소 전후의 한 쌍의 화소를 이하 고려한다. 상기 적어도 한쌍의 화소중 적어도 한 쌍의 움직임정보가 계산시에 참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동일한 필드내의 화상을 반영시키기 위해서, 보간화소(X)와 동일한 필드내의 인접 위치의 적어도 2개의 화소(E, A)의 움직임정보(ε, α)에 의거하여, 상기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응답하여, 움직임 적응형의 IP 변환을 실시해서, 보간화소의 보간값(화소 신호값)을 산출한다.
움직임 적응형의 IP 변환기는, 보간화소(X)와 동일한 위치에서 이전 필드 및 다음 필드에 2개의 화소(A, B)의 움직임정보(α, β)와 보간화소와 동일 필드내의 인접한 위치에 2개의 화소(C, D)의 움직임정보(γ, δ)에 의거하여 상기 보간화소 (X)의 움직임정보(χ)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간화소(X)의 보간값을 이와 같이 계산한다.
도 3은, 움직임 적응형의 IP 변환기의 블럭도이다.
비월주사에 의한 영상신호(화소 신호)는, 필드신호 기억유닛(1, 2)에 필드 단위로 기억된다. 움직임정보 생성기(3)는, 현재 입력되는 필드의 영상신호와 필드신호 기억유닛(2)으로부터 현재 필드보다 1프레임(2필드)전에 입력된 필드의 영상신호 사이의 차분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화소 단위로 동화상 정보인지 정지화상 정보인지를 판정하고, 그 화소 마다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하여 보간화소의 움직임을 판정한다. 상기 움직임정보처리 장치는, 이 움직임정보 생성기(3)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입력 영상신호를 라인 단위로 기억하기 위한 라인신호 기억유닛(4)로 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와 입력된 영상신호는 가산기(7)에 의해 가산되고, 그 결과인 합계가 승산기(8)에 의해 반으로 된다. 움직임정보 생성기(3)로부터 움직임정보에 응답하여, 보간 신호선택기(9)는, 필드신호 기억유닛(l)으로부터 현재 입력되는 필드보다 1필드전에 입력된 영상신호와 승산기(8)로부터 출력된 보간화소에 대해서 상하의 라인에서 화소값의 평균 사이의 보간화소값을 선택한다. 입출력 속도변환기(5, 6)는, 각각 보간신호 선택기(9)로부터 출력된 보간화소의 영상신호와 입력 영상신호를 라인 단위로 기억하고, 다음에, 기억된 영상신호를 입력 영상신호의 2배의 속도로 읽어낸다. 표시신호 선택기(10)는, 입출력 속도 변환유닛(5, 6)으로부터 출력을 매 라인마다 교대로 하고, 다음에 상기 선택된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이용된 신호 기억유닛 및 움직임정보 기억유닛은, 지연 회로로 구성 되어도 된다.
도 4에는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전국 텔레비젼 방식 위원회)신호에 응답하여 비월주사에 의해 존재하는 화상을 도시한다. 525개의 수평 라인을 포함하는 NTSC 신호의 1프레임은, 홀수 라인을 나타내는 홀수필드와 짝수 라인을 나타내는 짝수 필드로 나누어진다. 상기 홀수 필드와 상기 짝수 필드를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NTSC 신호는 525라인의 영상정보를 나타낸다. 환언하면, 홀수 필드와 짝수 필드는 라인 정보를 서로 보완한다.
보간하고자 하는 화소의 위치에 상당하는 이전 필드에서 화소의 영상신호를 도 3의 필드신호 기억유닛(1)로부터 얻고 정지화상의 보간값으로 취급된다. 보간하고자 하는 화소에 대해서 상하의 라인에 인접한 화소의 영상신호를 상기 입력 영상신호와 라인신호 기억유닛(4)의 출력으로부터 얻는다. 가산기(7)및 승산기(8)에 의해 2개의 인접한 화소의 영상신호의 평균을 결정한다. 이것은 동화상의 보간값으로 취급된다.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χ)가 동화상인 경우에는, 보간화소와 동일한 필드내에 인접한 위치에 2개의 참조 화소의 화소신호로부터 보간화소의 화소신호의 값 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χ)가 정지화상인 경우에는, 보간화소와 동일한 위치에 이전 필드 및 다음 필드의 2개의 참조 화소의 화소 신호중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보간화소의 화소신호의 값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된 비월주사에 의한 화소 신호에 응답하여, 움직임정보처리 장치는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하고 움직임 적응형 IP 변환기는 각 필드의 라인간의 결손 라인의 화소를 보간하여 순차주사의 영상신호를 형성한다. 표시장치는 순차모드의 주사선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영상신호를 재생한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제 1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처리 장치의 블럭도이다. 이 장치는 도 3의 움직임 적응형 IP 변환기의 움직임정보 생성기(3)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명된 움직임 검출기(14)는 감산기(31), 절대값 회로(32), 한계값 필터회로(33)를 포함한다.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를 개재하여 움직임정보 선택기(39)에 상기 검출된 움직임정보를 전송한다. 움직임정보 선택기(39)와 OR 게이트(38)는 움직임정보 선택기(12)의 기능을 행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은 움직임정보 판정 및 관리유닛(11)에 상당하고,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37)는 각각 움직임정보 기억유닛(l3)에 상당한다.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은, 후술하는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 력된 화소 마다의 움직임정보를 라인 단위로 기억한다.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35)는,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으로부터 출력된 1라인전의 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하여, 라인간에 생성된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하여 출력한다.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 (35)는, 예를 들면, 2개의 입력단자를 가진 OR 게이트를 포함하여도 된다.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는 상기 한계값 필터회로(33)로부터 출력된 화소 마다의 움직임정보를 라인 단위로 기억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은, 한계값 필터회로(33)로부터 출력된 화소 마다의 움직임정보를 영역단위로 관리하며, 상기 단위 영역은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로 구성된다.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영역단위로 관리되어 출력된 움직임정보에 따라,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OR 게이트(38)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37)는, 입력된 움직임정보를 필드 단위로 기억한다. 상기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는,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1필드 기간동안 기억한다.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는,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1필드 기간동안 기억 한다. 이 구성에서,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는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로부터 1필드 기간만큼 지연시킨 움직임정보를 출력한다.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는,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로부터 1필드 기간만큼 지연시킨 움직임정보, 즉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로부터 2필드 기간만큼 지연시킨 움직임정보를 출력한다. OR 게이트(38)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의 논리합을 구하고, 움직임정보 선택기(39)에 상기 논리합 신호를 출력한다.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35)로부터 출력된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가, 움직임 적응형 IP 변환기의 보간신호 선택기(9)에 공급된다. 상기 보간신호 선택기 (9)는 보간신호를 선택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의 움직임정보 생성기(3)의 동작을 설명한다.
