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805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805B1
KR100627805B1 KR1020040054919A KR20040054919A KR100627805B1 KR 100627805 B1 KR100627805 B1 KR 100627805B1 KR 1020040054919 A KR1020040054919 A KR 1020040054919A KR 20040054919 A KR20040054919 A KR 20040054919A KR 100627805 B1 KR100627805 B1 KR 100627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ower
power supply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5917A (ko
Inventor
권상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805B1/ko
Priority to PCT/KR2005/002047 priority patent/WO2006001684A1/en
Priority to US11/629,652 priority patent/US8195248B2/en
Priority to MXPA06015236A priority patent/MXPA06015236A/es
Priority to BRPI0512799-8A priority patent/BRPI0512799A/pt
Priority to CN2005800219747A priority patent/CN1977465B/zh
Priority to EP05765854.4A priority patent/EP1762011B1/en
Publication of KR2006000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04B1/1615Switching on; Switching off, e.g. remote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원 오프신호가 발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통신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 입출력 기능이 중지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을 제공하며,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유아 등) 또는 타인(유아 유괴범 등)의 조작으로 인해 통신 기능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보호자(부모 등)가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
이동통신 단말기, 유아, 거짓 전원 오프(fake power off), 배터리, 미아 방지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Method of putting off the power falsely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무선 송수신부 11 : 메모리
12 : 전원 공급부 13 : GPS 기능부
14 : 디스플레이부 15 : 키 입력부
16 : 마이크 17 : 스피커
18 :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오프신호가 발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통신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 입출력 기능이 중지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통신 단말기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특정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점(일명 위치정보)를 알 수 있게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특정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일명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GPS 단말기"와 병행하여 표기하기로 함)는 현재 위치한 지점의 위치정보(예; 위도/경도로 표현되는 좌표점)를 GPS 위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GPS 단말기는 현재 위치한 지점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위치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위치정보 제공 서버는 GPS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특정 사용자로부터 GPS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조회 요청을 받으면 해당 GPS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미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정보 제공 기술이 적용되어 부모와 유아(어린아이, 일반적으로 학령 이전의 아이(교육법에서는 만 6 세에서 만 12세까지를 학령 아동으로 규정하고 있음))에게 미아 방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전술한 미아 방지 서비스는 유아가 소지하고 있는 GPS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있다가, 부모로부터 유아의 위치정보 조회 요청을 받으면 부모에게 유아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미아 방지 서비스 미가입 부모는 유아에게 현재 위치 및 신변 변동 사항 등을 구두로 물어보기 위해 수시로 유아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 유아와 통화를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GPS 기능을 통하여 유아의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신변 변동 사항을 구두로 질의하기 위해서는 유아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있어야 된다(전원 온(ON) 상태 유지).
즉, 이동통신 단말기 조작에 익숙하지 못한 유아 및 미아 방지 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유아 및 유아 유괴범 등에 의해 전원 종료버튼이 눌리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되게 되며, 그에 따라 유아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파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인식 능력이 부족한 유아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잘못 조작하여 전원 종료버튼을 누르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 기능, 즉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통신 기능(예; GPS 기능, 호 착신 기능 등)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원 오프신호가 발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통신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 입출력 기능이 중지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원격지로 전송하는 중에 특정 입력신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원 오프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수단 및 키 입력수단으로의 전원 공급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 및 상기 키 입력수단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호 착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호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키 입력수단으로의 전원 공급 차단 해제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예; 기지국간의 