감산기(31)는, 현재 입력된 필드의 영상신호와 필드신호 기억유닛(2)으로부터 현재 입력된 필드보다 l프레임 전에 입력된 필드의 영상신호 사이의 차분을 결정한다.
절대값 회로(32)는, 감산기(31)에 의해 산출된 차분의 절대값을 결정하여 한계값 필터회로(33)에 상기 차분의 절대값을 공급한다.
한계값 필터회로(33)는, 절대값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한계값을 비교한다. 상기 절대값이 한계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한계값 필터회로(33)는 그 화소의 영상신호를 정지화상으로 결정하고 이에 의해 "0"을 출력한다. 상기 절대값이 상기 한계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한계값 필터회로(33)는 그 화소의 영상신호를 동영상으로 결정하고 이에 의해 "1"을 출력한다. 입력 영상신호에 노이즈와 같이 바람직하지 못한 화소정보가 첨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바람직하지 못한 신호가 한계 범위내인 한은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한계값 필터회로(33)로부터 출력된 화소마다의 움직임정보는, 라인 단위로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1)에 기억된다. 이와 같이,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보다 1라인 전의 화소의 움직임정보를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1)로부터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의 블럭도이다. 여기에서는, 한계값 필터회로(33)로부터 출력된 화소 마다의 움직임정보를 라인 단위(영역 단위)로 관리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OR 게이트(401)는 입력된 2개의 신호의 논리합을 구한다. 플립플랍(Flip-Flop)(402, 403)은 OR 게이트에 입력된 신호의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OR 게이트(401)는 한계값 필터회로(33)로부터 출력된 화소마다의 움직임정보와 플립플랍(402)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와의 논리합을 구하여 플립플랍(402)에 상기 논리합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플립플랍(402)은, 입력된 화소의 타이밍에 변화하는 화소 클록신호 PCLK에 동기하여 OR게이트(401)의 출력을 유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계값 필터회로 (33)로부터 일단 "1"을 출력하면, 상기 플립플랍(402)은 계속적으로 유지하여 "1"을 출력한다. 플립플랍(402)에 유지된 상태는 각 수평라인의 처음에 출력된 수평 동기신호(HD)에 의해 초기화 된다. 초기화되기 직전 상태는 플립플랍(403)에서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립플랍(403)은 현재 입력된 영상신호 보다 이전의 라인에, 동영상으로서 화소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1라인을 2 등분한 단위로 정보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수평 동기신호(HD)에 2배의 주파수를 가진 클럭을 이용하여도 된다. 이러한 클럭은 위상 락 루프와 같은 동기 신호 생성기를 이용하여 수평 동기 신호(HD)에 위상 락 시켜도 된다.
도 7은,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라인 단위로 관리되는 화소 마다의 움직임정보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H"에 배치된 화소의 움직임정보가 동영상으로서 검출된다. 상기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은 문자 "H"에 상당하는 동영상으로서 움직임정보가 검출된 화소를 가진 라인에 대해서는 "1"을 출력하고, 나머지의 라인에 대해서는 "0"을 출력한다.
도 8은, 연속하는 3필드의 인접한 5라인과 화소들의 움직임정보에 관련된 화소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A 내지 F, X 및 Y는 화소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서는, 화소(A, B)는 화소(A)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하기 위해서 참조되는 참조화소이며, Y는 현재의 입력 화소이다. 화소(A, E)는 보간화소(X)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참조화소로서 기능을 한다. 화소(E)의 움직임정보는, 화소(A)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소(F)의 움직임정보(ξ)를 참조함으로써 결정된다.
보간화소(X)가 움직임 화소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화소(A)와 화소(E)의 영상신호의 평균이 보간화소(X)의 영상신호 값이 된다. 보간화소(X)가 정지화소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화소(D)의 영상신호 값이 보간화소(X)의 영상신호값이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은 현재 입력된 화소(Y)의 영상신호보다 1라인 전의 라인 상태를 출력한다.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1)을 개재하여 한계값 필터회로(33)로부터 출력된 각 화소의 움직임정보로부터 1라인만큼 지연시킨 움직임정보(α)를 움직임정보 선택기의 입력 단 자에서 수신한다. 또한,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OR 게이트(38)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영역단위로 관리되고 출력된 움직임정보에 따라서 이들 움직임정보의 부분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이 "0"을 출력한 경우에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1)의 움직임정보가 선택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이 "1"을 출력한 경우에는, OR 게이트(38)의 움직임정보가 선택된다. 다음에,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상기 선택된 움직임정보를 출력한다.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6)를 개재하여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에 입력되고, 움직임정보 선택기 (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보다 1프레임 전의 필드에 화소(B)의 움직임정보 (β)로서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다. OR 게이트(38)는 한계값 필터회로(33)로부터 출력된 화소 마다의 움직임정보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7)으로부터 출력된 1프레임 기간전의 필드의 움직임정보의 논리합을 구한다. 현재 입력되어 있는 움직임정보(α) 또는 l프레임 전의 필드의 움직임정보(β)에서 동화상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OR 게이트(38)는 화소의 움직임정보를 동화상으로서 출력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서 처리된 화소와 동일한 라인에 동화상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OR 게이트(38)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즉, 프레임간 차분 정보의 결과로 생기는 움직임정보(α)와 1프레임 전의 필드의 움직임정보(β)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동일한 라인에 동화상 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으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즉, 프레임간 차분 정보의 결과로 생기는 움직임정보(α)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관리된 영역에서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움직임 화소가 계속적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과거의 필드의 동화상으로서 움직임정보를 복수의 프레임에 걸쳐 지속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에서 움직임 화소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환언하면, 라인상의 모든 화소가 정지화소인 경우에는, 과거의 프레임의 움직임정보는 즉시 무시된다. 현재 필드의 프레임간 차분 정보로부터 얻어진 움직임정보(α)가 출력된다.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과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35)에 입력된다.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 (34)은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으로부터 1라인 만큼 지연되어 출력된 화소 (E)의 움직임정보(ε또는 ξ)를 출력한다.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35)는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α또는 β)와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으로부터 출력된 1라인전의 화소의 움직임정보(ε또는 ξ)를 수신하고, 라인간에 존재하는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를 판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의 이점을 참고예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참고예로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의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35)는 한계값 필터회로(33)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로부터 출력된 1라인 전의 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하고, 이들 라인간에 새롭게 생성된 보간화소에서 움 직임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장치의 움직임정보를 도 10a 내지 도 12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IP 변환에서는, 보간신호 선택기(9)는 움직임정보 생성기(3)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가 "0"인 경우에는, 필드신호 기억유닛(1)으로부터 출력된 화소의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보간신호 선택기(9)는, 움직임정보 생성기(3)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가 "1"인 경우에는, 승산기(8)로부터 출력된 화소의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움직임정보의 검출에 프레임간의 차분정보를 이용하므로, 프레임간에 주어진 필드에서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동화상을 정지화상으로 착각할 수도 있다. 이전 또는 다음의 필드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프레임간 필드에서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도 l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영상에, 오류검출이 여전히 생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H"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우측에서 좌측까지 수평으로 이동한다.
도 1Oa는 현재의 필드의 표시상태를 나타내고, 도 10b는 현재필드 보다 1필드전의 필드의 표시상태를 나타내고, 도 10c는 현재 필드보다 2필드전의 필드의 표시상태를 나타내고, 도 10d는 현재 필드보다 3필드전의 필드의 표시상태를 나타낸다.
프레임간 차분 정보로부터 움직임정보를 결정하는 경우, n필드의 화소의 움직임정보는 도 1Oa의 표시상태와 도 lOc의 표시상태를 비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도 1l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Oa에 도시된 좌단에서 문자 H만이 동화상으로 서 결정된다. n-1필드 내지 n-3 필드의 화상의 움직임정보도 마찬가지로 결정된다. 도 11b, 도 11c 및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단에서 문자 H의 상태는 움직임정보로서 결정된다. 도 10a 도시된 표시상태는 현재의 n필드에 표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좌단에 위치결정된 문자 H만이 동영상으로서 결정되고 표시되어야 할 필드내 보간이 선택된다. 그 나머지 영역에선는, 필드간 보간이 선택되어 도 1Oa 표시상태와 도 1Ob 표시상태의 혼합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의하면, 도 1Oa 내지 도 10d의 입력영상 정보에 응답하여,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각 필드의 움직임정보를 도 13a 내지 도 13d의 움직임보로서 결정한다.
문자 H가 움직이고 있는 한, 과거의 프레임의 동영상으로서 움직임정보가 복수프레임에 걸쳐 지속된다. 도 11a 내지 도 11d의 움직임정보와 비교하여, 한층 더 정확한 움직임정보가 검출된다.
과거의 필드의 움직임정보를 축적하는 경우에는, 과거의 필드의 움직임정보의 영향이 연속적으로 지속되어, 최종적으로 모든 화소의 움직임정보가 동영상으로서 처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라서,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영역내에서 움직이는 화소가 전혀 검출되지 않고, 상기 영역내에서 화소가 정지되어 있는 화소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주목필드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는, 그것 자체로 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과거의 필드의 움직임정보의 영향이 차단되고 따라서,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움직임정보를 얻는다. 환언하면, 동화상을 정 지화상으로 절환하는 순간에, 정지화상으로서 보간화소값이 즉시 생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과거의 움직임을 반영한 움직임정보가 복수의 비트를 이용하여 관리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도 5의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은 한계값 필터회로(33)로부터, 출력된 화소 마다의 움직임정보를 라인 단위로 관리한다. 한계값 필터회로(33)로부터 출력된 화소 마다의 움직임정보를 라인 단위로 기억하기 위하여 복수의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을 배치하여도 된다. 이 배치에서. 복수의 라인으로 상기 움직임 정보를 관리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미리 설정된 영역(화소군) 내에서 움직임화소가 검출될 경우에는, 주목필드내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는, 1프레임 지연된 동일한 위치에서 주목화소의 영상신호와 상기 화소간의 차분정보로부터 생성된다. 상기 움직임정보는 과거의 필드에서 마찬가지로 결정된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와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결정된다.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1프레임에 걸쳐 유지한다. 다시,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할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정보를 또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과거의 필드의 움직임정보가 복수의 필드 기간에 걸쳐 유지된다.