음성/데이터 신호 송수신, GPS 위성간의 GPS 신호 송수신 등)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0)와, 이동통신 단말기 구동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1)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각 구성 요소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2)와, 공지의 GPS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GPS 기능부(13)와, 제어부(18)의 제어에 의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4)와, 버튼을 통해 전화번호, 전원 온신호, 전원 오프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15)와, 음성 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16)와, 음성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또는 이어폰)(17) 및 상기 키 입력부(15)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고 있다가 전원 오프신호가 발생(예; 전원 종료버튼이 2초 동안 눌림 등)되면 무선 송수신부(10), 메모리(11) 및 GPS 기능부(13)로의 전원 공급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디스플레이부(14)(예; LCD, LED 등), 키 입력부(15), 마이크(16) 및 스피커(17)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 동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8)의 제어신호(전원 공급 차단 제어신호, 전원 공급 차단 해제 제어신호 등)에 의해 전원 공급부(12)의 전원이 특정 기기(예; 무선 송수신부(10), GPS 기능부(13), 디스플레이부(14), 키 입력부(15) 등)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공급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전원 관리 모듈(일명 CDMA Power Management System 또는 GSM Power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특정 기기로의 전원 공급 및 전원 공급 차단은 제어부(18)의 제어신호 인가에 따라 전원 관리 모듈이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예; 유아 등) 또는 유아 유괴범 등과 같은 타인이 키 입력부(15) 중 전원 종료버튼을 눌러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하는 경우에, 호 착신 기능 및 GPS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구성 요소(무선 송수신부(10), 메모리(11) 및 GPS 기능부(13))의 구동이 유지되도록 전원 공급부(12)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외부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 구성 요소(디스플레이부(14), 키 입력부(15), 마이크(16) 및 스피커(17))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전원 공급부(12)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려고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외관상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지만 GPS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 호 착신신호가 있는 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기능, 호 착신신호 감지 시 통화 호 연결 기능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은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종료버튼이 눌린 다음에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에 장착되어 있는 LED에는 빛이 발광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 덮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LCD에는 배경 화면이 표시되지 않지만 GPS 기능부(13)에서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정보가 가공되어 메모리(11)에 저장되거나 GPS 기능부(13)에서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정보가 무선 송수신부(10)를 통하여 위치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예; 유아)의 현재 위치정보가 지속적으로 위치정보 제공 서버로 제공되며, 그에 따라 특정 사용자(예; 부모)가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키 입력부(15)에서 전원 오프신호가 발생되어 외부 입출력 수단(디스플레이부(14), 키 입력부(15), 마이크(16) 및 스피커(17))으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무선 송수신부(10)를 통하여 호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스피커(17)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호 착신 사실을 통보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진동 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호 착신 사실을 통보한 다음에,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 덮개가 열리면 키 입력부(15) 및 스피커(17)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거나 키 입력부(15) 및 스피커(17)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통화버튼을 눌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 된 상태에서 호 착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원격지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200). 이 때, 제어부(18)는 무선 송수신부(10)에서 호 착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GPS 기능부(13)에서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 위치정보가 무선 송수신부(10)를 통하여 위치정보 제공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키 입력부(15)에서 발생되는 입력신호를 감지하고 있다가 전원 오프신호가 발생(예; 전원 종료버튼이 2초 동안 눌림 등)되면(201),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 입출력 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202). 이 때, 제어부(18)는 상기 "200" 과정에서 호 착신신호가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기능 및 GPS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구성 요소(무선 송수신부(10), 메모리(11) 및 GPS 기능부(13))로의 전원 공급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 입출력 수단(디스플레이부(14), 키 입력부(15), 마이크(16) 및 스피커(17))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8)는 디스플레이부(14), 키 입력부(15)로의 전원 공급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원 관리 모듈로 전달하며, 그에 따라 전원 관리 모듈이 전원 공급부(12)의 전원이 디스플레이부(14), 키 입력부(15)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 다.