상기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영역에서 움직이는 화소가 검출되지 않으면,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는, 주목필드로부터 1프레임 지연된 필드의 영상신호와 주목필드의 영상신호간의 차분정보에 의존한다. 이 배치에 의해 과거필드의 움직임정보의 영향을 차단하고, 따라서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움직임정보를 얻는다. 환언하면, 동화상을 정지화상으로 절환하는 순간에, 정지화상으로서 보간화소 값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는, 과거필드의 움직임정보를 반영하여 입력화소의 움직임정보를 1 비트로 관리한다.
<제 2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의 블럭도이다. 상기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는 도 3의 움직임 적응형의 IP 변환기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 3의 움직임정보 생성기(3)와 비교하면, 도 14의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또 다른 1라인 기간 동안 유지하기 위한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2)을 포함한다. 한계값 필터회로 (33)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이외에도,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은,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2)으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은 인접한 3라인의 움직임정보로부터, 미리 정해진 영역(인접한 3라인을 따르는 화소군)에서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의하면, 라인을 따라서 참조될 화소의 수는 1라인을 따르는 모든 화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의 한계값 필터회로(33)로부터 출력된 화소마다의 움직임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플립플랍의 수는 참조되어야 할 화소의 수를 설정할 수 있고, 한정된 화소만을 참조할 수 있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은 각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을 가진 화소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간 차분정보로부터 얻어진 움직임정보를 그대로 사용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을 가진 화소가 검출된 경우에는, 프레임간 차분정보로부터 얻어진 움직임정보 이외에, l프레임 이전의 과거필드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화소마다의 움직임정보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화소마다의 움직임정보를,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및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에 1프레임 기간 동안 기억한다.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소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l프레임 전의 과거필드의 움직임정보로서 이용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으로 판정될 주목화소는, 복수의 프레임에 걸쳐서 검출될 수 있다. 상기 화소의 움직임정보가 그 기간동안 적어도 한 번 동화상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으로 판정된 화소가 검출된 기간을 거치는 동안, 그 화소의 움직임정보는 동영상으로 출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a 내지 도 10d의 입력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각 필드의 움직임정보는,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된다. 문자 H가 이동하고 있는 한, 과거의 프레임의 동화상 으로서 움직임정보가 복수의 프레임 기간에 걸쳐 지속된다. 이와 같이, 도 l1a 내지 도 11d의 움직임정보 보다 정확한 움직임정보가 결과로서 생긴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영역이 정지화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과거의 필드의 움직임정보의 영향이 차단되고, 따라서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움직임정보를 얻는다. 환언하면, 동화상이 정지화상으로 절환된 순간에, 정지화상으로서 보간화소 값이 즉시 생성된다.
<제 3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의 블럭도이다. 상기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는 도 3의 IP 변환기의 움직임정보 생성기(3)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는 프레임간의 필드에서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다. 그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현재 필드의 움직임정보 이외에도, 이전 필드 및 다음 필드를 참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인접한 필드에서 움직임정보를 반영한다. 여기서 참조되는 움직임정보는, 단순한 프레임간 차분 정보로부터 얻어진 움직임정보가 아니다.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움직임정보를 얻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서는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및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이용한다. 상기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및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는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기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및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필드 마다의 움직임정보이며, 따라서 상기 움직임정보가 과거의 프레임에서 얻어진 동영상으로 반영된다.
도 15의 장치는,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및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에 의거하여, 전 후의 필드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전필드의 움직임정보를 반영한다.
도 l5의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와 도 3의 움직임정보 생성기(3)사이의 차이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이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수신하는 것,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35)가 움직임정보 선택기 (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으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및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간 움직임정보 생성기(35)는 이들 화소로의 움직임정보로부터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문에,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35)는 단순한 OR 게이트가 아니라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의 조합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35)는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와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을 2-입력의 AND 게이트에서 수신하고, 이 AND 게이트의 출력과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6) 및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의 출력을 3-입력의 OR 게이트에서 수신하여,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의 출력으로서 이 OR 게이트로부터 출력을 출력한다.
도 16은, 보간 움직임정보 생성기(35)에 보간화소(X)의 움직임정보를 어떻게 결정 하는가를 나타낸 것이다.
현재 입력되는 n필드의 화소(Y)의 영상신호 보다 l필드 기간 전에 입력된 n-l필드의 보간화소(X)의 움직임정보(χ)를 결정한다. n-1필드의 화소(C)의 움직임정보(γ) 및 화소(D)의 움직임정보(δ)는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된다. n-1필드 보다 이전의 n필드의 화소(A)의 움직임정보(α) 및 n-1필드 다음의 n-2필드의 화소(B)의 움직임정보(β)는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및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현재 입력되는 화소의 영상신호가 m+2라인의 화소(Y)의 영상신호인 경우, 1라인 비월 주사이기 때문에,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1)으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m" 라인의 화소(A)의 움직임정보(α)가 된다.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현재 입력되는 화소보다 2필드 만큼 지연된 화소(B)의 움직임정보(β)이다.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로부터 출력된 n필드의 m라인에서 화소(A)의 움직임정보(α)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n-2필드의 m라인에서 화소(B)의 움직임정보 (β)에 의거하여 결정된 m라인의 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출력한다.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에 의해 이미 1필드 기간만큼 지연된,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또 다른 1필드 기간만큼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에 의해 더욱 지연된다. 환언하면,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 (36)는 n-1필드의 움직임정보를 출력하고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는, n-2필 드의 움직임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는 n-1필드의 m+1라인에서 화소(C)의 움직임정보(γ)가 출력된 경우,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 (34)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γ)보다 1라인 기간 지연된 화소의 움직임정보, 즉 n -1필드에 있어서의 m-1라인의 화소(D)의 움직임정보(δ)가 출력된다.