그러다가, 호 착신신호가 수신되면(20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 입출력 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고(204),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 입출력 수단을 통하여 호 착신신호 수신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205). 이 때, 즉 디스플레이부(14) 및 키 입력부(15)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호 착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 있다가 호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통화 개시버튼을 눌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제어부(18)는 키 입력부(15)로의 전원 공급 차단 해제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원 관리 모듈로 전달하며, 그에 따라 전원 관리 모듈이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던 키 입력부(15)로 전원 공급부(12)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후, 키 입력부(15)에서 통화 개시신호가 발생되면(206),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호 착신신호를 보낸 특정 단말기간의 통화 호를 설정한다(207).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3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예; 유아 등)의 단말기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해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탈되거나 유아 유괴범 등과 같은 타인이 강제적으로 배터리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탈시키지 못하도록 배터리를 이동통신 단말기, 특히 본체에 고정 부착시킨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31)(그 소재는 금속, 플라스틱 등)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30) 일측에 전원 공급부(배터리)(12)가 고정 부착되게 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30) 일측의 상부에 제1 나사홈을 형성하고, 전원 공급부(12) 일측에 관통형 제2 나사홈을 형성하고, 관통형 제2 나사홈 및 제1 나사홈에 나사(31)를 삽입시켜 전원 공급부(12)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30)에 고정되게 부착시킨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 특히 전원 공급부(12)에 나사(31)가 실장되어 외관상 미려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나사(31)의 노출 및 조임 불량 등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31)가 삽입된 전원 공급부(12)의 일부분에 고무마개(32) 등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전원 종료신호가 발생되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 통 신 기능(GPS 위치정보 송수신 기능, 호 착신 기능 등)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구성 요소로의 전원 공급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사용자와의 입출력 기능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 구성 요소로의 전원 공급만이 차단되도록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유아 등) 또는 타인(유아 유괴범 등)의 조작으로 인해 통신 기능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보호자(부모 등)가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원격지로 전송하는 중에 특정 입력신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원 오프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수단 및 키 입력수단으로의 전원 공급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외부 장치와의 무선 송수신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을 유지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 및 상기 키 입력수단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호 착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호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키 입력수단으로의 전원 공급 차단 해제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
  3. 프로세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원격지로 전송하는 중에 특정 입력신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원 오프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외부 장치와의 무선 송수신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을 유지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수단 및 키 입력수단으로의 전원 공급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
KR1020040054919A 2004-06-29 2004-07-1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 KR100627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919A KR100627805B1 (ko) 2004-07-14 2004-07-1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
PCT/KR2005/002047 WO2006001684A1 (en) 2004-06-29 2005-06-29 Disguised power-off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1/629,652 US8195248B2 (en) 2004-06-29 2005-06-29 Disguised power-off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XPA06015236A MXPA06015236A (es) 2004-06-29 2005-06-29 Metodo de apagado disfrazado para una terminal de comunicacion movil.
BRPI0512799-8A BRPI0512799A (pt) 2004-06-29 2005-06-29 método de desligamento disfarçado para um terminal de comunicação móvel
CN2005800219747A CN1977465B (zh) 2004-06-29 2005-06-29 用于移动通信终端的伪装关机方法
EP05765854.4A EP1762011B1 (en) 2004-06-29 2005-06-29 Disguised power-off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919A KR100627805B1 (ko) 2004-07-14 2004-07-1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917A KR20060005917A (ko) 2006-01-18
KR100627805B1 true KR100627805B1 (ko) 2006-09-25

Family

ID=3711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919A KR100627805B1 (ko) 2004-06-29 2004-07-1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8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917A (ko) 200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5091B2 (en) Wearable computer system and modes of operating the system
JP5187764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7003761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in a cellular or portable telephone
CA2549049A1 (en) Method for reporting personal st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er and method therefor
JP5414008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179683A (ja) 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への発信機器
JP2010119019A (ja) 携帯端末、音声出力制御方法及び音声出力制御プログラム
CN105049587A (zh) 车辆在驾驶过程中的移动电话讯息安全提醒方法与设备
KR20100063837A (ko)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4681973B2 (ja) 携帯端末機
US20210373596A1 (en) Voice-enabled external smart processing system with display
KR1006278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거짓 전원 오프 방법
JP2006245919A (ja) 携帯電話端末、音声データ受信の報知方法、通話音声の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15728A (ja) 携帯電話端末装置
JP2006237672A (ja) 携帯通信端末
WO2016145802A1 (zh) 通信业务处理方法、系统和支持可穿戴设备通信的系统
JP3706284B2 (ja) 通信装置
JP2006186837A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217259A (ja) 携帯電話装置
KR20070066455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보호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5073224A (ja) 情報端末機器の電源オンオフシステムと記録媒体
JP2005341302A (ja) 携帯電話機及び緊急情報の通信方法
JP2002186043A (ja) 携帯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装置、携帯機器、及び携帯機器の遠隔制御方法
JP2002314679A (ja) 携帯型端末
JP2002176473A (ja) 携帯電話機のワイヤレス電源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