보간 움직임정보 생성기(35)는,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화소 (A)에서 움직임정보(α)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화소(B)에서 움직임정보(β)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된 화소(C)에서 움직임정보(γ)와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으로부터 출력된 화소(D)에서 움직임정보(δ)를 수신한다. 이들 정보에 의거하여, 이와같이 상기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는 n-1필드의 m라인에서 보간화소(X)의 움직임정보(χ)를 결정한다.
보간 움직임정보 생성기(35)로부터 출력된 보간화소(X)의 움직임정보(χ)는 전 필드의 움직임정보(β)를 반영한다. 그 결과,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영상에 응답하여 도 17a 내지 도 17d에 도시된 움직임정보를 얻는다.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오표시를 회피하면서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래의 상태를 얻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의하면, 보간화소(X)의 필드와는 다른 인접한 필드내의 동일한 위치에서 화소(A, B)에 대해서 출력된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α, β)에 의거하여, 보간화소(X)의 움직임정보(χ)를 제공한다.
<제 4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바람직한 제 4실시예의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는 도 3의 IP 변환기의 움직임정보 생성기(3)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영역내에 동화상으로서 움직임정보가 검출될 경우에, 이전의 프레임에서 결정된 움직임정보에 부가하여 이전 필드에서 결정된 움직임 정보를 참조함로써, 화소 마다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화소 마다의 움직임정보를 1프레임 기간동안 기억하는 수단을 배치한다. 소정의 영역내에 동화상으로서 움직임정보가 검출될 경우에, 이전의 필드에서 결정된 움직임정보 및 이전의 프레임에서 결정된 움직임정보를 참조한다. 이전 필드에서의 움직임정보를 반영시키는 어떠한 별도의 수단도 배치하지 않고, 이와 같이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한다.
도 18의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와 도 3의 움직임정보 생성기(3)의 차이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2) 및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가 부가된 것이다.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2)는,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라인 단위로 기억한다. 상기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는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및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2)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에 의거하여, 입력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한다. 각 필드의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및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은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35)는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로 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및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으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수신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소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프레임간 차분정보로부터 결정된 움직임정보를 직접 출력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소가 검출될 경우에, 상기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프레임간 차분정보로부터 결정된 움직임정보 이외에도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1프레임 이전의 과거필드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결정된 움직임정보를 출력한다.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는, 움직임정보 선택기 (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되고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보다 1필드 이전 필드인 과거필드의 움직임정보 및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2)으로부터 출력되고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 (36)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보다 1필드 이전 필드인 과거필드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한다.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은 상기 입력화소의 상기 움직임정보를 결정한다.
도 19는,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에 의해 입력된 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어떻게 결정하는가를 나타낸다.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는 3-입력의 OR 게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소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OR 게이트(38)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OR 게이트(38)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l)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의 논리합을 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l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n필드의 m+2 라인에서의 화소(Y)이다.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비월주사 신호이므로,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n필드의 m라인에서의 화소(A)의 움직임정보(α)가 된다.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현재 입력되는 화소보다 2필드기간 만큼 지연된 화소의 움직임정보이며, 따라서 n-2필드의 m라인에서의 화소(B)의 움직임정보(β)가 된다.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로부터 출력된 n필드의 m라인에서의 화소 (A)의 움직임정보(α)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n-2필드의 m라인에서의 화소(B)의 움직임정보(β)를 참조함으로써 n필드에서의 m라인에서 화소 (A)의 움직임정보(α또는 β)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n필드의 m라인에서의 화소 (A)의 움직임정보(α또는 β)를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한다.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는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이외에도,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2)으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입력된 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한다.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입력되는 화소보다 1필드 기간만큼 지연된 화소의 움직임정보이며, 즉, 도 19에 도시된 n-1필드의 m+1라인에서 화소(C)의 움직임정보(γ)이다.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2)으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 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보다 1라인 기간만큼 지연된 화소의 움직임정보이며, 즉 도 19에 도시된 n-l필드의 m-l라인에서 화소(D)의 움직임정보(δ)가 된다.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로부터 출력된 n필드의 m라인에서의 화소(A)의 움직임정보(α)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n-2필드의 m라인에서 화소(B)의 움직임정보(β)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된 n-1필드의 m+1라인에서 화소(C)의 움직임정보 (γ)와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2)으로부터 출력된 n-1필드의 m-1라인에서 화소 (D)의 움직임정보(δ)를 참조한다. 이와 같이,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는 n필드의 m라인에서 화소(A)의 움직임정보(α, β, γ또는 δ)를 결정한다.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는, 입력 신호의 논리합을 구하기 위한 OR 게이트 등의 간단한 회로로 구성하여도 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는,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또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 (42)으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복수의 화소에 대해 참조함으로써 입력된 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도 17a 내지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필드의 움직임정보를 반영한다.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입력된 화소로부터 1필드 기간만큼 또는 2필드 기간만큼 지연된 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및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에 기억된 다. 이러한 방식으로,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소가 복수의 프레임에 걸쳐서 지속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소가 검출되는 한, 과거의 필드의 동화상으로서 검출된 움직임정보는 복수 필드에 걸쳐서 유지된다.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35)는,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 및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으로부터 출력된 1라인 이전의 화소(E)의 움직임정보(ε)로부터 라인간에 존재하는 보간화소(X)의 움직임정보(χ)를 결정한다.
주목화소(A)의 필드와는 다른 인접한 위치의 주목화소(C, D)에서의 움직임정보(γ, δ)에 의거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δ)를 결정하고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실시예>
도 2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소가 검출될 경우에는,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의 논리합을 구하는 OR 게이트(38)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고 상기 논리합 결과를 출력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소가 검출된 경우에, 이와 같이, 입력된 화소의 움직임정보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 및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2)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α, δ)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및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γ, β)를 참조함으로써 결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실시예에 의하면, 도 18의 OR 게이트(38)와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를 대신하여, 움직임정보 선택기(39)의 앞쪽단부의 기능블록이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와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2)과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으로부터 각각의 출력을 병행하여 수신한다. 이와 같이,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움직임정보를 생성한다. 이 배치에 의해, 바람직한 제 5실시예는 바람직한 제 4실시예와 동일한 이점을 제공한다.
<제 6실시예>
도 2l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예에 의한 움직임정보처리 장치의 블럭도이다. 바람직한 제 6실시예의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는 도 3의 IP 변환기의 움직임정보 생성기(3)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도 18의 움직임정보 생성기(3)의 배치와 대비하여, 도 2l에 도시된 바와 같이, OR 게이트(38)와 입력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43)을 제거하고, 축적 움직임정보 생성기(44)를 움직임정보 선택기(39)의 앞에 배치한다.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및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에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가 입력된다. 보간화소 움직임정보 생성기(35)는, 움직임정보 선택기 (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34)으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수신한다.
축적 움직임정보 생성기(44)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41)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7)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와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2)으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축적 움직임정보 생성기(44)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함으로써 n필드의 m라인에서의 화소(A)의 움직임정보(α)를 결정한다. 상기 축적 움직임정보 생성기(44)는, 4-입력 OR게이트로 구성되어도 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소가 검출될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상기 축적 움직임정보 생성기(44)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소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정보 선택기(39)는,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회로 (41)로부터 출력된 프레임간 차분 정보로부터 결정된 움직임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21의 이 배치에서는, 움직임정보 선택기(3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정보는 도 l7a 내지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필드의 움직임 정보를 정확하게 반영한다.
도 21의 움직임정보처리 장치는 도 18의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와 상이하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소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소의 움직임정보는, 도 18의 장치에서 필드 움직임정보 기억회로(36) 및 라인 움직임정보 기억유닛(42)로부터 출력된 과거필드의 움직임정보를 반영함으로써 결정된다. 도 2l의 장치에서는, 이전 필드의 움직임정보가 반영되지 않는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은, 4개의 화소(A, B, C, D)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화소(A)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한다. 움직임정보 관리유닛(40)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움직이는 화소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화소(A)의 주위의 화소들도 움직이는 화소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도 18의 장치와 도 2l의 장치 사이에 표시성능의 차이는 거의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예에 의하면, 주목필드의 화소(A)에 대해서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α)와, 상기 주목필드보다 2필드전의 동일한 위치의 화소(B)에 대해서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β)와, 상기 주목필드의 1필드 전의 필드에 인접한 위치의 화소(C, D)에 대해서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γ 및 δ)에 의거하여 움직임정보(α, β, γ및 δ)가 생성된다. 다음에, 바람직한 제 6실시예의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생성된 움직임정보(α, β, γ및 δ)와 주목필드의 화소(A)에 대해서 출력된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α) 사이에서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로서 선택한다.
도 22는, 비월 주사에 의한 화소신호를 순차주사로 표시기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영상 표시장치는 영상정보 출력장치(21)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정보 출력장 치(21)는, 인터넷 또는 근거리 통신망(LAN) 등의 네트워크와, 통신위성 또는 방송위성을 통한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과, 메모리 카드, 하드디스크 및 DVD 등과 같은 정보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개재하여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고, 비월주사에 의한 화소신호(휘도 및 색차이 신호 또는 RGB 신호 등)를 IP 변환기에 출력한다.
영상신호 처리장치(22)는, 움직임정보 처리회로를 가진 IP 변환기 회로 (20) 및 해상도 변환기 회로 등을 포함한 영상신호 처리회로(23), γ보정회로나 색 조정회로 등을 포함한 화소신호 처리회로(24) 및 이들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회로 (25)를 포함한다.
표시장치(26)는 주사선 구동 회로(27), 변조 신호선 구동회로(28) 및 고정 된 화소를 포함한 플랫패널 표시기(2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움직임정보처리 장치 및 움직임정보 처리방법과 그것에 따른 IP 변환기 및 IP 변환 방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전자 회로소자와 같은 하드웨어로 실행될 수 있다. 설계자산으로서 알려진 전자회로 소자는, 또 다른 기능블록과 논리적으로 합성된 하드웨어 기술언어로 기술된 데이터로 유통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서, 수정 및 균등물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 되어야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동화상을 정지화상으로 절환하는 순간에 정지화상으로서 움직임정보를 즉시 얻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과거의 필드에서 참조화소의 움직임정보를 반영시킴으로써 움직임정보 검출의 정도를 높였을 경우에 생기는 오표시를 방지한다. 이와같이, 한층 더 정확한 보간화소를 가진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과거의 필드의 움직임정보를 반영한 움직임정보를 1비트의 정보로서 관리한다.
프레임간 차분정보로부터 결정된 영역내에서 동화상으로서의 움직임정보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참조화소의 프레임간 차분정보 및 1프레임 기간전의 필드의 움직임정보 이외에도, 1필드 기간전의 필드의 움직임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참조화소의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짝수필드 및 홀수 필드의 움직임정보를 반영한 움직임정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로 고려되는 것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정신 및 범위내에 포함된 다양한 수정 및 균등한 구성을 포함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다음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이러한 수정과 균등한 구성과 기능을 포함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된다.

Claims (13)

  1. 입력된 비월주사에 의한 화소신호에 있어서의 움직임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2개의 필드 사이의 동일한 위치에서의 화소신호의 차분정보에 의거하여 주목화소가 동화상인지 정지화상인지를 나타내는 움직임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공정;
    주목필드보다 전의 과거필드에 있어서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유지하는 유지공정;
    상기 주목필드에 있어서의, 복수의 인접화소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목화소를 포함하는 영역 내에, 움직임정보가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공정; 및
    상기 판정공정에 의해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공정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목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판정공정에 의해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공정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목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와, 상기 유지공정에 의해 유지된 상기 과거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해서 출력하는 출력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정보 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출력공정에 의해 출력된, 보간화소와 동일한 필드내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정보 처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접화소는, 수평 라인 또는 수직 라인을 형성하는 일부 또는 전부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정보 처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접화소는, 인접하는 복수의 수평 라인 또는 수직 라인을 형성하는 일부 또는 전부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정보 처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공정에 의해 출력된, 보간화소와는 다른 인접한 필드내의 동일한 위치에 있는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정보 처리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공정은 상기 판정공정에 의해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검출공정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목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와, 상기 유지공정에 의해 유지된 상기 과거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와, 상기 주목필드의 인접한 필드내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2개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정보 처리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공정은 상기 판정공정에 의해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검출공정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목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와, 이 주목필드보다 2 필드 전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와, 이 주목필드보다 1 필드 전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2개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정보 처리방법.
  8. 움직임 적응형의 IP변환방법으로서,
    제 1항에 기재된 움직임정보 처리방법의 상기 출력공정에 의해 출력된, 보간화소와 동일한 위치에서 전 필드 및 후 필드에 있는 2개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와, 이 보간화소와 동일한 필드내에 있고 인접한 위치에 있는 2개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구하는 공정; 및
    상기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보간화소의 화소신호의 보간값을 계산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적응형의 IP변환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가 동화상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보간화소와 동일한 필드내에 있고 인접한 위치에 있는 2개의 참조화소의 화소신호로부터 상기 보간화소의 화소신호의 값을 구하고, 상기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가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보간화소와 동일한 위치에서 전 필드 및 후 필드에 있는 2 개의 참조화소의 화소신호 적어도 어느 한 쪽으로부터 상기 보간화소의 화소신호의 보간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적응형의 IP변환방법.
  10. 입력된 비월주사에 의한 화상신호에 있어서의 움직임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로서,
    2개의 필드에 있어서의 동일한 위치의 화소신호의 차분정보에 의거해서 주목화소가 동화상인지 정지화상인지를 나타내는 움직임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주목필드보다 전의 과거필드에 있어서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유지하는 기억부;
    상기 주목필드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인접화소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목화소를 포함하는 영역 내에 움직임정보가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및
    상기 판정부에 의해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목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동화상화소가 소정의 수 이상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목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와, 상기 기억부에 의해 유지된 상기 과거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주목화소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결정해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정보 처리장치.
  11. 제 10항에 기재된 움직임정보 처리장치의 상기 출력부; 및
    각각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보간화소와 동일한 필드내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주목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해서 이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를 구하고, 상기 보간화소의 움직임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보간화소의 화소신호의 보간 값을 결정하는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적응형의 IP변환장치.
  12. 삭제
  13. 삭제
KR20040041168A 2003-06-05 2004-06-05 움직임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629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0675 2003-06-05
JP2003160675A JP4217543B2 (ja) 2003-06-05 2003-06-05 動き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594A KR20040105594A (ko) 2004-12-16
KR100629281B1 true KR100629281B1 (ko) 2006-09-28

Family

ID=3315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41168A KR100629281B1 (ko) 2003-06-05 2004-06-05 움직임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19491B2 (ko)
EP (1) EP1484919A3 (ko)
JP (1) JP4217543B2 (ko)
KR (1) KR100629281B1 (ko)
CN (1) CN10035527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1970B2 (ja) * 2003-04-24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情報処理装置及び映像情報処理方法
JP4047316B2 (ja) * 2003-09-25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レームレート変換装置、それに用いられる追い越し予測方法、表示制御装置及び映像受信表示装置
JP4641438B2 (ja) * 2004-03-16 2011-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素補間装置及び画素補間方法
EP1594119A3 (en) * 2004-05-06 2007-10-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7405766B1 (en) * 2004-12-20 2008-07-29 Kolorif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pixel motion adaptive de-interlacing of interlaced video fields
JP5001684B2 (ja) 2006-09-13 2012-08-15 富士通株式会社 走査変換装置
US7973858B2 (en) * 2006-10-23 2011-07-05 Lsi Corporation Reduced memory and bandwidth motion adaptive video deinterlacing
US8090024B2 (en) * 2007-06-25 2012-01-03 Sigma Designs, Inc. Methods for processing two data frames with scalable data utilization
KR101390173B1 (ko) * 2007-07-25 201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
US20110090310A1 (en) * 2009-10-19 2011-04-21 Lee Eun Seo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daptive motion effect using schema structure indica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erformance of motion device
CN103049919B (zh) * 2012-12-13 2015-09-02 上海宇航系统工程研究所 一种嵌入式目标检测算法
CN114630053B (zh) * 2020-12-11 2023-12-1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hdr图像显示方法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5013B2 (ja) * 1986-04-09 1997-04-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き適応映像信号処理回路
GB2231226B (en) * 1989-04-27 1993-09-22 Sony Corp Motion dependent video signal processing
US5410356A (en) * 1991-04-19 1995-04-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anning-line interpolation apparatus
US5235419A (en) * 1991-10-24 1993-08-1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daptive motion compensation using a plurality of motion compensators
US5521644A (en) * 1994-06-30 1996-05-28 Eastman Kodak Company Mechanism for controllably deinterlacing sequential lines of video data field based upon pixel signals associated with four successive interlaced video fields
JPH0832025A (ja) 1994-07-12 1996-02-02 Sumitomo Electric Ind Ltd 保護回路
US5671018A (en) * 1995-02-07 1997-09-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ion adaptive vertical scaling for interlaced digital image data
KR0176568B1 (ko) * 1996-01-27 1999-05-01 김광호 모션과 공간적인 상관도를 이용한 비월순차 변환장치 및 그 방법
EP0883298A3 (en) * 1997-06-04 2000-03-29 Hitachi, Ltd. Conversion apparatus for image signals and TV receiver
US6141056A (en) * 1997-08-08 2000-10-3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for conversion of interlaced video to progressive video using horizontal displacement
JP3212917B2 (ja) * 1997-08-26 2001-09-25 エヌイーシー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走査線補間装置および走査線補間方法
JP3649370B2 (ja) * 1998-02-25 2005-05-1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動き補償符号化装置及び動き補償符号化方法
KR100297776B1 (ko) * 1998-06-23 2001-10-26 윤종용 영상신호복호시의움직임정보를이용한3차원신호처리장치
JP2000175159A (ja) 1998-12-03 2000-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処理装置
JP2001054075A (ja) * 1999-08-06 2001-02-23 Hitachi Ltd 画像信号の動き補償走査変換回路
KR100327395B1 (ko) * 1999-09-03 2002-03-13 구자홍 움직임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격행주사 영상의 디인터레이싱 방법
GB2361372B (en) * 2000-04-07 2004-08-25 Snell & Wilcox Ltd Video signal processing
CA2344615A1 (en) * 2000-09-08 2002-03-08 Jaldi Semiconductor Corp.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adaptive deinterlacing
US7116372B2 (en) * 2000-10-20 2006-10-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interlacing
JP2006173657A (ja) 2000-10-25 2006-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処理回路
US6661464B1 (en) * 2000-11-21 2003-12-09 Dell Products L.P. Dynamic video de-interlacing
US6822691B1 (en) * 2000-12-20 2004-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cting motion in an interlaced video sequence utilizing region by region motion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motion detection
US7098957B2 (en) * 2000-12-20 2006-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petitive motion in an interlaced video sequence apparatus for processing interlaced video signals
JP4806849B2 (ja) * 2001-01-15 2011-11-0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6940557B2 (en) * 2001-02-08 2005-09-06 Micronas Semiconductors, Inc. Adaptive interlace-to-progressive scan conversion algorithm
KR100393066B1 (ko) * 2001-06-11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 움직임 보상형 디-인터레이싱 장치 및 그 방법
JP3898546B2 (ja) * 2002-03-27 2007-03-28 株式会社東芝 画像走査変換方法及び装置
JP3799288B2 (ja) * 2002-04-05 2006-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
JP4035408B2 (ja) * 2002-09-10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解像度変換装置及び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7034888B2 (en) * 2003-03-26 2006-04-25 Silicon Integrated Systems Corp. Method for motion pixel detection
JP4261970B2 (ja) * 2003-04-24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情報処理装置及び映像情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4919A2 (en) 2004-12-08
JP4217543B2 (ja) 2009-02-04
EP1484919A3 (en) 2005-04-06
JP2004364004A (ja) 2004-12-24
US7319491B2 (en) 2008-01-15
CN1607827A (zh) 2005-04-20
US20040246375A1 (en) 2004-12-09
CN100355279C (zh) 2007-12-12
KR20040105594A (ko)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84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edge-based scan line interpolation using 1-D pixel array motion detection
EP1223748B1 (en) Motion detection in an interlaced video signal
JP5177828B2 (ja) 画像レート変換方法及び画像レート変換装置
JPH10105142A (ja) インターレース処理されたビデオデータ変換方法および変換システム
EP13577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tion and edge-adaptive frame rate up-conversion
JP2001285810A (ja) 動きベクトルを算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629281B1 (ko) 움직임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EP1646228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365333B2 (ja) 解像度変換装置
KR20060047635A (ko) 필름 모드 표시 결정 방법, 움직임 보상의 화상 처리 수행방법, 필름 모드 검출기 및 움직임 보상기
KR101026298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US20090167938A1 (en) Synthesized image detection unit
US7106379B2 (en) Scan conversion apparatus
KR100930759B1 (ko) 화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EP1592246A1 (en) Film mode determination in video image still areas
JP2005318623A (ja) フィルムモード外挿方法及びフィルムモード検出器並びに動き補償器
KR100692597B1 (ko) 필드 선택이 가능한 영상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4226939B2 (ja) 順次走査変換装置及び順次走査変換方法
JP2004320278A (ja) 動画像時間軸補間方法及び動画像時間軸補間装置
JP2003289511A (ja) 画像走査変換方法及び装置
US849429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018384B2 (ja) ビデオ信号処理回路
JP2001272962A (ja) 画像表示装置
KR0153536B1 (ko) 주사보간 신호발생 회로 및 방법
KR920008628B1 (ko) 영상신호의 라인간 보간신호 발생방법 및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